신간 전자책
독신 여성의 정조론
도서정보 : 나혜석 | 2019-09-16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서양 사람의 스위트홈이 결코 그 남편이나 아내에게 힘으로만 된 것이 아니라 남녀 교제의 자유에 있습니다. 한 남편이나 한 아내가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대면하니 싫증이 나기 쉽습니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500 원
독신 여성의 정조론
도서정보 : 나혜석 | 2019-09-1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서양 사람의 스위트홈이 결코 그 남편이나 아내에게 힘으로만 된 것이 아니라 남녀 교제의 자유에 있습니다. 한 남편이나 한 아내가 날마다 아침저녁으로 대면하니 싫증이 나기 쉽습니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500 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도서정보 : 편집부 | 2019-09-16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리는 1935년 일본 제국주의 야만적 탄압으로 유린 해체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을 재건 결정한 것이다.
예술 행동도 결국 계급적 진리의 인식과 실천뿐이다. 이데올로기엔 가식과 절충이 있을 수 없다. 우리들의 길은 오직 하나뿐으로 이 길의 달성을 위해 투쟁하면서 광휘의 앞날을 바라보며 매진할 뿐이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3,000 원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도서정보 : 편집부 | 2019-09-1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리는 1935년 일본 제국주의 야만적 탄압으로 유린 해체된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을 재건 결정한 것이다.
예술 행동도 결국 계급적 진리의 인식과 실천뿐이다. 이데올로기엔 가식과 절충이 있을 수 없다. 우리들의 길은 오직 하나뿐으로 이 길의 달성을 위해 투쟁하면서 광휘의 앞날을 바라보며 매진할 뿐이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3,000 원
보신각종 이야기
도서정보 : 차상찬 | 2019-09-17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는 서울에도 한복판인 종로 네거리 동편 모퉁이에 있는 ‘인경(人磬)’이다.
‘조선이 천명을 받은 지 3년이 되든 해 한양의 국도를 정하고 그다음에 비로소 궁궐을 짓게 되며, 그해 여름에 또 관원에게 명하여 큰 종을 주조하고 그것은 성공한 것을 새겨서 큰 경사스러움을 전하고자 함이다.(惟朝鮮受命之三年(甲戌) 定都于漢水之陽, 越明年始營宮寢, 其夏命攸司鑄大鍾, 旣成建閣于大市街以懸之, 所以勒成新功垂鴻休也.)<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500 원
보신각종 이야기
도서정보 : 차상찬 | 2019-09-1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나는 서울에도 한복판인 종로 네거리 동편 모퉁이에 있는 ‘인경(人磬)’이다.
‘조선이 천명을 받은 지 3년이 되든 해 한양의 국도를 정하고 그다음에 비로소 궁궐을 짓게 되며, 그해 여름에 또 관원에게 명하여 큰 종을 주조하고 그것은 성공한 것을 새겨서 큰 경사스러움을 전하고자 함이다.(惟朝鮮受命之三年(甲戌) 定都于漢水之陽, 越明年始營宮寢, 其夏命攸司鑄大鍾, 旣成建閣于大市街以懸之, 所以勒成新功垂鴻休也.)<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500 원
시론(詩論)
도서정보 : 김억 | 2019-09-17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소설 같은 것에는 외부적 조건, 다시 말하면 그 시대상이라고 할 만한 경제생활이라든가 가정생활이라든가 하는 것에 대한 면밀한 표현이 있어야 한다. 시가(詩歌)에서 이러한 그 시대상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보다도 인생의 내부적 생활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는 충동으로서 어떤 모습을 내부적 조건을 수단으로 삼아 표현하는 것만큼 엄정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000 원
시론(詩論)
도서정보 : 김억 | 2019-09-1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소설 같은 것에는 외부적 조건, 다시 말하면 그 시대상이라고 할 만한 경제생활이라든가 가정생활이라든가 하는 것에 대한 면밀한 표현이 있어야 한다. 시가(詩歌)에서 이러한 그 시대상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보다도 인생의 내부적 생활에 깊은 뿌리를 박고 있는 충동으로서 어떤 모습을 내부적 조건을 수단으로 삼아 표현하는 것만큼 엄정한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2,000 원
미니언즈, 넌 내게 바나나?
도서정보 : Universal Studios Licensing LLC | 2019-07-08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서평
“귀여운 게 최고야!”
수만 년이 흘러도 언제나 그대로인 미니언즈….
귀여움과 즐거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그들의 매력에 퐁당 빠지다!
일루미네이션 스튜디오 대표 캐릭터
미니언즈의 이미지 컷 최초 공개!
세계 최고 귀요미들이 전하는 웃음과 용기
미니언즈는 일루미네이션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애니메이션 ‘슈퍼배드’ 시리즈와 ‘미니언즈’에서 등장하는 캐릭터로, 깜찍한 매력으로 전 세계인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국내 캐릭터 상품시장을 장악하며 인기를 더해가는 캐릭터 미니언즈는 대체 불가능한 개성 넘치는 생김새를 갖고 있다. 그들은 2등신 노란 몸과 큰 눈이 달린 얼굴에 머리숱이 적은, 알고 보면 인류보다 오래전부터 살아온 정체불명의 고대 생물체다. 이 노란색 캐릭터는 전 세계인의 취향을 저격하며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불과 몇 년 만에 전 세계에서 모든 연령대 사람들의 사랑을 독차지한 미니언즈는 우리가 인생에서 정말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해준다.
“미니언즈가 언어를 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들려줄까?”
성실한 악당들이 이야기하는
농담인 듯 진담인 듯 뼈 때리는 인생의 진리
긍정의 힘이 필요한 순간, 사랑과 기쁨을 느끼고 싶은 순간, 일상에 지쳐 웃음을 잃었을 때, 진심 어린 충고를 듣고 싶을 때, 도전할 수 있는 용기를 얻고 싶은 그런 때가 있다. 낙천적인 만능 캐릭터 미니언즈가 언어를 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할까? 어떤 생각을 하는지 알 수조차 없는 미니언즈가 인생의 진리를 알려준다면 왠지 단순하고 명료하게 정리해줄 것 같다.
케빈, 스튜어트, 밥이 슈퍼 악당을 찾기 위해 세상에 나와 새로운 보스를 만나고 임무를 완수하려 고군분투하는 모습은 하루하루 애쓰며 사는 우리에게 공감과 용기를 준다. 굶주린 스튜어트가 케빈과 밥을 바나나로 착각하고 달려들 때, 자신과 비슷하게 생긴 소화전과 사랑에 빠질 때의 상황은 마치 한 편의 코미디를 보는 듯 웃음을 준다. 무엇보다 짧은 팔과 다리를 쉬지 않고 휘저으면서 통통한 엉덩이를 씰룩대며 걷는 그 치명적인 귀여움에 누구든 사랑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 책에는 슈퍼 악당과 함께 인류의 역사를 관통해 온 그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해변에서 휴양 중인 미니언즈, 크리스마스를 기념하는 미니언즈, 할로윈데이를 맞아 유령으로 변신한 미니언 즈 등 페이지마다 다양하고 색다른 모습으로 우리에게 이야기를 들려준다. 평소 볼 수 없던 미니언즈의 모습을 수록하여 미니언즈를 사랑하는 모든 이들에게 귀엽고 소중한 선물이 될 것이다.
구매가격 : 9,660 원
당신의 계절을 걸어요
도서정보 : 원유리 | 2019-07-2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책 소개
11년간 65개국 500개 도시를 누빈
여행 작가 청춘유리가 전하는 가장 아름다운 나날들
떠났기 때문에 마주할 수 있었던, 무수히 많은 장면과 마음에 대하여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을 통해 수많은 사람들에게 두근거림을 선사하는 여행 작가이자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여행 크리에이터, 청춘유리가 3년 만에 신간 『당신의 계절을 걸어요』를 선보인다. 베스트셀러 『오늘은 이 바람만 느껴줘』 출간 이후 그녀에게 여행은 단순한 휴식이 아닌 삶의 일부이자 일이 되었지만, 여행이 주는 자유와 낭만을 마음껏 누리고 그 선물 같은 시간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마음은 여전하다. 더 많은 곳을, 더 오래도록 누빈 만큼 한층 깊어진 이야기를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스페인, 포르투갈, 스위스, 헝가리,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네팔, 파키스탄, 볼리비아, 멕시코, 바하마, 탄자니아 등 대륙과 육해공을 넘나들며 겪은 다양한 에피소드부터 눈과 마음을 모두 사로잡을 만큼 멋진 도시의 모습과 푸르른 자연의 광경, 잊을 수 없는 인연은 물론 여행을 다니며 느낀 섬세한 감정과 생각도 솔직하게 담았다. 여기에 저자 특유의 감수성과 독특한 분위기가 고스란히 묻어나는 사진을 보다 보면 어디론가 훌쩍 떠나고 싶어지게 된다. 여행과 삶을 사랑스럽고 행복하게 그려냈기에 또 다른 세상을 꿈꾸는 이에게도 설렘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세상은 아름다운 것들로 가득 채워져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길 바라는 마음을 품고서 다시 떠나다
세계 곳곳을 다니면서 이보다 예쁘고 좋은 것은 더 이상 없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가, 이내 그건 착각임을 깨닫는다. 여행을 통해 매번 또 다른 매력을 발견하게 되고, 느껴보지 못했던 새로운 감정을 만나게 되기 때문이다.
수천 번도 더 보았을 밤하늘이지만 어제와 오늘의 밤하늘이 다르다는 걸 알았고, 그 덕분에 내일의 밤하늘을 기대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같은 장소일지라도, 과거에는 몰랐던 모습을 지금 마주하게 될 때 느끼는 벅참을 경험했다. 눈앞에 펼쳐진 것들을 온전히 받아들일 때의 환희와 예기치도 않은 상황에서 깨달음을 얻기도 했다. 이 모든 것은 여행을 계속해나간 덕분이다. 이처럼 우리가 알지 못하거나, 무심코 지나쳤던 아름다운 것들이 너무도 많다는 사실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어 글을 써내려갔고 그 찬란한 순간들을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어 사진으로 담았다. 청춘유리의 따뜻한 시선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이야기들은 잔잔한 울림과 긴 여운을 안겨준다.
항상 즐거울 수는 없겠지만 산뜻한 바람이 스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행복해질 수 있는, 여행과 삶을 생각하다
우리는 종종 복잡한 마음을 잠시 접어두고 떠나간 먼 곳에서야, 자신의 삶과 내면을 돌아보게 되기도 한다. 가족이나 연인, 친구 관계, 사랑과 행복을 비롯한 우울과 공허감 등의 감정, 자신의 꿈과 가치관 같은 것들에 대해서 말이다. 여행의 시작과 끝을 수도 없이 반복하는 저자 역시 낯선 여행지에서 이러한 생각들을 자주하게 된다고 고백한다.
외롭고 힘들기도 하지만 눈부신 햇빛, 산뜻한 바람결, 온화한 공기, 평범한 일상, 감사한 인연 등 소소하지만 기분이 좋아지는 순간들이 있기에 행복할 수 있는 여행처럼 우리 삶도 마찬가지일거라고 말한다. 저마다의 고민과 걱정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결국에는 잘해낼 것이라고, 스스로를 믿어도 좋다는 진심어린 응원도 함께 건넨다.
구매가격 : 10,500 원
블랙박스(THE BLACK BOX)
도서정보 : 마이클 코넬리 | 2019-07-24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리뷰
탄환으로 단서를 추적하는 명형사의 활약
폭동 중 처형당한 외신 기자의 탄환,
새로운 살인 사건의 실마리가 되어 돌아오다!
정년퇴직 시한이 다가왔지만 형사 해리 보슈에게 그것은 임무 해결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LA폭동 20주년을 기념해 LA내의 언론은 다시 들끓고 있다. 보슈는 당시에 미해결 사건으로 남은 <백설공주 살인사건>을 맡게 된다. <백설공주 살인사건>은 LA폭동 발발한 다음 날 LA에 입국했던 30대 덴마크 여기자 안네케 예스페르센이 그 다음 날 아침 변사체로 발견된 사건이다. 사건 수사 일지를 살펴보던 보슈는 단 한 개의 증거물, 살인에 쓰였던 탄피를 발견한다. 감식결과가 가리킨 용의자는 살인죄로 복역중인 40대 갱단원. 그가 7년 전에 죽인 사람의 몸에서 나온 총의 탄피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지만 그 총의 진짜 주인은 이미 2009년에 사망했다는데…. 탄피 하나로 모든 단서 퍼즐을 맞춰가는 보슈는 1992년 베레타 총의 진짜 주인을 찾고 정의를 실현할 수 있을까?
해리 보슈는 이번 작품에서도 묵묵히 사건 해결을 위한 발걸음을 늦추지 않는다. 경찰국 내의 권력 다툼에 이용되고, 그를 눈엣가시로 여기는 반장의 훼방으로 동선이 꼬이기도 하지만 콜드 케이스를 해결하려는 수많은 동료들의 지지와 콜드 케이스를 거쳐갔던 형사들의 작은 실마리가 20년의 세월을 뛰어넘게 하는 데 뒷받침 한다. 거기에 협력 관계인 듯 아닌 듯 콤비를 이뤄 신기술에 약한 원로 형사를 지원 사격하는 젊은 형사 데이비드와의 호흡도 재미를 더한다.
*천사들의 도시를 지키는 다크 히어로 히에로니머스 ‘해리’ 보슈(Hieronymus ‘Harry’ Bosch)에 대하여: 15세기 네덜란드 환상 화가인 히에로니머스 보슈의 이름을 딴 형사 해리 보슈는 1992년 마이클 코넬리의 데뷔작이자 에드거 상 수상작인 《블랙 에코》에 처음 등장했다. 할리우드의 창녀였던 보슈의 어머니는 그가 열한 살이 되던 해 거리에서 살해를 당했고, 이후 보슈는 청소년 보호소와 위탁가정 등을 거치며 성장하게 된다. 불우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절망을 먼저 경험했던 보슈는 16살에 입대하여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다. 베트남전 참전 당시, 보슈는 25사단의 ‘땅굴쥐’로 활동했는데 이는 베트콩의 주 이동로인 미로 같은 땅굴에 폭탄을 설치하는 일이었다. 전쟁의 참혹함을 경험한 후 그는 LA로 돌아와 강력반 형사로 일하게 된다. 뛰어난 직관과 수사(특히 피해자)에 대한 열정으로 형사로서 그의 명성은 높아지지만 부당한 권력에 대항하고 거짓을 용납하지 못하는 성격 탓에 경찰 상부와 FBI로부터 눈엣가시 같은 존재가 된다.
화가 히에로니머스 보슈는 지상세계의 방탕함과 폭력을 종교적 색채를 가미해 묘사했는데 해리 보슈의 시각도 이와 비슷하다. 보슈는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천사들의 도시 LA를 정화하기 위해 밤낮으로 애쓰지만 그 절망적인 상황이 나아질지에 대해 스스로 의구심을 가지고 있다.
해리 보슈의 오른쪽 어깨에는 베트남전 참전 당시 새긴 쥐 문신이 있으며 머리카락은 살짝 은색을 띤 갈색, 눈동자는 거의 검은 갈색이다. 재즈광인 보슈는 마이클 코넬리의 《링컨 차를 타는 변호사》에 등장한 변호사 미키 할러와는 이복형제 사이이기도 하다.
구매가격 : 13,860 원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
도서정보 :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크리스틴 웨인코프 듀란소, 필립 래터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 소개
“달리고, 몰입하고, 행복하라!”
몰입의 권위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최신작
몰입Flow의 영역을 달리기와 일상으로 확장하다!
몰입은 인생을 좀 더 행복하고, 즐겁게 만드는 열쇠이다. 무언가에 몰입했던 경험은 대부분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 가장 큰 성취감을 느낀 순간이다. 따라서 누구나 몰입을 선망하고 기대하지만, 어떻게 하면 몰입할 수 있는지 그 방법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다. 1970년대에 몰입 현상을 처음으로 규명하며 ‘몰입 신드롬’을 불러일으켰던 세계적인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달리기는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훌륭한 수단이다!’라는 주장 아래, 지난 40여 년간 몰입을 연구하면서 세운 자신의 목표―사람들이 좀 더 행복하게, 좀 더 즐겁게 인생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를 달리기의 영역으로 확장시켰다.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은 달리기를 하는 사람들과 그들이 경험하는 몰입 현상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사례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달리기와 몰입의 메커니즘을 과학적으로 제시하고, 유명 육상선수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몰입 경험과 독자들이 직접 응용할 수 있는 다양한 노하우도 전수한다.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몰입을 경험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좀 더 행복하게 더 큰 성취감을 느끼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달리기’를 통해 ‘몰입’하는 법,
‘몰입’을 통해 ‘행복’한 인생을 사는 법
달리기를 하면 몰입을 경험할 기회가 매우 많다. 승부욕이 강한 선수들은 달리기 대회에 출전하기 위해 목표를 세우고 자신의 기량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매일 전날보다 발전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한다. 취미 또는 건강관리를 위해 가벼운 마음으로 달리는 사람들 역시 몰입을 자주 경험한다. 숲속을 달리다가 이전에 가본 적 없는 곳까지 더 멀리 갈 때, 교통 체증이 심한 도시에서 조깅을 할 때도 몰입을 경험할 확률은 크게 높아진다.
이 책은 몰입이라는 개념을 학계의 연구 주제로만 보지 않고, 전문 선수와 일반인 구분 없이 달리기를 하는 모든 사람들이 경험할 수 있는 영역으로 끄집어내, 다음과 같은 궁금증을 해결해준다.
● 어떤 사람들이 몰입을 자주 경험할까?
● 내가 원할 때마다 몰입할 수 있을까?
● 달리기를 통해 경험한 몰입을 일상에도 적용할 수 있을까?
● 몰입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까?
뿐만 아니라 사진과 표 등 몰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각적인 자료와 더불어 경기 혹은 연습 중에 몰입을 경험한 사람들의 체험담, 독자들이 직접 몰입의 순간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실용적인 연습 방법도 함께 제공하는데, 복잡한 도심에서 집중해 달리기 좋은 장소를 찾는 법, 체력?기술적인 수준에 맞춰 달려야 하는 시간과 거리, 음악이나 팀 운동의 효과, 달리기에 도움이 되는 명상법 등 다양한 각도에서 달리기와 몰입에 도움이 되는 팁을 수록하고 있다.
달리다 보면, 애초에 자신이 세웠던 목표를 달성해나가는 즐거움과 함께 몰입을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몰입을 자꾸 하다 보면 일상의 다른 영역에서도 몰입을 하고자 하는 의지가 생기게 마련이다. 여러 분야에 자기 목적적으로 집중하는 자세, 몰입의 순간을 가능한 한 늘리려는 자세, 미하이 칙센트미하이는 이것이야말로 우리 인생에서 행복을 찾는 열쇠라고 말한다.
땅이 흔들리고 할렐루야를 절로 외칠 만큼 엄청난 순간이 아닐지라도 집중해서 무언가에 몰두하는 순간은 우리를 ‘지금, 이곳’에 머물게 한다. 그리고 기술을 발전시키고, 목표를 세우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런 순간은 쌓이고 또 쌓여 인생의 의미를 만들어간다. 이제 이 책을 접하는 독자들에게 달리기는 전혀 다른 의미로 다가올 것이다. 더 나아가 삶을 바라보는 시선 역시 바뀔 것이다.
유명 육상선수들의 생생한 몰입 체험담,
‘몰입’은 어떻게 내 삶이 되었는가
몰입을 경험한 사람들의 체험담은 아직 몰입을 경험해보지 못한 사람들에게 엄청난 기폭제가 될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많은 육상선수들은 몰입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삶이 충만해졌다고 털어놓는다. 또한, 이 책은 저자들의 몰입 체험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몰입의 권위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역시 어린 시절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체스 게임, 암벽 등반, 달리기 등 수많은 일에서 몰입을 경험했고, 그 경험이 자신의 삶에 더없이 귀중한 교훈을 남겼음을 고백한다.
