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972 프리드리히 니체의 즐거운 학문 1882{English Classics972 The Joyful Wisdom("La Gaya Scienza")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니체의 가장 개인적인 작품(the most personal of all my books)이자 가장 많은 시(詩)가 실린 작품(contains more poems than any of his other works) : 즐거운 학문 1882{The Joyful Wisdom("La Gaya Scienza")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의 중기 작품(1882, 1887)으로 그의 수많은 저서 중에서도 가장 개인적인 작품이자, 가장 많은 시(詩)가 실린 작품입니다. 제1권(Book First)부터 제4권: 상투스 야누아리우스(Book Fourth: Sanctus Januarius)로 구성되어 있으며, 1882년 개정판이 출간되면서 제5권: 우리는 겁 없는 자들(Book Fifth: We Fearless Ones)이 추가되었습니다. 학문(Wissenschaft)에 대한 탐구, 회의주의(skepticism), 지적 규율(intellectual discipline)에 대한 찬사 등이 두드러지며, 니체를 대표하는 신은 죽었다(Gott ist tott, 1882), 아모르파티(Amor Fati, 1882), 영원 회귀(永遠回歸, Ewige Wiederkunft, Eternal return, 1885)에 대한 개념적 고찰이 등장합니다.
▶ 독일어 원제는 Die fr?hliche Wissenschaft이며, 영문으로는 The Gay Science를 비롯해 The Joyful Wisdom, The Joyous Science 등으로 번역됩니다. 독일어 fr?hliche는 행복한(happy) 혹은 즐거운(joyful)에 해당하며, Wissenschaft는 지혜(Weisheit, Wisdom)라기보다는 훈련된 지식의 엄격한 실천과 이에 대한 성향이란 의미입니다. 과학(science)이나 학문(scholarship)과는 명백하게 다른 뜻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는 대체로 ‘즐거운 학문’으로 번역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신은 죽었다(Gott ist tott, 1882) : 108. New Struggles.?After Buddha was dead people showed his shadow for centuries afterwards in a cave,?an immense frightful shadow. God is dead: but as the human race is constituted, there will perhaps be caves for millenniums yet, in which people will show his shadow,?And we?we have still to overcome his shadow! ▷ 108. 새로운 투쟁 -부처가 죽은 후 사람들은 동굴에서 수세기 동안 그의 그림자를 보여주었습니다. 신은 죽었습니다: 그러나 인류가 구성됨에 따라 아마도 수천 년 동안 동굴이 있을 것입니다. 그곳에서 사람들은 그의 그림자를 보여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여전히 그의 그림자를 극복해야 합니다!
▶ 아모르파티(Amor Fati, 1882) : 276. For the New Year.?I still live, I still think; I must still live, for I must still think. Sum, ergo cogito: cogito, ergo sum. To-day everyone takes the liberty of expressing his wish and his favourite thought: well, I also mean to tell what I have wished for myself to-day, and what thought first crossed my mind this year,?a thought which ought to be the basis, the pledge and the sweetening of all my future life! I want more and more to perceive the necessary characters in things as the beautiful:?I shall thus be one of those who beautify things. Amor fati: let that henceforth be my love!
▷ 276. 새해를 위하여.?저는 여전히 살아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여전히 살아가야 합니다. 왜냐하면 저는 여전히 생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Sum, ergo cogito: cogito, ergo sum(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 오늘날 모든 사람들은 자유롭게 그의 소원과 가장 좋아하는 생각을 표현합니다: 음, 저는 또한 오늘 제가 저 자신을 위해 무엇을 빌었는지, 그리고 올해 처음으로 어떤 생각이 제 마음을 스쳤는지를 말할 것입니다. -이 생각은 제 미래의 모든 삶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서약하고, 달콤해져야 합니다! 저는 사물에 필요한 특성을 점점 더 아름답게 인식하고 싶습니다:?나는 그러므로 사물을 아름답게 하는 사람들 중 하나가 될 것입니다. 아모르파티: 이제부터 그것이 내 사랑이 되게 해주세요!
