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1,229 앰브로즈 비어스 서간집Ⅲ, 조지 스털링의 회고록 포함 1922(English Classics1,229 The Letters of Ambrose Bierce, With a Memoir by George Sterling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앰브로즈 비어스 서간집, 조지 스털링의 회고록 포함 1922(The Letters of Ambrose Bierce, With a Memoir by George Sterling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작성한 편지를 묶어 작가가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1914년으로부터 8년 후에 발간된 서간집(The Letters of Ambrose Bierce)입니다. 편지는 시간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작가가 50세(1892)에 보낸 1892년 7월 31일(Angwin, July 31, 1892)부터 사망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쓴 편지로 알려진 71세(1913)의 1913년 11월 6일(Laredo, Texas, November 6, 1913.)까지 미국 편집자 베르타 데이먼(Pope, Bertha Clark, 1881~1975)이 정리한 153편의 서간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정확한 사망일은 물론 사망한 장소, 사망한 이유조차 알려지지 않은 미스터리한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의 마지막 편지를 확인해 보고 싶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공식적으로 발표한 소설, 시, 수필 등의 작품이 아니라 작가가 자신의 지인, 관계자들과 주고받은 서신을 통해 작가 특유의 독특한 개성과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비어스가 사망한 후에 출간된 앰브로즈 비어스 서간집, 조지 스털링의 회고록 포함 1922(The Letters of Ambrose Bierce, With a Memoir by George Sterling by Ambrose Bierce)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 매력을 보여주는 서간집(The Letters of Ambrose Bierce)으로 작가이기 이전에 개인으로써의 면모와 필체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 The Introduction by Bertha Clark Pope. "The question that starts to the lips of ninety-nine readersv out of a hundred," says Arnold Bennett, in a review in the London New Age in 1909, "even the best informed, will assuredly be: 'Who is Ambrose Bierce?' I scarcely know, but I will say that among what I may term 'underground reputations' that of Ambrose Bierce is perhaps the most striking example. You may wander for years through literary circles and never meet anybody who has heard of Ambrose Bierce, and then you may hear some erudite student whisper in an awed voice: 'Ambrose Bierce is the greatest living prose writer.' I have heard such an opinion expressed.“ ▷ 베르타 클라크 포프의 서론(The Introduction by Bertha Clark Pope). 1909년 런던 뉴에이지의 평론에서 아놀드 베넷은 "99명의 독자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하는 질문은, 아무리 잘 아는 사람이라도, '앰브로즈 비어스가 누구인가?'라는 질문이 될 것입니다. 저는 잘 모르지만, 제가 '앰브로즈 비어스의 지하 평판'이라고 부르는 것 중에서, 앰브로즈 비어스에 대한 평판이 아마도 가장 눈에 띄는 예일 것이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여러분은 수년 동안 문학계를 떠돌다가 앰브로즈 비어스에 대해 들어본 사람을 절대 만나지 못할 것이고, 그러고 나서 어떤 박식한 학생이 경외하는 목소리로 속삭이는 것을 들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앰브로즈 비어스는 살아있는 산문 작가 중 가장 위대한 사람입니다.' 저는 그런 의견을 들어본 적이 있습니다.‘
▶ A Memoir of Ambrose Bierce by George Sterling. Though from boyhood a lover of tales of the terrible,xxxiii it was not until my twenty-second year that I heard of Ambrose Bierce, I having then been for ten months a resident of Oakland, California. But in the fall of the year 1891 my friend Roosevelt Johnson, newly arrived from our town of birth, Sag Harbor, New York, asked me if I were acquainted with his work, adding that he had been told that Bierce was the author of stories not inferior in awesomeness to the most terrible of Poe's. ▷ 조지 스털링이 쓴 앰브로즈 비어스의 회고록(A Memoir of Ambrose Bierce by George Sterling). 소년 시절부터 끔찍한 이야기를 좋아했지만, 스물두 번째 해가 되어서야 앰브로즈 비어스에 대해 알게 되었고, 그 후로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에 10개월 동안 거주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1891년 가을, 제 친구 루즈벨트 존슨이 우리의 출생지인 뉴욕 사그하버에서 새로 온 저에게 그의 작품을 아느냐고 물었고, 그는 비어스가 포의 가장 끔찍한 이야기들에 뒤지지 않는 놀라운 이야기들의 작가라고 들었다고 덧붙였습니다.
▶ Dear Lora, I wrote you yesterday at San Antonio, but dated the letter here and today, expecting to bring the letter and mail it here. That's because I did not know if I would have time to write it here. Unfortunately, I forgot and posted it, with other letters, where it was written. Thus does man's guile come to naught! Well, I'm here, anyhow, and have time to explain. Laredo was a Mexican city before it was an American. It is Mexican now, five to one. Nuevo Laredo, opposite, is held by the Huertistas and Americans don't go over there. In fact a guard on the bridge will not let them. So those that sneak across have to wade (which can be done almost anywhere) and go at night. I shall not be here long enough to hear from you, and don't know where I shall be next. Guess it doesn't matter much. Adios,Ambrose. ▷ 친애하는 로라(Lora), 어제 샌안토니오에서 편지를 썼지만, 편지를 가져와 여기로 부칠 예정이어서 여기와 오늘 편지에 날짜를 적었습니다. 여기에 글을 쓸 시간이 있을지 몰랐기 때문이죠. 불행하게도 나는 그것을 잊어버리고 다른 편지와 함께 그 곳에 적어 두었습니다. 그리하여 인간의 간계는 수포로 돌아갑니다! 글쎄요, 어쨌든 저는 여기 있고 설명할 시간이 있어요. 라레도(Laredo)는 미국인이 되기 전에는 멕시코의 도시였습니다. 이제 멕시코 사람이 5 대 1이 됩니다. 반대로 누에보 라레도(Nuevo Laredo)는 후에르티스타스(Huertistas)가 소유하고 있으며 미국인은 그곳으로 가지 않습니다. 실제로 다리 위의 경비원이 그들을 허락하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몰래 건너가는 사람들은 걸어서(거의 어디에서나 할 수 있음) 밤에 가야 합니다. 나는 당신의 소식을 들을 수 있을 만큼 여기에 오래 머물지 못할 것이고, 내가 다음에 어디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크게 상관은 없을 것 같아요. 안녕, 앰브로즈.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20 앰브로즈 비어스의 점토의 형태Ⅳ 1903(English Classics1,220 Shapes of Clay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점토의 형태 1903(Shapes of Clay by Ambrose Bierce)은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61세(1903년)의 원숙한 시기에 발표한 짤막한 단편 모음집으로 작가 특유의 위트와 유머(Wit and Humor)를 만끽하실 수 있는 미국식 시집(American Poetry)입니다. 헌사(Dedication)와 서두(Preface)를 제외한 점토의 형태 1903는 목차상으로 무려 234편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지만, 각각의 분량은 1,000자 안팎으로 부담없이, 순서에 관계없이 읽기 좋은 작품입니다. 분량이 짧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 특유의 독특한 설정과 여운이 남는 반전 등의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비어스가 61세(1903년)의 나이로 발표한 점토의 형태 1903(Shapes of Clay by Ambrose Bierce)은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 매력을 보여주는 우화집으로 작가의 시인으로써의 필력과 필체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작가는 자신의 젊은 친구이자 제자 조지 스털링(George Sterling, 1869~1926)과 독일계 미국인 시인이자 건축가로 활동한 허먼 셰파우어(Hermann Georg Scheffauer, 1878~1927)에게 점토의 형태 1903(Shapes Of Clay By Ambrose Bierce)를 헌정하였습니다. Dedication. With Pride In Their Work, Faith In Their Future And Affection For Themselves, An Old Writer Dedicates This Book To His Young Friends And Pupils, George Sterling And Herman Scheffauer. A.B. 헌사(獻詞). 자신의 일에 대한 자부심, 자신의 미래에 대한 믿음, 자신에 대한 애정을 갖고 있는 늙은 작가는 자신의 젊은 친구이자 제자인 조지 스털링과 허먼 셰파우어에게 이 책을 헌정합니다. A.B.