국내 최고의 몰입 전문가 황농문 서울대학교 교수, 출판 에디터이자 마라토너로 유명한 이영미 편집자, 작가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김병수 정신과전문의 등 믿을 만한 국내 인사들의 추천사 역시 주목할 만하다. 책에 담긴 수많은 몰입 체험담은 독자들에게 달리기 혹은 몰입을 하고야 말겠다는 결심을 하게 만들 것이다.
“이 책의 목표는 여러분이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달리기와 몰입을 향한 열정에서 시작한 책이지만, 그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일상생활에 더 많이 몰입할수록 일과 대인관계, 취미에
더 깊이 참여하고픈 의욕이 생길 것이다.
열정을 쏟을 만한 일을 찾아라. 진심을 다해 살아라.
달리고, 몰입하고, 행복하라!”
2. 추천사
자신의 시간과 에너지를 중요한 한 가지에 쏟아붓는 것이 몰입이다. 이때 평소 숨어 있던 능력의 날개를 마음껏 펼치게 된다. 몰입 현상을 연구한 수백 명의 학자들의 결론은 “자주 몰입하는 사람일수록 더 많이 행복하고 더 큰 성취감을 느끼면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달리기 중에 몰입을 체험한 사람들의 생생한 증언이 담겨 있어 읽는 것만으로도 전염이 되어 몰입하고 싶은 충동이 생긴다. 몰입을 보다 잘 경험하기 위해서는 몰입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적절한 연습을 해야 한다. 이 책은 이를 위한 소중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_황농문 《몰입》 저자, 서울대학교 교수
머릿속이 복잡할 때는 운동화를 신고 뛰쳐나간다. 칙칙폭폭 호흡에 집중하는 동안 현실의 걱정거리는 저만큼 멀어진다. 내 몸의 리듬에만 오롯이 정신을 맡기는 시간. 달릴 때 생긴 긍정적인 에너지는 금세 사라지지 않고 꽤 오래 유지된다. 온몸으로 심장 박동을 느끼고 뻐근한 종아리의 고통을 즐긴다. 동네를 달리고 마라톤을 뛰면서 만끽해온 달리기의 마법, 이 책은 그것을 ‘몰입’이라고 부른다. 이 강력한 몰입의 경험이 일과 삶에서도 발휘된다는데, 어찌 달리지 않을 수 있을까!
_이영미 《마녀체력》 저자, 마라토너
몰입은 자꾸 할수록 더 쉽게 하게 되고, 잘하게 되고, 행복해진다. 《달리기, 몰입의 즐거움》에는 달리기와 몰입뿐만 아니라, 심리와 마음과 뇌의 작동 방식 들이 담겨 있다. 몰입 매뉴얼이면서 달리기를 위한 안내서, 충만한 삶을 위한 지침서 역할도 한다. 읽다 보면 지금 당장 책장을 덮고 밖으로 나가 달려야만 할 것 같은 압박이 느껴진다. 뭐 어떠랴, 읽기를 그만두고 달리기에 전념할 수만 있다면, 완독이 대수겠는가.
_김병수 《감정은 언제나 옳다》 저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달리기를 통해 몰입을 경험한 사람들은 다시 몰입이 찾아오기를 바란다.
이 매혹적인 책은 당신에게 그 방법을 알려줄 것이다.
_〈러너스 월드(Runner’s world)〉 서평
몰입(flow)은 달리기가 어째서 즐겁고 만족스러운지를 설명하는 가장 좋은 예이다. 개인적으로 몰입을 경험한 이 책의 저자들은 몰입할 수 있는 법, 몰입으로 인해 모든 성과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독자들에게 명확히 설명한다.
_〈러닝 타임스(Running Times)〉 서평
구매가격 : 12,600 원
도시는 만남과 시간으로 태어난다 매일이 행복해지는 도시 만들기 다음세대를생각하는인문교양시리즈 아우름38
도서정보 : 최민아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 소개
“다음 세대에 전하고 싶은 한 가지는 무엇입니까?”
다음 세대가 묻다
“도시공간이 달라지면 우리의 생활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최민아가 답하다
“좋은 도시공간은 사람이 모이게 하는 응집력과 매력을 지닙니다.
이곳에서 포용력 있는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는 한 걸음 나아가며,
더불어 사는 풍요로운 삶을 익히게 됩니다.”
각계 명사에게 ‘다음 세대에 꼭 전하고 싶은 한 가지’가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담는 인문교양 시리즈 ‘아우름’의 서른아홉 번째 주제는 ‘매일이 행복해지는 도시공간’이다.
우리는 왜 다른 나라의 도시로 여행을 떠나고 싶어 할까? 이 질문에 다양한 대답이 나올 수 있겠지만, 이 책의 저자이자 도시계획가 최민아는 도시에는 한 사회의 발달한 역사와 문화가 응축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답한다. 도시는 단순히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기 위한 공간이 아니며,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모아 놓은 곳도 아니다. 우리가 아무 생각 없이 스쳐 다니는 도시공간에는 오래된 역사와 이야기가 담겨 있기 때문에, 켜켜이 쌓여온 시간을 앞으로 어떻게 가꾸어갈 것인가가 중요하다. 그야말로 도시는 인간, 그리고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는 거대한 그릇인 셈이다.
그렇다면 도시라는 거대한 그릇은 어떻게 해야 오랫동안 아끼고 잘 사용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서울, 부산, 대구 같은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와 뉴욕, 시애틀, 파리, 바르셀로나, 포르투 등 전 세계 유명 도시들의 사례를 ‘시간과 기억/길/만남/앞으로의 도시’라는 네 가지 주제로 나누어 살펴보고, 우리의 매일을 행복하게 만드는 매력적인 도시의 비밀을 파헤쳐본다. 오래된 도시 속 구불구불한 골목길에 담긴 재미있는 에피소드, 사람들이 스쳐지나가는 거리와 머무는 거리의 차이점, 편리함과 편안함의 관계 등 다양한 시각에서 도시공간을 읽다 보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도시의 풍경이 더 생생히 다가올 수밖에 없다.
도시의 역사는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한다. 사람 사이의 교류를 통해 발전하다 보니, 사람들이 도시에 모여들수록 작은 길, 오래된 건물은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커다란 역사책이 되었다. 독자들은 어제와 오늘의 도시 이야기 속에 숨어 있는 내일의 행복에 대한 힌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도시공간이 바뀌면 우리의 삶도 크게 변한다!
도시계획가와 함께 걷는 도시 산책
지금 내가 살고 있는 도시는 좋은 도시일까?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불과 30~40년 만에 서울은 인구 1,000만 명에 육박하는 거대도시가 되었고, 좁디좁은 땅에는 하늘에 닿을 듯 높이 세운 건물이 빼곡히 늘어섰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 사이의 거리는 이전보다 훨씬 멀어진 듯하다. 과연 이런 모습이 우리의 미래일까?
“공간을 만듦으로써 우리는 지금의 우리와는 전혀 다른 것이 된다.”는 리처드 세라의 말처럼,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이 우리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훨씬 크다. 도시계획자인 저자는 도시가 지닌 힘의 비밀은 바로 ‘시간’과 ‘만남’이라 말한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우리 도시 가운데 변하지 않은 공간은 어떤 힘을 가지고 있는지, 또 사람들이 저절로 모이는 공간에는 어떤 매력이 숨어 있는지, 파리의 샹젤리제 거리와 세종대로, 생 쥐느비에브 도서관과 정독도서관, 포르투의 상벤투역과 서울역, 아부다비의 루브르 박물관과 파리의 루부르 박물관,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송도의 스마트 도시 기술 등을 비교해가며, 앞으로 우리 도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톺아본다.
저자 최민아는 자신의 눈에 담긴 여러 도시의 풍경을 사진을 통해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달하려 노력했다. 저자가 담아온 세계 여러 도시를 풍경과 함께 도시공간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수백 년 동안 쌓여온 이야기를 발견하는 놀라움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지금 소중하게 아끼고 다듬는 작은 도시공간들은 다음 세대로 전해져, 더욱 흥미진진하고 풍부한 이야기로 채색될 것이다. 수백 년간 이어진 긴 이야기책의 다음 장을 쓰는 것은 바로 지금의 우리이다.
구매가격 : 8,400 원
안아주는 정원 가든 디자이너 오경아가 정원에서 살아가는 법
도서정보 : 오경아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 소개
정원에 스미는 순간마다 피어나는 따뜻한 위로
소탈한 정원생활자, 오경아가 풀어내는 그린 에세이
“온갖 위험과 불안에서 벗어나 쉬고 싶을 때 나는 집이 아니라 정원에 간다.
그곳에 가면 자연의 너른 품 안에서 보호받는 듯 편안한 느낌이 들고,
온갖 풀과 꽃이 친구가 되어준다.”
_엘리자베스 폰 아님 Elizabeth von Arnim, 1898년
오늘은 정원에서 잠시 멈춤
소박한 정원생활자, 오경아가 정원에서 찾은 느슨한 생활
우리에겐 도망칠 곳이 필요하다. 오늘도 무심하게 상처 주는 사람들으로부터, 기대와 열망만큼 자신을 넘어뜨리는 좌절로부터, 잠시나마 몸을 감추고 숨을 돌릴 장소가 필요하다. 한때 전국을 휩쓴 아웃도어 열풍도 그저 우연은 아닐 것이다. 꽃과 나무와 초록을 만나고, 싱그러운 공기와 바람을 몸으로 느끼고, 정원이나 산길을 거닐기만 해도 다시 살아갈 힘이 채워진다. 15년 전, 방송 작가 오경아에게 작은 텃밭 역시 그런 공간이었다.
이 책은 가든 디자이너 오경아가 영국에서 유학 생활을 마치고 돌아와 속초 생활을 시작한 2014년부터 쓰기 시작한 글을 모은 것이다. 막 유학을 마치고 다녀왔던 영국의 서북쪽 레이크 디스트릭트 여행기 《낯선 정원에서 엄마를 만나다》 이후 7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그간 국내외 다양한 정원 풍경과 식물의 세계를 소개했다면, 실로 오랜만에 내밀한 이야기로 독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속초에서 정원을 가꾸며 식물로부터 얻은 위로와 치유의 순간들, 식물의 생존 전략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우리 삶의 지혜와 태도, 그리고 가드닝의 다양한 정보까지 담아냈다.
그녀는 긴 유학 생활 덕분에 한국에 오자마자 추운 겨울, 창고를 빌려 텐트를 치고 자는 생활을 하면서도 마음 깊숙이는 늘 봄을 꿈꾸었다. 150년 된 한옥집을 수리하고 축사만 덩그러니 놓여 있던 마당을 정원으로 바꾸고, 고향도 아닌 속초에 자리를 잡으면서 이제야 삶의 뿌리도 확실히 단단해짐을 느낀다. 가든 디자이너 오경아가 꿈꾼 것은 정원 그 자체가 아니다. 정원을 가꾸며 스스로를 돌보았던 충만한 시간들, 식물의 삶의 태도를 관찰하고 이해함으로써 변화된 일상의 기쁨을 사람들과 나누고 싶을 뿐이다.
숲과 정원을 부지런히 공부하고 일하고 전하는 가든 디자이너 오경아. 그녀는 말한다. “자연은 우리 곳곳에 삶의 힌트를 숨겨놓았다”고. 그러니 “지금 당신의 몸이, 마음이 아프다면 우리의 삶의 방향을 되돌아볼 때”다.
“가끔 내게 가든 디자인 분야의 전망이 밝은지 묻는 분도 있다. 6년간 열심히 공부했고, 그걸 찾으려고 했지만 아직 모르겠고, 어쩌면 영원히 그 답을 못 찾을 것도 같다. 그러나 그 어떤 일보다 이 일을 즐길 수 있을 듯하다. 적어도 정원에서라면 나의 늙어감이 서럽거나, 무섭지 않을 것 같아서.”
단순하지만 가장 확실한
정원 일의 즐거움
도시 생활을 접고 막상 시골 생활을 시작하자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속초까지 출퇴근하는 거리는 감수하더라도 한여름 휴가철에는 관광객들과 섞여 집과 일터를 오가야 했다. 신속함이 떨어지다 보니 일에도 지장을 주었고 급하게 잡힌 일정은 펑크 나기 십상이었다. 매일 저녁 불을 때야 하는 아궁이는 여간 귀찮은 게 아니었다. 하지만 굴뚝에 연기가 솟아오를 때면 마치 집이 숨 쉬는 것처럼 보이고 바쁜 일상에서도 잠시 숨을 고를 수 있었다. 앉았다 일어서기를 반복하고 허리를 굽혔다 펴는 정원 일은 움직이지 않던 근육을 쓰게 만들었다. 붉은 설악의 가을이 거실까지 찾아올 때는 지나가는 가을이 아까웠고, 사계절의 날씨를 자연스럽게 느끼는 것이야 말로 몸이 건강해지는 것임을 알아 갔다.
최근 영국에서는 공식적으로 진통제 대신 ‘일주일에 두 번 공원 걷기’, ‘일주일에 세 번 정원 일하기’ 등을 처방할 수 있게 됐다. 굳이 정원 일까지 하지 않더라도 정원이나 숲 혹은 식물을 보는 것만으로도 몸의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식물이 가득한 숲속이나 산길을 걸을 때 우리 몸에는 회복의 에너지가 생겨난다. “정확히 자연이 나에게 뭘 해주는지는 모르겠다. 다만 마음이 편해지고 분노가 가라앉는다. 도시냐 시골이냐 하는 ‘덧셈 뺄셈’은 사라지고, 이렇게 살아도 된다는 확신이 든다.”
아직도 사람들은 ‘정원’이라고 하면 수형이 멋진 나무 몇 그루를 심고 잔디를 깔아 깨끗하게 정리된 풍경을 떠올린다. 하지만 그런 정원에서는 “덩굴장미가 담장을 타오르고, 붓처럼 말아진 붓꽃이 어느 순간 펑 하고 꽃을 펼쳐내고, 꽃대가 휘어질 정도로 큰 꽃을 피우는 달리아를 즐길 수는 없다. 내 손으로 직접 기른 토마토를 따서 식탁에 올리고, 한 해 동안 잘 키운 콩꼬투리에서 빼낸 콩으로 밥을 짓는 기쁨도 없다.” 작은 식물이라도 “연약한 싹이 온 힘을 다해 무거운 흙을 들어 올리고, 1년에 딱 한 번 꽃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큰 노력을 하고 있는지, 꽃이 핀 뒤 나비와 벌들이 날아와 어떻게 아름다운 공생을 하는지, 그리고 꽃잎을 바짝 말려 한 알의 씨앗을 맺기 위해 얼마나 애를 쓰는지 그 치열한 삶의 현장”을 지켜봐야 진정한 정원 일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다.
우선 베란다에 작은 텃밭이나 창가나 테이블 위에 작은 화분이라도, 일상에 초록을 들여놓자. 생명을 돌보는 일은 자연스럽게 우리의 몸과 일상도 돌보게 된다. 식물은 우리 삶의 가장자리까지 건강하게 만들 것이다.
젊은 날의 몸살을 위로하는
식물적 삶
모든 나무는 저마다의 시련을 끌어안고 산다. “태풍에 상처를 입어 가지의 반을 잃어버린 나무, 더덕더덕 옹이를 끌어안고 있는 나무, 기울어져 어쩔 수 없이 뒤틀린 나무……. 어떤 나무도 성한 데가 없이 온통 상처투성이란 걸 금방 알게 된다.” 나무는 가지가 병들거나 손상을 입으면 스스로 가지를 잘라낸다. 잘려나간 자리에 생기는 것이 바로 ‘옹이’. 사실상 인간이 개발한 가지치기의 방법은 식물의 노하우를 그대로 전수받은 것에 지나지 않는다. 옹이가 딱딱해지는 이유는 상처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병충해에 노출되거나 비바람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밀봉’하기 위해서다. 옹이 주변의 나이테가 유난히 뒤틀리고 불규칙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옹이가 잘 형성됐다는 건 완전히 치유됐다는 걸 의미한다.
저자가 정원을 돌보며 깨달은 진실 하나는 누구나 ‘시간’이라는 필터로 제 삶을 통과하며, 그 과정에서 수많은 상처와 치유의 과정을 거치며 노화된다는 것이다. 상처는 흔적을 남기고 우리는 그것을 딛고 성장한다. “오래된 나무는 단지 수형이 멋있어서가 아니라 수백 년의 세월을 묵묵히 이겨내고 살아가는 그 생명에 대한 존경심 때문이다. 오래된 나무는 그 껍질과 나뭇가지에 수많은 상처와 주름을 지니고 있다. 그게 살아온 흔적이고 멋진 훈장”인 것이다. 여린(어린) 것은 상처받기 쉽다. 젊은 날의 몸은 부드럽고 유연하지만, 그만큼 쉽게 상처 입는다. 하지만 여린 것이 이렇게 부드러운 것은 성장을 위해서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더 자라기 위해.
저자 오경아에게도 해마다 되살아나는 아픈 상처가 있다. “시간이 잘 흘러가주었고, 이제 잘 아물어 딱딱하게 굳어졌다고 생각하는데도 이때가 되면 마음이 먹먹해지고 조금씩 저린다. 하지만 이제는 그게 내 마음에 생긴 옹이라는 것을 잘 안다. 작년 태풍에 쓰러져 죽은 줄 알았던 나무들도 잔가지를 끊어내고 올해 다시 잘 살아내듯” 앞으로 그녀의 삶도 그럴 것이라 믿는다.
딱딱한 옹이로 가득한 인생은 결국 중력의 힘을 이겨내고 더 깊게 뿌리내릴 것이다. 오래된 나무의 약속처럼.
구매가격 : 9,450 원
좋아하는 마을에 볼일이 있습니다 무심한 소설가의 여행법
도서정보 : 가쿠타 미쓰요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 소개
나오키상 수상자, 가쿠타 미쓰요의 국내 첫 여행 에세이 출간!
무심한 소설가의 서툰 여행법
‘낯선 곳에서 발견하는 내 삶의 조각들’
뛰어난 소설가이자 에세이스트, 가쿠타 미쓰요의 여행 에세이가 국내 첫 출간되었다. 잡지
모름지기 여행자라면 호기심이나 모험심이 가득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탐미하는 사람이라 여겨질 것이나, 그녀는 스스로 “유별나게 겁이 많은” 사람이라 “낯선 나라로 여행을 가겠다고 스스로 계획했음에도 여행 날짜가 다가오면 우울해”지곤 한다고 고백한다. 그런 그녀가 “30년 가까이 여행을 하며 알게 된 것이라면 ‘여행의 참된 즐거움’은 여행을 하지 않았다면 절대로 만날 수 없었을 사람과 아주 짧은 순간이라도 대화를 나누거나 말로는 전달할 수 없는 무언가를 서로 교감하는 데 있다”고 말한다. 여행이 아무리 편리해지고, 구글 지도가 세상의 ‘미지’를 사라지게 만든다고 해도 그런 반짝이는 순간은 그녀 안에서 사라지지 않고 계속 함께할 것이다.
그녀의 여행은, 이를테면 타국의 버스 안에서 만난 이들과 보낸 몇 시간을 통해 인생 곳곳에 놓인 ‘환승장’에서 타고 내린 인연의 순간들을 떠올리거나, 평범한 도시의 일상에서 느낀 뜻밖의 외로움을 통해 사람이 ‘몸을 붙여’ 살고 있는 공간에 대해 실감하는 일이다. 작가는 여행의 모든 순간을 통해 일상의 흩어진 조각을 맞춰 인생의 의미를 그려낸다. 낯선 길에 동행하는 크고 작은 삶의 의미, 소중한 인연의 순간, 우리가 직면하고 받아들여야 하는 삶의 과제들. 이 모든 것이 여행길에도 그리고 우리의 인생길에도 만나게 것임을. 가쿠타 미쓰요의 독특한 시각에서 보는 멋진 통찰이 글의 곳곳에 배어있어 독자들에게 충분한 울림을 줄 것이다.