▶ 영원 회귀(永遠回歸, Ewige Wiederkunft, Eternal return, 1885) : 341. The Heaviest Burden.?What if a demon crept after thee into thy loneliest loneliness some day or night, and said to thee: "This life, as thou livest it at present, and hast lived it, thou must live it once more, and also innumerable times; and there will be nothing new in it, but every pain and every joy and every thought and every sigh, and all the unspeakably small and great in thy life must come to thee again, and all in the same series and sequence?and similarly this spider and this moonlight among the trees, and similarly this moment, and I myself. The eternal sand-glass of existence will ever be turned once more, and thou with it, thou speck of dust!"? ▷ 341. 가장 무거운 짐. 어느 날 밤낮으로 당신의 가장 외로운 고독 속으로 악마가 살금살금 기어 들어와 당신에게 말한다면, "이 삶은 당신이 지금 살고 있고 살아온 것처럼, 당신은 그것을 한 번 더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또한 무수한 시간; 그리고 그 안에는 새로운 것이 없을 것이지만, 모든 고통과 모든 기쁨, 모든 생각과 모든 한숨, 그리고 당신의 삶에서 말할 수 없이 크고 작은 모든 것이 당신에게 다시 와야 합니다. 그리고 그와 마찬가지로 이 거미와 나무 사이의 이 달빛, 그리고 지금 이 순간과 나 자신도 마찬가지입니다.
▶ "Dost thou want this once more, and also for innumerable times?" would lie as the heaviest burden upon thy activity! Or, how wouldst thou have to become favourably inclined to thyself and to life, so as to long for nothing more ardently than for this last eternal sanctioning and sealing?? ▷ "당신은 이것을 한 번 더 원하십니까, 또한 셀 수 없이 많은 시간 동안 원하십니까?" 당신의 활동에 가장 무거운 짐이 될 것입니다! 아니면 이 마지막 영원한 승인과 인봉보다 더 간절히 원하는 것을 바라지 않으려면 어떻게 자신과 삶에 호의적인 경향이 있어야 합니까??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87 프리드리히 니체의 초기 그리스 철학과 다른 에세이들 1909(English Classics987 Early Greek Philosophy and Other Essay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초기 그리스 철학과 다른 에세이들 1909(Early Greek Philosophy and Other Essay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의 미완성원고를 묶어 사후 9년 후인 1909년에 출간된 작품으로 총 8편의 원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리스 국가(The Greek State)를 비롯해 그리스 여인(The Greek Woman), 호메로스의 경연(Homer's Contest), 그리스 비극 시대의 철학(Philosophy During The Tragic Age Of The Greeks) 등 초기 그리스 철학(Early Greek Philosophy)에 관한 원고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미완성원고이니만큼 온전한 구조와 체계를 갖고 있지 않으나, 해당 주제에 대한 니체의 사상과 관점을 엿보기에는 부족함이 없습니다. 번역자의 서문(Translator's Preface)에 따르면 제2장 그리스 여인 ? 파편(The Greek Woman?Fragment, 1871)과 제8장 초도덕적 의미에서의 진실과 거짓(On Truth And Falsity In Their Ultramoral Sense, 1873)이 일반 대중이 가장 흥미롭게 읽을 만한 원고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1. 그리스 국가 - 기록되지 않은 책의 서문(1871)
1. The Greek State?Preface To An Unwritten Book(1871)
2. 그리스 여인 ? 파편(1871)
2. The Greek Woman?Fragment(1871)
3. 음악과 가사에 관하여 ? Fragment(1871)
3. On Music And Words?Fragment(1871)
4. 호메로스의 경연 - 기록되지 않은 책의 서문(1872)
4. Homer's Contest?Preface To An Unwritten Book(1872)
5. 독일 문화에 대한 쇼펜하우어 철학의 관계 - 기록되지 않은 책에 대한 서문(1872)
5. The Relation Of Schopenhauer's Philosophy To A German Culture?Preface To An Unwritten Book(1872)
6. 그리스 비극 시대의 철학(1873)
6. Philosophy During The Tragic Age Of The Greeks(1873)
7. 계속을 위한 주석(1873년 초)
7. Notes for a Continuation(Early Part of 1873)
8. 초도덕적 의미에서의 진실과 거짓(1873)
8. On Truth And Falsity In Their Ultramoral Sense(1873)
▶ TRANSLATOR'S PREFACE. The essays contained in this volume treat of various subjects. With the exception of perhaps one we must consider all these papers as fragments. Written during the early Seventies, and intended mostly as prefaces, they are extremely interesting, since traces of Nietzsche's later tenets?like Slave and Master morality, the Superman?can be found everywhere. But they are also very valuable on account of the young philosopher's daring and able handling of difficult and abstruse subjects. "Truth and Falsity," and "The Greek Woman" are probably the two essays which will prove most attractive to the average reader.