▶ PREFACE. Some small part of this book being personally censorious, and in that part the names of real persons being used without their assent, it seems fit that a few words be said of the matter in sober prose. What it seems well to say I have already said with sufficient clarity in the preface of another book, somewhat allied to this by that feature of its character. I quote from "Black Beetles in Amber:“ ▷ 서문. 이 책의 일부 부분은 개인적으로 비판적이며 실제 인물의 이름이 동의 없이 사용되는 부분이 있으므로 냉철한 산문으로 이 문제에 대해 몇 마디 언급하는 것이 적절해 보입니다. 말하는 것이 좋을 것 같은 것은 이미 다른 책의 서문에서 충분히 명확하게 말했는데, 그 책의 성격이 어느 정도 연관되어 있습니다. 나는 "호박 속의 검은 딱정벌레(Black Beetles in Amber)"를 인용합니다:
▶ "Many of the verses in this book are republished, with considerable alterations, from various newspapers. Of my motives in writing and in now republishing I do not care to make either defence or explanation, except with reference to those who since my first censure of them have passed away. To one having only a reader's interest in the matter it may easily seem that the verses relating to those might properly have been omitted from this collection. But if these pieces, or indeed, if any considerable part of my work in literature, have the intrinsic worth which by this attempt to preserve some of it I have assumed, their permanent suppression is impossible, and it is only a question of when and by whom they will be republished. Some one will surely search them out and put them in circulation. ▷ "이 책에 있는 많은 구절들은 다양한 신문에서 상당한 변형과 함께 재발행됩니다. 글을 쓰고 지금 다시 출판하는 나의 동기에 대해 나는 그것들에 대한 첫 번째 비난 이후로 사망한 사람들에 대해 언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방어나 설명을 하고 싶지 않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독자의 관심만 있는 사람에게는 그것들과 관련된 구절들이 이 모음집에서 적절하게 누락된 것처럼 보일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이 작품들이, 또는 정말로, 내 문학 작품의 상당한 부분이 내가 가정했던 것 중 일부를 보존하려는 시도에 의한 본질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면, 그것들의 영구적인 억제는 불가능하고, 그것들이 언제 누구에 의해 재발행될 것인지의 문제일 뿐입니다. 누군가는 반드시 그것들을 찾아내고 그것들을 유통시킬 것입니다.
▶ "I conceive it the right of an author to have his fugitive work collected in his lifetime; and this seems to me especially true of one whose work, necessarily engendering animosities, is peculiarly exposed to challenge as unjust. That is a charge that can best be examined before time has effaced the evidence. For the death of a man of whom I have written what I may venture to think worthy to live I am no way responsible; and however sincerely I may regret it, I can hardly consent that it shall affect my literary fortunes. If the satirist who does not accept the remarkable doctrine that, while condemning the sin he should spare the sinner, were bound to let the life of his work be coterminous with that of his subject his were a lot of peculiar hardship. ▷ "나는 작가의 일생 동안 도망친 작품을 수집하는 것이 작가의 권리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적개심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작품이 부당한 것으로 도전을 받는 작가의 경우에 특히 그렇습니다. 내가 감히 살아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글을 쓴 사람의 죽음에 대해서는 나에게는 아무런 책임이 없으며, 아무리 진심으로 후회하더라도 나는 동의할 수 없습니다. 내 문학적 운명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죄를 정죄하면서도 죄인을 살려야 한다는 놀라운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는 풍자가가 자신의 작품의 삶을 주제의 삶과 동일하게 유지해야 한다면, 그의 작품은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입니다.
▶ In arranging these verses for publication I have thought it needless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character, as "Serious," "Comic," "Sentimental," "Satirical," and so forth. I do the reader the honor to think that he will readily discern the nature of what he is reading; and I entertain the hope that his mood will accommodate itself without disappointment to that of his author. AMBROSE BIERCE. ▷ 출판을 위해 이 구절들을 정리할 때 나는 성격에 따라 "진지한", "희극적인", "감상적인", "풍자적인" 등으로 분류하는 것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나는 독자가 자신이 읽고 있는 내용의 성격을 쉽게 분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는 그의 기분이 저자의 기분에 실망하지 않고 스스로 적응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앰브로스 비어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31 앰브로즈 비어스 전집 제1권 1909~1912(English Classics1,231 The Collected Works of Ambrose Bierce, Volume 01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앰브로즈 비어스 전집 1909~1912(The Collected Works of Ambrose Bierce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의 생전에 출간된 12권 분량의 전집(The Collected Works of Ambrose Bierce)입니다. ▶ 미국 출판사 닐 퍼블리싱 컴퍼니(Neale Publishing Company, 1894~1933)는 1909년부터 앰브로즈 비어스 전집(The Collected Works of Ambrose Bierce)을 발행하기 시작하였으며, 3년(1912)만에 12부작으로 완간하였습니다. 전집의 특성상 권수나 책의 목차 순에 구애받으실 필요없이, 어디서부터 읽어도 좋은 ‘앰브로즈 비어스 작품집’으로 군인이자 작가로써 전장과 책상을 오간 앰브로즈 비어스만의 독특한 매력을 온전하게 즐기실 수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앰브로즈 비어스 전집 제1권 1909~1912(The Collected Works of Ambrose Bierce, Volume 01 by Ambrose Bierce)는 신호의 재, 1909(Ashes Of The Beacon)부터 타격 너머의 땅, 1909(The Land Beyond The Blow), 아쿤드를 위하여, 1909(For The Ahkoond), 해방자, 존 스미스, 1873(John Smith, Liberator), 그리고 자서전의 조각, 1998(Bits Of Autobiography)까지 다섯 작품을 수록하고 있으며, 가장 방대한 분량의 타격 너머의 땅, 1909(The Land Beyond The Blow)와 자서전의 조각, 1998(Bits Of Autobiography)은 각각 11 챕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총 12권의 전집 중 작가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올빼미 시냇물 다리에서 생긴 일(An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 1890)이 수록된 군인과 민간인 이야기(Tales of Soldiers and Civilians, 1891)는 제2권, 악마의 사전(The Devil's Dictionary, 1906)은 제7권에 해당하며, 구텐베르크 프로젝트(Project Gutenberg)를 기준으로 12권의 전집 중 제1권부터 제2권, 제8권, 제9권, 제10권, 제11권, 그리고 제12권까지 총 7권이 공개되어 있습니다.(2023년 기준)
▶ Ashes of the Beacon. The ancient Americans were a composite people; their blood was a blend of all the strains known in their time. Their government, while they had one, being merely a loose and mutable expression of the desires and caprices of the majority—that is to say, of the ignorant, restless and reckless—gave the freest rein and play to all the primal instincts and elemental passions of the race. In so far and for so long as it had any restraining force, it was only the restraint of the present over the power of the past—that of a new habit over an old and insistent tendency ever seeking expression in large liberties and indulgences impatient of control. In the history of that unhappy people, therefore, we see unveiled the workings of the human will in its most lawless state, without fear of authority or care of consequence. Nothing could be more instructive. ▷ 비콘의 재(Ashes of the Beacon). 고대 미국인들은 복합적인 민족이었습니다. 그들의 피는 그들 시대에 알려진 모든 변종들의 혼합물이었습니다. 그들의 정부는, 단지 하나가 있었지만, 다수의 욕망과 변덕, 즉 무지하고 불안하며 무모한 사람들의 자유롭고 변덕스러운 표현에 불과했고, 인종의 모든 기본적인 본능과 기본적인 열정에 가장 자유로운 고삐와 놀이를 부여했습니다. 지금까지 그리고 오랫동안, 그것이 어떤 구속력을 가지고 있는 한, 그것은 과거의 권력에 대한 현재의 구속일 뿐이었습니다. 그것은 단지 큰 자유에서 표현을 찾고 통제에 조급한 면죄부를 주려는 오래되고 고집스러운 경향에 대한 새로운 습관이었습니다. 그러므로 그 불행한 사람들의 역사에서, 우리는 권위에 대한 두려움이나 결과에 대한 관심 없이, 가장 무법한 상태에서 인간 의지의 작용을 공개한 것을 봅니다. 이보다 더 교훈적인 것은 없습니다.