낯선 여행에서 발견하는 인연의 의미
가난했던 젊은 날의 여행을 그리워하며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 작가는 열차를 갈아타며 파리로 향했고 가네코 미츠하루(金子光晴) 시인은 배를 타고 상하이로 떠났다.” 가쿠타 미쓰요는 때때로 옛날 여행을 동경해마지 않는다. 휴대전화와 무선 인터넷만 있다면 어디든 못 갈 곳 없는 지금의 여행. 단순하고 소박하며 때때로 촌스럽기까지 한 ‘미지의 여행’은 이제 사라졌다. 두근두근 바들바들하며 주변을 살피고 발걸음을 옮기며, 불편함을 견디는 여행은 이제 두 번 다시 할 수 없으리라. 그녀는 가진 것이라곤 시간뿐이던 가난한 젊은 날의 서툰 여행을 떠올린다. 그녀는 여행을 다닌 지 20년이 지나서야 자신이 얼마나 여행에 서툰 사람인지 깨달았다. 오래된 여행자는 있어도 능숙한 여행자는 없는 법.
“모두 그렇게 필요 이상으로 시간을 들여 헤매면서 혼자 여행을 하는 것이겠거니 했다. 내게 가이드북은 일단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도를 제대로 보지도 못하거니와, 곤란한 상황이 되면 나의 뇌는 제멋대로 갑자기 멈춰버리기에 어떤 문장이나 시간표도 눈에 들어오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의지할 것은 사람밖에 없다. 그런 이유로 나는 20여 년 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행지에서 그야말로 무수의 낯선 사람에게 마구잡이로 말을 걸었다. 무작정 무엇이든 물어본다. 조금 과장하자면, 어떤 여행이든 무사히 돌아와 지금 내가 이곳에서 일하고 있는 것도 모두 여행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도움 덕분이라고 생각한다.”(17쪽)
‘진화된 여행’이 못내 아쉬운 것은 그저 아날로그적인 여행에 대한 향수라고만은 할 수 없을 것이다. 가쿠나 미쓰요가 여행에서 경험하는 가장 소중한 순간은 바로 사소한 인연들이다. 뜻밖의 만남 속에서 발견하는 타인과의 교감, 그 무해함 속에서 확인하는 안전함, 그리고 내가 이 낯선 세계와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 같은 것.
그녀는 일본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주변을 두리번거리거나 허둥댄다면 자신에게 물어봐주길 바란다. 여행의 빚을 조금이나 갚고 싶다는 생각에. 하지만 먼저 “도와줄까요?”라고 물어보지는 못하고 그저 속으로 바랄 뿐이다. 마치 “출전 없는 선수”처럼. 가쿠타 미쓰요는 서툴게 여행한 덕분에 낯선 이들의 크고 작은 친절이 쌓여 진짜 여행의 지도를 완성해왔다고 믿는다.
또한 타인과의 교감은 여행의 경험을 더욱 확장시키기도 한다. 이 책에서 여러 번 등장하는 태국의 타오섬(Ko Tao)에서 그녀는 잊지 못할 자연의 광경을 목격한다. “보지 말아야 할 무언가를 보는 듯한” 느낌, 지금껏 누구에게도 들키지 않았던 이 세상의 어떤 비밀 같은 것을 마주한 것 같은 기분이 들 정도였다. 그러나 그 순간이 정말 멋졌던 것은, 그 내밀한 순간에 누군가가 있었다는 것. 내가 발견한 믿을 수 없는 어떤 것에 함께 공감할 누군가가 있다는 것이다. 그런 내적 체험을 나누는 일은 얼마나 감동적인가. 어쩌면 저자가 말하는 인연은, 우연히 어떤 물체들이 부딪혀 일으키는 작은 불꽃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나의 의지와 상관없이 관계”하게 되는 사람들, 그 속에서 일어나는 의외의 순간에 자신을 내맡기는 것. 그것이 인생의 인연을 받아들이는 여행자의 면모일 것이다.
가쿠타 미쓰요가 발견한 여행의 표정들
가쿠타 미쓰요가 여행하고 싶은 곳을 꼽으라면 언제나 ‘새로운 곳’이다. 그러다 십몇 년 만에 미얀마를 다시 찾았다. ‘아무것도 없다’는 수식어가 딱 맞는 마을. 오래전에 다녀온 곳이긴 했지만, 완전히 다른 모습을 하고 있었다. 심지어 전혀 본 적도 없다고 느꼈다. “마을 전체를 감싸는 사람들의 활기가 16년 전과 전혀 다른 마을의 모습을 만들고” 있었다. 붐비는 노점상 구석에서 산더미처럼 쌓인 접시를 설거지하는 이들의 얼굴에서, 아침 일찍 가게를 청소하는 식당의 젊은 청년들의 어깨에서는 가벼운 흥이 느껴졌다. 인파로 가득한 노점상 골목을 빠져가는 사람들의 표정도 어딘가 짜증스럽지 않다. 더없이 활기차게 느껴지는 기운. 아웅 산 수지 여사는 2015년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저자는 그것이 희망의 증거라고 읽어냈다. 지나가는 사람들, 모든 거리의 풍경에는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스며있다.
사람이 나이 들고 성장하듯 도시도 마찬가지다. 위험하다는 ‘경험적 편견’을 가졌던 스페인은 치안 문제를 해결하고, 밤 11시에도 사람들이 아무렇지 않게 어깨를 부딪치며 술을 마신다. 투명한 바다와 사람을 잘 따르는 개들로 가득했던 타오섬에는 편의점과 레스토랑이 생겨났고 방갈로에서 촛불을 켜고 지냈던 시간은 그녀의 기억 속에만 남아있다. 안타깝게도 바다는 투명함을 잃어버렸지만 말이다. 반면 와인 생산지로 유명한 보르도의 마을 둘레를 감싸는 큰 강은 도시의 ‘유속’에 저항하듯 사람들 사이를 유유히 흐르며 고요한 정서를 자아냈다. 북적이는 인파 속에서도, 시장의 한복판에서도 차분함이 느껴졌다. 소음을 걷어낸 도시의 민낯은 이 얼마나 매력적인가.
작가로서 그리고 여행자로서 살아온 가쿠타 미쓰요. 그녀는 취재차 떠난 여행지에서 문득 젊은 시절의 자신을 발견하곤 한다. “휘둥그레진 눈으로 포장마차 거리 속을 헤집고 들어가는 내 모습, 택시나 툭툭을 타면 바가지를 쓸까 봐 그저 걸어 다니기 바빴던 내 모습, 길에서 버스 노선도를 필사적으로 해독하고 있는 내 모습이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그녀는 여전히 서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낯선 길에서 헤매길 주저하지 않는다. 여행길에서 만나는 짧고 긴 인연을 이어가기 위해. 무엇보다 “좋아하는 마을에 볼일이 있”다는 기분 좋은 사실 때문에.
일본 아마존
★★★★★ 여행지에 데려가 읽고 싶은 책!
★★★★★ 쉽고 편안하게 이끌어가는 필치의 맛. 오래 곁에 두고 싶은 책.
구매가격 : 9,660 원
클레멘티나는 빨간색을 좋아해
도서정보 : 글쓴이 크리스티나 보글라르 그린이 보흐단 부텐코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책 소개
폴란드 ‘스마일 훈장(Order U?miechu)' 수상작!
아동 문학계 두 거장이 쓰고 그린 ‘완벽한 여름 동화’
폴란드 두 거장이 함께한 ‘완벽한 여름 동화’가 찾아왔다. 폴란드 어린이들에게 오랜 시간 여름방학 읽기물로 사랑받아 온 고전 동화《클레멘티나는 빨간색을 좋아해》가 국내 출간됐다. 글을 쓴 크리스티나 보글라르는 이 책으로 폴란드의 권위 있는 문학상인 ‘스마일 훈장(Order U?miechu)’을 수상한 작가이고, 그림을 그린 보흐단 부텐코는 전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화가다.
《클레멘티나는 빨간색을 좋아해》는 휴대전화도, SNS도 없던 시절 한여름 밤에 벌어진 아이들의 모험담을 그렸다. ‘휴양지’의 작은 마을에서 여름방학을 보내던 아이들이 어느 날 숲속에서 사라진 클레멘티나를 찾아 나서며 이야기는 시작된다. 가장 먼저 숲으로 출발한 건 클레멘티나의 실종을 처음 접한 마렉, 아시아, 찐빵이 삼 남매다. 이어 이웃집 볼렉, 올렉 형제가 그 뒤를 따르고, 경찰관인 아버지의 실종 접수 통화를 엿들은 톨렉도 나 홀로 수색 작전에 나선다. 하지만 야심찬 계획과 달리 세 팀 모두 깊은 어둠 속에서 예기치 못한 폭풍우와 맞닥뜨리며 위기에 빠지고, 시간이 흐를수록 실종자의 수는 늘어만 간다. 과연 아이들은 클레멘티나를 찾을 수 있을까?
이 책은 폭풍우가 내리치는 무섭지만 환상적인 한밤중 숲속의 광경, 빨간색을 좋아한다고 알려진 클레멘티나의 정체에 대한 단서와 복선, 저마다의 이유로 클레멘티나를 찾아 나선 아이들의 행적과 사건이 촘촘하게 얽히고설키며 독자들을 순식간에 빠져들게 만든다. 추리 소설을 읽는 듯한 긴장감과 궁금증을 불러일으킨다. 클레멘티나를 찾기까지의 이 한밤의 소동은, 유럽 아동청소년 문학 전문 사이트 《리코쉐(Ricochet)》의 리뷰처럼 흡사 “아찔한 춤을 보는 것 같다”.
★ ‘책의 건축가’ 보흐단 부텐코가 완성한 빨강의 예술 작품
폴란드 ‘전설의 거장’ 보흐단 부텐코는 책을 만드는 것이 하나의 완벽한 예술 작품을 만들어 낸다고 믿었다. 그가 ‘책의 건축가’라고 불리는 이유이기도 한다. 부텐코는 책을 만드는 과정을 스웨터를 뜨는 과정에 비교하며 “책은 스웨터처럼 만들어야 한다. 풀어지지 않도록 떠 나가야 한다.”는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 《클레멘티나는 빨간색을 좋아해》는 그가 완성한 훌륭한 예술 작품 중에서도 유독 눈에 띄는 책이다.
부텐코는 아이들이 그린 그림처럼 최대한 단순하게 그리는 스타일을 추구한다. 배경도, 디테일도 생략한 채 2차원의 구도 안에서 최대한 캐릭터에 집중한다. 부텐코는 화가로 명성을 얻은 뒤에도 어렸을 때 공책에 남긴 낙서를 책 속에 넣기도 했다.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어린이들이 즐기는 미감과 유머 감각을 화풍에 반영한 것. 몇 세대에 걸쳐 사랑받는 부텐코의 작품을 만나는 것은 이 책의 커다란 미덕이다.
★ ‘폭풍우 사전’을 방불케 하는 비와 바람에 대한 다양하고 섬세한 묘사
이토록 섬세하고 다양하게 폭풍우를 묘사한 어린이 책이 있을까. 《클레멘티나는 빨간색을 좋아해》의 또 하나의 매력은 ‘폭풍우 사전’이라 불러도 좋을 만큼 풍부하고 자세하게 비와 바람을 보여 준다는 데 있다. ‘광활한 숲속’에 찾아온 ‘깜깜하고 고요한 어둠’, 어디선가 들려오는 ‘수상쩍은 바스락거림’과 ‘가르랑대는 소리’, 갑자기 ‘사정없이 후려치는 빗줄기’와 ‘날카로운 섬광’, ‘번개 불빛과 천둥의 굉음’ 등 생생한 표현을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낯선 숲 한가운데서 ‘사나운 돌풍’을 마주한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다. 이처럼 살아 있는 상황 묘사는 독자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한편, 문학을 읽는 즐거움까지 선사할 것이다.
★ 책장을 넘기던 손을 얼어붙게 만드는 클레멘티나의 정체
이 책의 주인공들은 실종된 클레멘티나를 찾기 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사실 독자가 눈여겨봐야 할 것은 따로 있다. 바로 아이들이 이토록 애타게 찾아 헤매는 클레멘티나의 정체가 대체 무엇인가 하는 점이다. 책에서는 마렉 삼 남매, 볼렉 형제, 톨렉, 심지어 실종 신고를 접수한 경찰관까지 등장인물 모두가 클레멘티나를 어린 여자아이로 알고 수색을 펼치는 상황이 펼쳐진다. 하지만 눈치 빠른 독자라면 여러 정황과 단서를 통해 클레멘티나의 정체를 의심하게 될 것이다. 작가는 이에 화답하듯 깜짝 놀랄 만한 반전을 책 말미에 숨겨 두고 있다. 마지막까지 클레멘티나의 정체를 추적하고 의심하기를 반복하던 독자들은 진짜 클레멘티나와 마주하고, 얼어붙고 말 것이다. “네가 왜 거기서 나와?”라는 말이 나오게 되는 클레멘티나의 반전 정체를 만나 보자!
● 미디어 리뷰
“독자들은 이 흥미롭고 독특한 이야기에서 클레멘티나를 알아내고자 빠져들 것이다.”
_《스쿨 라이브러리 저널(School Library Journal)》
“유머와 놀라움으로 가득 찬 여름 방학 모험극.” _《포워드 리뷰스(Foreword Reviews)》
“아찔한 춤을 보는 것 같다.” _《리코쉐(Ricochet)》
● 줄거리
사라진 클레멘티나를 찾기 위해 숲속으로 간 아이들
단서는 하나, 그 애가 빨간색을 좋아한다는 사실!
마렉, 아시아, 찐빵이의 여름 방학이 끝나간다. 삼 남매는 휴양지에서 방학을 보냈지만, 학교에 돌아가 자랑할 만한 일이 없어 아쉽기만 하다. 그러던 어느 날 숲에서 사라진 ‘클레멘티나’ 때문에 울고 있는 여자아이를 발견한다. 아이가 말해 준 단서는 하나, 클레멘티나가 빨간색을 좋아한다는 사실! 신나는 모험이 될 거라 생각한 삼 남매는 클레멘티나를 찾아 주기로 하고 몰래 집을 빠져나온다. 하지만 이웃집 볼렉, 올렉 형제가 이를 눈치채고 삼 남매 모르게 뒤를 따른다. 그 시각, 한밤중의 실종 신고를 접수한 경찰관도 숲으로 향하는데……. 어째서 실종자가 클레멘티나 하나에서 점점 더 늘어만 갈까? 휘몰아치는 폭풍우 속에서 요란한 모험이 시작된다.
"
구매가격 : 9,800 원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
도서정보 : 김대식 | 2019-06-2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서평
“제국의 시계는 아직 멈추지 않았다!”
우리는 아직도 2000년 전 로마 제국이 창조한 세상에 살고 있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왜 아직도 고대 로마를 이야기할까? 오늘날 전 세계의 헤게모니는 누가, 언제 쟁취했는가? 우리가 입고 있는 옷을 비롯해 생활공간에서 기술과 정치 체제까지, 일상을 둘러싼 대부분은 서양에서 기인한 것으로, 로마 제국은 유럽 문화의 전신이자 오늘날까지 전 인류의 지배자로 군림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그 거대한 역사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는 KAIST 김대식 교수가 인문?과학?예술 학교 건명원(建明苑)에서 진행한 강의를 한 권에 담은 책이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들고 과학?예술?건축?대중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마의 흔적을 발견하는 등, 융합적 지식인으로서의 지평을 넓히는 문제작이다. 이처럼 새로운 시각과 다양한 관점으로 로마 제국의 탄생과 멸망 그리고 유산을 분석하고 오늘날에 필요한 혜안을 발견한다.
어떻게 2000년 전 로마 제국이 재편한 전 세계의 패권이 아직까지 유지될 수 있었을까? 30만 년 전 지구에 등장한 호모 사피엔스의 뇌는 그동안 단 한 번도 리모델링되지 않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말한다. 인간이 역사 속에서 늘 같은 실수를 반복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불평등의 심화, 포퓰리즘 정치, 지배 시스템의 위기… 로마를 멸망케 한 원인은 수없이 많지만, 그중에서도 오늘날 세계의 모습과 놀랍도록 닮은 지점들을 예리하게 분석한다.
역사상 가장 높은 수준의 부와 과학적 혁신에 심취한 21세기, 우리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답은 모두 로마에 있다. 인류의 오늘과 내일을 설명하기 위한 ‘먼 거울(distant mirror)’, 로마 제국의 역사를 통해 독자들은 인류 문명의 현주소를 돌아보고, 미래를 대비하는 힘을 기를 수 있다.
우리의 문명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
‘오래된 미래’ 로마에서 답을 찾다!
총 4부로 구성된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는 로마가 인류 문명의 ‘기원’이 된 족적을 좇는 것을 시작으로, 위대했던 제국이 ‘멸망’하면서 우리에게 어떤 인사이트를 남겼는지 그리고 로마의 흔적은 오늘날까지 어떻게 ‘복원’ 되었는지, 마지막으로 우리에게 어떤 ‘유산’을 남기는지를 살펴본다.
1부 ‘기원-어떻게 로마는 세상을 정복했는가’에서는 30만 년 전 호모 사피엔스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탄생한 이후부터 로마 제국이 탄생하기까지 역사의 중요한 지점들을 짚어내며, 로마가 처음부터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섰기 때문에 강력한 제국으로 발전하고, 수천 년이 지난 오늘날까지 유럽을 넘어 전 세계 헤게모니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한다. 또한 문명이란 결코 홀로 존재할 수 없음을 강조한다.
2부 ‘멸망-왜 위대한 로마 제국은 무너졌는가’에서는 찬란했던 로마의 영광이 어떻게 사그라들었는지를 분석한다. 전쟁에서의 계속된 패배, 황제의 급속한 교체, 국가 재정의 파탄…. 3세기 로마는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닥뜨린다. 탄생할 때 이미 멸망의 씨앗을 안고 태어난 로마 제국의 비밀을 통해 시대의 거대한 흐름과 이에 맞서는 인간의 한계를 되짚어본다.
팍스 로마나, 팍스 브리타니카, 팍스 아메리카나…
역사의 다음 페이지를 장식할 자는 누구인가?
영원할 것만 같던 제국이 멸망했듯, 우리가 사는 세상 역시 멸망할 수 있다면? 그러나 아직 희망은 있다. 저자는 우리 스스로 역사를 바로잡을 수 있는 시간이 남아 있다고 말한다.
3부 ‘복원-무엇이 로마의 역사를 이어지게 하는가’에서는 멸망 이후 결코 사라지지 않은 로마의 흔적을 추적한다. 문명은 ‘운명의 바퀴’에서 벗어나 다시 미래를 향해 내딛기 시작한다. 유럽은 신과 종교에서 벗어나 평범한 일상 속의 인간에 주목한다. 15세기 유럽은 로마의 지식, 인쇄 기술,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으로 다시 한번 도약할 수 있는 행운을 부여받는다.
4부 ‘유산-누가 로마 다음의 역사를 쓸 것인가’를 통해 ‘세상은 발전하는 방향으로만 흘러가지 않는다’는 진리를 발견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놀랄 만한 혁신을 이룬 오늘날, 우리의 세계는 여전히 중세기의 전쟁을 치르고, 가속화되는 세계화의 물결 속에 자유민주주의는 위기에 처하는 등 전 세계는 멸망한 제국의 형상을 닮아가고 있다.
『그들은 어떻게 세상의 중심이 되었는가』는 과거로부터 출발해 현재를 진단하고 나아가 미래를 예측한다. 저자는 영국과 미국이 이어간 로마의 영광이 사그라든 뒤 4차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팍스 시니카의 시대가 도래할 수 있다고 말한다. 물론 아무도 미래를 알 수 없다. 하지만 전 세계의 패권이 요동치고 있는 지금, 우리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역사를 알아야 한다. 로마는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았고 영원한 제국은 없으며, 역사는 언제나 반복된다. 우리가 제국의 역사를 통해 미래를 대비해야 하는 이유다.
