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담 (단편소설)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하얀 눈꽃으로나 잠시 피어나는, 인간존재의 연극적이며 유희적인 삶이란, 찰나의 볕에도 금세 녹아버리기 십상이다.
멈춰버린 시계처럼, 고달픈 육체 속으로 누락된 영혼들이, 역사라는 차가운 길바닥 위에서, 죽음의 냄새가 희미하게 감도는 남루한 삶에 의지한 채, 딱 그만큼의 숨을 할딱이고 있다.
고대의 어느 현자처럼, 아예 애당초 늙어버린 사유를 지니고서 생겨난 탓일까?
자꾸만 낡아 가는 문명의 본성을 감각할수록, 반反실재의 어떤 절대성으로서 지금껏 자아를 이끌며, 거울의 반쪽 혹은 한 면만을 겨우 비추어주던, 이데올로기적이며 그림자권력적인 온갖 사유의 빛들이 그저 사위어만 가고 있다.
현실세계 안에서 인간존재가, 죽음보다 삶을 좀 더 고뇌하기 시작한다면, 비로소 자기의 밥을 홀로 해결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그리고 삶보다 죽음을 좀 더 고뇌하기 시작한다면, 비로소 자기의 똥을 홀로 해결해야 할 때가 된 것이다.
어떻든지 자기의 밥과 똥을 해결해보기 위해, 온갖 잡다한 점괘 중에서 그저 맘에 드는 대목만을 추려내, 단지 그것만을 잠시 신뢰해버리듯이, 사는 동안 아주 그럴듯하며 거대한 허구에 잠시 설득당하는 일도, 어쨌거나 아주 행복한 체험 중 하나임이 분명하다.
구매가격 : 3,000 원
상상력 여행 고독 인문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장. 2015년 가을, 도시 여행자 9
2장. 고독하기 55
3장. 상상하기 79
4장. 여행하기 99
1. 여행자 ‘김시습(金時習)’ 101
2. 상상적 우화(羽化) 103
3. ‘고흐’의 시간 111
4. 여행자의 서재 123
5장. 고독의 미학
1. 고독이라는 것 199
2. 시 종교 고독 213
3. 함께이면서 홀로되기 225
구매가격 : 3,000 원
서경 홍범구주의 정치철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書經 洪範九疇의 정치철학
‘書經’은 ‘동아시아 문명권’에서 정치철학의 始原이며 源流다. ‘서경’ 안에서도 ‘洪範’은 더욱 그러하다. 그리고 ‘동아시아 문명권’의 ‘哲學的 原象’은 종교철학과 정치철학이다. ‘祭政一致’라는 개념은 이를 대변한다. ‘홍범’은 ‘제정일치’로부터 ‘祭政分離’로 정치체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구성되었다. 즉, 종교철학에 대하여 정치철학이 새로이 부각되는 시기에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정치철학적인 관점에서 ‘홍범’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적절한 연구방법의 선택인 것으로 판단된다.
모름지기 ‘조선왕조실록’은 그 유례가 없을 만큼 구체적으로 상세히 기술된 ‘政治史’다. 그리고 ‘조선왕조의 정치철학’으로서 대표되는 것은 ‘箕子의 홍범’이다. ‘기자의 홍범’은 ‘書經의 홍범’과는 정치철학적인 의미와 가치에서 차이를 갖는다. 곧 ‘조선왕조’만의 고유한 ‘홍범의 정치철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내용이 가장 잘 드러난 텍스트가 바로 ‘조선왕조실록’이다. 그런데 ‘기자의 홍범’과 ‘조선왕조실록’을 交互的으로 고찰하는 선행연구는 현재까지 거의 없다. 때문에 정치철학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것이다.