▶ The Dog in Ganegwag. Selecting a sheltered cove, which appeared to be at the mouth of a small creek, we beached the boat, and leaving two men to guard it started inland toward a grove of trees. Before we reached it an animal came out of it and advanced confidently toward us, showing no signs of either fear or hostility. It was a hideous creature, not altogether like anything that we had ever seen, but on its close approach we recognized it as a dog, of an unimaginably loathsome breed. As we were nearly famished one of the sailors shot it for food. ▷ 가네과그의 개(The Dog in Ganegwag). 작은 개울 어귀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안전한 만을 선택하여 우리는 배를 해변에 정박했고, 배를 지키도록 두 사람을 남겨두고 나무숲을 향해 내륙으로 출발했습니다. 우리가 거기에 도달하기도 전에 동물 한 마리가 그곳에서 나와 두려움이나 적대감의 흔적 없이 자신 있게 우리를 향해 다가왔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지금까지 본 어떤 것과도 전혀 같지 않은 흉측한 생물이었지만, 가까이 다가가자 우리는 그것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혐오스러운 품종의 개라는 것을 알아차렸습니다. 우리가 거의 배고파졌을 때 선원 중 한 명이 음식을 얻기 위해 총을 쏘았습니다.
▶ John Smith, Liberator. At the quiet little village of Smithcester, which certain archæologists have professed to “identify” as the ancient London, will be celebrated to-day the thirtieth centennial anniversary of the birth of this remarkable man, the foremost figure of antiquity. The recurrence of what no more than six centuries ago was a popular fête day and even now is seldom permitted to pass without recognition by those to whom liberty means something more precious than opportunity for gain, excites a peculiar emotion. ▷ 해방자, 존 스미스(John Smith, Liberator). 어떤 고고학자들이 고대 런던으로 “동정”했다고 공언한 조용하고 작은 마을 스미스세스터에서 고대의 최고 인물인 이 놀라운 인물의 탄생 300주년이 오늘 기념될 것입니다. 불과 600년 전만 해도 대중적인 축제일이었고 지금도 자유가 이득의 기회보다 더 귀중한 것을 의미하는 사람들에게 인식 없이 지나가는 일이 거의 허용되지 않는 일의 재발은 특별한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16 앰브로즈 비어스의 환상적인 우화Ⅳ 1899(English Classics1,216 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57세(1899년)에 발표한 짤막한 단편 모음집으로 작가 특유의 위트와 유머(Wit and Humor)를 만끽하실 수 있는 미국식 우화집(Fables, American)입니다. 도덕원칙과 물질적 이익(The Moral Principle and the Material Interest)부터 충실한 아들(The Dutiful Son)까지 무려 181편의 우화를 비롯해 서너 줄 분량의 극도로 짧은 우화집 - 47편의 아이소푸스 에멘다투스(Aesopus Emendatus)와 17편의 새로운 이빨이 있는 낡은 톱 우리 시대의 생활에 적용되는 특정 고대 우화(Old Saws With New Teeth Certain Ancient Fables Applied To The Life Of Our Times)가 함께 실려 있습니다.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목차상으로 무려 245편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지만, 각각의 분량은 1,000자 안팎으로 부담없이, 순서에 관계없이 읽기 좋은 작품입니다. 분량이 짧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 특유의 독특한 설정과 여운이 남는 반전 등의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비어스가 57세(1899년)의 나이로 발표한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 매력을 보여주는 우화집으로 작가의 위트와 유머(Wit and Humor)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The Cat and the Youth. A Cat fell in love with a handsome Young Man, and entreated Venus to change her into a woman. “I should think,” said Venus, “you might make so trifling a change without bothering me. However, be a woman.” Afterward, wishing to see if the change were complete, Venus caused a mouse to approach, whereupon the woman shrieked and made such a show of herself that the Young Man would not marry her. ▷ 고양이와 청년(The Cat and the Youth). 고양이는 잘생긴 청년과 사랑에 빠졌고, 비너스에게 그녀를 여자로 바꿔달라고 간청했습니다. “내 생각에는 당신이 나를 귀찮게 하지 않고도 아주 사소한 변화를 줄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비너스가 말했습니다. 하지만 여자가 되세요.” 그 후 비너스는 변화가 완전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기 위해 쥐 한 마리를 가까이 오게 했고, 그러자 여자는 비명을 지르며 그 청년이 자신과 결혼하지 않겠다는 과시를 했습니다.
▶ The Mountain and the Mouse. A Mountain was in labour, and the people of seven cities had assembled to watch its movements and hear its groans. While they waited in breathless expectancy out came a Mouse. “Oh, what a baby!” they cried in derision. “I may be a baby,” said the Mouse, gravely, as he passed outward through the forest of shins, “but I know tolerably well how to diagnose a volcano.” ▷ 산과 쥐(The Mountain and the Mouse). 산이 진통 중이었고, 일곱 도시의 사람들이 그 움직임을 지켜보고 그 신음 소리를 듣기 위해 모였습니다. 그들이 숨 가쁘게 기대되는 가운데 쥐 한 마리가 나왔습니다. “아, 정말 아기구나!” 그들은 비웃으며 울었습니다. 생쥐는 정강이 숲을 지나며 엄숙하게 말했습니다. “하지만 나는 화산을 진단하는 방법을 아주 잘 알고 있습니다.”
▶ The Lion and the Mouse. A Judge was awakened by the noise of a lawyer prosecuting a Thief. Rising in wrath he was about to sentence the Thief to life imprisonment when the latter said: “I beg that you will set me free, and I will some day requite your kindness.” Pleased and flattered to be bribed, although by nothing but an empty promise, the Judge let him go. Soon afterward he found that it was more than an empty promise, for, having become a Thief, he was himself set free by the other, who had become a Judge. ▷ 사자와 쥐(The Lion and the Mouse). 판사가 도둑을 기소하는 변호사의 소음에 잠에서 깨어났습니다. 화가 나서 그는 도둑에게 종신형을 선고하려고 했을 때 도둑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부디 저를 자유롭게 해주세요. 언젠가는 당신의 친절에 보답하겠습니다.” 판사는 뇌물을 받은 것을 기뻐하고 기뻐했지만 단지 헛된 약속에 불과했지만 그를 놓아주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그것이 공허한 약속 이상의 것임을 깨달았습니다. 왜냐하면 도둑이 되자 자신은 재판관이 된 다른 사람에 의해 자유로워졌기 때문입니다.