▷ 번역가의 서문. 이 책에 수록된 에세이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아마도 하나를 제외하고 우리는 이 모든 논문을 파편으로 간주해야 합니다. 70년대 초반에 작성되었으며 대부분 서문으로 의도된 이 글은 ‘노예와 주인의 도덕’, ‘슈퍼맨’과 같은 니체의 후기 사상의 흔적이 모든 곳에서 발견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흥미롭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젊은 철학자가 어렵고 난해한 주제를 대담하고 유능하게 다루었기 때문에 매우 가치가 있습니다. "진실과 거짓"과 "그리스 여인"은 아마도 일반 독자들에게 가장 매력적인 두 에세이일 것입니다.
▶ THE GREEK STATE-Preface to an Unwritten Book(1871). We moderns have an advantage over the Greeks in two ideas, which are given as it were as a compensation to a world behaving thoroughly slavishly and yet at the same time anxiously eschewing the word "slave": we talk of the "dignity of man" and of the "dignity of labour.“
▷ 그리스 국가 - 불문율의 서문 (1871년). 우리 현대인들은 철저하게 노예처럼 행동하는 세계에 대한 보상인 동시에 "노예"라는 단어를 걱정스럽게 회피하는 두 가지 아이디어에서 그리스인들보다 유리합니다. 우리는 "인간의 존엄성"과 "노동의 존엄성"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 THE GREEK WOMAN(Fragment, 1871). He who according to the usual custom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 Hellenic Woman to be altogether unworthy and repugnant to humanity, must also turn with this reproach against the Platonic conception of this position; for, as it were, the existing forms were only precisely set forth in this latter conception. Here therefore our question repeats itself: should not the nature and the position of the Hellenic Woman have a necessary relation to the goals of the Hellenic Will?
▷ 그리스 여인(단편, 1871). 일반적인 관습에 따라 헬레니즘 여성의 지위를 전적으로 무가치하고 인류에게 혐오스러운 것으로 간주하는 사람은 또한 이 입장에 대한 플라톤적 개념에 대해 이러한 비난을 가해야 합니다. 말하자면 기존의 형태는 이 후자의 개념에서만 정확하게 설명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여기서 우리의 질문이 반복됩니다. 그리스 여성의 본성과 위치는 그리스 의지의 목표와 필연적인 관계를 가져야 하지 않을까요?
▶ ON TRUTH AND FALSITY IN THEIR ULTRAMORAL SENSE(1873). There were eternities during which this intellect did not exist, and when it has once more passed away there will be nothing to show that it has existed. For this intellect is not concerned with any further mission transcending the sphere of human life. No, it is purely human and none but its owner and procreator regards it so pathetically as to suppose that the world revolves around it.