구매가격 : 17,600 원
백범의 길 상
도서정보 : 김광재 도진순 윤은자 이종수 이혜린 | 2019-08-2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광활한 중국 대륙에 퍼진 김구의 굳센 기개
오직 독립만을 위한 임시정부의 험난한 노정
2019년 백범 김구 선생 서거 70주기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3·1운동 100주년 기념
한국과 중국의 역사 전문가가 생생하게 전하는 임시정부의 항일 루트
백범 김구와 임시정부 독립운동가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혹독한 가시밭길을 걸어갔다. 그러나 최종 목적지만큼은 명확했다. 첫째도 둘째도 셋째도 대한민국의 독립이었다.
거액의 현상금이 붙은 몸으로 임시정부와 동지들의 안전을 살피고, 한국광복군 창설과 통합 정부를 위해 동분서주했던 김구와 독립을 꿈꾸며 이름 없이 스러져 간 선열들의 행적을 좇았다. 일본군의 공습과 폭격으로 천신만고의 피란길을 헤쳐 나간 임시정부 대가족들의 행로를 찾아내어 그대로 체험코자 했다.
-「발간사」 에서
◎ 도서 소개
2019년 6월 26일 김구 서거 70주기
길고 험난했던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한·중 역사 전문가가 꼼꼼하게 되밟다
1919년 3일 1일. 전국에 대한독립만세 외침이 퍼져 나간 이후, 일제는 항일 독립운동에 대한 경계를 강화하기 시작한다. 독립운동가들은 어쩔 수 없이 중국, 만주, 하와이로 투쟁의 무대를 옮길 수밖에 없었다. 김구도 마찬가지였다. 그의 굳센 항일 정신은 상하이를 거점으로 이어졌다. 그리고 그의 주변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과 그들의 가족이 함께했다. 상하이에서 시작된 해외 독립 투쟁 여정은 항저우, 자싱, 전장, 난징, 한커우, 창사, 광저우, 우저우, 구이핑, 류저우, 이산, 우산, 구이양, 치장, 충칭을 거쳐 시안으로, 26년 동안 계속되었다. 하지만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이 펼친 정치·외교 활동과 일제의 공습을 피해 최대한 몸을 숨기며 생활을 했던 고난의 흔적은 이제 거의 남아 있지 않다. 한국과 중국의 역사 전문가 11명이 희미하게 남아 있는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 그리고 가족들의 발자취를 샅샅이 더듬어 그들이 걸어간 항일 노정을 되밟았다. 그 길은 비록 꽃길이기보다는 진창길이었지만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 그 가족들의 항일 정신과 독립을 향한 투지는 한결같이 드높았다. 『백범의 길-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상권에서는 상하이에서 전장으로 이어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치 활동과 피난 생활의 흔적을 따라가며 “무엇이 어떤 모습으로 남아 있고 변했으며 또 사라졌는지”를 확인했다. 그리고 수많은 자료와 회고록, 여러 전문가·관계자·현지인 인터뷰를 통해 “잘못 알려진 것은 바로잡고, 잘 알려지지 않았거나 묻혔던 것은 들춰내고, 새로운 것은 보태”며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뜻을 기리려 했다.
일제의 탄압을 피하기 위한 중국에서의 항일 운동
상하이에서 시작해 난징에서 새 국면을 맞이하다
『백범의 길-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상권은 상하이, 자싱, 하이옌, 항저우, 난징, 전장에 남은 대한민국임시정부와 김구의 흔적을 되밟는다.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는 처음엔 교민단 사무소를 빌려 쓰다가 1919년 8월 초 샤페이로 321호로 이전했다. 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가 자리 잡은 상하이는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 요인들에게는 고인에 대한 장례를 치르며 애국심과 독립 의지를 고취했던 곳이기도 하다. 김구는 상하이 거주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자 장기적인 독립운동을 위해 가족들을 상하이에 불러들였는데, 가족과의 화목한 시절도 잠시, 김구의 부인인 최준례를 먼저 떠나보내게 된다. 이후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마랑로 푸칭리 4호로 청사를 이전한다. 이때 김구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반인 국무령 자리에 오르지만 경제적으로는 극히 곤궁한 시기를 보내기도 했다.
1931년, 김구는 한인애국단의 도맡아 일제 처단을 위한 작전을 감행한다. 김구는 윤봉길, 이봉창을 일본으로 파견하고, 최홍식, 유상근을 다롄으로 파견하는 등 필사적으로 의거를 추진한다. 일본 헌병이 한인 거주지를 포위하고 한인들의 출입을 경계하는 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 근거지였던 만큼 일본총영사관은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압박했다. 김구를 체포하고자 하는 계획도 여러 차례 실행되었지만 실패하고, 결국 김구에게 60만 원이 현상금이 걸리는 등 위태로운 상황의 연속이었다.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거는 삼엄한 감시를 더욱 강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동시에 이 의거는 한인 독립의지를 선양하면서 일본뿐 아니라 전 세계 열강에 충격을 주는 효과를 낳았다. 중국인들은 한인 독립운동을 적극 지지하게 되었고, 중국국민당도 한인의 항일 활동에 큰 기대를 걸었다. 이렇게 해서 중국 각지에서 활동하던 한인 독립운동가들은 난징으로 모여들게 된다. 이렇듯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항일 투쟁은 중국국민당과 중국 국민들의 지지와 기대를 얻으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한국인들의 굽힐 줄 모르는 독립 의지에 공감하며 물심양면으로 도움을 준 미국인 가족도 있었다. 이러한 국제연대의 역사를 피치 목사와 추푸청 가족과의 일화를 통해 자세하게 다루었다.
최초로 밝히는 김구의 상하이 탈출 루트
지도로 본 상하이와 난징의 활동 장소들
『백범의 길: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 상권에는 기존에 알려지지 않았던 김구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생활과 활동상에 대해 자세히 싣고 있다. 김구가 상하이에 입성할 때 이용한 부두가 어디였는지, 상하이 우정총국과 요코하마쇼킨은행이 독립 운동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흥미롭게 추적한다. 또한 상하이병공창 창장으로 지내며 윤봉길의 ‘도시락 폭탄’을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등 한국 독립운동을 도운 쑹스뱌오와 김구를 비록한 임시정부 요인들의 몸을 숨겨 주고 자싱으로의 피난을 도운 피치 부부를 조명함으로써 독립 거사의 실행에 한 사람의 의지뿐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지지와 도움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준다. 특히 1932년 5월 중순 일제의 감시를 피해 상하이를 탈출해 자싱으로 향했던 탈출 루트를 소개해 당시의 긴박한 순간을 생생하게 전한다. 또한 난징에 남아 있는 김구와 관련된 사적 위치를 지도로 보여 줌으로써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난징에서의 생활을 구체적으로 상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백범의 길: 임시정부의 중국 노정을 밟다』는 기획에서 출간까지 꼬박 2년이 걸린 프로젝트의 결과물이다. 한국과 중국의 학자와 전문가 11명이 권역별로 답사를 하고, 연구하고, 취재했으며, 생생한 현장을 사진에 담아 당시와 현재를 비교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서로 내용을 체크하여 오류가 없도록 하는 데에 힘썼다.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독립을 위해 애쓴 흔적들을 꼼꼼히 담아 독자들이 김구를 비롯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을 찾아가 볼 수 있도록 했다.
기획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사)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는 1949년 6월 26일 백범 김구 선생이 서거한 후 조직된 ‘고 백범김구선생국민장위원회’의 위원장 오세창, 부위원장 김규식, 조완구, 이범석, 김창숙, 조소앙, 최동오, 명제세 등의 위원을 중심으로 1949년 8월 6일에 창립한 협회이다. 오직 조국과 민족을 위했던 백범 김구 선생의 뜻을 이어 가기 위해 전시와 교육, 역사 자료 수집과 편찬 등 의미 있는 기획을 통해 대중들과 만나고 있다.
◎ 책 속에서
1922년 김구는 국내의 가족들을 상하이로 불러들였다. 김구로서는 상하이 생활이 그렇게 길어질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독립운동이 장기전이 될 것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1920년 1월 임시정부가 독립전쟁을 선포하고 이핀샹에서 신년축하회를 할 때만 해도 다음 해의 신년축하회는 서울에서 열자는 얘기가 나올 정도로 낙관적인 분위기가 있었다. 그러나 1921년 기대를 걸었던 워싱턴회의에서 한국 문제가 상정되지 않으면서 독립운동 진영의 열기는 빠르게 식어 갔다. 김구도 이 점을 절실히 느꼈을 것이다. 결국 장기적인 독립운동을 위해서는 생활이 안정될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가족이 곁에 있어야 했다.
상하이(1)-마랑로 임시정부청사 pp. 51-52
상하이에 머무는 동안 김구는 무엇보다도 안중근의 아들로서 변절한 안준생을 체포하여 처벌하고자 하였다. 민족의 영웅 안중근의 명예를 더럽힌 안준생의 행위는 결코 용서될 수 없었다. 안준생은 1937년 중일전쟁 이후에도 상하이에 잔류하였다. 1939년 10월 상하이 한인들의 ‘만선시찰단’ 일원으로 서울에 들어가 이토 히로부미를 기리는 박문사를 방문하였다. 그 자리에서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 이토 분키치를 만나 아버지 안중근의 ‘죄’를 사죄함으로써 국내외 언론에 대서특필된 바 있었다. 그때 중국 대륙을 전전하다 막 충칭에 도착한 김구도 조선총독부에 의해 연출된 안준생과 이토 히로부미 아들의 ‘화해극’을 익히 들어 알고 있었다. 안중근의 정신을 기리고 그 유가족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던 김구는 그 누구보다도 충격을 받았다.
상하이(1)-카이쯔얼로 경무국 p. 104
1932년 4월 29일 윤봉길의 훙커우공원 의거에 대해서도 일본총영사관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의거 당일 상하이총영사는 육군·해군 등과 협의하여 “이 기회를 이용하여 한국 독립운동가에 대한 일제 검거를 프랑스 측에 요구”하기로 하였고, 밤 8~9시경에 일본 헌병 사복대 등 수백 명은 한인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을 철통같이 포위하고 한인의 출입을 경계하였다. 다음 날인 30일 오전 4시 영사관의 아카키 사무관 지휘하에 70명에 이르는 검거반을 출동시켜, 오전 5시 프랑스 공무국 경찰대와 현지에서 회동하여 한국인들을 검거하게 하였다. 이후 프랑스 조계의 한인 사회는 ‘백색테러’가 횡행하는 암흑천지로 변하였고, 결국 안창호를 비롯한 한인1 1명이 체포되었다.
일제는 물론 김구를 체포하려고 하였다. 5월 2일 상하이총영사가 외무대신에게 올린 보고에 의하면, 헌병대장과 협의하여 “경찰 20명, 헌병 10명, 총 30명의 체포대”를 조직하여 김구 체포 작전을 개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이후 김구 체포를 위해 헌병대 100명을 대기시켰고 박춘산이라는 첩자를 이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상하이 일본총영사관은 윤봉길 의거 이후 김구 체포에 일화 20만 원의 현상금을 걸었고, 다시 일본외무성과 조선총독부·상하이주둔군사령부 등과 합동으로 60만 원의 현상금을 걸었다.
상하이(2)-황푸 강변, 일본총영사관, 애스터호텔, 부두 pp. 121-122
1920년대 후반 임시정부는 무정부 상태나 마찬가지로 위축되었다. 1926년 12월 김구가 임시정부의 수반인 국무령이 되었고, 이후 그는 임시정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골몰하면서 열혈 청년에 의한 의열 투쟁을 모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자금이 필요했다. 이에 김구가 채택한 것은 해외 동포들에게 편지로 후원을 요청하는 이른바 ‘편지정책’이었다. 그 결과로 미주·하와이·멕시코·쿠바의 동포들이 보내 주는 후원금이 답지하였는데, 김구가 얼마나 감격했는지 『백범일지』에는 후원자 30여 명의 실명이 일일이 기록되어 있다.
그 자금은 대부분 우편환으로 송금한 것이었으니, 미주·하와이·멕시코·쿠바의 동포들이 보내 주는 후원금이 상하이에 답지할 수 있었던 것은 근대적 우편 체제 덕분이었다. 해외 동포들의 후원금이 머나먼 바다를 건너 도착한 곳이 바로 상하이우정총국이었다. 당시 우정총국은 공공조계에 있었기 때문에 후원금을 수령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었다. 김구가 직접 수령할 수는 없었고, 대리인을 파견하여 찾아야 했다. 임시정부 초기에는 피치 목사가 수령해서 독립운동가들에게 전달한 사실도 있다. 이 상하이우정총국을 통해 들어온 자금으로 김구는 이봉창·윤봉길의 의거를 기획하여 성사시킬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임시정부도 활로를 찾을 수 있었다.
상하이(2)-상하이우정총국과 쇼킨은행 pp. 142-143
1925년 쑹스뱌오는 가족과 함께 귀국하여 국민당 정부의 병공兵工관계 일에 참여하였다. 특히 1932년 1월 28일 상하이사변 직후, 그는 상하이병공창장으로서 반일운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그의 휘하에 있는 병기주임 왕웅(김홍일)은 19로군 차이팅카이 부대의 후방 정보국장도 맡고 있어서 일본군 동향도 잘 알고 있었다. 당시 일본총영사관과 가까운 쑤저우허와 황푸강 합수지점에 일본 해군의 기함인 이즈모호가 정박하고 있었는데, 매일 오전 11시 시라카와 요시노리 일본군 대장과 고급장교들이 선상 회의를 한다는 정보를 입수하였다.
쑹스뱌오와 왕웅은 폐기된 수뢰 껍데기를 부뢰로 개조하여 2월 12일 잠수부를 통해 이즈모호를 폭파시키고자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쑹스뱌오와 왕웅은 이처럼 반일 연대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런 인연으로 쑹스뱌오의 상하이병공창은 이봉창 의거에도 수류탄을 제공하였고, 윤봉길 의거에는 20여 차례 시험을 하며 정성껏 물통과 도시락 모양의 폭탄을 만들어 왕웅 주소지로 배달하였던 것이다.
상하이(2)-김구와 쑹스뱌오의 한중폭탄연대 pp. 180-181
1932년 피치 부부와 김구의 운명적 인연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중요한 것은 한국 독립운동에는 단순히 한국인들만의 반일투쟁이 아니라 비슷한 처지의 중국인은 물론, 미국인 등 서양인들과도 같이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가 분명히 있었다는 점이다. 인간의 자유, 생명에 대한 존중, 민족을 넘어서는 인류애 등 약소국의 민족운동은 이러한 보편적인 토대와 결합되어야만 세계사적 의미가 있고, 또한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상하이(2)-생사기로에서의 국제연대 p. 218
김구의 자싱 생활은 한 중국인 가족이 물심양면으로 그를 도왔기 때문에 가능했다. 윤봉길 의거가 일어나자 중국인 사회에서 한국 독립운동에 관한 동정 여론이 일어났다. 게다가 김구가 사건의 전모를 밝히는 성명을 발표하자 중국 신문들은 그를 ‘조선 혁명의 수령’으로 일컬었다. 이런 정황에서 국민당 정부도 김구의 신변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당시 장쑤성 주석으로 있던 천궈푸는 부하 샤오정에게 김구와 관련 인물들이 상하이를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필요한 것들을 해결해 주도록 지시했다. 한국 측에서는 중국 국민당 정부와 관계를 맺고 있던 박찬익이 김구와 임시정부 요인들의 피난을 위한 교섭에 나섰다.
자싱·하이옌·항저우-자싱, 메이완가 p. 223
김구는 이처럼 난징의 친화이허 화이칭교에서 주아이바오와 동거하면서, 한편으로는 일제의 혹심한 공중폭격 아래서 생사를 같이하였고, 한편으로는 장제스를 만나는 등 독립운동을 영도하였다. 자싱에서 시작하여 난징으로 근 5년을 주아이바오와 같이 살고 난 이후인 1937년 여름, 일제의 대륙 침략이 본격화되면서 김구와 임시정부도 중국의 국민정부를 따라 난징을 떠나 유랑의 길에 올랐다.
난징·전장-친화이허 화이칭교 p. 285
김구를 비롯한 한인 독립운동가들이 이 시기 치루를 방문하였다. 그들은 장제스와 만나 재중 한인 독립운동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고 한중연합항일 방안을 모색하며 의견을 나누었다. 중일전쟁 개시 이전 장제스는 비록 국내 정치의 안정을 당면 과제로 삼고 공산당 토벌에 주력하면서 항일에 소극적이었지만 한인 독립운동가들을 초청하여 의견을 나누면서 지원을 약속하고 협력 방향을 논의하였다. 당시 한인 독립운동 지도자 중 첫 번째 방문자는 김구였다.
난징·전장-치루와 중앙판뎬 p. 299
신해혁명 이후 쑨원은 군벌과 제국주의를 타도하고 국민혁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1924년 1월 국공합작을 추진하였다. 이와 함께 북벌을 실행할 군 인재를 배양하고자 광저우에 황푸군관학교(원명 중국 국민당육군군관학교)를 설립하였다. 황푸군관학교는 약소민족의 연합과 민족해방운동의 지원을 제창한 쑨원의 뜻에 따라 한인 청년들의 입학을 격려?우대하였다. 재중 한인 독립운동가와 단체들 또한 독립 투사와 인재 양성을 위해 그 기회를 적극 활용하였다. 황푸군관학교의 한인 입학은 1925년 7월에 입학한 3기생부터 시작하여 이후 6기까지 총 43명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1927년 말 황푸군관학교 우한분교에는 200여 명의 한인이 재학 중이었다고 한다(한. 상도, 1994, 163~166쪽)
난징·전장-한인애국단과 중양육군군관학교 p. 310
김구가 장제스와 면담하고 중양육군군관학교 뤄양분교 한인훈련반 입교생을 모집하는 과정에서 김구의 거처와 활동의 중심이 난징으로 옮겨졌다. 이후 김구가 난징에서 전개하는 모든 활동의 조직적 기반은 한인애국단이었다. 한인애국단은 일본 군정요인과 친일파에 대한 암살 임무 외에도 비밀리 중국국민당 중앙조직부와 협력하여 대일 정보 수집 공작을 진행하였다. 동시에 김구가 중국국민당과의 교섭을 진행하거나 대외 활동을 벌이는 데 있어서 한인애국단이 공식적인 단체로서 언급되었다. 실제로 김구가 난징에서 운영한 조직과 단체에 대한 실무는 안공근 등 한인애국단의 간부들이 담당하고 있었다. 난징 지역 초기 한인애국단 간부로는 안공근?안경근?노태연?오면직?노종균?이마석 6인이 있었다. 이들 중 이마석을 제외한 나머지 5인은 모두 김구와 같은 황해도 출신으로 일찍이 상하이에서 장기간 특무 활동에 종사했던 인물들이다.
난징·전장-한인애국단과 중양육군군관학교 p. 318
1935년 1월 조선총독부 파견 상하이 사무관 나카노가 밀정 오대근을 시켜 김구 암살을 시도한 사건이 발생하였다. 당시 오대근은 난징에 도착한 후 특별공작원 7명을 만났는데 그들은 암살 임무를 수행하기 전 전원이 중국 관헌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김구 암살 공작은 그 이후에도 다시 한 차례 시도되었다. 즉 조선총독부에서 나카노의 후임으로 파견된 히토스기 도헤이 사무관이 1935년 8월에서 11월 사이에 밀정 임영창을 통해 김구 암살을 실행하고자 했지만 성공하지 못하였다(윤대원, 2018). 『백범일지』에도 이와 관련한 언급이 보인다. 김구가 11월 초 자싱에 가서 임시의정원 회의에 참여한 후 난징으로 돌아왔는데 난징 경비사령관 구정룬이 김구에게 일본이 고액의 현상금을 걸고 체포를 교섭해 왔으니 조심하라고 하였다. “또 사복 입은 경관 일곱이 푸쯔먀오 부근으로 돌아다니더라는 말도 들었다”고 한 것은 이때의 암살 시도와 관련이 있다. 이렇듯 계속되는 일본 측의 암살 공작 속에서 김구는 활동상의 안전과 편의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에 이전에 자싱에서 뱃사공으로 자신을 도왔던 주아이바오를 데려와 난징 푸쯔먀오 구역에 있는 화이칭교 부근에 거주하면서 고물상 부부로 위장하였다.