▶ The Monkey and the Nuts. A Certain City desiring to purchase a site for a public Deformatory procured an appropriation from the Government of the country. Deeming this insufficient for purchase of the site and payment of reasonable commissions to themselves, the men in charge of the matter asked for a larger sum, which was readily given. Believing that the fountain could not be dipped dry, they applied for still more and more yet. Wearied at last by their importunities, the Government said it would be damned if it gave anything. So it gave nothing and was damned all the harder. ▷ 원숭이와 견과류(The Monkey and the Nuts). 공공 변형을 위한 부지를 구매하고자 하는 어떤 도시가 해당 국가 정부로부터 예산을 조달했습니다. 부지를 구입하고 합당한 수수료를 지불하기에는 이것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해당 문제를 담당하는 사람들은 더 많은 금액을 요구했고 기꺼이 주어졌습니다. 그 샘물은 물에 담글 수 없다고 믿고 그들은 더욱 더 많은 것을 요청했습니다. 마침내 그들의 끈질긴 요구에 지친 정부는 아무것도 주면 저주받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아무것도 주지 않았고 더욱 더 심하게 저주를 받았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25 앰브로즈 비어스의 다이얼 위의 그림자와 다른 에세이 1909(English Classics1,225 The Shadow On The Dial, and Other Essays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다이얼 위의 그림자와 다른 에세이 1909(The Shadow On The Dial, and Other Essays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67세(1909년)의 원숙한 시기에 발표한 짤막한 수필집(American Essays)입니다. 헌사(A NOTE BY THE AUTHOR)와 서두(Preface)를 제외한 다이얼 위의 그림자와 다른 에세이 1909는 목차상으로 19편의 에세이를 포괄하고 있습니다만, 각각의 작품은 최대 9 단락으로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담없이, 순서에 관계없이 읽기 좋습니다. 역설적으로 개별 작품의 분량이 짧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 특유의 독특한 설정과 여운이 남는 반전 등의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비어스가 67세(1909년)의 나이로 발표한 다이얼 위의 그림자와 다른 에세이 1909(The Shadow On The Dial, and Other Essays by Ambrose Bierce)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된 매력을 보여주는 우화집으로 작가의 시인으로써의 필력과 필체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A NOTE BY THE AUTHOR. IT WAS expected that this book would be included in my "Collected Works" now in course of publication, but unforeseen delay in the date of publication has made this impossible. The selection of its contents was not made by me, but the choice has my approval and the publication my authority. AMBROSE BIERCE. Washington, D. C. March 14. 1909. ▷ 작가의 노트. 이 책은 현재 출판 과정에서 나의 "전집"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예상치 못한 출판 날짜의 지연으로 인해 이것이 불가능했습니다. 그 내용의 선택은 내가 한 것이 아니나 선택은 나의 승인과 출판의 권한에 있습니다. 앰브로스 비어스. 워싱턴 D.C. 1909년 3월 14일.
▶ PREFACE. THE note of prophecy! It sounds sharp and clear in many a vibrant line, in many a sonorous sentence of the essays herein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Written for various Californian journals and periodicals and extending over a period of more than a quarter of a century, these opinions and reflections express the refined judgment of one who has seen, not as through a glass darkly, the trend of events. And having seen the portentous effigy that we are making of the Liberty our fathers created, he has written of it in English that is the despair of those who, thinking less clearly, escape not the pitfalls of diffuseness and obscurity. ▷ 머리말(PREFACE). 예언의 메모! 여기에 처음으로 수집된 에세이의 많은 생생한 문장에서 그것은 선명하고 명확하게 들립니다. 캘리포니아의 다양한 저널과 정기 간행물에 기고되었으며 25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작성된 이러한 의견과 성찰은 사건의 추세를 유리를 통해 어둡게 보지 않고 본 사람의 세련된 판단을 표현합니다. 그리고 우리 조상들이 창조한 자유에 대해 우리가 만들고 있는 놀라운 형상을 보고 그는 덜 명확하게 생각하고 산만함과 모호함의 함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의 절망을 영어로 썼습니다.
▶ The 'predatory rich' (to use Mr. Stead's felicitous term) put their hands into our pockets because they know that, virtually, none of us will refuse to take their hands in our own afterwards, in friendly salutation. If notorious rascality entailed social outlawry the only rascals would be those properly—and proudly—belonging to the 'criminal class.‘ ▷ '약탈적인 부자'(스테드 씨의 좋은 표현을 빌리자면)는 사실상 우리 중 어느 누구도 나중에 친근한 인사로 손을 잡는 것을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우리 주머니에 손을 넣었습니다. 악명 높은 악당이 사회적 무법을 수반한다면 유일한 악당은 당연히 그리고 자랑스럽게도 '범죄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일 것입니다.
▶ Again, Edwin Markham has attracted to himself no little attention by advocating the application of the Golden Rule in temporal affairs as a cure for evils arising from industrial discontent In this he, too, has been anticipated. Mr. Bierce, writing in "The Examiner," March 25, 1894, said: "When a people would avert want and strife, or having them, would restore plenty and peace, this noble commandment offers the only means—all other plans for safety and relief are as vain as dreams, and as empty as the crooning of fools. And, behold, here it is: 'All things whatsoever ye would that men should do to you, do ye even so to them.'“ ▷ 다시 한 번 에드윈 마크햄(Edwin Markham)은 산업계의 불만으로 인해 발생하는 해악을 치료하기 위해 현세 문제에 황금률을 적용할 것을 옹호함으로써 적지 않은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점에서 그도 역시 예상되었습니다. Bierce 씨는 1894년 3월 25일자 "더 이그나이저(The Examiner)"에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사람들이 궁핍과 다툼을 피하거나 그것을 소유하여 풍요와 평화를 회복할 때, 이 고귀한 계명은 유일한 수단, 즉 모든 계획을 제공합니다. 안전과 안도는 꿈처럼 헛되고, 어리석은 자의 노래처럼 헛되다. 보라,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하였느니라."
▶ The essays cover a wide range of subjects, embracing among other things government, dreams, writers of dialect, and dogs, and always the author's point of view is fresh, original and non-Philistine. Whether one cares to agree with him or not, one will find vast entertainment in his wit that illuminates with lightning flashes all he touches. Other qualities I forbear allusion to, having already encroached too much upon the time of the reader. S. O. HOWES. ▷ 수필은 정부, 꿈, 방언 작가, 개 등 다양한 주제를 포괄하며, 저자의 관점은 항상 신선하고 독창적이며 비속물적입니다. 그 사람의 의견에 동의하든 안 하든, 사람은 그가 만지는 모든 것을 번개처럼 번쩍이는 그의 재치에서 광대한 즐거움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다른 특성에 대해서는 이미 독자의 시간을 너무 많이 침해했기 때문에 언급을 삼가겠습니다. S. O. HOWES.(1867~1918)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03 앰브로즈 비어스의 악마의 환희 1873(English Classics1,203 The Fiend's Delight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악마의 환희 1873(The Fiend's Delight by Ambrose Bierce)은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의 짤막한 소설(Some Fiction), 수다(Tall Talk), 저널(Current Journalings), 부고(Obituary Notices),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사색(Musings,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유머(Laughorisms), 시(Poesy)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작품 60여 편을 묶은 잡문집(Collection Of Miscellaneous Works)입니다. 비어스는 1872년부터 1875년까지 영국 런던에 거주하면서, 자신의 글을 펀 매거진(Fun Magazine)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에 기고하였습니다.