▷ 초도덕적 의미에서의 진실과 거짓(1873). 이 지성이 존재하지 않는 영원이 있었고, 그것이 다시 한 번 사라지면 그것이 존재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 아무것도 없을 것입니다. 이 지성은 인간의 삶의 영역을 초월하는 더 이상의 사명에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아니요, 그것은 순전히 인간이며 그 소유자와 번식자 외에는 세상이 그것을 중심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할 정도로 그것을 한심하게 여깁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70 프리드리히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2부 1878(English Classics970 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Part 2 by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by Nietzsche)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78년, 1879, 1880년에 출간한 여러 작품을 함께 묶어 2권으로 분할 출판한 것으로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종교관을 비판하기 위해 집필하였습니다. 짧게는 한 문장부터 짤막한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권은 646편, 제2권은 765편이 실려 있습니다. 짤막한 글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권을 합친 단행본 기준 1,0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작품으로 니체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방대한 철학서로 손꼽힙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ranslator's Introduction. The publication of Human, all-too-Human extends over the period 1878-1880. Of the two divisions which constitute the Second Part, “Miscellaneous Maxims and Opinions” appeared in 1879, and “The Wanderer and his Shadow” in 1880, Nietzsche being then in his thirty-sixth year. The Preface was added in 1886. The whole book forms Nietzsche's first lengthy contribution to literature. His previous works comprise only the philological treatises, The Birth of Tragedy, and the essays on Strauss, Schopenhauer, and Wagner in Thoughts out of Season. ▷ 번역자 서문.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의 출판은 1878년부터 1880년까지 계속됩니다. 제2부를 구성하는 두 부분 중 "기타 격언과 의견(Miscellaneous Maxims and Opinions)"은 1879년에, "방랑자와 그의 그림자(The Wanderer and his Shadow)"는 1880년에 등장했고, 니체는 36세가 되었습니다. 서문은 1886년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책 전체는 니체의 문학에 대한 첫 번째 장문의 공헌을 형성합니다. 그의 이전 작품들은 단지 철학적 논문인 비극의 탄생과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속의 슈트라우스, 쇼펜하우어, 그리고 바그너에 대한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With the volumes of Human, all-too-Human Nietzsch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his true colours as philosopher. His purely scholarly publications, his essays in literary and musical criticism?especially the essay on Richard Wagner at Bayreuth?had, of course, foreshadowed his work as a thinker.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이라는 책과 함께 니체는 철학자로서 처음으로 그의 본색으로 등장합니다. 그의 순수하게 학문적인 출판물, 문학과 음악 비평에서의 에세이, 특히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에 대한 에세이는 물론 사상가로서의 그의 작품을 예고했습니다.
▶ 볼테르 서거 100주년(1878) 기념 니체 헌정작, 자유로운 영혼을 위한 책(A Book for Free Spirits) : 니체는 독일 작곡가 라히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의 음악관과 작품을 존경하였고, 청년시절에 집필한 비극의 탄생; 또는 헬레니즘과 염세주의 1872(The Birth of Tragedy; or, Hellenism and Pessimism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를 그에게 헌정하기까지 하였습니다만 바그너의 낭만주의 음악(Romantic music)을 계기로 자신만의 사상을 추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은 니체가 바그너의 낭만주의적 허무주의를 벗어나 프랑스 계몽철학자 볼테르(Fran?ois-Marie Arouet, 1694~1778)의 자유정신에 매료되기 시작한 분기점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으며, 볼테르 서거 100주년을 기념해 1878년 헌정한 바 있습니다. 니체의 자유정신에 대한 사상은 5년 후 발표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에서 한층 성숙된 형태로 제시됩니다.
▶ 니체는 왜 인간, 인간을 노래하였는가? : 니체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을 통해 기존의 종교와 철학이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사상이라는 점을 공격하였습니다. ‘유일신으로써의 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기독교의 인격적인 신’을 비판함으로써 인간적인 관점에서 소망할 법한 신은 죽었다(Gott ist tott, 1882)란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인간이 이를 깨달음으로써 자기 자신을 오롯이 발견하고 긍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책의 독자들 또한 기존의 관념을 창조적으로 파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위버멘쉬(?bermensch, 1885)가 되기를 바라면서…….
▶ Part I. Miscellaneous Maxims And Opinions. 1. To the Disillusioned in Philosophy.?If you hitherto believed in the highest value of life and now find yourselves disillusioned, must you immediately get rid of life at the lowest possible price? ▷ 제1부. 기타 격언 및 의견. 제1장. 철학에 환멸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 당신이 지금까지 삶의 가장 높은 가치를 믿었지만 지금은 환멸을 느끼고 있다면 가능한 가장 낮은 가격으로 즉시 삶을 제거해야 합니까?
▶ 2. Overnice.?One can even become overnice as regards the clearness of concepts. How disgusted one is then at having truck with the half-clear, the hazy, the aspiring, the doubting! How ridiculous and yet not mirth-provoking is their eternal fluttering and straining without ever being able to fly or to grasp! ▷ 제2장. 지나침. 개념의 명료성에 관해서도 지나칠 수 있다. 반쯤 맑고, 흐릿하고, 의욕이 넘치고, 의심하는 사람들과 함께 트럭을 가지고 있는 것이 얼마나 역겨운지! 날거나 잡을 수도 없는 그들의 영원한 팔랑팔랑 몸부림은 얼마나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유쾌하지 않은가!