정치철학은 현실정치에 대한 철학이다. 현실정치는 과거에 기반하여 미래를 지향함으로써 實在할 수 있다. 따라서 정치철학은 과거로부터 배우고, 미래를 구상하는 과정에서, 현실정치에 대한 정치철학적 指針을 도출해 내는 작업이다. 예컨대, 과거는 물론이며 현대사회의 先進列强들은, 대부분 ‘國民國家’로서 대표되지만 실제로는 ‘民族國家’의 구조로써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온갖 종류의 ‘세계주의’를 표방하지만, 실제로는 ‘민족주의’와 ‘세계주의’가 竝存하는 ‘민족국가’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다. 그런데 ‘조선왕조’에서 ‘홍범의 정치철학’은 ‘세계주의’와 ‘민족주의’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러한 측면은 현대사회의 현실정치에 마땅한 ‘정치철학적 지침’으로써 제시될 수 있다.
인간존재의 삶은 지극히 정치적이다. 인간은 ‘사회적 동물(social animal)’이라는 ‘Aristoteles’의 선언은, 인간은 ‘정치적 동물(zoon politikon)’이라는 의미와 다르지 않다. 이에, ‘삶은 政治다.’고 해도 그릇되지 않으며, 인류문명의 시작은 정치의 시작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인류에게 정치는 부득이하다. 정치를 삭제한다면 인류의 역사도 삭제되어버릴 것이다. 이것이 ‘동아시아 문명권’의 대표적 古典의 대부분이 정치철학을 논변하는 까닭이며,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정치철학을 고심해야 하는 이유다.
구매가격 : 4,000 원
미셸 푸코의 철학사상 푸코철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 현대철학과 푸코철학 9
광기의 역사, 벤담, 파놉티콘, 고대 그리스, 계몽주의, 보들레르, 하이데거,
하버마스, 진단학, 칸트, 마르크스, 신자유주의, 헤겔, 생체권력, 데카르트,
콩트, 에피스테메, 휴머니즘, 실존주의, 사르트르, 바슐라르, 고고학, 단절,
문턱, 보르헤스, 말과 사물, 사이드, 오리엔탈리즘, 파농, 윌리엄스, 그람시,
헤게모니, 담론, 권력, 아렌트, 니체, 자유주의, 사회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데리다, 정신질환자, 재소자, 동성애자, 주변인, 동일자, 타자, 이성, 광기,
들뢰즈, 노마드 주체, 로티, 진리의 계보학, 객관적 진리, 절대적 진리,
사유의 역사, 담론 형성의 분석, 진리의 역사, 감옥의 역사, 감시와 처벌,
임상의학의 탄생, 지식의 고고학, 진리 놀이, 지식-권력-윤리, 문제화,
헤테로토피아, 인식론적 장, 지층, 아카이브, 위치, 배치, 중첩, 담론 공간,
근대, 근대성, 산업혁명, 프랑스 혁명, 칸트철학, 퀴비에 생물학, 보편성,
리카르도 경제학, 광기, 심리학, 의학, 지식, 권력, 주체, 성(섹슈얼리티).
2. 정치, 권력, 통치성 35
제도 바깥의 정치, 마르크스와의 단절, 노동, 육체, 유물론, 막스 베버, 고백,
현상학, 비판이론, 해석학, 몸, 자연환경, 섹스, 테크놀로지, 정보, 기능체계,
구조주의, 후기구조주의, 실용주의, 신실용주의, 사르트르, 레비-스트로스,
은폐된 통제, 형이상학의 종말, 미시적 권력 관계, 역사적 주체, 아감벤, 해석,
나치의 대량학살, 알튀세르, 이데올로기 국가장치, 규율권력, 생명관리정치,
살게 만드는 권력, 죽게 내버려두는 권력, 사목제도, 대항품행, 국가이성,
인구-시장-자유-안전, 행위의 행위, 프레카리아트, 호모 이코노미쿠스,
생성적 권력, 권한부여, 3차원적 권력, 루크스, 빅데이터, 디지털적 감시.
3. 윤리, 자기배려 65
계몽의 약속, 허용된 것, 금지된 것, 교정, 교화, 참과 거짓을 만드는 방식,
예속적 주체화, 예술가적 실천, 파레시아, 기독교 윤리, 고대 그리스 윤리,
칸트 인간학, 숙의민주주의, 윤리정치, 소크라테스, 산파술, 성-주체,
예술작품으로서의 삶, 탈예속, 성적 유보, 자기배려, 존재윤리, 생활미학.