▶ 이를 영국의 출판업자 존 캠든 호튼(John Camden Hotten, 1832~1873)이 단행본으로 묶어 1873년 출간한 작품이 악마의 환희 1873(The Fiend's Delight by Ambrose Bierce)입니다. 호튼은 영국의 희귀하고 특이한 책을 수집하는 도서 애호가(an English bibliophile)이자 외설적인 시리즈물을 몰래 출판(clandestine publisher of erotica)한 출판업자로써, 유머와 풍자가 담긴 작품을 유독 좋아하였습니다. 본인이 직접 현대 속어, 캔트, 저속한 단어 사전(A Dictionary of Modern Slang, Cant, and Vulgar Words, 1859)란 속어 사전을 편집할 정도로 말이죠! 그의 특이한 취향 덕분에 호튼 출판사는 미국의 젊고 실험적인 작가들을 영국에 최초로 소개하는 업적(Hotten was the first publisher to introduce into England the humorous and other works of American writers)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몇몇 작가만 꼽아보더라도 미국 ‘자유시의 아버지’ 월트 휘트먼(Walt Whitman, 1819~1892))의 시(1868), 마크 트웨인(Mark Twain, 1835~1910)의 마크 트웨인 여행기(The Innocents Abroad, 1870), 앰브로즈 비어스의 너겟과 먼지: 캘리포니아에서 패닝(Nuggets and Dust: Panned Out in California, 1872)…….
▶ 비어스의 초기 작품 중에서도 초기작으로 꼽히는 악마의 환희 1873은 출간 당시 본명이 아닌 도드 그릴(Dod Grile)이란 가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을 초기작에서 재확인하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1873. TO THE IMMUTABLE AND INFALLIBLE GODDESS, GOOD TASTE, IN GRATITUDE FOR HER CONDEMNATION OF ALL SUPERIOR AUTHORS, AND IN THE HOPE OF PROPITIATING HER CREATORS AND EXPOUNDERS, This Volume is reverentially Dedicated BY HER DEVOUT WORSHIPPER, THE AUTHOR. ▷ 1873. 모든 상위 작가들을 비난한 것에 대한 감사와 그녀의 창조자와 해설자들의 화해를 바라는 마음으로, 불변하고 오류가 없는 여신에게 이 책을 그녀의 독실한 숭배자인 저자가 경건하게 헌정했습니다.
▶ PREFACE. The atrocities constituting this “cold collation” of diabolisms are taken mainly from various Californian journals. They are cast in the American language, and liberally enriched with unintelligibility. If they shall prove incomprehensible on this side of the Atlantic, the reader can pass to the other side at a moderately extortionate charge. In the pursuit of my design I think I have killed a good many people in one way and another; ▷ 머리말. 이러한 악마주의의 “차가운 대조”를 구성하는 잔학 행위는 주로 다양한 캘리포니아 저널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그들은 미국 언어로 캐스팅되었으며, 이해하기 어려운 내용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습니다. 대서양 이쪽에서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면 독자는 적당한 강탈 혐의로 반대편으로 넘어갈 수 있습니다. 내 디자인을 추구하면서 나는 이런 저런 방식으로 많은 사람을 죽였다고 생각합니다.
▶ “One More Unfortunate.” In a cosy, vine-embowered cottage near the sounding sea, lives and suffers a blighted female. Nothing being known of her past history, she is treated by her neighbours with marked respect. She never speaks of the past, but it has been remarked that whenever the stalwart form of a certain policeman passes her door, her clean, delicate face assumes an expression which can only be described as frozen profanity. ▷ “한 번 더 불행하다.” 파도치는 바다 근처의 아늑하고 덩굴로 둘러싸인 오두막에는 역병에 걸린 암컷이 살고 있으며 고통 받고 있습니다. 그녀의 과거 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그녀는 이웃들로부터 뚜렷한 존경심을 가지고 대우받습니다. 그녀는 결코 과거에 대해 말하지 않지만, 어떤 경찰관의 건장한 모습이 그녀의 문을 지나갈 때마다 그녀의 깨끗하고 섬세한 얼굴은 얼어붙은 욕설이라고밖에 표현할 수 없는 표정을 짓는다고 합니다.
▶ A Call to Dinner. We verily believe that Shakspeare writ down Fat Jack at his last gasp, as babbling, not o’ green fields, but o’ green turtle, and that that starvling Colley Cibber altered the text from sheer envy at a good man’s death. To die well we must live well, is a familiar platitude. Morality is, of course, best promoted by the good quality of our fare, but quantitative excellence is by no means to be despised. Cæteris paribus, the man who eats much is a better Christian than the man who eats little, and he who eats little will pursue a more uninterrupted course of benevolence than he who eats nothing. ▷ 저녁 식사에 대한 전화. 우리는 셰익스피어가 마지막 숨이 막힐 때 팻 잭(Fat Jack)이 녹색 들판이 아니라 녹색 거북을 옹알이로 썼다고 믿고 있으며, 그 굶주린 콜리 시버(Colley Cibber)는 선한 사람의 죽음에 대한 순전한 부러움에서 그 텍스트를 바꾸었다고 믿습니다. 잘 죽으려면 잘 살아야 한다는 것은 익숙한 진부한 표현이죠. 물론 도덕성은 우리 음식의 좋은 품질에 의해 가장 잘 촉진되지만, 양적 우수성은 결코 경멸될 수 없습니다. 캐테리스 파리부스, 많이 먹는 사람은 적게 먹는 사람보다 더 나은 그리스도인이며, 적게 먹는 사람은 아무것도 먹지 않는 사람보다 더 중단 없는 자비의 길을 추구할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26 앰브로즈 비어스의 인생에 대한 냉소적인 시선 1912(English Classics1,226 A Cynic Looks at Life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생에 대한 냉소적인 시선 1912(A Cynic Looks at Life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70세(1912년)의 원숙한 시기에 발표한 수필집(American Essays)입니다. 목차상으로 8편의 에세이를 포괄하고 있습니다만, 가장 긴 작품이라도 최대 5 단락으로 세분화되어 있기 때문에 부담없이, 순서에 관계없이 읽기 좋습니다. 역설적으로 개별 작품의 분량이 짧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 특유의 독특한 설정과 여운이 남는 반전 등의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비어스가 70세(1912년)의 나이로 발표한 인생에 대한 냉소적인 시선 1912(A Cynic Looks at Life by Ambrose Bierce)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된 매력을 보여주는 수필집(American Essays)으로 작가의 시인으로써의 필력과 필체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 CIVILIZATION. The question "Does civilization civilize?" is a fine example of petitio principii, and decides itself in the affirmative; for civilization must needs do that from the doing of which it has its name. But it is not necessary to suppose that he who propounds is either unconscious of his lapse in logic or desirous of digging a pitfall for the feet of those who discuss; I take it he simply wishes to put the matter in an impressive way, and relies upon a certain degree of intelligence in the interpretation. ▷ 문명(CIVILIZATION). "문명은 문명화되는가?"라는 질문은 소시민 원리의 훌륭한 예이며, 긍정적인 입장에서 스스로를 결정합니다. 왜냐하면 문명은 자신의 이름을 가진 행동으로부터 문명화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것을 추진하는 사람이 자신의 논리적 실수를 의식하지 않거나 논의하는 사람들의 발을 위해 함정을 파고 싶어 한다고 가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저는 그가 단순히 이 문제를 인상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를 원하며, 해석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지능에 의존한다고 생각합니다.