장닝-김구의 은신처 p. 340
구매가격 : 20,000 원
미치지 않고서야
도서정보 : 미노와 고스케 | 2019-08-2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서평
"적당히 일하기도 이제 지쳤어!"
1년에 100만 부를 팔아치우는 천재 편집자의 파격 업무론!
후타바샤 출판사에서 평범한 회사 생활을 보내던 미노와 고스케는 어느 날 정해진 루트를 벗어나기로 마음먹었다. “적당히 일하기도 이제 지쳤어!” 광고영업부 소속이던 그는 사장을 설득해 편집에 뛰어들었다. 《네오힐즈 재팬》을 시작으로 거물급 인사들만 섭외해 책을 만들어 갔다.
주변 반응은 차가웠다. "말도 안 돼" "불가능해" "민폐야!" "나까지 부끄럽게 하지 마!" 숱한 질타와 비난에도 불구하고 그는 1년 만에 100만 부를 팔아치우며 ‘일본을 대표하는 히트 메이커’가 됐다. “회사 안에서도 ‘내 일’을 한다. 좋아하는 일을 한다. 이름을 남기며 일한다.” 상식을 뒤엎고 자신만의 길을 개척한 미노와 고스케의 행보는 다시금 뜨겁게 일하고 싶어 하는 직장인들의 마음에 불을 지펴준다.
"회사를 이용해! 회사와 함께 성장해!"
직장인의 지위를 이용해 부업으로 본업의 20배 벌기!
저자는 도쿄로 이사하면서 월급의 3분의 2 이상을 월세에 쏟아부었다. 결혼해 아내와 아이도 있으니 가장으로서 어깨도 무거웠다. 회사 규정은 확인도 하지 않았다. 곧장 부업에 뛰어들었다. 출판사에서 일하는 틈틈이 인터넷 기사를 작성하고 편집자 양성 강좌에 나갔다. 유료 온라인 살롱을 운영하고 상품 기획에도 참여했다. 그 결과 부업으로 본업의 20배 넘는 돈을 벌게 됐다.
하지만 실력이 20배가 된 것은 아니다. 차이는 의식의 전환이었다. “회사를 이용하자. 그리고 회사에 돌려주자.” 휴일에 소고기덮밥집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은 본말전도다. 시간을 돈과 바꾸는 것에 불과하다. 본업에 힘써서 이름을 알린 뒤 그것으로 새로운 일을 늘려간다. ‘회사라는 무대를 이용해 개인 브랜드를 쌓아간다.’ 이것이 저자가 “연봉 0엔이 되더라도 회사에 적을 두고 싶다”고 말하는 이유다. 회사에는 오랜 시간 쌓아온 인프라와 자본, 사람과 경험이 있다. 이것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 어떻게 회사와 함께 성장할 것인가. 체념과 자조를 버리고 오늘도 영리하게 일하고 싶은 직장인들에게 일독을 권하는 이유다.
"일 잘하는 사람은 차고 넘쳐! 실력보다 브랜드를 키우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온라인 살롱 운영 노하우!
지금 일본에는 미노와 고스케를 위해 돈을 주고 일하는 사람들이 있다. 매달 5,940엔을 내고 1,000여 명의 젊은이들이 모여 온라인 살롱 '미노와 편집실'을 운영 중이다. 이들은 왜 미노와 고스케를 위해 일하는 걸까? 이유는 간단하다. 그의 주변에는 기회가 넘쳐나기 때문이다. 회사처럼 연공서열에 따라 순서를 기다리지 않기 때문에 고등학생이든 대학생이든 노력한 만큼 성장해간다. 뉴스픽스(NewsPicks), ZOZO 등 대형 기업들과 함께 다양한 프로젝트도 진행한다. 미노와 고스케는 말한다. “일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는 데 만족하지 마! 성공 경험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글을 쓰든지 인터뷰를 해. 이름을 팔아!” 일 잘하는 사람은 많다. 그러나 자신의 이름을 남기는 사람은 드물다. 조직의 익명성에 안주하지 않고 개인으로서 각오를 드러낸다. 이것이 일의 성패를 가른다. ‘정답은 없다. 돈을 주고서라도 동료를 찾고 경험을 산다. 내 일을 만들고 이름을 판다.’ 그렇게 생각하는 젊은이들이 미노와 고스케 주변으로 모여들고 있다. ‘교조’라 불리며 새로운 비즈니스 흐름을 만들고 있는 괴짜, 미노와 고스케의 행보에 주목해보자.
"좋아하는 것에서 도망치지 마! 그냥 해! 지금 해!"
미노와 신드롬을 만들어낸 32가지 미노와 띵언!
현재 일본에서 미노와 고스케는 하나의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서점에는 그가 편집한 책만 모아놓은 매대가 있으며, 그 옆으로 미노와 고스케의 등신대 입간판까지 세워져 있다. 오피니언 리더로서 방송에 출연하고 유명 맥주 CF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사람들은 왜 그에게 열광하는 것일까.
일견 악동처럼 보이는 그는 사실 누구보다 치열한 전략가다. 직장인이기를 포기하지 않으면서 회사 밖 더 큰 무대를 상상하며 일한다. 시대의 흐름을 읽고 실행에 옮겨 성과를 낸다. 〈사원을 노예처럼 여기는 회사는 버려라〉 〈브랜드를 벌고 미래를 벌어라〉 〈개인으로서 각오를 드러내라〉 등 이 책에 담긴 미노와 고스케의 32가지 띵언은 잘하고 싶지만 도망도 가고 싶은 직장인들의 흔들리는 마음을 붙들어준다. 누구도 아닌 나를 위해 일하라는 메시지는 회사와 일에 대한 전망도 바꾼다. “좋아하는 것에서 도망치지 마!” 그래, 다시 뜨겁게 일할 때다.
구매가격 : 11,200 원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1년
도서정보 : 이한우 | 2019-08-2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서평
난세를 치세로 바꾼 18년의 역사,
그 치열한 기록이 펼쳐진다!
태종 이방원을 떠올리면 어떤 이미지가 그려지는가? 형제들을 살육하고 왕위에 오른 ‘피의 군주’, 조선의 설계자라 평가받는 정도전을 죽인 ‘냉혈한’… 그에 대한 이해는 즉위 이전의 비정한 면모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태종의 자취를 좇는 일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오랜 기간 언론인으로 활동하던 저자는 최근 역사 저술가로서 매진하며 우리 사회의 기본을 밝혀줄 고전 번역에 힘쓰고 있다. 군주의 리더십 함양의 필독서인 『대학연의』를 비롯해 『논어로 대학을 풀다』 등 ‘사서삼경’ 등을 번역해온 저자의 시선은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는 일로 이동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에 이르렀고, 그 성과를 묶어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등 ‘이한우의 군주열전(전6권)’ 시리즈를 집필했다. 이러한 행보에서 나아가 조선의 여러 왕 중에서도 가장 먼저 『태종실록』을 번역한 이유는 그만큼 태종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큰 통찰을 주는 군주인 까닭이다.
나는 왜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로 결심했던 것일까?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 우리의 정신적 뿌리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런 이유만으로 방대한 실록 번역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삶에 대한 그리고 세계에 대한 깊은 지혜를 얻고 싶어서다. 그런 면에서 모든 실록 중에서 『태종실록』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혜를 담고 있다. _본문 중에서
태종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부터 왕이 되기까지 냉혹한 혁명가의 모습을 보였지만, 재위기간의 기록을 들여다보면 상왕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외교 전략을 펼치고 관제개혁에 힘쓰는 등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 정치의 영역에서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우리가 태종에 집중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조선 최고의 성군인 세종대왕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기 때문이다. 『태종실록』 곳곳에는 세종의 한글 창제의 밑바탕이 된 민본정치의 기조가 담겨 있는데, 저자는 예리한 시각으로 이러한 부분을 짚어내며 태종의 정치철학을 드러낸다. 이처럼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세종을 비롯하여 조선 왕조 500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태종을 적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자, 우리 역사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든 군주의 리더십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올바른 번역, 치밀한 해석, 섬세한 역주…
우리에겐 친절한 실록 완역본이 필요하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실록 원문의 편년체 서술을 따라 1년 단위로 책을 구성하여 재위기간 18년의 기록을 18권의 책으로 엮는 방대한 시리즈이다. 실록을 처음 읽는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문 번역 과정을 친절하게 담았고, 실록에 등장하는 인물ㆍ사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또한 기존 번역물의 오류를 바로잡고 저자의 새로운 해석을 담아냈다. 번역본과 함께 한문 원문을 책에 실었고, 독자들에게 한문 읽기의 묘미를 전하고자 ‘원문 읽기를 위한 도움말’을 통해 저자만의 번역 노하우를 소개한다.
기존의 공식 번역은 한자어가 너무 많고 문투도 낡았다. 게다가 역주가 거의 없어 불친절하다. 전문가도 주(註)가 없으면 정확히 읽을 수 없는 것이 실록이다. 특히 실록의 뛰어난 문체가 기존 번역 과정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못했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개선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았다.
_본문 중에서
고위 공직자들의 논문 표절과 무단인용 문제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저자는 최근 연구부정행위검증 민간기관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에서 실시한 논문표절 예비검증에서 모범 사례로 꼽혔다. 특히 인용문 번역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번역에 대한 저자의 철학과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결과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태종에 대한 탐구를 넘어『조선왕조실록』을 편집ㆍ요약본만으로 읽어온 독자들과 기존 공식 번역에 아쉬움을 느껴온 독자들 모두에게 실록을 깊이 있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역사의 진면목이 살아 숨 쉬는 우리 고전을 만나다
“또 이르기를 ‘공양군(恭讓君-공양왕) 때를 당해 용사(用事)하는 자들은 공(公)이 자기를 따르지 않는 것을 꺼려했다’라고 했으니 그때 우리 태조께서는 나라의 수상(首相)이 됐으므로 모르긴 하지만 용사자(用事者)란 누구를 가리킨 것인지 모르겠다.”
_본문 중에서
명나라 진련이 이색의 비명을 지어 보냈는데, “공양군 때를 당해 용사하는 자들은 공이 자기를 따르지 않는 것을 꺼려했다”라는 내용이 문제가 되었다. 태종은 이 ‘용사자’가 태조가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했고, 비명의 찬자인 하륜은 지탄받게 된다. 하륜은 이숭인과 이종학의 죽음을 거론하면서 정도전, 남은에게 탄핵이 집중되도록 했다. 이 과정에서 조선왕조 건국에 가장 큰 공을 세웠던 정도전은 폐서인이 되었다. 태종 11년에 발생한 이색 비명 논쟁은 사실상 태종의 권력을 강화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에 불과했다. 태종은 이 사건으로 많은 세력들을 견제하는 데 성공했다.
군주의 덕목은 동서양을 막론한 수많은 고전 속에 담겨 있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시기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하지 않는가.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우리의 고전에 담긴 선조들의 살아 있는 정신을 발견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
구매가격 : 28,640 원
이한우의 태종실록 재위 12년
도서정보 : 이한우 | 2019-08-2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출판사 서평
난세를 치세로 바꾼 18년의 역사,
그 치열한 기록이 펼쳐진다!
태종 이방원을 떠올리면 어떤 이미지가 그려지는가? 형제들을 살육하고 왕위에 오른 ‘피의 군주’, 조선의 설계자라 평가받는 정도전을 죽인 ‘냉혈한’… 그에 대한 이해는 즉위 이전의 비정한 면모에 머물러 있는 현실이다. 그렇다면 태종의 자취를 좇는 일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일까? 오랜 기간 언론인으로 활동하던 저자는 최근 역사 저술가로서 매진하며 우리 사회의 기본을 밝혀줄 고전 번역에 힘쓰고 있다. 군주의 리더십 함양의 필독서인 『대학연의』를 비롯해 『논어로 대학을 풀다』 등 ‘사서삼경’ 등을 번역해온 저자의 시선은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는 일로 이동하여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에 이르렀고, 그 성과를 묶어 『태종 조선의 길을 열다』 등 ‘이한우의 군주열전(전6권)’ 시리즈를 집필했다. 이러한 행보에서 나아가 조선의 여러 왕 중에서도 가장 먼저 『태종실록』을 번역한 이유는 그만큼 태종이 오늘날의 우리에게 큰 통찰을 주는 군주인 까닭이다.
나는 왜 『조선왕조실록』을 완독하기로 결심했던 것일까? 선조들의 정신세계를 탐구해 우리의 정신적 뿌리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런 이유만으로 방대한 실록 번역에 뛰어든 것은 아니다. 삶에 대한 그리고 세계에 대한 깊은 지혜를 얻고 싶어서다. 그런 면에서 모든 실록 중에서 『태종실록』이야말로 지금 우리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혜를 담고 있다. _본문 중에서
태종은 조선 건국 과정에서부터 왕이 되기까지 냉혹한 혁명가의 모습을 보였지만, 재위기간의 기록을 들여다보면 상왕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외교 전략을 펼치고 관제개혁에 힘쓰는 등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기 위해 현실 정치의 영역에서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우리가 태종에 집중해야 하는 또 다른 이유는 조선 최고의 성군인 세종대왕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기 때문이다. 『태종실록』 곳곳에는 세종의 한글 창제의 밑바탕이 된 민본정치의 기조가 담겨 있는데, 저자는 예리한 시각으로 이러한 부분을 짚어내며 태종의 정치철학을 드러낸다. 이처럼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세종을 비롯하여 조선 왕조 500년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친 태종을 적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자, 우리 역사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만든 군주의 리더십을 확인할 수 있는 책이다.
올바른 번역, 치밀한 해석, 섬세한 역주…
우리에겐 친절한 실록 완역본이 필요하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실록 원문의 편년체 서술을 따라 1년 단위로 책을 구성하여 재위기간 18년의 기록을 18권의 책으로 엮는 방대한 시리즈이다. 실록을 처음 읽는 독자도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한문 번역 과정을 친절하게 담았고, 실록에 등장하는 인물ㆍ사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덧붙였다. 또한 기존 번역물의 오류를 바로잡고 저자의 새로운 해석을 담아냈다. 번역본과 함께 한문 원문을 책에 실었고, 독자들에게 한문 읽기의 묘미를 전하고자 ‘원문 읽기를 위한 도움말’을 통해 저자만의 번역 노하우를 소개한다.
기존의 공식 번역은 한자어가 너무 많고 문투도 낡았다. 게다가 역주가 거의 없어 불친절하다. 전문가도 주(註)가 없으면 정확히 읽을 수 없는 것이 실록이다. 특히 실록의 뛰어난 문체가 기존 번역 과정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못했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에 이 점을 개선하는 데 많은 노력을 쏟았다.
_본문 중에서
고위 공직자들의 논문 표절과 무단인용 문제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저자는 최근 연구부정행위검증 민간기관인 연구진실성검증센터에서 실시한 논문표절 예비검증에서 모범 사례로 꼽혔다. 특히 인용문 번역에 충실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번역에 대한 저자의 철학과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결과다.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태종에 대한 탐구를 넘어『조선왕조실록』을 편집ㆍ요약본만으로 읽어온 독자들과 기존 공식 번역에 아쉬움을 느껴온 독자들 모두에게 실록을 깊이 있게 읽을 수 있는 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역사의 진면목이 살아 숨 쉬는 우리 고전을 만나다
“나는 어리석은 백성들이 집을 그리워해 다퉈 한강(漢江)을 건너다가 생명을 상할까 염려된다. 마땅히 각 도의 차사원(差使員), 총패(摠牌) 등으로 하여금 운(運-단위)을 나눠 요란(擾亂)하지 못하게 하라.”
_본문 중에서
태종은 환도 후 개천 굴착공사와 정비를 계속했지만, 개천 범람으로 인한 수해는 계속되었다. 이에 태종 12년 1~2월에 대대적인 공사를 시행한다. 5만 2천 8백 명의 인부가 투입되어 하천의 바닥을 파고, 폭을 넓히고 제방을 쌓았다. 또 개천을 가로지르는 흙다리들을 돌다리로 바꾸는 대공사를 실시했는데, 이때 광통교, 혜정교 등의 다리가 만들어졌다. 동시에 혜정교에서 창덕궁에 이르는 시전의 행랑을 정비했다. 태종의 결단력과 추진력으로 조선은 행정적?정치적 체계 뿐 아니라 새로운 수도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태종이 정비한 개천, 즉 청계천은 600여년이 지난 지금도 서울을 관통하며 서울의 상징으로 남아있다.
군주의 덕목은 동서양을 막론한 수많은 고전 속에 담겨 있다. 하지만 혼란스러운 시기일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하지 않는가. 『이한우의 태종실록』은 우리의 고전에 담긴 선조들의 살아 있는 정신을 발견하고, 오늘날 우리 사회가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할 것이다.
구매가격 : 23,840 원
을들의 당나귀 귀
도서정보 : 손희정, 최지은, 허윤, 심혜경, 오수경, 오혜진, 김주희, 조혜영, 최태섭, 한국여성노동자회 | 2019-08-2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페미니즘이 유례없이 득세한 것처럼 여겨지는 시대,
여성의 삶은 얼마나 나아지고 있을까?
최근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 조사에 의하면, 지난해 개봉한 순제작비 30억 이상의 실사 한국영화 39편 가운데, ‘벡델테스트’(영화 속 젠더 편향성을 가늠하는 3가지 질문의 시험)를 통과한 영화는 10편이고, 영화 홍보 포스터에 여성 등장인물이 아예 나오지 않은 영화가 20편이다. 미국에서는 캐릭터의 성별, 성정체성, 인종 등을 다양화하고 이들에게 주체적이고 주도적인 역할을 부여하려는 히어로 코믹스와 히어로 무비의 흐름에 대해 불매운동을 벌이고 여성 작가나 제작자에게 성폭력을 포함한 사이버 불링(온라인 공간에서 이메일이나 휴대폰, SNS 등을 활용해 특정 대상을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괴롭히는 행위)을 저지르는, 남성 ‘팬’들이 나타났다. 지난 달, 한 정당이 개최한 20대 남성 간담회에서는 “결혼이라는 생애사적 이유로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둔 여성의 경력단절이 왜 성차별 문제인가” “어른들이 잘못한 가부장제의 악습을 20대인 우리가 왜 해결해야 하는가” 하는 발언이 나왔고, 한 일간지의 20대 남성 인터뷰에서는 “오히려 차별받았다. 초등학교 때 우유 당번 등 궂은일은 남자가 많이 했다”라는 말이 나와 많은 대중 여성의 공분을 샀다. 한편, 최근 여성가족부(여가부)가 배포한 ?성평등 방송 프로그램 제작서?에 포함된 “비슷한 외모의 출연자가 과도한 비율로 출연하지 않도록 한다”는 권고안(가이드라인)에 대해 한 남성 정치인은 군사독재 시절의 ‘검열’에 빗대며, “아이돌이 번 외화로 세금을 받아먹은 여가부가 국위선양 하는 아이돌을 죽이겠다는 발상을 했다”며 거세게 비난했고, 아이돌 팬덤을 중심으로 ‘여가부 폐지’ 청원이 일어나기도 했다.
『을들의 당나귀 귀』는 한국여성노동자회(한국여노)의 임윤옥, 김지혜 활동가와 페미니스트 문화연구자 손희정이 여러 대중문화 연구자들을 만나 대담한 동명의 팟캐스트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책은 TV 예능, 드라마, 케이팝, 영화, 소설, 게임, 인터넷 커뮤니티 등 다종다양한 분야를 가로지르며, 최근 우리의 ‘귀’를 쫑긋거리게 한 미디어와 대중문화 속 ‘성평등’ 이슈를 관통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을 캐낸다.