▶ Part II. The Wanderer And His Shadow. It is all the better if we are both equally forbearing towards each other when for once our reason is silent. Thus we shall avoid losing our tempers in conversation, and shall not at once apply mutual thumb-screws in the event of any word sounding for once unintelligible to us. If one does not know exactly how to answer, it is enough to say something. Those are the reasonable terms on which I hold conversation with any person. During a long talk the wisest of men becomes a fool once and a simpleton thrice.
▷ 제2부. 방랑자와 그의 그림자. 우리의 이성이 한 번 침묵할 때 우리 둘 다 서로에게 동등하게 관대하면 더 좋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는 대화 중에 화를 내는 일을 피하고, 한 번은 알아들을 수 없게 들리는 말이 있더라도 즉시 서로에게 손을 못 박지 않을 것입니다. 어떻게 대답해야 할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무언가를 말하는 것으로 충분합니다. 이것이 내가 어떤 사람과 대화를 나누는 합리적인 조건입니다. 긴 말을 하면 가장 현명한 사람도 한 번은 바보가 되고 세 번은 얼간이가 되거든요.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69 프리드리히 니체의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부 1878(English Classics969 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Part 1 by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Spirits by Nietzsche)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78년, 1879, 1880년에 출간한 여러 작품을 함께 묶어 2권으로 분할 출판한 것으로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종교관을 비판하기 위해 집필하였습니다. 짧게는 한 문장부터 짤막한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권은 646편, 제2권은 765편이 실려 있습니다. 짤막한 글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권을 합친 단행본 기준 1,000페이지가 넘는 방대한 작품으로 니체의 작품 중에서도 가장 방대한 철학서로 손꼽힙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ranslator's Introduction. The publication of Human, all-too-Human extends over the period 1878-1880. Of the two divisions which constitute the Second Part, “Miscellaneous Maxims and Opinions” appeared in 1879, and “The Wanderer and his Shadow” in 1880, Nietzsche being then in his thirty-sixth year. The Preface was added in 1886. The whole book forms Nietzsche's first lengthy contribution to literature. His previous works comprise only the philological treatises, The Birth of Tragedy, and the essays on Strauss, Schopenhauer, and Wagner in Thoughts out of Season. ▷ 번역자 서문.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의 출판은 1878년부터 1880년까지 계속됩니다. 제2부를 구성하는 두 부분 중 "기타 격언과 의견(Miscellaneous Maxims and Opinions)"은 1879년에, "방랑자와 그의 그림자(The Wanderer and his Shadow)"는 1880년에 등장했고, 니체는 36세가 되었습니다. 서문은 1886년에 추가되었습니다. 이 책 전체는 니체의 문학에 대한 첫 번째 장문의 공헌을 형성합니다. 그의 이전 작품들은 단지 철학적 논문인 비극의 탄생과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속의 슈트라우스, 쇼펜하우어, 그리고 바그너에 대한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With the volumes of Human, all-too-Human Nietzsche appears for the first time in his true colours as philosopher. His purely scholarly publications, his essays in literary and musical criticism?especially the essay on Richard Wagner at Bayreuth?had, of course, foreshadowed his work as a thinker.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이라는 책과 함께 니체는 철학자로서 처음으로 그의 본색으로 등장합니다. 그의 순수하게 학문적인 출판물, 문학과 음악 비평에서의 에세이, 특히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에 대한 에세이는 물론 사상가로서의 그의 작품을 예고했습니다.
▶ 볼테르 서거 100주년(1878) 기념 니체 헌정작, 자유로운 영혼을 위한 책(A Book for Free Spirits) : 니체는 독일 작곡가 라히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의 음악관과 작품을 존경하였고, 청년시절에 집필한 비극의 탄생; 또는 헬레니즘과 염세주의 1872(The Birth of Tragedy; or, Hellenism and Pessimism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를 그에게 헌정하기까지 하였습니다만 바그너의 낭만주의 음악(Romantic music)을 계기로 자신만의 사상을 추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은 니체가 바그너의 낭만주의적 허무주의를 벗어나 프랑스 계몽철학자 볼테르(Fran?ois-Marie Arouet, 1694~1778)의 자유정신에 매료되기 시작한 분기점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으며, 볼테르 서거 100주년을 기념해 1878년 헌정한 바 있습니다. 니체의 자유정신에 대한 사상은 5년 후 발표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에서 한층 성숙된 형태로 제시됩니다.