▶ THE DEATH PENALTY. "Down with the gallows!" is a cry not unfamiliar in America. There is always a movement afoot to make odious the just principle; of "a life for a life"—to represent it as "a relic of barbarism," "a usurpation of the divine authority," and the rest of it. The law making murder punishable by death is as purely a measure of self-defense as is the display of a pistol to one diligently endeavoring to kill without provocation. It is in precisely the same sense an admonition, a warning to abstain from crime. ▷ 사형제도(THE DEATH PENALTY). "교수대를 무너뜨려라!" 미국에서는 낯설지 않은 외침입니다. 정당한 원칙을 혐오스럽게 만드는 움직임이 항상 진행되고 있습니다. "생명에는 생명"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이를 "야만의 유물", "신적 권위의 찬탈" 등으로 표현합니다. 살인을 사형으로 처벌하는 법은 이유 없이 살인을 하려고 부지런히 노력하는 사람에게 권총을 보여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순전히 정당방위의 척도입니다. 그것은 정확히 같은 의미에서 범죄를 삼가라는 훈계, 경고입니다.
▶ IMMORTALITY. The desire for life everlasting has commonly been affirmed to be universal—at least that is the view taken by those unacquainted with Oriental faiths and with Oriental character. Those of us whose knowledge is a trifle wider are not prepared to say that the desire is universal nor even general. If the devout Buddhist, for example, wishes to "live always," he has not succeeded in very clearly formulating the desire. The sort of thing that he is pleased to hope for is not what we should call life, and not what many of us would care for. ▷ 불사(IMMORTALITY). 영생에 대한 열망은 보편적인 것으로 일반적으로 확인되어 왔습니다. 적어도 그것은 동양 신앙과 동양적 성격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취하는 견해입니다. 지식이 조금 더 넓은 우리는 그 욕구가 보편적이거나 심지어 일반적이라고 말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독실한 불교도가 "항상 살기"를 바란다면 그 소망을 아주 명확하게 표현하는 데는 성공하지 못한 것입니다. 그가 기뻐하는 것은 우리가 삶이라고 부르는 것이 아니며,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것도 아닙니다.
▶ EMANCIPATED WOMAN. What I should like to know is, how "the enlargement of woman's sphere" by her entrance into various activities of commercial, professional and industrial life benefits the sex. It may please Helen Gougar and satisfy her sense of logical accuracy to say, as she does: "We women must work in order to fill the places left vacant by liquor-drinking men." But who filled these places before? Did they remain vacant, or were there then disappointed applicants, as now? If my memory serves, there has been no time in the period that it covers when the supply of workers—abstemious male workers—was not in excess of the demand. That it has always been so is sufficiently attested by the universally inadequate wage rate. ▷ 해방된 여성(EMANCIPATED WOMAN). 제가 알고 싶은 것은, 상업적, 직업적, 산업적인 삶의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여성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이 어떻게 성에 혜택을 주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헬렌 구거 씨를 기쁘게 하고 논리적인 정확성에 대한 그녀의 말을 만족시켜 줄지도 모르겠군요. "우리는 술을 마시는 남성들로 인해 공석이 된 자리를 메우기 위해 여성들이 일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 자리를 누가 전에 채웠을까요? 아니면 지금처럼 실망한 지원자들이 있었나요? 제 기억으로는, 노동자들의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지 않았던 시기는 과거에도 없었습니다. 항상 그렇게 되어 왔다는 사실은, 보편적으로 불충분한 임금률로도 충분히 입증되고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15 앰브로즈 비어스의 환상적인 우화Ⅲ 1899(English Classics1,215 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57세(1899년)에 발표한 짤막한 단편 모음집으로 작가 특유의 위트와 유머(Wit and Humor)를 만끽하실 수 있는 미국식 우화집(Fables, American)입니다. 도덕원칙과 물질적 이익(The Moral Principle and the Material Interest)부터 충실한 아들(The Dutiful Son)까지 무려 181편의 우화를 비롯해 서너줄 분량의 극도로 짧은 우화집 - 47편의 아이소푸스 에멘다투스(Aesopus Emendatus)와 17편의 새로운 이빨이 있는 낡은 톱 우리 시대의 생활에 적용되는 특정 고대 우화(Old Saws With New Teeth Certain Ancient Fables Applied To The Life Of Our Times)가 함께 실려 있습니다.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목차상으로 무려 245편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을 자랑하지만, 각각의 분량은 1,000자 안팎으로 부담없이, 순서에 관계없이 읽기 좋은 작품입니다. 분량이 짧기 때문에 오히려 작가 특유의 독특한 설정과 여운이 남는 반전 등의 매력을 한껏 즐기실 수 있습니다.
▶ 비어스가 57세(1899년)의 나이로 발표한 환상적인 우화 1899(Fantastic Fables by Ambrose Bierce)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 매력을 보여주는 우화집으로 작가의 위트와 유머(Wit and Humor)를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Philosophers Three. A Bear, a Fox, and an Opossum were attacked by an inundation. “Death loves a coward,” said the Bear, and went forward to fight the flood. “What a fool!” said the Fox. “I know a trick worth two of that.” And he slipped into a hollow stump. “There are malevolent forces,” said the Opossum, “which the wise will neither confront nor avoid. The thing is to know the nature of your antagonist.” So saying the Opossum lay down and pretended to be dead. ▷ 철학자 셋(Philosophers Three). 곰, 여우, 주머니쥐가 물에 잠겨 공격을 받았습니다. 곰은 "죽음은 겁쟁이를 사랑해"라며 홍수에 맞서 싸우기 위해 나섰습니다. "정말 바보로군!" 여우가 말했습니다. "나는 그 두 가지 가치가 있는 트릭을 알고 있어요." 그리고 그는 속이 빈 그루터기에 빠졌습니다. “악의적인 세력이 있습니다.” 주머니쥐가 말했습니다. “현명한 사람은 맞서지도 피하지도 않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적대자의 성격을 아는 것입니다.” 그래서 주머니쥐는 누워서 죽은 척을 했습니다.
▶ From the Minutes. An Orator afflicted with atrophy of the organ of common-sense rose in his place in the halls of legislation and pointed with pride to his Unblotted Escutcheon. Seeing what it supposed to be the finger of scorn pointed at it, the Unblotted Escutcheon turned black with rage. Seeing the Unblotted Escutcheon turning black with what he supposed to be the record of his own misdeeds showing through the whitewash, the Orator fell dead of mortification. Seeing the Orator fall dead of what they supposed to be atrophy of the organ of common-sense, his colleagues resolved that whenever they should adjourn because they were tired, it should be out of respect to the memory of him who had so frequently made them so. ▷ 회의록에서(From the Minutes). 상식 기관의 위축에 괴로워하는 웅변가가 입법부 복도에 있는 자신의 자리에서 일어나 자신의 블롯트 없는 에스쿠천을 자랑스럽게 가리켰다. 경멸의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을 본 블롯트 없는 에스쿠천은 분노로 검게 변했습니다. 블롯트되지 않은 에스쿠천이 화이트워시를 통해 보여주는 자신의 악행의 기록으로 검게 변하는 것을 본 웅변가는 굴욕감에 휩싸였습니다. 웅변가가 자신들이 상식 기관의 위축으로 죽은 것을 보고 동료들은 피곤해서 휴회해야 할 때마다 자주 그렇게 만든 그에 대한 기억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결심했습니다.