4. 광기, 비정상, 병원 87
고전주의 시대, 낭만주의 시대, 양면성, 이율배반, 거울, 자기모순, 붉은 꽃,
극단적 배타주의, 가르쉰, 이성, 비이성, 광기의 역사, 대감금, 비극의 탄생,
광기배제로서 코기토, 광란의 장면, 이중성, 예술가소설, 천재성, 상상력,
창조적 승화, 정신병적 광기, 의철학, 법철학, 괴물, 캉길렘, 이방인, 바깥,
금기, 위반, 에로티즘, 사드, 죽음, 쾌락, 본능, 느낌, 혼돈, 무질서, 소외,
보호감금, 라캉, 은밀한 강요, 신체, 여성, 장애, 노인, 빈민, 차별, 다양화.
5. 훈육, 감옥 109
감옥, 감시, 나보코프, 질서유지, 노동력 확보, 신체형, 자유형, 정신 개조,
권력-지식-신체, 감금, 교정, 순종적 신체, 양심, 교회, 근대 교육, 군대,
학교, 공장, 규율, 공무원, 실적평가, 감금형 한국 교육, 시험제도, 서열훈육,
감시-관리-교정, 성숙, 부득이한 권력관계 내에서의 자아 인식.
6. 언어, 담론, 문학 123
순응적 인간, 관찰, 표준화, 평가, 담론분석, 진술, 발화, 하버마스, 언어철학,
화용론, 담론의 선택과 배제, 담론의 바깥, 바흐친, 소크라테스, 카프카, 지식,
도스토예프스키, 들뢰즈, 에코의 기호학, 언표, 의미값, 죄형법정주의, 법언어,
심리강제, 말과 사물, 에피스테메, 소쉬르, 구조주의, 포르루아얄, 언표, 언설,
근대적 인간, 초월적 주체, 도덕적 주체, 근대성의 태도, 개념 놀이, 장치,
실천, 놀이, 문제화, 사상적 공백, 실존, 이상, 김수영, 진리-자유-억압-해방.
7. 임상의학, 질병 145
진리, 권력, 윤리, 정신의학의 계보학, 발명되는 질병, 성욕의 역사, 이미지,
라깡, 정신분석, 시녀들, 거울, 환자의 관찰, 임상병리학, 계몽된 의사의 시선,
질병의 재구성, 잠재적 환자, 해부임상의학, 질병의 공간화, 전염병, 메르스.
8. 신체, 욕망, 성 153
현존재, 기계로서의 신체, 권력의 대상으로서 신체, 욕망하는 신체, 금지,
미래의 주체, 쾌락의 활용,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욕망과 성, 위반, 노동, 생명,
타자화된 죽음, 터부화된 죽음.
9. 미학, 예술철학 167
현대예술, 광기, 철학극장, 반플라톤주의, 마그리트, 비긍정의 긍정, 보들레르,
헤테로토피아, 플로베르, 마네, 상상력, 그림읽기, 기사화, 문자화, 피카소,
다르게 생각하기, 천재와 광인, 단절, 창의적인 발견과 발명, 경계, 중첩,
파놉티콘으로서 미술관, 관계, 윌리엄 포사이드, 모스, 팝아트, 선불교,
생존의 미학, 삶 자체로서의 예술작품.