▶ 니체는 왜 인간, 인간을 노래하였는가? : 니체는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1878을 통해 기존의 종교와 철학이 ‘인간적인 관점에서 바라본’ 사상이라는 점을 공격하였습니다. ‘유일신으로써의 신’에 대한 것이 아니라, ‘전통적인 기독교의 인격적인 신’을 비판함으로써 인간적인 관점에서 소망할 법한 신은 죽었다(Gott ist tott, 1882)란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인간이 이를 깨달음으로써 자기 자신을 오롯이 발견하고 긍정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책의 독자들 또한 기존의 관념을 창조적으로 파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위버멘쉬(?bermensch, 1885)가 되기를 바라면서…….
▶ FIRST DIVISION. FIRST AND LAST THINGS. 1. Chemistry of Ideas and Sensations.?Philosophical problems adopt in almost all matters the same form of question as they did two thousand years ago; how can anything spring from its opposite? for instance, reason out of unreason, the sentient out of the dead, logic out of unlogic, disinterested contemplation out of covetous willing, life for others out of egoism, truth out of error? Metaphysical philosophy has helped itself over those difficulties hitherto by denying the origin of one thing in another, and assuming a miraculous origin for more highly valued things, immediately out of the kernel and essence of the "thing in itself."
▷ 제1부. 처음이자 마지막 것. 제1장. 관념과 감각의 화학 - 철학적 문제는 거의 모든 문제에서 2,000년 전에 했던 것과 같은 형태의 문제를 채택합니다. 어떻게 그 반대에서 무언가가 나올 수 있습니까? 예를 들어, 비이성에서 나온 추론, 죽은 것에서 나온 의식, 비논리에서 나온 논리, 탐욕스러운 의지에서 나온 사심 없는 사색, 이기심에서 나온 타인을 위한 삶, 오류에서 나온 진리? 형이상학적 철학은 어떤 것의 기원을 다른 것에서 부정하고, "사물 자체"의 핵심과 본질에서 즉시 더 높은 가치를 지닌 사물의 기적적인 기원을 가정함으로써 지금까지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주었습니다.
▶ SECOND DIVISION. THE HISTORY OF THE MORAL SENTIMENTS. 35. Advantages of Psychological Observation.?That reflection on the human, all-too-human?or, according to the learned expression, psychological observation?is one of the means by which one may lighten the burden of life, that exercise in this art produces presence of mind in difficult circumstances, in the midst of tiresome surroundings, even that from the most thorny and unpleasant periods of one's own life one may gather maxims and thereby feel a little better: all this was believed, was known in former centuries.
▷ 제2부. 도덕적 감정의 역사. 제35장. 심리학적 관찰의 장점 - 너무 인간적인 인간에 대한 성찰, 또는 학습된 표현에 따르면 심리학적 관찰은 삶의 짐을 가볍게 할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입니다. 예술은 어려운 상황에서, 지루한 환경 속에서 마음의 존재를 만들어냅니다. 심지어 자신의 삶에서 가장 힘들고 불쾌한 시기에 격언을 모아서 기분이 조금 나아질 수 있습니다. 이 모든 것이 믿었고 이전 세기에 알려졌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63 프리드리히 니체의 호메로스와 고전 문헌학 1868(English Classics963 Homer and Classical Philology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와 고전 문헌학 1868(Homer and Classical Philology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69년 5월 28일 스위스 바젤 대학교(University of Basel)에 임용되었을 때 발표한 Antrittsvorlesung, 즉 취임 강연을 출판한 작품입니다. 독일 문화권의 대학에서는 취임한 교수가 취임 연설문을 발표하는 것이 관례였으며, 이는 대학교의 임직원과 학생들에게 해당 교수의 업적과 연구 방향을 소개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3만9천여 자의 짧은 원고문이지만, 고전 문헌학(Classical Philology)을 연구하는 ‘학자 니체’의 호메로스에 대한 견해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작품으로, 그는 일리아스(The Iliad by Homer)와 오디세이아(The Odyssey by Homer) 등 서구 문학사의 걸작을 집대성한 호메로스(Homer)가 작가 개인이라기보다는, 당대 활동한 수많은 창작자들의 집합이라는 파격적인 주장을 하였습니다.