남녀 임금격차 OECD 국가 중 1위,
여성 노동자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
기준임금이 된 최저임금,
경력단절, 독박 가사·육아…….
30년 역사의 여성 단체와 페미니스트 문화연구자의 만남,
여성 노동운동이 팟캐스트가, 한 권의 책이 되기까지
1987년 창립한 한국여노는 가정과 일터, 사회에서 이뤄지는 모든 노동에서 성평등이 실현되지 않는 한국 사회에서 매년 3000여 건의 노동 상담과 여성 노동 관련법 제정·개정 운동을 펼치고 있다. 한국여노가 기획해 2015년 4월, 처음 방송한 팟캐스트 [을들의 당나귀 귀]는 언론에서 주목하지 않는 ‘여성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속 시원히 말하는 방송을 만들자는 취지로 시작됐다. 2016년 시즌2부터는 ‘성평등 노동’ 편과 ‘대중문화와 젠더’ 편으로 나눠 제작해 왔고, 2018년까지 시즌1~4, 총 101차가 방송되었다. 곧 시즌5가 시작된다.
책 『을들의 당나귀 귀』는 2016, 2017년 두 해 동안 시즌2, 3에서 방송된 ‘대중문화와 젠더’(20여 편, 35여 회차) 편에서 가려 뽑은 내용을 단행본에 맞게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방송의 게스트였던 최지은, 허윤, 심혜경, 오수경, 오혜진, 김주희, 조혜영, 최태섭이 책의 저자로 참여해, 방송에서 전달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이해하기 쉽게 다듬었다. 각 글의 맨 뒤에는 최근의 경향을 덧붙여, 주제별, 분야별로 하나의 이슈가 드러내는 징후와 그 맥락이 어떻게 유지되고 확장되는지 살필 수 있도록 했다. 이들 페미니스트 활동가, 문화비평가, 대중문화 연구자들의 유쾌하면서도 핵심을 짚는 메시지는 우리를 둘러싼 다양한 대중문화 텍스트들을 페미니즘 관점으로 읽어 낼 수 있는 명쾌한 언어와 날카로운 감각을 제공한다. 이 여정은 답답하고 가려운 곳을 적확히 긁어 줄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약동하는 페미니즘 서사와 여성 연대의 가능성을 상기한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다. “이성애-결혼-출산-양육의 ‘정상가족’ 프레임에서 좀체 벗어나지 못하는 방송 프로그램, 엄마와 딸, 아내, 연애 상대 말고는 ‘주체’로서 상상되지 못하는 빈약한 여성 캐릭터들, 끊임없이 재생산되는 ‘여성 혐오’ 텍스트에 지친” 독자들이라면, 누구라도 즐겁게 동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남자들만 넘쳐 나던 세계를 평정한 ‘김숙’이라는 현상
예능 판에 대한 가능한 상상들
송은이 씨가 [택시]라는 프로그램에 나와서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었어요. “숙이랑 나는 애하고 시어머니가 없어서 방송을 못한다.” 이게 무슨 얘기냐면, 30, 40대 여성 연예인들이 살림, 육아, 결혼을 둘러싼 갈등, ‘시월드’ 이야기, 이런 걸 풀어놓지 않으면 출연할 프로그램이 없다는 거예요.
_24쪽, “한남 엔터테인먼트”, 최지은의 말
2018년 ‘미투’ 운동이 전 사회로 확산되면서, [아빠를 부탁해]의 ‘딸바보’ 아빠들이 차례로 고발되었다. 이들은 가르치던 제자, 함께 공연한 배우에게 성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딸바보’ 가부장의 이미지가 여성을 소유하고 교환하는 구조의 알리바이로 작동하고 있음을 방증한 셈이다. 여전히 가족 예능 프로그램의 아버지들은 딸을 “내 진짜 애인”이라거나 “시집보내기 아깝다”고 말하며, 딸의 섹슈얼리티를 소유하려 든다. [슈퍼맨이 돌아왔다]의 간판 ‘딸바보’는 축구 선수로 바뀌었지만, ‘공주님처럼 예쁜 딸’과 보호자 아버지의 구도는 변함없이 반복된다. 아버지들은 5살 남자 아이에게도 ‘예쁜 여자는 친구와 경쟁해서 얻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을 서슴지 않는다. 그렇게 예쁜 여자아이를 두고 경쟁하는 ‘오빠들’의 삼각 구도는 대물림되며 강화된다. 결국 가족 예능에서 ‘딸’은 독립된 주체로 상상되지 못하며, 인간이라기보다 그저 ‘여자’로만 남게 된다.
_107쪽, “‘딸바보’ 시대의 여성 혐오”, 허윤의 말
한국의 예능 판은 남성 중심적이다.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최지은은 이를 “한남 엔터테인먼트” “아재 엔터테인먼트”라고 명명하면서, 여성 예능인에게는 잣대가 가혹하고 기회조차 드물지만, 남성 예능인에게는 관대하고 기회가 많은 남성 중심적인 예능 산업을 분석한다. 또 그 기회를 누린 남성 예능인이 영향력 있는 중년으로 성장하면서 그들 라인을 중심으로 판이 짜이고, 이것이 ‘아재’ 문화와 ‘가부장’ 서사의 주류화로 이어지는 구조를 지적한다.
문학연구자인 허윤은 그중 가족 예능 프로그램과 드라마 등에 나타난 ‘딸바보 아버지’ 서사에 집중한다. 영유아에서 성인에 이르기까지 딸을 둔 아버지들이 하나같이 딸바보 이미지를 방송 자산으로 가져가면서 어떤 방식으로 이면의 여성 혐오를 드러내고, 급기야 ‘#미투’ 운동의 가해자 목록에 자기 이름을 올리게 되는지를 따라간다.
영화연구자 심혜경은 ‘갓숙’ ‘가모장’ ‘숙크러시’ ‘퓨리오숙’ 등, 단기간에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면서 팬덤을 형성한 코미디언 김숙을 하나의 ‘현상’이라고 추켜세우면서, 남성 중심의 예능 판을 뛰어넘기 위해 김숙과 송은이가 시작한 ‘비보TV’의 성공과 그 활약상을 조명한다.
걸그룹, 혁명가, 공장노동자, 성매매 여성…….
여성의 노동에 대해 알고 싶은 두세 가지 것들.
실제로 당대 여성들은 남성 사회주의자와의 결혼을 통해 운동 지형 내에서 자신의 입지와 영향력을 확보하려 했거든요. 오히려 ‘진짜’ 혁명가인지 아니면 단지 ‘아지트키퍼’에 불과한지를 끊임없이 구분하고 싶어 하는 욕망은 여성 혁명가에게만 적용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어요. 여기에는 ‘여성은 정치적 이념의 주체가 될 수 없다’라는 고정관념이 전제돼 있어요. 예컨대 가수 이효리 씨가 정치적 목소리를 내자, 혹자들은 김제동, 주진우랑 친하게 지내다가 저렇게 됐다는 식으로 이야기하곤 했잖아요. 그런 의심은 남성 혁명가들에게는 제기되지 않죠. 식민지 시기의 저명한 남성 문학비평가 김기진은 잡지 『신여성』 1924년 11월호에 이렇게 썼어요. “대체로 여자라는 것은 국수주의자에게로 가면 국수주의자가 되고 공산주의자에게 가면 공산주의자가 되는 모양”이라고요. 그런데 최근 페미니스트 연구자 장영은은 김기진의 그 말을 이렇게 바꿔 써야 한다고 주장했죠. “여성은 민족주의자라서 민족주의자에게로 가고 사회주의자라서 사회주의자에게 간다.”
_212쪽, “화려하고 불온한 성채, 여성 혁명가와 여공 문학”, 오혜진의 말
지금 한국의 성노동 담론은 주로 자유주의적인 입장에 의해 견인되는 것 같아요. 성매매를 둘러싼 낙인이나 성 보수주의적인 위선을 제거하면, 다시 말해 개인적 성 거래의 자유를 보장하면, 성판매자들이 경험하는 차별과 불평등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입장이죠. 하지만 자유주의 시스템에서 자유는 개인에게 보장되는 것이 아니라 더 많은 자유를 생산하고 소비하도록 하는 통치술의 문제입니다. 그러므로 섹슈얼리티의 자유로운 거래를 보장하는 것이 평등한 성적 거래로 이어진다는 것은 환상이죠. 저는 여성에 대한 낙인과 혐오가 에로틱하다고 여겨지는 것이 바로 성 시장의 전제 조건이자 특징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여성을 끊임없이 성매매 산업으로 진입시키는 하부의 구조를 보는 일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여성을 가난하게 만들고, 그 가난의 완충지대에 성매매 산업을 형성하고 있는 국가와 자본의 결탁이 더 큰 문제겠지요. 이 부분을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_248쪽, “신용사회와 금융, 그리고 성매매”, 김주희의 말
케이팝 문화에서 아이돌, 특히 걸그룹은 혹독한 다이어트로 몸매를 유지하면서도 ‘맛있게, 예쁘게 잘 먹는’ 모습을 연출해야 하고, 빗속 야외무대에서 7번을 넘어지더라도 8번 다시 일어나 춤추는 근성을 보여야 하고, 수시로 일어나는 남성 팬의 불법 촬영과 성추행을 오롯이 감내해야 하며, 『82년생 김지영』을 읽거나 페미니스트로 감별(?)될 만한 언행을 해서는 안 되는 한편, 부족하지 않은 역사 지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최지은은 팬 사인회에서 일어난 불법 촬영에 침착하게 대처했던 ‘여자친구’의 예린이 한 인터뷰에서 한 말, “이 직업을 가졌다고 해서 사각지대를 용인하기는 싫어요”를 인용하며, 걸그룹이라는 직업 때문에 무엇이든 감내하며 웃어야 하는 시대는 끝나야 한다고 말한다.
드라마 덕후이자 칼럼니스트 오수경은 드라마 속에서 여성 노동자가 ‘잠재적 연애 대상’ ‘워킹맘’ ‘사회성이 부족한 센캐’의 세 가지 부류로 그려지는 경향을 짚으면서, 새로운 여성 서사의 가능성으로 ‘성취감과 자부심이 강한 여성’ ‘욕망에 충실한 여성’ ‘연애하지 않고 일을 하는 여성’ ‘N포 세대를 잘 대변하는 여성’ 캐릭터의 출현을 꼽는다.
문화연구자 오혜진은 조선희의 소설 『세 여자』와 루스 배러클러프의 교양학술서 『여공 문학』을 통해, ‘여성 혁명가’와 ‘여성 공장노동자’라는 역사적 형상을 다루는, 여성에 대한 새로운 역사 쓰기를 살핀다. 오혜진은 사회주의 여성 혁명가에 대해 ‘아지트 키퍼’에 불과하다고 평하거나 남성을 통해서만 혁명 활동이 가능했다고 심문하는 것을 거듭 경계하며, 어떤 것이든 그것이 여성 혁명가에게 무장투쟁만큼이나 치열한 정치적 선택이자 투쟁 전략, 존재 방식일 수 있음을 강조한다.
여성학연구자 김주희는 금융화된 신용사회가 성매매 산업과 만나면서 어떻게 여성의 몸을 자원 삼아 그 몸집을 불려 왔는지를 설명한다. 업주가 성형외과, 대부업체와 결탁해 수수료를 받고 여성을 소개해 주고, 어느 지역 어느 업소에서 일한다는 것이 여성의 대출 신용도가 되며, 여성은 불어나는 빚을 빨리 갚겠다는 생각으로 계속해서 자기 투자를 감행하고, 업주 또한 이를 부추기는 악순환의 고리에 놓였다는 것이다. 2004년 성매매특별법이 만들어진 결정적 계기는 끊임없이 일어난 성매매 집결지 화재였지만, 불과 몇 달 전, 또 한 번의 화재 사고로 서울 시내의 집결지에 있던 여성들이 죽었다.
원더우먼의 모델이 에멀린 팽크허스트?
“여자는 왕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원작자 윌리엄 마스턴은 원래 여성 참정권론자였어요. 그래서 원더우먼 캐릭터를 만들 때, 영국의 서프러제트를 이끌었던 에멀린 팽크허스트를 모델로 삼았다고 하거든요. 그러니까 애초에 원더우먼은 페미니스트 캐릭터였던 셈이에요. (…) 이 마스턴이라는 사람이 좀 독특한데요. 그중 하나가 부인이 두 명이었다는 거예요. 그런데 그 두 사람이 또 보통 사람들은 아니었어요. 첫째 부인은 엘리자베스 마스턴이라고, 유명한 페미니스트였죠. 윌리엄과 엘리자베스는 부부이자 페미니스트 동료였고, 함께 참정권 운동을 했을 뿐만 아니라 원더우먼이라는 캐릭터도 함께 창조했어요. 거짓말탐지기도 공동 발명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영향을 줬다고 해요. 그리고 이후에 만난 올리브 번이라는 젊은 여성 역시 대단한 집안사람이었어요. 올리브의 어머니는 언니인 마거릿 생어와 함께 임신중지권과 피임권 초창기 운동의 대표적 운동가였던 에델 번이었어요.
_281, 283쪽, “원더우먼, 페미니즘의 아이콘으로 기획된 슈퍼히어로”, 조혜영의 말
한국에서도 여성 게이머에 대한 근거 없는 공격이 있었어요. ‘게구리’라는 프로 게이머가 있었는데요. [오버워치]를 하는 10대 여성이에요. 근데 이 여성이 한 게임에서 승리를 하자, 상대 팀이 문제 제기를 해요. 해킹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이겼다는 거죠. 말하자면 편법으로 프로그램을 조작해서 이겼다는 거였어요. (…) 그래서 [오버위치] 제작사인 블리자드에서 조사에 들어갔고요. 거기서 끝났으면 모르겠는데, 또 상대방 남성 게이머들이 “칼을 들고 찾아가겠다” “쟤가 해킹을 안 했으면 내가 은퇴하겠다” 이런 얘기를 하기 시작하고, 그러니까 남초 게임 커뮤니티에서는 또 온갖 성희롱, 성폭력 발언이 난무했죠. 결국 게구리가 “그렇게 못 믿겠으면 내가 보여 주겠다”면서 게임을 생방송으로 플레이하면서 실력을 인증했죠. 그런데 또 엄청 잘한 거예요. 이런 사건들은 게임계에 만연한 여성 차별과 여성에 대한 편견을 잘 보여 주는 것 같아요.
_354쪽, “게임, 포르노, 인터넷 커뮤니티의 디지털 남성성”, 최태섭의 말
1940년대에 윌리엄 마스턴에 의해 창조된 “원더우먼”은 본래 영국의 여성참정권 운동을 이끌었던 에멀린 행크퍼스트를 모델 삼은 페미니즘의 아이콘이었지만, 마스턴의 사후인 1950년대에는 초능력을 다 잃고 전통적인 여성의 역할에 안주하는 무력한 캐릭터로 변질되었다. 이후 1960년대 다시 페미니즘이 대두되면서 여러 페미니스트들이 여성 영웅 캐릭터를 돌려 달라고 항의하기에 이르렀고, 1970년대 린다 카터 주연의 드라마 가 흥행하면서 부활했다가, 1980년대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로 다시 사라진다. 그리고 2017년 감독 교체 등의 많은 우여곡절 끝에 영화로 제작되었고, 흥행에 성공했다. 서울국제여성영화제 프로그래머 조혜영은 [원더우먼]에서 남자 주인공의 이른 죽음을, 할리우드 영화에서 빈번이 이뤄지는 여성 캐릭터의 ‘남자를 위한’ 죽음에 대한 미러링으로 읽어 내며, 원더우먼이 자신의 능력을 부끄러워하거나 괴로워하지 않는 여성 히어로라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한편 한국 영화계는 ‘2003 유니버스’라고 불리는 명감독들의 등장과 2007년 부성 멜로드라마의 경향 이래, 좀처럼 제대로 된 여성 서사 영화를 만나기 어려웠다. 조혜영과 손희정은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와 이경미 감독의 [비밀은 없다]를 중심으로, 그동안 한국영화에 어떤 여성 서사가 이어져 왔고, 앞으로 어떤 변화가 요구되는지 논한다.
문화비평가 최태섭은 게임, 포르노그래피, 인터넷 커뮤니티에 나타나는 디지털 남성성에 관해 전한다. 소비자들이 나서 “Girls Do Not Need a Prince”(여자는 왕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티셔츠를 입은 여성 성우를 해고하게 했던 ‘넥슨 게이트’와 ‘메갈’ 작가를 검열한다며 진행된 웹툰의 ‘예스컷 운동’, 정의당 대거 탈당 사태와 『시사IN』 절독 사건 등, 대중에게 꽤나 익숙한 사례에서부터 잘 알려지지 않은 생경한 에피소드까지, 풍부한 통계자료를 인용해 분석한다.
성평등한 문화가 성평등한 세상을 이룰 것이라는 믿음,
다른 세계로 나아가는 ‘더 많은 말’들의 행진
진지하지만 유쾌했던 탐사를 기꺼이 안내해 준 게스트들은 모두 한국에서 손꼽히는 전문가들이다. 무엇보다 이들은 페미니즘이 부분을 다루는 협소한 이론이 아니라 어떤 주제를 다르게, 혹은 더욱 깊이 있게 바라보게 하는 인식론이자 관점이며, 계속해서 훈련이 필요한 감각이라는 것을 보여 주는 화자들이다. (…) 언제나 ‘더 많은 말’이 다른 세계로 다가가는 길이라고 믿는다. 지난 3년간 차곡차곡 쌓아 온 말들 안에서 우리는 세계를 좀 더 명징하게, 그리고 좀 더 비판적으로 볼 수 있었고, 우리의 목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이렇게 “생각하고 말하고 설쳐서” 과연 세상을 바꿀 수 있을까? 언제나 세계는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시작되었음을 본다. 2016년 [을당]에서 처음 ‘김숙’ 현상을 다룰 때만 해도 ‘비보TV’가 이렇게 성장하고, 연말 방송사 시상식에서 여성 예능인이 연예대상의 2관왕이 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물론 수상은 개인의 영광이겠지만, 그런 분위기가 만들어지기까지 많은 여성 주체들이 함께 달려 왔다고 믿는다.
_ 10, 11쪽, “프롤로그”, 손희정의 말
영화 [캡틴 마블]은 개봉하기도 전에 페미니스트로 감별(?)된 주연 배우에 대한 반감이 퍼지면서 평점 테러를 당하고 있다. 한국 성매매 집결지의 화재 사건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세워지지 않는 가운데, 최근 또 한 번의 화재로 여성들이 사망했다. 최근 한국의 여성 임금은 OECD 최저 수준인 것으로 재확인되었고, 전 지구적인 ‘#페이미투’의 흐름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언제나 세계는 오히려 퇴보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가 시작되었음을 본다.” TV를 보며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페미니스트들에게, 또 “넷플릭스의 바다를 표류하며” 새로운 서사를 찾아 헤매는 독자들에게 『을들의 당나귀 귀』를 권한다. 이 책을 통해 “미디어와 대중문화, 여성의 삶을 바꾸기 위해 ‘제대로 보고 읽는 법’을 배울” 수 있길 바란다.
구매가격 : 12,600 원
[필독서 따라잡기]유신
도서정보 : 베리타스알파 | 2019-08-2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수능이 변별력을 잃음으로써 논술의 비중이 훨씬 커진 지금 논술의 바탕이 되는 책읽기는 그 중요성을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논술이 주어진 제시문을 비교 분석하고 통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시험이어서 꼭 책을 많이 읽어야 대비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과 사고력은 논술의 기초체력이 된다.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글로 풀어내는 능력도 분명히 독서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큰 소득이다. 더구나 제시문이 자신이 이미 읽어본 내용이라면 논지를 파악하고 글의 체계를 잡아 나가기가 한결 수월할 것이다.