구매가격 : 3,000 원
삶을 위한 변주곡 죽음의 미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 동양문화에서 죽음의 의미 7
2. 서양문화에서 죽음의 의미 43
3. 죽음을 대하는 인식과 태도 77
4. 동양의 예술작품 속 죽음의 이미지 109
5. 서양의 예술작품 속 죽음의 이미지 159
6. 미학적 승화를 통한, 죽음의 정치적 활용 173
7. 자살 현상학 201
8. 자살이라는 미학적 장치 219
구매가격 : 3,000 원
트로이 목마 36
도서정보 : 오홍국 | 2018-07-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인류 역사는 전쟁의 역사다. 기원전 1250년 경 그리스는 트로이와 10년 전쟁을 트로이 목마로 승리했다. 역사상 최초의 기만술로 이겼다. 처음에는 그리스군 아킬레우스가 트로이군 헥토르에게 수세에 몰렸다. 그리스군은 거대한 목마를 남기고 철수하는 기만전술을 폈다. 여기에 속아 넘어간 트로이군은 목마를 성 안으로 들여 놓고 승리 기쁨에 빠졌다. 새벽이 되어 목마 안에 숨어 있던 오디세우스 등이 빠져 나와 성문을 열어 주었고 그리스군은 트로이성을 함락했다. 동양에서는 36계가 기만술의 으뜸이다. 처음 두 단어는 상대 눈을 가리는 기만이며 나머지 두 단어가 노림수다. 필자는 36계가 바실 리델 하트의 『전략론』에 버금가는 동양의 간접접근전략으로 평가한다. 1계 만천과해부터 36계 주위상계까지 전장 상황에 따라 적시 적절한 전술들을 구현하고 있다. 필자는 36계가 적용된 많은 전적지를 직접 답사하면서 연결고리를 찾아냈다. 베트남전쟁과 유럽전쟁 및 중국 지역 등 발로 쓴 현장 답사 전술 연구 결과이다. 독자들의 종합 전술 능력 배양을 위해 각 부의 6개 전술을 모아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도모했다. 1부는 남산 2부는 우면산 6부는 북한의 도발 양상을 서로 연결했다. 각 계의 사례들도 고대 전투부터 현대 베트남전쟁에 이르기까지 동서양 주요 전투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전사연구에도 도움을 주는 전술연구 종합서이다. 장차전에서 인공지능(AI) 로봇이 군인을 대신하더라도 결국은 인간의 지혜에 따라 움직인다. 독자들은 『트로이 목마 36』에 나오는 많은 전쟁사례를 통해 더 나은 전략적 식견을 갖추고 당대(唐代) 시인 두보의 시(詩)를 접하면서 문학적 소양도 넓혀나가는 기회가 될 것이다.
구매가격 : 8,400 원
나를 찾아 행복을 주는 명상
도서정보 : 정성호 | 2018-07-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리는 일상의 바쁜 생활 때문에 진정한 행복을 알지 못하고 바쁘게만 살아가고 있다. 행복해 지는 명상은 어느 교수의 체험을 통해 우리의 본성이 무엇이며 참 자아를 깨닫는 다는 것이 무엇이며 참 행복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 자신이 극한 상황 속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참 자아를 찾는 과정에 체험하고 느낀 바를 정리하였다. 우리사회가 지향하는 행복한 사회는 어떤 것일까? 행복한 사회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한 진정한 성찰 없이 자신이 앞만 보고 달려왔던 상황을 성찰해본다. 2016년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하여 여론조사결과를 언론에 제공하는 과정에 여론조작으로 문제가 되어 구속되었다. 이 때문에 달리던 기차를 잠시 세워 극한 오지체험을 하였다고 토로하고 있다. 저자는 자신의 삶을 반추 하고서 다시 달리게 하는 기회를 주었다고 위로하며 결과를 받아들이고 참회하는 시간을 가졌다. 우리사회에서 재소자에 대한 인식과 우리 삶의 방향은 어떠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았다. 이러한 극한 오지와 같은 체험을 통해 우리 삶의 이정표를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성찰해 보기도 했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진정한 행복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는 어떻게 큰마음을 가지고 참 행복을 찾을 것인가? 자신이 느끼고 경험한 바를 나름 정리하여 펼쳐 보여 주고 있다. 깨닫는 다는 것은 무엇인가? 깨달음은 순수의 영역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우리가 순수할 수 있는 경지에 이르는 수행을 어떻게 할 수 있을 것인가? 