▶ 니체가 바젤 대학교에 임용된 1869년은 그가 철학자로써 명성을 떨친 대표작 - 비극의 탄생; 또는 헬레니즘과 염세주의 1872(The Birth of Tragedy; or, Hellenism and Pessimism),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선악의 저편 1886(Beyond Good and Evil) 등을 발표하기 전인 젊고 전도유망한 20대의 청년 학자였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연설문의 파격적인 내용이 좀 더 충격적으로 다가올 것입니다. 니체는 바젤 대학교에 1869년 불과 24세의 어린 나이에 고전 문헌학(Classical Philology) 교수로 임용된 후 1879년까지 십여 년간 재직하며, 교내는 물론 스위스를 왕래하는 저명인사들과 두루 교류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Hellenism is looked upon as a superseded and hence very insignificant point of view. Against these enemies, we philologists must always count upon the assistance of artists and men of artistic minds; for they alone can judge how the sword of barbarism sweeps over the head of every one who loses sight of the unutterable simplicity and noble dignity of the Hellene; and how no progress in commerce or technical industries, however brilliant, no school regulations, no political education of the masses, however widespread and complete, can protect us from the curse of ridiculous and barbaric offences against good taste, or from annihilation by the Gorgon head of the classicist. ▷ 헬레니즘은 대체되고 따라서 매우 중요하지 않은 관점으로 간주됩니다. 이러한 적들에 맞서 우리 문헌학자들은 항상 예술가들과 예술적인 정신을 가진 사람들의 도움에 의존해야 합니다. 헬라인의 형언할 수 없는 단순함과 고상한 위엄을 보지 못하는 모든 사람의 머리 위로 야만의 칼이 어떻게 휘두르는지 판단할 수 있는 것은 오직 그들 뿐입니다. 그리고 상업이나 기술 산업의 어떠한 진보도, 아무리 눈부신 학교 규정도, 대중에 대한 어떠한 정치 교육도, 아무리 광범위하고 완전하더라도, 좋은 취향에 대한 우스꽝스럽고 야만적인 범죄의 저주나 고전주의자의 고르곤 머리에 의한 절멸로부터 우리를 보호할 수는 없습니다.
▶ Life is worth living, says art, the beautiful temptress; life is worth knowing, says science. ▷ 아름다운 유혹자인 예술은 삶은 살 가치가 있다고 말합니다. 과학은 삶은 알 가치가 있다고 말합니다.
▶ Are ther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utterances of the man of genius and the poetical soul of the people? ▷ 천재의 말과 사람들의 시적 영혼 사이에 특징적인 차이가 있습니까?
▶ Let it be noted that the insight into the most diverse operations of the instinctive and the conscious changes the position of the Homeric problem; and in my opinion throws light upon it. ▷ 본능과 의식의 가장 다양한 작동에 대한 통찰력이 호메로스 문제의 위치를 변화시킨다는 것을 주목하십시오. 그리고 제 생각에는 그것에 빛을 던집니다.
▶ 호메로스는 과연 실존 인물인가?! : 현대까지도 호메로스란 작가 개인에 대해서는 출생지, 출생연도, 이력 등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더 나아가 일리아스(The Iliad by Homer)와 오디세이아(The Odyssey by Homer)가 과연 같은 저자의 작품인지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죠. 호메로스가 맹인이라는 오래된 속설부터 그가 실제 작가가 아니라 그의 구술을 제자나 조수가 받아 적은 것이라는 둥 작품과 작가에 대한 다양한 의혹이 있습니다. 니체가 호메로스를 실존한 천재 개인(a people-genius)이 아니라, 고대 그리스의 전설과 신화를 노래하고 이를 기록한 ‘이름이 잊힌 무수한 창작자들’ - 집단 영혼의 사고(collective soul-thinking)이라고 주장한 것은 바로 이 같은 시대적 상황에 근거한 것입니다.
▶ We believe in a great poet as the author of the Iliad and the Odyssey?but not that Homer was this poet. ▷ 우리는 위대한 시인을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의 저자로 믿지만, 호메로스가 이 시인이 아니었습니다.