베리타스 알파의필독서 따라잡기시리즈는 각 대학의 논술고사에서 제시문으로 인용된 책 중에서 비교적 오래되지 않았으나 고전 반열에 오른 책, 새로운 사조를 반영한 ‘신고전’이라 할 만한 책들을 위주로 선정하여 논술과의 연계성을 떠나 지식의 보물창고와 생의 지침서 역할을 하고도 남는 책들이 대상이 될 것이다.
* 본 eBook은 원본(번역본)이 아닌 해설본입니다. 즉, 원문 내용 전체를 싣고 있는 것이 아니라 원문의 해제, 주요 핵심 포인트 및 키워드, 대입 논술 출전 등을 담아 짧게 요약한 책입니다. 즉,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과 시사 상식을 넓히려는 직장인들이 간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된 책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매가격 : 1,000 원
2020 전문대학 가는 길
도서정보 : 베리타스알파 편집국 | 2019-08-2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eBook <2020 전문대학 가는 길>은 교육전문신문 베리타스알파가 2020수시를 겨냥해 발행한 별지특집을 eBook 형태로 가공한 것입니다.
베리타스알파는 올해 처음으로 2020수시를 겨냥한 전문대학 수시특집(별지 16페이지)을 발행했습니다. 더 이상 간판과 학력위주가 아닌, ‘직업역량’이 부상하는 시대에서 전문대학을 향한 사회적 시선은 바뀌고 있습니다. 일반대학(4년제)를 못 갈 성적이라 가는 대안이 아니라 선제적으로 자신의 진로를 개척한 수험생들을 위한 전문대학으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수시6회제한에서 벗어나고 일부 간호계열을 제외하면 수능부담을 떨쳐낸다는 점에서 수험생의 ‘추가카드’ 기회로도 활용가능합니다.
베리타스알파가 엄선한 전문대학은 경인여대 대구보건대 아주자동차대학 안산대 연성대 영진전문대 인천재능대 인하공전 한국관광대입니다. 2020전문대학 수시특집이 수험생활과 학생 지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구매가격 : 0 원
두려워하지 않는 힘
도서정보 : 진우 스님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쓰러지지 마, 무너지지 마!
힘이 필요한 나에게 진우 스님이 전해주는 인생 비결!
아프지 않고 괴롭지 않은 삶이 어디 있을까. 살다보면 도처에 무수한 어려움이 도사리고 있고, 인생은 때때로 가혹한 시련을 안겨준다. 나에게 닥친 인생의 무게를 감당할 수 없을 때, 슬픔과 두려움에 휩싸여 극심한 좌절의 고통 속에서 무기력한 존재가 되기도 한다. 인생의 고해(苦海)에서 속수무책으로 침몰하지 않기 위해서는, 나와 세상을 담담하게 ‘있는 그대로’ 바라볼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인생에 대해 정면돌파하는 법을 알려준다. 그것은 마음의 힘을 키우는 것이다. 어린아이는 가벼운 짐도 힘겨워하지만 건장한 청년은 무거운 짐도 거뜬히 짊어진다. 이처럼 마음의 힘을 키워나가면, 세상의 어떤 어려움과 환경에서도 흔들리지 않고 편안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 진우 스님에게도 인생의 고비와 위기가 여러 번 있었다. 열세 살 어린 나이에 할머니 손에 이끌려 절에 맡겨졌다. 3대독자인데, 절에 들어오지 않으면 스무 살까지밖에 못 산다는 어느 큰스님의 말씀에 ‘강제 출가’를 당한 셈이다. 억지로 절에 들어가 살다보니 도통 출가 생활과 불교에 관심이 가지 않았다. 그러다 19세 때 우연히 이광수의 장편소설 《원효대사》를 읽고 큰 감명을 받아 새롭게 발심하는 계기가 됐다. 대자유의 세계와 생사를 뛰어넘는 공부에 마음을 빼앗겼다. 이제 됐으니 그만 절에서 나오라는 가족들의 간곡한 부름을 뿌리치고, 스스로 수행의 길에 매진했다.
그런데 이십대 중반을 넘어서며 또 한번 고비가 찾아왔다. 혈기왕성한 시기, 세속의 유혹에 마음이 흔들린 것이다. 그때도 스님을 다시 일으켜 세운 건 책이었다. 법무부장관을 지낸 황산덕 선생이 쓴 《중론송》과 소천 스님의 《금강경 강의》를 통해 불교의 위대함과 부처님 말씀의 진의를 온전히 체감하게 되었다. 이후 스님은 더 이상 흔들림 없이 진정한 수행자로 거듭날 수 있었다.
마음을 울리고 내 삶에 도움이 되는 좋은 글은
눈밝은 독자들이 먼저 알아본다
진우 스님이 처음 글을 쓰게 된 건 10년 전 담양 용흥사에 선방(몽성선원)을 개원하면서부터다. 고불총림 백양사 방장 지선 스님을 비롯해 구참 수좌들과 함께 참선 정진하던 때였다. 새벽 3시부터 5시까지 입선(入禪)한 후, 아침 6시 공양시간까지 1시간 남짓 여유가 있었다. 하루 중 가장 맑은 기운으로 정제된 시간이었다. 그 시간이 너무도 아까웠던 스님은 자신의 공부를 점검하고 다짐하기 위해 짤막한 글들을 써내려갔다. 하루도 거르지 않는 스님만의 의식이었다.
오롯이 자신만을 위한 글쓰기였지만, 스님의 글을 본 지인들 사이에서 소문이 났다. 가까운 지인들과 글을 나눠 읽던 중 그 수가 수백 명으로 늘어 결국 네이버 밴드를 개설하기에 이르렀다. 진우 스님의 ‘오늘의 명상’(https://band.us/@jinwoo) 가입자는 현재 1,700여 명을 넘어서고 있다. 수천 명의 사람들이 매일 아침 스님의 맑은 기운이 담긴 글로 하루를 시작하고 마음을 다잡는 것이다.
두려워하지 않는 힘의 핵심
‘생각은 짧고 빠르게!’
이 책은 어느 페이지를 펼쳐봐도 좋다. 짧다. 쉽다. 단숨에 읽힌다. 그러나 쉽게 잊히지 않는다. 마음에 새겨진다. 세상의 이치를 바로 꿰뚫어보게 하는 지혜가 가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읽는 순간 힘이 되는 것이다. 나를 억누르고 괴롭혔던 문제들이 선명하게 떠오르고, 일시에 해결할 수 있는 두둑한 배짱이 생긴다. 가령 이런 것이다.
발 빠른 지네에게 물었다.
“지네야 너는 발이 수십 개인데 어느 발부터 움직이느냐?”
그 말을 들은 지네는 도저히 움직일 수가 없었다.
많은 생각은 오히려 번뇌(煩惱)가 되리니….
-본문 122쪽
이 짧은 우화를 예로 들며 스님은 무심(無心)으로써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스님은 이어서 말한다.
“지네의 그 많은 발들 중에 어느 것이 먼저 움직이는지는 지네 자신도 모른다. 그런데 새삼스럽게 어느 발이 먼저일까를 생각하다 보면, 이 발 저 발 수많은 발을 점검하다가 결국 한 걸음도 못 떼고 난망한 상태에 이르고 만다. 따라서 어떤 일에서나 생각은 짧고 빠르게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그보다 더 훌륭한 것은 무심한 마음가짐이다. 어떤 일을 하든 아무 생각 없이 무심히 넘기는 습관을 잘 기른다면 궁극적으로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이 될 것이다. 의외로 무심함은 간단하다. 모든 것을 인과(因果)와 인연을 믿고 맡기면 된다. 더 이상 복잡한 생각일랑 지금 바로 그쳐라.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오고 해가 지면 다시 떠오른다.”
결국 두려워하지 않는 힘은 습관의 힘이다. 평소 꾸준히 마음을 돌보고 단련시키는 데 있다. 그 힘은 유연하면서도 힘이 세서 무엇이든 감당할 수 있다.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처럼,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흙탕물에 더렵혀지지 않는 연꽃처럼….
구매가격 : 11,200 원
이이화의 명승열전
도서정보 : 이이화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승속불이(僧俗不二)의 삶을 산 17명의 승려
신간 『명승열전』에서 저자는 그의 시선을 한국불교사 속 인물을 향해 돌려 열일곱 명의 승려를 오늘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저자는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이들은 역사적으로는 시대정신에 투철했고, 불교적으로는 중생 제도의 신념에 충실했다. 지은이는 이러한 승려들을 소중하게 다루었다. 어쩌면 이 책이 내세울 개성이요,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에서 소개되는 승려는 모두 열일곱 명. 이 가운데는 우리 불교계에서 고승(高僧)이라 일컬어지는 인물도 있고, 승려이지만 잘 조명되지 않았던 방외(方外)의 인물도 있다.
저자의 역사관을 바탕으로 선정된 이 인물들은 기본적으로 승과 속의 경계를 허물고 번뇌 가득한 세간에 뛰어든 승려이다. 그리하여 당대의 현실 문제에 대한 깊은 사유를 통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몸소 실천하려 했다. 또한 전쟁이나 귀족의 횡포 등에 신음하는 민중을 위한 주의?주장을 펴기도 했으며, 사회 개혁의 중심에 있기도 했다.
또 하나의 새로운 ‘이야기 한국불교사’
그동안 우리 불교사의 ‘위대한’ 승려를 다룬 책은 당대는 물론 다음 세대에 의해 ‘고승(高僧)’이라 불리는 인물을 조명한 예가 대부분이다. 더구나 그들의 행보, 그들과 관련한 역사적 사건들은 그들의 사상적 바탕에서 기술된 경우가 많았다.
사실 이 책은 불교라는 종교적이거나 사상적인 측면을 기반으로 한 도서라 보긴 힘들다. 오히려 역사교양서로서 한국불교사, 넓게는 한국사에서 주목해야 할 승려의 행적을 전하고 재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물론 ‘화쟁(和諍)’과 같이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사상적 맥락에 관해선 이야기되고 있지만 그것의 드러냄이 이 책의 궁극적 목표는 아닌 것이다.
저자가 고백한바, 자신은 ‘불교사상사의 지식이 상식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다’고 하였지만 그것은 자신의 한계를 밝힌 것이라기보다 승려를 대상으로 한 다른 시각의 역사적 해설을 진행하였다는 뜻일 것이다.
더욱이 ‘이야기체 역사서의 시초’, ‘역사를 가장 쉽게 풀어쓴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저자 특유의 서술 방식은 많은 독자들로 하여금 조금은 낯선 이 열일곱 명의 승려 이야기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이 책은 기록상 남겨진 그들의 행보와 그들이 남긴 문집, 그들과 관련된 민간 설화와 현대 자료 등의 전 방위적 검토에 더불어 저자의 확고한 역사관을 통해 해당 인물의 또 다른 면모를 발견하게 되는 귀한 시간을 제공할 것이다.
한국불교사에서 주목해야 할 이들은 과연 누구인가
한국불교 대표 고승,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그들 생애의 찰나
- 원효(元曉), 의상(義湘), 의천(義天), 보조(普照), 일연(一然), 무학(無學), 경허(鏡虛)
이 책에서 소개되고 있는 승려 일부는 불자는 물론 일반 대중들에게도 위인으로서 잘 알려져 있는 인물이다. 하지만 저자는 이들을 애써 포장하지 않는다. 이들이 보인 기행(奇行)은 물론 그들의 한계까지 서슴없이 기술하기 때문이다. 비록 그 끝에 도달한 저자의 평가가 기존의 긍정적인 데에서 벗어나지 않더라도 이러한 방식은 신선하다. 한편 저자는 이 책 전반에서 그들이 어떠한 실천적 면모를 보였는지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러면서 그들의 현실적 행보가 보인 한계에 대해 논하기도 하며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한다.
시대의 영웅, 선방(禪房)을 박차고 나서다
- 서산(西山), 사명(四溟), 백용성(白龍城), 송만공(宋滿空), 한용운(韓龍雲)
저자가 소개하는 열일곱 명의 승려 중에는 우리 역사 속 암흑기라 일컬어지는 시기에 선방을 박차고 나와 동분서주했던 영웅적 인물도 있다.
조일전쟁(임진왜란)의 혼란한 가운데 현실로 뛰어들어 나라와 민중을 구제하고자 창과 칼을 든 서산(휴정)과 사명(유정),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에 독립의 목소리를 한껏 높였던 백용성, 송만공, 한용운도 이 책에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저자는 승려로서뿐만 아니라 현실 구제를 위해 자신을 희생한 정치가로서, 그리고 시대의 짐을 짊어지고 고뇌하던 한 인간으로서의 면모를 함께 살피고 있어 독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새로운 모습을 발견케 한다.
비록 이들의 행적이 계율을 어기는 일이었다 하더라도 위기의 상황에서 주저하지 않은 그들의 행적은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된다. 특히나 2019년 삼일운동 100주기를 맞이하며 이들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진 지금 그들의 행적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한국불교사의 방외(方外) 인물
- 도선(道詵), 묘청(妙淸), 변조(遍照), 설잠(雪岑), 천호(淺湖)
이 책을 특징짓는 지점에는 또한 다섯 승려가 있다. 도선, 묘청, 변조, 설잠, 천호가 그들이다. 이들은 우리 불교계에서 조명한 경우가 드물거나 없었던 인물이다. 하지만 이들이 승가에 귀의한 승려였다는 점, 그리고 우리 역사의 문제적 인물이란 점은 분명하다.
이들은 당시 사회의 부조리에 대항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도선의 경우 그 행적이 미묘하지만 그가 제창한 풍수지리설, 비보설 등은 신라 말기 혼란한 시기에 고려 건국이라는 개혁의 정당성을 부여했음은 부인할 수 없다. 물론 그에 대한 『고려사』 등의 기록이 고려 건국 세력이 지어낸 허구일 가능성은 농후하지만 말이다. 한편 김시습이란 속명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설잠은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서 승려가 되었다. 그의 생은 기행의 연속이었지만 지조 있는 삶을 살았고, 자신의 절개와 애민정신이 투영된 많은 시편을 남기기도 했다.
더욱 주목할 만한 인물은 묘청, 변조(신돈), 그리고 천호(이동인)이다. 신채호는 자신의 글 「조선역사상 일천년래 제일대사건」에서 서경천도운동을 벌인 묘청을 자주진보파 승려로 평가한 바 있다. 한편 변조는 양민과 천민들 사이에서 성인이라 불렸으며, 고려 사회가 안고 있는 부조리를 타파하고자 정치적 행보를 늦추지 않았다. 천호의 경우 조선의 근대화에 관심을 두어 왕실과 일부 귀족의 지원을 받으며 일본을 넘나든 인물이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이들 세 승려는 역사에서 부정적인 인물로 이야기되거나 그에 관한 흔적이 미미한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저자는 관련된 기록과 자료를 통해 이들의 행적을 재구성한다. 그 가운데 저자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피력하지만 또한 우리로 하여금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기도 한다. ‘당신은 이들을 어떻게 생각하는가’라고 말이다.
구매가격 : 12,600 원
왕생요집
도서정보 : 겐신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염리예토 흔구정토(厭離穢土 欣求?土)
더러운 세상을 멀리하고 기꺼이 정토를 찾는다
『왕생요집(往生要集)』은 일본 승려 겐신(942~1017)이 마흔셋 되던 해인 984년(혹은 985년) 저술한 책이다.
저자는 스스로 “지혜가 뛰어나고 정진하는 사람이라면 어려움이 없겠지만, 나처럼 완고하고 둔한 사람이라면 어찌 엄두가 나겠는가”라며 “염불의 법문 한 가지에 의지하여 경론의 요체를 설하는 문장을 모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저자의 이런 ‘겸손’과 달리 이 책 『왕생요집』은 세상에 나온 후 일본 사회는 물론 당시 송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사상사에 엄청난 변화를 불러온다.
일본 불교계는 이 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호넨(法然, 1133~1212) 스님에 의해 정토종(淨土宗)이 열렸다. 이후 호넨 스님의 제자인 신란(親鸞, 1173~1262)은 정토진종을 창종했고, 정토진종은 현재까지도 영향력은 물론 규모 면에서도 일본 불교 최대 종파로 자리 잡고 있다.
사상은 물론 문학이나 미술에 미친 영향도 막대하다. 2017년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에서 열렸던 ‘겐신전’에는 『왕생요집』의 영향을 받은 그림과 불상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는데 헤이안시대(794년~1185년)와 가마쿠라시대(1185년~1333년)의 지옥도, 아미타내영도 등 일본에 산재한 수많은 국보가 쏟아져 나왔다. 일본 문학의 최고 걸작이라는 11세기 『겐지이야기』 역시 『왕생요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정치?경제에 끼친 영향도 대단했다. 심지어 도쿠가와 이에야스(1543~1616)는 자신이 이끄는 군대의 우마지루시(신분 및 무위를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 깃발)에 이 책의 첫 번째 장과 두 번째 장의 대문(大文)인 “염리예토(厭離穢土) 흔구정토(欣求?土)”를 새겨 넣고 다녔다.
일본뿐 아니라 중국에 미친 영향도 크다. 찬술한 이듬해, 이 책이 송나라 천태산 국청사에 수장된 것만 봐도 이 책의 영향력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왕생요집』은 어떤 책인가?
이 책은 순수한 창작이라기보다는 불교 경전과 중국, 한국, 일본의 논서 등에서 정토와 관련된 문헌을 취합한 것이다. 여기에 저자 스스로 묻고 답하며 염불 신앙의 당위성은 물론 수행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 인용한 불경이나 논서는 모두 112부 617문(文)이다. 경전이 제일 많이 인용되어 있고 중국의 도작(道綽)·선도(善導)·회감(懷感) 스님의 주석서, 그리고 원효, 의적, 경흥 스님 등 신라 출신 스님들의 논서도 인용되어 있다.
책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인 등 육도(六道)를 설명한 ① 염리예토(厭離穢土), 극락정토의 십락(十樂)을 설명한 ② 흔구정토(欣求淨土), 극락왕생의 증거를 설명한 ③ 극락증거(極樂證據), 정토왕생의 길을 밝힌 ④ 정수염불(正修念佛), 염불수행의 방법을 설명한 ⑤ 조념방법(助念方法), 임종시 염불을 설명한 ⑥ 별시염불(別時念佛), 염불의 공덕을 설명한 ⑦ 염불이익(念佛利益), 염불의 선업을 설명한 ⑧ 염불증거(念佛證據), 염불의 포용성을 설명한 ⑨ 왕생제업(往生諸業), 의심나는 부분을 문답 형식으로 다시 설명한 ⑩ 문답요간(問答料簡)의 열 개의 대문(大文)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중 ①∼③은 수행의 방편을 밝힌 것이고, ④∼⑨는 왕생의 업인(業因)을 설명한 부분으로 이 책의 중심을 이룬다. ⑩은 의심을 풀어주기 위해 대개 문답으로 진행한다.
염불 수행이 흥했던 대부분의 시기가 그랬지만 당시 일본은 사회적으로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부처님이 경전에서 말한 말세도 곧 가까워 왔다고 믿었다. 저자 겐신은 이런 상황에서는 극락에 왕생하기 위해 누구나 염불을 해야 한다고 이 책에서 강조했다.
국내 최초 완역
『왕생요집』은 동아시아 정토신앙의 원점(原點)이다. 일본 정토교의 기초가 이 책으로 완성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그 지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한 번도 완역된 적이 없다. 초기불교나 선(禪)의 입장에서 보자면 정토 신앙 그리고 염불 수행은 하열한 것으로 취급되는 일이 종종 있다. 하지만 사회가 혼란스럽고 불교가 현학적으로 흐를 때마다 어김없이 정토신앙이 전면에 등장했다. 부처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귀의하여 한 마음으로 염불하는 사람은 누구든 극락왕생할 수 있다는 어려운 시절의 범부들에게 그리고 불교가 현학적으로만 흘러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라고 여길 때, 세상을 사는 방편 그리고 불교를 지키는 기둥이었다.