깨달음의 경지는 여러 단계를 거친다고 한다. 우리는 매일 매일 순수를 위해 영혼을 맑게 하는 방법으로 명상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현대인들은 누구나가 대부분 앞만 보고 달린다. 진정 자신을 되돌아보고 스스로를 이해하고 깨달을 기회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우리는 나 자신에게 닥친 어려움 속에 겪은 바를 토대로 자신을 극복하고 이겨내며 자아를 찾기 위한 방법으로 명상을 어떻게 하며 극복하는 가를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명상은 내 자신 속에 있는 욕망과 오만을 내려놓고 행복하게 삶을 살아가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가는 길이다. 명상을 위해서는 자신을 알고 참 나를 발견하고 고요히 맑은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으로 등산과 하산과 같은 과정을 겪는 것이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명상의 최고 경지인 깨달음에 이르는 것은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명상은 우리에게 행복의 결과를 많이 가져다 줄 것이다. 즉 자신이 처한 상황과 자신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결과가 다를 수 있지만 극한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기도 하고 피로 고통 공포 등의 감정이 사라지고 쾌감이 뒤따르게 해 주기도 한다는 것이다. 명상을 통해 자신을 알고 삶을 매우 진지하게 살아 갈 수 있다. 자신의 온갖 탐욕과 어리석음을 알고 나면 스스로 겸손해지고 더불어 함께 사는 길을 이해할 수 있다. 흔히 우리는 아주 만족하게 해주고 충만하게 해주는 체험은 어떤 확실한 깨달음을 통해서 주어진다라고 한다. 우리가 희망하며 헌신하고자 하는 보다 좋은 세계가 어떤 세계인지에 대해서도 바로 이 체험을 통해서 깨닫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일반 독자들이 조금이라도 삶의 지혜를 얻고 참 행복을 누리시기를 바란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구매가격 : 9,100 원
노자의 정치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1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목차
1장. 노자와 정치
1. 정치에 관하여 11
2. 노자가 살아낸 시대 17
3. 미래의 정치와 노자 25
2장. 노자의 정치학에 대한 기존의 이해
1. 노자와 제자(諸子) 정치론 33
2. 노자의 제왕적(帝王的) 정치론 51
3. 무위(無爲)에 관하여 61
4. 자연(自然)에 관하여 69
5. 무위지치(無爲之治)에 관하여 81
3장. 노자로써 설명하는 정치의 바탕
1. 상도(常道)와 정치의 목적 97
2. 희언(希言)과 정치적 언어 107
3. 위무위(爲無爲)와 정치적 행위 121
4. 추구(芻狗)와 정치의 대상 135
4장. 노자로써 이해하는 정치의 발생원인
1. 지유(至柔)와 강자와 약자 147
2. 태상(太上)과 군주와 민주 157
3. 무지이위용(無之以爲用)과 다수와 소수 167
4. 대제불할(大制不割)과 지배와 피지배 177
5. 도생일(道生一)과 진보와 보수 191
6. 이천하관천하(以天下觀天下)와 개인과 공동체 205
5장. 노자로써 분석하는 정치의 작동원리
1. 대도폐(大道廢)와 도덕 225
2. 민불외사(民不畏死)와 권력 241
3. 기자불립(企者不立)과 노동 255
4. 소국과민(小國寡民)과 국가 267
5. 도법자연(道法自然)과 법률 279
6. 난득지화(難得之貨)와 자본 291
7. 절학무우(絶學無憂)와 교육 301
6장. 정치에 대한 미래적 제시
1. 현(玄)에 관하여 317
2. 현지우현(玄之又玄)에 관하여 331
3. 부득이(不得已)와 삶 자체로서의 정치 341
4. 현위(玄爲)와 현위지치(玄爲之治) 355
5. 노자와 한국의 정치학 367
구매가격 : 4,000 원
노자의 철학사상 노자철학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1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본래의 사유思惟를 찾아서
여행자에게 ‘노자’철학은, 우리가 잃어버린 어떤 사유(思惟)를 찾아 나서는 여행이었으며, 그것은 저 먼 고대(古代)로의 여행이었다.