▶ Congress and the People. Successive Congresses having greatly impoverished the People, they were discouraged and wept copiously. “Why do you weep?” inquired an Angel who had perched upon a fence near by. “They have taken all we have,” replied the People—“excepting,” they added, noting the suggestive visitant—“excepting our hope in heaven. Thank God, they cannot deprive us of that!” But at last came the Congress of 1889. ▷ 의회와 국민(Congress and the People). 계속되는 의회에서 국민은 극도로 가난해졌고, 그들은 낙담하고 크게 울었습니다. “왜 울고 있습니까?” 근처 울타리 위에 앉아 있던 천사가 물었습니다. “그들은 우리가 가진 모든 것을 빼앗았습니다.” 백성이 대답했습니다. “하늘에 대한 우리의 소망 외에는” 그들은 암시적인 방문객을 지적하며 덧붙였습니다. 하느님 감사합니다. 그들은 우리에게서 그것을 빼앗을 수 없습니다!” 그러나 마침내 1889년 의회가 열렸습니다.
▶ The Dutiful Son. A Millionaire who had gone to an almshouse to visit his father met a Neighbour there, who was greatly surprised. “What!” said the Neighbour, “you do sometimes visit your father?” “If our situations were reversed,” said the Millionaire, “I am sure he would visit me. The old man has always been rather proud of me. Besides,” he added, softly, “I had to have his signature; I am insuring his life.” ▷ 충실한 아들(The Dutiful Son). 아버지를 만나러 구호원에 갔던 백만장자가 그곳에서 이웃을 만났는데, 이웃이 크게 놀랐습니다. "무엇!" 이웃이 말했습니다. “가끔 아버지를 방문하시나요?” 백만장자는 “우리 상황이 바뀌면 그 사람이 나를 방문할 거라고 확신해요. 그 노인은 항상 나를 꽤 자랑스러워했어요. 게다가,” 그는 부드럽게 덧붙였다. “나는 그의 서명을 받아야 했어요. 나는 그의 생명을 보장하고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23 앰브로즈 비어스의 신의 아들 & 창공의 기수 1907(English Classics1,223 A Son of the Gods, and A Horseman in the Sky by Ambrose Bierce)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신의 아들 & 창공의 기수 1907(A Son of the Gods, and A Horseman in the Sky by Ambrose Bierce)은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65세(1907년)의 원숙한 시기에 발표한 신의 아들 1907(A Son Of The Gods)과 창공의 기수 1889(A Horseman In The Sky)의 합본으로 참전 경험이 있는 군인 출신의 작가로써의 생생한 경험담을 만끽하실 수 있는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 창공의 기수 1889(A Horseman In The Sky)는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William Randolph Hearst, 1863~1951)가 소유한 더 이그나이저(The Examiner) 일요일판에 최초로 게재된 작품으로, 미국 남북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 앰브로즈 비어스는 참전 경험이 있는 군인 출신 작가로써 전쟁을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을 발표한 바 있으며, 그 중에서 유명한 작품으로 창공의 기수 1889를 꼽습니다. ▶ 실제로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 1861~1865)에 참전한 군인 출신의 앰브로즈 비어스는 참혹한 전장의 상황을 담은 공포물이자 심리물을 집필하였는데, 이를 모은 선집이 군인과 민간인 이야기(Tales of Soldiers and Civilians, 1891)입니다.
▶ 비어스가 65세(1907년)의 나이로 발표한 신의 아들 & 창공의 기수 1907(A Son of the Gods, and A Horseman in the Sky by Ambrose Bierce)은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전혀 상반된 매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작가의 원숙한 필력을 즐기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합니다.
▶ A SON OF THE GODS. A breezy day and a sunny landscape. An open country to right and left and forward; behind, a wood. In the edge of this wood, facing the open but not venturing into it, long lines of troops halted. The wood is alive with them, and full of confused noises: the occasional rattle of wheels as a battery of artillery goes into position to cover the advance; the hum and murmur of the soldiers talking; a sound of innumerable feet in the dry leaves that strew the interspaces among the trees; hoarse commands of officers. ▷ 신의 아들 1907(A Son Of The Gods). 산들바람이 부는 날과 화창한 풍경. 좌우로 열린 나라, 뒤로는 나무. 열린 곳을 향하지만 모험을 하지 않는 이 나무의 가장자리에서 긴 줄의 군대가 멈췄습니다. 나무는 그들과 함께 살아있고 혼란스러운 소음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포병대가 전진을 엄호하기 위해 가끔 바퀴가 덜컹거리는 소리, 병사들이 웅성거리는 소리, 나무 사이에 공간을 흩뿌리는 마른 잎사귀 속 무수한 발소리, 장교들의 쉰 명령.
▶ Detached groups of horsemen are well in front—not altogether exposed—many of them intently regarding the crest of a hill a mile away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rupted advance. For this powerful army, moving in battle order through a forest, has met with a formidable obstacle—the open country. The crest of that gentle hill a mile away has a sinister look; it says, Beware! Along it runs a stone wall extending to left and right a great distance. Behind the wall is a hedge; behind the hedge are seen the tops of trees in rather straggling order. Among the trees—what? It is necessary to know. ▷ 독립된 기병 무리들이 1마일 떨어진 산꼭대기에서 완전히 노출되지는 않았지만, 대부분의 기병들이 앞을 가로막고 있는 방향으로 열심히 움직이고 있습니다. 숲을 따라 전투의 질서를 지키며 이동하는 이 강력한 군대는 엄청난 장애물, 즉 개방된 나라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1마일 떨어진 완만한 산꼭대기에서 불길한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그 산꼭대기를 따라 좌우로 아주 먼 거리를 뻗어 있는 돌담이 있습니다. 벽 뒤에는 울타리가 있고, 울타리 뒤에는 나무 꼭대기들이 다소 질서정연하게 펼쳐져 있습니다. 나무들 사이에 뭐라고요? 알아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 A HORSEMAN IN THE SKY. One sunny afternoon in the autumn of the year 1861, a soldier lay in a clump of laurel by the side of a road in Western Virginia. He lay at full length, upon his stomach, his feet resting upon the toes, his head upon the left forearm. His extended right hand loosely grasped his rifle. But for the somewhat methodical disposition of his limbs and a slight rhythmic movement of the cartridge-box at the back of his belt, he might have been thought to be dead. He was asleep at his post of duty. But if detected he would be dead shortly afterward, that being the just and legal penalty of his crime. ▷ 창공의 기수 1889(A Horseman In The Sky). 1861년 가을 어느 화창한 오후, 한 군인이 서부 버지니아의 길가에 있는 월계수 덩어리 속에 누워 있었습니다. 그는 몸 전체를 배 위에 얹고 누워 있었고, 발은 발가락 위에 얹혀 있었고, 머리는 왼쪽 팔뚝 위에 있었습니다. 그의 뻗은 오른손은 느슨하게 소총을 쥐고 있었다. 그러나 그의 팔다리의 다소 체계적인 배치와 벨트 뒤쪽에 있는 탄약 상자의 약간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으로 인해 그는 죽은 것으로 생각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는 근무지에서 자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발각된다면 그는 곧 사망하게 될 것이며, 이는 그의 범죄에 대한 정당하고 법적 처벌이 됩니다.