특히나 이 책 『왕생요집』은 현대에까지 사상사 그리고 미술사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역작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번역되었어야 하고 또 읽혀져야 할 명저이다.
구매가격 : 17,500 원
일묵 스님이 들려주는 초기불교 윤회 이야기
도서정보 : 일묵 스님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통해 알아보는 윤회의 개념과 원리
지금 삶의 행복과 다가올 다음 삶의 행복을 위한
부처님의 바른 처방전, 윤회(輪廻)
당신은 윤회를 얼마나 알고 있습니까?
?윤회란 무엇이고, 그 원리는 무엇인가
?우리가 윤회하는 삼계란 어떤 세계인가
?윤회하는 삶속에서 업은 어떻게 작용하는가
?이생과 내생의 행복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알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삶을 원한다. 하지만 행복한 삶을 살지 못한다. 그 이유는 행복한 삶으로부터 멀어지는 불선(不善)한 행위를 하며 살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우리 스스로 짓는 매순간의 업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알지 못하니 많은 이들은 이생의 끝을 두려워하며 고통스러운 삶을 살 수밖에 없다.
불교에서는 모든 고통과 번뇌의 원인 중 하나를 무명(無明)이라 이야기한다. 마치 한 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길을 헤매듯 진리의 빛을 얻지 못하고 잘못된 길로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현생과 내생의 행복을 위해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 하고, 어떻게 이생의 끝을 마무리해야 하는가? 그것은 윤회(輪廻)의 가르침 안에 모두 담겨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일묵 스님은 1996년 서울대 수학과 박사 과정 중 출가하여 성철 큰스님의 제자인 원택 스님을 스승으로 모셨다. 이후 불교 명상에 관심이 있는 이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국내외 여러 수행처를 다니며 지속적인 수행을 하였다. 그리고 현재 초기불교 수행법을 전하는 수행공동체인 제따와나 선원을 활발히 운영하고 있는 선원장이기도 하다.
스님의 저서인 『일묵 스님이 들려주는 초기불교 윤회 이야기』는 초기불교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윤회의 개념과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지난 2010년 출간된 스님의 첫 책이자 많은 독자들에게 사랑 받은 『윤회와 행복한 죽음』의 개정판이기도 한 이 책은 새로운 옷과 새로운 구성으로 그동안 허황된 내세관으로만 치부되었던 윤회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지 독자들로 하여금 선명하고 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인도한다.
당신에게 윤회란 무엇입니까
일반적으로 윤회는 다음 몇 가지로 인식된다.
먼저 허황된 이야기라는 측면이다. 스님은 이 책의 머리말에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한다.
“제따와나 선원을 개원하고 많은 사람을 만나면서 새삼 알게 된 사실이 한 가지 있습니다. 그것은 윤회를 믿지 않는 불자가 의외로 많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눈에 보이는 것만 믿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라 할지라도 윤회가 우리의 삶과 수행을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데 중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그것을 알고 바른 실천을 행함으로써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고, 궁극적으로 열반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책 전반에 배어 있는 일묵 스님의 메시지이다.
또한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윤회는 삶의 끝자락에서만 작동하는 원리가 아니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지금의 삶 속에서도 끊임없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윤회의 원리로서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다’, 즉 “연기(緣起)”를 설하고 계신 부처님의 가르침을 다시금 되새겨봐야 한다.
둘째, 짐짓 죽음과 연관되어 무겁거나 어두운 개념으로 인식된다. 언젠가는 누구에게나 닥칠 죽음이다. 하지만 ‘나’에 대한 집착은 끝내 죽음에 대한 공포심을 일으킨다. 또한 한 번도 가 본 적 없는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해 두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이 책을 한 줄 한 줄을 읽다 보면 그 공포나 두려움은 결국 나로부터 시작되고, 나로부터 극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우리 삶의 태도를 바꾸고 더 나은 길로 향하는 길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두려움을 극복하고 지금의 삶과 다가올 다음의 삶의 행복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당신의 현생과 내생의 행복을 위한 윤회 강의
우선 알아야 한다. 윤회란 무엇인지, 윤회가 계속 반복된다는 삼계(三界)란 세계는 어떤 공간인지, 윤회와 부처님의 핵심적 가르침들, 이를테면 업과 십이연기 등은 어떻게 연결되는지에 대해서 말이다. 하지만 어렵고 딱딱하기만 할 것만 같다.
이 책의 특징 중 하나는 간명하고 깔끔한 서술로 하여금 이전의 그 어떤 책보다 쉽고 명확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윤회를 다룬 많은 책들은 학제적 성격을 갖거나 일반 독자들이 접하기에 다소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 책은 불교 교리에 해박하지 않은 독자들도 알기 쉽게 서술되어 있다. 윤회와 윤회를 둘러싼 개념에 대해 친절히 설명하고 있는 스님의 강의법도 그러하거니와 초기불교 경전과 주석서 등에서 길어 올린 인연담, 혹은 스님의 개인적인 인연담을 빌려 전달함으로써 초심자인 독자들도 바른 시각을 가질 수 있게 도운다.
다음으로 실천해야 한다. 이 책은 단순히 개념을 설명함에 머무르지 않고 왜 수행을 해야 하는지, 윤회의 순간순간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준다. 예를 들어 불자로서 즐거움이 가득한 선처(善處)에 태어나기 위해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 생의 마지막 순간 어떤 마음을 가져야 하는지, 임종을 앞둔 가족을 위해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충고를 아끼지 않는 것이다.
그동안 궁금했던 윤회의 모든 것
- 오직 당신을 위한 일묵 스님의 강의 계획안
이 책의 각 장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은 우리가 윤회하는 세상인 삼계, 즉 욕계·색계·무색계에 대해 풀었다. 우리는 윤회할 때 자기가 지은 업에 따라 삼계의 서른한 가지 세상 중 한 곳에 태어난다. 이 서른한 가지 세상의 다양한 모습을 알게 되면, 우리는 다음 생에 악처가 아닌 선처에 태어날 수 있도록 항상 경각심을 가지게 될 것이다.
2장은 업과 윤회에 대해 다루었다. 업에 의해 윤회가 일어난다는 것은 알지만 업의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업의 역할, 과보를 생산하는 장소, 업이 결과를 맺는 순서와 시기 등에 관한 폭넓고 정확한 이해를 통해 업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버릴 수 있다.
3장에서는 죽음 직전의 인식과정에 나타난 업에 의해 내생의 첫 의식, 즉 재생연결식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 설명했다. 우리가 일생에 지은 업 중 가장 뚜렷한 업이 죽음 직전의 인식과정에서 업이나 업의 표상, 태어날 곳의 표상 중 한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 업에 의해 내생에 태어날 세상이 결정되고, 그곳에서 최초로 재생연결식이 일어난다. 이 과정을 잘 이해하면 깨끗한 마음으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 수 있다.
4장은 불교의 핵심 가르침인 연기에 대해 풀어썼다. 3장의 윤회의 원리를 십이연기의 가르침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부분이다. 연기를 이해하면 그릇된 견해를 버리고 바른 견해를 갖추어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5장에서는 무아(無我)인데 윤회하는 이유가 존재는 연기, 즉 조건을 의지해서 태어나기 때문이라는 것에 관해 이야기했다. 연기를 통해 존재의 발생과 윤회의 원인을 이해하면 존재들은 서로 의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자비심으로 세상을 바라볼 수 있다.
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가르침인 연기와 사성제(四聖諦) 등은 윤회를 기반으로 설해져 있다. 이 같은 점을 통해 윤회를 이해함이 불교를 이해함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알 수 있다.
더구나 일묵 스님의 윤회 강의를 한 장 한 장 읽다 보면 그동안 얼마나 잘못된 생각을 가지고 살아왔고, 그 잘못된 생각이 우리 안에 얼마나 뿌리 깊이 박혀 있는지 깨닫게 된다. 또한 앞으로의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대한 경각심도 생긴다.
우리는 일묵 스님의 이 책을 통해 윤회를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부처님께서 남기신 행복을 위한 또 하나의 처방전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결국 우리에게 남은 건 행복뿐일 것이다.
구매가격 : 9,700 원
철학자 김진영의 전복적 소설 읽기
도서정보 : 김진영 | 2019-08-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아침의 피아노』 『이별의 푸가』 이후
또 한 번의 놀라움과 감동을 맛본 책”
―변광배(한국외대 미네르바 교양대학 교수)
“고독이 두려워서, 죽음이 두려워서, 덧없음이 두려워서,
심지어 미움이 커서 힘을 잃을 때 몇 번이고 펼쳐서 읽고 싶은 책”
―정혜윤(CBS 라디오 프로듀서)
‘감동을 주는 강의’ ‘인문학 강의의 정수’라는 찬사를 받았던
철학자 김진영의 세계문학 강의록
故 김진영 철학아카데미 대표의 1주기를 맞아, 깊이 있는 독해와 풍부한 감성으로 문학 강의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그의 세계문학 강의록이 출간되었다. 수강생들로부터 ‘감동을 주는 강의’ ‘인문학 강의의 정수’라는 찬사를 얻었던 선생의 소설 강의는 2007년부터 2017년 투병 전까지 이어지며 100여 종이 넘는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대표작을 다루었다. 이 책은 선생이 가장 정력적으로 문학을 강의하던 2010년, 총 10회에 걸쳐 진행된 「전복적 소설 읽기: 소설을 읽는 8개의 키워드」 강의를 녹취, 정리한 것이다.
선생은 생의 전반기, 소설 읽기를 통해 사유 능력과 상상력의 자양분을 얻었다고 말한다. 10여 년에 걸친 그의 소설 강의는 감성과 사유를 빚진 문학에 대한 사의의 표현이었을까. 잔잔한 강물 아래 소용돌이치는 물살처럼, 이 책은 그가 평생 간직했던 소설에 대한 열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하나의 증표이다.
"오랫동안 소설을 읽었다. 그 사이에 소설들은 자꾸만 얼굴을 바꾸었다. 사춘기 시절 소설은 뗏목이었다. 대책 없이 어디론가 떠내려가게 만드는. 젊은 시절 소설은 미지의 여인이었다. 프루스트가 그랬듯 만난 적도 없고 이름도 모르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사랑해 버린 어떤 여인. 나이 들고 환상 대신 환멸을 배우게 되었어도 소설 읽기를 그만두지는 않았다. 소설도 얼굴 바꾸기를 멈추지 않았다. 어느 때 소설은 카산드라의 운명이었다. 진실을 외치는 그러나 아무도 믿어주지 않는 고독하고 참담한 예언. 또 어느 때 소설은 고르곤의 눈이었다. 결코 마주 볼 수 없는 그러나 언제나 정면으로 응시하는 어떤 시선. 또 어느 때 소설은 화이트 노이즈였다. 사실은 들리지 않는 그러나 달팽이관 속의 무슨 벌레처럼 끊임없이 사각거리는 소리. 또 어느 때 소설은 심지어 신처럼 여겨졌다. 없음이 분명하지만 그러나 그마저 없으면 안 되므로 있어야 하는 어떤 것."
―「소설들 혹은 봉인된 혀들」 강좌 소개에서
죽음, 괴물, 기억, 광기, 동성애, 부조리, 고독, 정치
여덟 가지 키워드로 세계문학의 고전을 읽다
이 책에서 김진영 선생은 죽음, 괴물, 기억, 광기, 동성애, 부조리, 고독, 정치, 여덟 가지 키워드로 여덟 편의 소설을 읽는다.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 ‘빼앗긴 죽음과 죽음의 권리 찾기’를, 카프카의 『변신』에서 ‘괴물과 흡혈 행위’를,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감각과 이성, 그리고 기억 문제’를, 호프만의 『모래 사나이』에서 ‘어두운 낭만주의와 광기’를, 토마스 만의 『베니스에서의 죽음』에서 ‘건강한 시민성과 동성애적 관능, 그리고 진리 문제’를, 카뮈의 『이방인』에서 ‘부조리한 삶에 대한 반항과 삶의 본질인 이동성을 되찾기 위한 태양 살인’을, 한트케의 『왼손잡이 여인』에서 ‘고독의 긍정적이고 혁명적인 측면’을, 볼랴뇨의 『칠레의 밤』에서 ‘문학이라고 부르는 제도가 자기를 유지하는 방법, 특히 정치 및 역사와 연결되었을 때 문학과 문학가가 어떤 기능을 맡는지에 대한 가열한 비판’을 이야기한다.
작가들이 숨겨놓은 메시지를 찾아 소설의 미로를 헤치고,
교훈과 전형에 갇힌 해석에서 소설을 해방시키는 능동적 독자
얼마나 많이 읽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읽고, 어떻게 기억할지가 중요하다. 작가의 ‘피’로 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세계문학의 대표작들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김진영 선생에게 소설 읽기는 “숨으려고 하는 글을 끝까지 세상의 제단 위에 올리려고 하는 동시에 그것을 세상으로부터 구원해 내는”(80쪽) 작업이다. 그는 독자에게 읽히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독자라는 그물에 걸리지 않기 위해 작가들이 숨겨놓은 메시지를 찾아 소설의 미로를 헤치고, 교훈과 전형에 갇힌 작품 설명을 뛰어넘어 전복적이고 독창적인 해석으로 소설을 해방시키는 능동적 독서를 한다.
선생의 주관적이고 전복적인 텍스트 읽기 몇 가지를 살펴보자. 『변신』을 비극으로 읽는다는 점은 통상적으로 합의가 되었다. 그러나 선생은 이 소설을 갑충의 영역에서 다른 데로 빠져나가는 ‘성공적인 탈출’로 읽어 내고, 탈출의 전략을 ‘흡혈’로 해석한다. 죽어가던 갑충은 누이동생의 목에 키스(즉 목을 문다)를 한다. 그렇다면 마지막 장면에 나오는 아름답고 생기로 가득 찬 누이동생의 신체는 누구의 것일까? 『베니스에서의 죽음』은 아주 높은 지적 작업을 완성한 사람이 열정이나 도취라는 디오니소스적인 것에 우연히 빠지면서 스스로 명예를 실추하는 치욕적 이야기로 읽힌다. 이 몰락의 이야기를 선생은 토마스 만의 건강한 예술미가 완성되는 과정으로 해석한다. 즉 주인공 아셴바흐가 죽어 가는 과정은, 타치오의 완벽한 아름다움을 불멸의 것으로 만들기 위해 타치오에게 들어 있는 썩는 치아를 대신 먹는 과정인 것이다. 이 밖에도 『이방인』의 뫼르소가 사형 집행을 기다리는 마지막 장면을 ‘존재를 발견하는 축제’의 장면으로 읽고, 『이반 일리치의 죽음』에서는 예수의 십자가 사건과 일치하는 서사로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이야기한다.
한편 선생은 자의적 해석을 경계하기 위해 최근 문학 연구에서 활발한 역사와 철학 담론을 작품 해석에 폭넓게 적용하기도 한다. 필리프 아리에스의 죽음사 연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과 ‘운하임리히(unheimlich: 낯선 친숙함, 으스스함)’ 개념, 베르그송의 무의적(無意的) 기억, 벤야민의 프루스트 분석과 멜랑콜리 개념, 들뢰즈와 과타리의 카프카 분석 외에도 라캉, 아도르노, 마르크스, 푸코, 바르트 등의 철학과 문화 이론을 동원해 심층적인 읽기를 시도한다. 이는 작품 해석의 풍요로움에 직결되며 선생의 문학 강의가 ‘인문학 강의의 정수’로 평가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구매가격 : 11,500 원
아무튼, 문구
도서정보 : 김규림 | 2019-08-15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일요일 저녁엔 문구점에 가요
일요일 저녁에 특별한 일정이 없으면 꼭 하는 의식 같은 것이 있으니, 바로 문구점에 가는 일이다. 일주일의 끝을 산뜻하게 마무리하는 데 문구점 방문만큼 좋은 것은 없다. 특별히 살 것이 있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그저 어슬렁거리며 둘러보는 것만으로도 일주일이 깔끔하게 마무리되는 기분이다. 문구점에 들어서자마자 느껴지는 공기, 가지런히 놓인 여러 색깔의 펜, 각 잡힌 지류들을 보면 어딘지 마음이 편안해진다. 심지어 집보다 더 편안한 느낌을 받을 때도 있다. 자전거 바구니에 문구들을 한껏 사 담아 돌아오면서 ‘다음 한 주도 잘 살아보자!’ 하는 두둑한 마음까지 함께 안고 돌아온다.
작은 문구들의 힘을 믿는다
문구 소비에는 언제나 좋은 기운과 아이디어가 함께 따라온다고 믿는다. 뭔가 잘 풀리지 않을 때, 전환이 필요한 시점에, 문구를 사서 써봄으로써 돌파구 혹은 해결책을 얻은 적이 많다. 좋은 아이템이 장착되면 잘 싸우는 게임 캐릭터처럼 새 문구를 살 때마다 일주일치 에너지가 솟아나기도 하고, 열정이 끓어올라 새 취미를 만들기도 한다. 마음에 드는 사인펜을 발견해서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고, 예쁜 노트를 매일 가지고 다니려고 일기를 써왔다. 그러니까 문방구는 무언가를 시작하는 불씨가 되기도 하고, 작업의 훌륭한 조력자가 되기도 하고, 취향을 대변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 학창 시절 책상에 앉아 무언가를 쓰면서 생각하는 시간이 또래 친구들보다 많았던 것도, 숨 막히는 학창 시절에 조금은 숨 돌리며 취미 활동에 몰두할 수 있었던 것도 모두 문구 덕분이다. 나는 생각보다 작은 문구들에게 훨씬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는지 모른다.
내가 나를 돌보는 시간
문구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내가 나를 돌보는 시간이다. 책상 위에서 무언가를 쓰거나 만드는 건 내가 나의 이야기를 듣는 일이다.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이야기에 귀 기울이는 만큼 나의 감정과 생각에도 곁을 내주고 있는지에 생각이 미치면, 우선은 책상에 앉게 된다. 머릿속의 생각들을 조금이라도 덜어내기 위해, 내가 느끼는 진짜 감정이 무엇인지 알아내기 위해, 스친 아이디어를 놓칠세라, 혹은 새로 산 펜을 어서 테스트해보고 싶어서… 쓰는 이유도 가지가지다. 그저 머릿속에 있는 생각들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만으로도 갑갑한 마음이 해소되고 위로를 얻는다. 때로는 지나간 기록 속에 담긴 예전의 내가 지금의 나에게 위로를 해오기도 한다. 문구를 사용하면서 생겨나는 차분하고 고요한 순간들이 참 좋다.
문구인 여러분, 우리는 좀 더 당당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문구 소비에는 ‘실용적’이라는 단어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 사실 글씨를 쓰기 위해서는 종이 한 장과 펜 한 자루만 있으면 된다. 누군가에게는 문구가 정말 딱 그 정도의 존재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실용성만을 가지고 논하기에는 수많은 문구점들에 꽉꽉 들어찬 수천 종류가 넘는 검정 볼펜들의 존재 이유를 좀처럼 설명하기 어렵다. 펜뿐만 아니라 다른 문구들도 그렇다. 자르기 위해서라면 가위 하나, 칼 하나만 있으면 되는데 내 책상과 서랍에는 재질과 컬러가 다른 수십 개의 칼과 가위가 있고, 언제 쓰일지도 알 수 없는 수많은 스티커들과 엽서들과 새 노트들이 있다. 그렇다. 문구의 세상은 결코 실용성만으로 돌아가지 않는 것이다.
그러니 오늘도 문구를 사면서 실용성을 잣대로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들, 굳이 실용적인 핑계를 찾아 소비를 하고 있을지 모르는 문구인 친구들에게 전하고 싶다. 문구의 진짜 가치는 실용성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예뻐서, 귀여워서, 써보고 싶어서, 그냥 사고 싶어서, 저걸 사면 오늘 하루가 더 나아질 것 같아서. 문구를 사고 싶은 이유는 실용적이라는 이유 말고도 너무나 많으니, 문구인 여러분, 우리는 좀 더 당당해질 필요가 있습니다!
구매가격 : 7,7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