그 여행은 시대와 상황 안에서, 그림자권력의 조작적인 왜곡과 은폐에 의해 부득이하게 상실해버린, 어떤 본래적인 사유체계와 사유방식을 찾아나서는 사유여행이었다.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사유의 역사 안에서 기성의 사유체계를 전도(顚倒)함으로써, ‘노예적 도덕주의’와 ‘현대적 허무주의’에 의해 전도되어버린 본래적인 사유체계의 회복을 목적하는 사유여행을 떠났었다. 그것은 영원히 회귀하는, 가장 위대한 긍정의 예술가적인 힘 의지로의 복귀였다.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는, 그림자권력적인 ‘도구적 이성’에 의해 조작되고 은폐되어 소외되고 배척되어버린, 본성적 광기(狂氣)의 정체를 찾아서 계보학적인 사유여정을 떠났다. 그것은 집단권력적인 이해(利害)의 논리에 의해, 반(反)체제적이며, 반(反)이데올로기적이며, 반(反)사회적인 개별자들을 조작적으로 이상(異常)이나 비정상(非正常)으로 규정함으로써, 집단의 그림자권력을 유지하고 지속하려는 획책을 밝혀 드러냄이었다.
‘니체’나 ‘미셸 푸코’의 사유여행은, 인류사를 주도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그림자권력적인 주류적 철학사상에 의해, 부득이하게 은폐되고 상실되어버린, 어떤 본래적인 사유체계와 사유방식을 찾아 떠나는 사유여행이었다.
그들이 그러한 사유여행을 떠났던 까닭은, 우리가 그림자권력의 조작에 의해, 부지불식간에 상실해버린 본래적인 사유체계와 사유방식이야말로, 인간존재의 본래 자리를 알도록 해주는 참된 사유의 본성적인 원형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자권력자들은, 시대와 상황 안에서 그림자권력적인 이해만을 좇아, 본래적인 사유체계와 사유방식을, 철저히 부정과 저항과 신비와 반역과 이단과 혼돈과 퇴폐와 변절과 몰락 따위를 목적하는 것으로나 규정하고서는 배척해버린다.
그러다보니 어느 집단공동체에서든, 어떤 본래적인 사유를 추구하는 탓에, 자꾸만 그림자권력이 이미 규정해둔 온갖 것을 의심하며 의문을 제기하는 자라면, 그림자권력에 의해 금세 소외되고 추방되어야 할 대상으로 분류되어버린다.
그런데 어떠한 형태의 철학이든, 가장 원래적인 회의주의적 소피스트(Sophist)였던 ‘소크라테스(Sōkratēs)’의 철학함처럼, 바로 그러한 본래적인 것에 대한 의심과 의문에서 시작됨은 명약관화(明若觀火)다.
그런 탓에, 집단공동체의 역사 안에서 그림자권력적인 체제원리를 부정적인 측면에서 비판하며, 본래적인 사유를 추구하는 대부분의 반체제적인 반성향의 철학자들은, 부득이하게 강제되는 깊은 고독 속으로 자의반타의반 고립되고 만다.
그래서인지 우리는, 이미 상실되어버린 본래적인 사유의 역사 안에서, 한없는 고독과 은둔과 고립의 삶을 살아내면서도, 의연히 오롯한 자기의 길을 걸었던 수많은 철학자들을 보게 된다.
본래적인 철학함은, 현실세계와 이상세계의 비동시적인 동시적 지평 위에서, 무소의 뿔처럼 오롯이 홀로 가는 사유세계로의 여행이다.
때문에 동서양의 철학사상사에는, 현대적인 일군의 사회학자나 생물학자들이 지향하는 바처럼, 일정한 집단을 이룸으로써 철학했던 철학자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철학함으로써 정립된 철학사상이 실천되고 실현되는 과정에서 여러 이유로 부득이하게, 예컨대 ‘공자(孔子)’의 ‘칠십이현(七十二賢)’이나 ‘플라톤(Plato)’의 ‘아카데메이아(Acadēmeia)’처럼, 일정한 학문공동체를 형성하는 탓에, 마치 애당초 철학함 자체가 집단적인 행위로써나 가능한 것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그러나 철학함 자체는, 철저히 홀로 가는 고독한 여행길이다. 그리고 그 종착지로서의 철학적 고향은, 항상 ‘어디에도 없는 고향[無何有之鄕]’으로서의 유토피아일 수밖에 없다.
‘노자’는, 천지자연의 온 존재와 온갖 것의 ‘생성(becoming)’에 대한 논변을 자기 철학의 바탕으로 삼는다.