▶ This officer was a wise man; he knew better than to tell an incredible truth. He said nothing of what he had seen. But when the commander asked him if in his scout he had learned anything of advantage to the expedition, he answered: "Yes, sir; there is no road leading down into this valley from the southward." ▷ 이 장교는 현명한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믿을 수 없는 진실을 말하는 것보다 더 잘 알고 있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본 것에 대해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사령관이 그에게 정찰병에게서 원정대에 도움이 되는 것을 배웠는지 물었을 때 그는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예, 선생님. 남쪽에서 이 계곡으로 내려가는 길이 없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1,207 앰브로즈 비어스의 수도사와 사형집행인의 딸 1892(English Classics1,207 The Monk and The Hangman's Daughter by Bierce, Danziger, and Voss)
도서정보 :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 2023-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수도사와 사형집행인의 딸 1892(The Monk and The Hangman's Daughter by Bierce, Danziger, and Voss)는 인간 본성에 대한 냉소적인 태도로 쓰라린 비어스(Bitter Bierce)라고 불린 19세기 미국 작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가 50세에 발표한 소설(Fiction)입니다. 이 작품은 리처드 보스의 독일어 원전(An adaptation from the German of Richard Voss.)을 원작을 영어로 번역해 달라는 요청을 받은 앰브로즈 비어스가 자신이 당대 독일 고딕 양식의 관습을 추가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개작한 작품입니다. 이 때문에 저작권자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1842~1914?), 아돌프 단지거 드 카스트로(Adolphe Danziger De Castro, 1859~1959), 리처드 보스(Richard Voss, 1851~1918)와 같이 복수로 표기됩니다.
▶ Under the name of G. A. Danziger I wrote in the year 1889 a story founded on a German tale, which I called The Monk and the Hangman’s Daughter. The story was tragic but I gave it a happy ending. Submitting it to the late Ambrose Bierce, asking him to revise the story, he suggested the retention of the tragic part and so revised it. The story was published and the house failed. When in 1900 a publisher desired to bring out the story provided I gave it a happy ending, I submitted the matter to Bierce and on August 21, 1900, he wrote me a long letter on the subject of which the following is an extract: ▷ 나는 1889년에 아돌프 단지거 드 카스트로(Adolphe Danziger De Castro, 1859~1959)라는 이름으로 『수도사와 교수형 집행인의 딸』이라는 독일 설화를 바탕으로 한 이야기를 썼습니다. 이야기는 비극적이었지만 해피엔딩으로 끝났습니다. 고 앰브로즈 비어스에게 제출하여 이야기의 수정을 요청한 그는 비극적인 부분을 그대로 유지하자고 제안하여 수정했습니다. 이야기가 출판되었고 출판사는 실패했습니다. 1900년에 한 출판사가 내가 해피엔딩을 준다면 그 이야기를 출판하고 싶어 했을 때 나는 그 문제를 앰브로즈 비어스에 제안했고 1900년 8월 21일 그는 나에게 다음과 같은 주제에 관한 장문의 편지를 썼습니다.
▶ 작품의 주인공은 계몽주의 이전의 시대, 독일의 젊은 프란체스코 수도사 암브로시우스(Ambrosius)로 제목 그대로 수도사 암브로시우스가 순례 중에 사형집행인과 그의 딸 베네딕타(Benedicta)를 만나고, 이로 인하여 벌어지는 일을 주요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소설은 젊은 수도사가 1인칭 시점으로 적은 일기의 형식으로 진행되며 금지된 사랑과 유혹, 구원, 금욕적인 삶과 그의 위험성 등에 대한 파격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 사형집행인은 시대와 국가를 막론하고, 이웃들의 입장에서 꺼림칙한 직업일 수밖에 없고, 그의 자녀들 또한 아버지의 직업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습니다. 이 때문에 지역 사회에 동화되지 못하고, 이웃들의 혐오에 시달리는 베네딕타는 암브로시우스의 동정과 애정을 동시에 받았으며, 베네딕타의 감정 또한 암브로시우스의 순수함에 흔들릴 수밖에 없는데……. 과연 그 둘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 I wrapped the beautiful body in a white sheet, leaving the face uncovered, and laid it upon the floor. But the blood tinged the linen, so I parted her long golden hair, spreading it over the crimson roses upon her breast. As I had made her a bride of Heaven, I took from the image of the Virgin the wreath of edelweiss and placed it on Benedicta’s brow; and now I remembered the edelweiss which she had once brought me to comfort me in my penance. Then I stirred the fire, which cast upon the shrouded figure and the beautiful face a rich red light, as if God’s glory had descended there to enfold her. It was caught and tangled in the golden tresses that lay upon her breast, so that they looked a mass of curling flame. And so I left her. ▷ 나는 아름다운 몸을 하얀 시트로 싸서 얼굴은 드러내지 않은 채 바닥에 눕혔다. 그러나 피가 리넨을 물들였기 때문에 나는 그녀의 긴 금빛 머리카락을 나누어 그녀의 가슴에 있는 진홍빛 장미 위에 펼쳐 놓았습니다. 나는 그녀를 천국의 신부로 삼았기 때문에 동정녀의 형상에서 에델바이스 화환을 가져다가 베네딕타의 이마에 얹어 주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나는 그녀가 나의 참회를 위로하기 위해 가져왔던 에델바이스를 기억했습니다. 그런 다음 나는 불을 휘저었고, 그 불은 수의를 입은 인물과 아름다운 얼굴에 짙은 붉은 빛을 비췄습니다. 마치 하느님의 영광이 그곳으로 내려와 그녀를 감싸는 것 같았습니다. 그것은 그녀의 가슴 위에 놓인 황금빛 머리카락에 걸려 엉켜 있어서 굽이치는 불꽃 덩어리처럼 보였습니다. 그래서 나는 그녀를 떠났습니다.
▶ 영화 올드 그링고(Old Gringo, 1989)는 멕시코 혁명(Mexican Revolution, 1910~1920)을 배경으로 언론계를 은퇴한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와 청년 장교 토마스 아로요(revolutionary army of General Tomas Arroyo), 그리고 미모의 미국교사 해리엇 윈슬로우(Harriet Winslow)의 삼각관계를 버무린 미국 영화입니다. 당대 최고의 미남배우 그레고리 펙(Eldred Gregory Peck, 1916~2003)이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역을 맡았습니다. ▷ 국내에 그리 잘 알려진 작품은 아니지만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란 실존 인물의 삶과 미스터리한 죽음을 모티브로 삼았기 때문에, 그의 일대기가 궁금한 독자에게 추천드릴만한 영화입니다. 물론 영화에 등장하는 그의 죽음은 어디까지나 시나이로 작가의 창작입니다. ▷ 황혼에서 새벽까지(From Dusk Till Dawn) 시리즈 3편 사형집행인의 딸(The Hangman's Daughter, 1999)에서 마이클 파크(Michael Parks)가 앰브로즈 비어스(Ambrose Bierce) 역으로 등장합니다. 올빼미 시냇물 다리에서 생긴 일(An Occurrence at Owl Creek Bridge, 1890)과 다른 총살이지만, 여기서는 작가 본인이 죽음을 앞두고 있네요….
▶ 비어스가 50세의 나이로 발표한 수도사와 사형집행인의 딸 1892(The Monk and The Hangman's Daughter by Bierce, Danziger, and Voss)는 비어스 특유의 갑작스러운 전개(An Abrupt Beginning), 어두컴컴한 이미지(Dark Imagery), 시간에 대한 모호성(Vague References To Time), 독자에게 불친절한 설명(Limited Descriptions),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건(Impossible Events), 그리고 참전용사로써 반복적으로 소재로 삼은 전쟁(The Theme Of War) 등의 특징과 사뭇 다른 결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 1,999선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