생성은, 이 우주 자체를 포함한 모든 사물이 생겨나서 자라나고, 변화하여 소멸하는 과정 전부를 의미한다. 특히, 어떤 존재자로서의 사물이, 일정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의 것으로 변화적으로 이동하는 운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그림자권력의 주류철학이 위주로 삼는, 정지나 불변이나 존재에 대립하는 철학원리다.
모든 것이 스스로·저절로 다른 것으로 변화되어 간다는 인식은, 모든 것이 동일한 상태에 머문다고 인식하는 존재의 고정성에 대립한다. 때문에 서양철학에서 ‘생성(Werden)’과 ‘존재(Sein)’의 관계는, 고대 그리스철학 이래 철학적인 근본 문제 중 하나였다.
예컨대, ‘엘레아(Elea)’학파의 ‘파르메니데스(Parmenides)’는, 변화적 운동을 부정하고, 영원히 부동(不動)하는 어떤 궁극의 존재를 세계의 본질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이데아의 사유방식’은 플라톤 이후, 현대에 이르도록 서양철학을 주도하고 있다.
이에 반하여, ‘헤라클레이토스(Heracleitos)’는, 자연 그 자체를 부단한 자기(自己)운동의 과정으로 파악하고서, ‘만물은 유전(流轉)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사유방식은, 서양철학 안에서 늘 주변적이고 부수적인 지위에 배치되었을 따름이다.
그런데 동양철학은 애당초 변화의 사유방식에 토대를 두고 있다. 이에 동양철학의 시원이라고 볼 수 있는, ‘주역(周易)’철학의 ‘음양(陰陽)’의 사유방식이 대표적으로 언급될 수 있다. ‘플라톤’의 ‘이데아의 사유방식’이 서양철학을 주도하는 것처럼, ‘주역’의 ‘음양의 사유방식’은 동양철학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역’철학의 ‘음양의 사유방식’은 생성을 사유하는 방식이다. ‘주역’철학이 말하는 생성의 방식은, ‘음(陰)’과 ‘양(陽)’의 생성과 소멸이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변화[易]’ 그 자체다.
그러한 동시적 생성으로서의 변화를, ‘노자’는 ‘유(有)’와 ‘무(無)’가 동시적으로 공존하며, ‘스스로·저절로 그러하게[無爲]’ 변화하는 ‘자연(自然)의 사유방식’으로써 설명한다.
변화와 자연은 모두 생성을 사유하는 방식이다. 그러한 생성은 이미 소멸을 동시적으로 내포하는 생성이다. 단지 시작으로서의 생성만이 아니라, 끝으로서의 소멸이 동시적으로 작동하는 생성이다. 그것은 ‘지금 여기’의 현실세계야말로 참된 진실의 세계인 것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는 소멸과 분리된 새로운 생성이 ‘이데아’와 같은 천국에서 새로이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세계에서 소멸과 동시에 또 다른 생성이 동시적으로 시작된다고 인식함이다.
이러한 사유법이 동아시아 문화권의 고유한 것이라고 할지라도, 서양철학적인 사유방식에 익숙해진 현대인으로서는 쉬이 이해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양철학의 생성적 사유방식은, 현대에 이르러 한계점에 다다른 기존의 서양철학에 대한 스스로의 생성적 변화의 대안적 모색으로서 제기되는 ‘포스트모던(post-modern)’철학의 주장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생성철학의 시원적 본령을 이미 내함(內含)하고 있는 ‘노자’의 생성철학은, 21세기 세계철학의 새로운 지향이 되어줄 수 있는 현대철학으로서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할 것이다.
구매가격 : 3,000 원
삶이라는 여행 (장편소설)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7-1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1. 최소한의 것 7
2. 크눌프Knulp와 시시포스Sisyphus 41
3. 중독(몰입)의 시대 69
4. 바람으로 지은 집 93
5. 여행자의 기운생동氣韻生動 111
6. 감정이입empathy 149
7. 검은 겨울 203
8. 홀로 가는 길 233
9. 추락하는 것들 257
10. 산울림이고 싶다 267
구매가격 : 3,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