▶ The decision on this point has already been given. The generation that invented those numerous Homeric fables, that poetised the myth of the contest between Homer and Hesiod, and looked upon all the poems of the epic cycle as Homeric, did not feel an æsthetic but a material singularity when it pronounced the name "Homer." This period regards Homer as belonging to the ranks of artists like Orpheus, Eumolpus, Dædalus, and Olympus, the mythical discoverers of a new branch of art, to whom, therefore, all the later fruits which grew from the new branch were thankfully dedicated. ▷ 이 점에 대한 결정은 이미 내려졌습니다.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대결 신화를 시화하고 서사시 주기의 모든 시를 호메로스로 바라본 수많은 호메로스 우화를 발명한 세대는 "호메로스"라는 이름을 발음할 때 에스테틱이 아니라 물질적 특이성을 느꼈습니다. 이 시기는 호메로스를 오르페우스, 에우몰포스, 데달루스, 올림포스와 같은 예술가들의 반열에 속한다고 간주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분파에서 자라난 모든 후기의 열매들은 감사하게도 바쳐졌습니다.
▶ And that wonderful genius to whom we owe the Iliad and the Odyssey belongs to this thankful posterity: he, too, sacrificed his name on the altar of the primeval father of the Homeric epic, Homeros. ▷ 그리고 우리가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에게 빚진 그 놀라운 천재는 이 감사한 후손의 것입니다. 그 역시 호메로스 서사시의 원초적 아버지인 호메로스의 제단에 자신의 이름을 바쳤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77 프리드리히 니체의 도덕의 계보 1887(English Classics977 The Genealogy of Moral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도덕의 계보 1887(The Genealogy of Moral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87년 11월 발표한 작품으로 선악의 저편 1886(Beyond Good and Evil),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등과 함께 그의 후기 저작에 속합니다. 선악의 저편 1886이 단문과 단편으로 이루어진 아포리즘(aphorism) 형식이였다면, 도덕의 계보 1887에서는 일련의 이론 체계로 가다듬은 이론 전개서의 형식을 띠고 있습니다. 제1논문 선악의 개념(First Essay. “Good And Evil,” “Good And Bad.”)부터 제2논문 양심의 가책(Second Essay. “Guilt,” “Bad Conscience,” And The Like.), 제3논문 금욕주의적 이상(Third Essay. "What do ascetic ideals mean?")까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작과 마찬가지로 전통적인 기독교 도덕(Christian morality)을 비판하는 입장을 견지하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써 지주도덕(Junker Philosophie)과 원인애(遠人愛)의 도덕을 제시하였습니다. 이 작품은 이후 니체의 대표작이자 걸작(his masterpiece)으로 인정받으며, 수많은 철학자와 철학서 뿐 아니라, 문인들의 소설, 문학, 기사 등에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2. My thoughts concerning the genealogy of our moral prejudices?for they constitute the issue in this polemic?have their first, bald, and provisional expression in that collection of aphorisms entitled Human, all-too-Human, a Book for Free Minds, the writing of which was begun in Sorrento, during a winter which allowed me to gaze over the broad and dangerous territory through which my mind had up to that time wandered. This took place in the winter of 1876-77; the thoughts themselves are older. They were in their substance already the same thoughts which I take up again in the following treatises:?we hope that they have derived benefit from the long interval, that they have grown riper, clearer, stronger, more complete.
▷ 머리말. 제2장. 우리의 도덕적 편견의 계보에 관한 나의 생각은-그것들이 이 논쟁의 쟁점을 구성하기 때문에-‘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자유로운 마음을 위한 책(a Book for Free Minds)이라는 제목의 격언 모음집에서 최초의, 노골적이고, 잠정적인 표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때까지 내 마음이 방황했던 넓고 위험한 영역을 바라볼 수 있었던 겨울 동안 소렌토에서 글을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것은 1876-77년 겨울에 일어났습니다. 생각 자체는 더 오래되었습니다.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내가 다음 논문에서 다시 언급하는 것과 같은 생각을 이미 가지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그것들이 긴 간격으로부터 이익을 얻었고, 그것들이 더 익고, 더 명확하고, 더 강하고, 더 완전해졌기를 바랍니다.
▶ FIRST ESSAY. "GOOD AND EVIL," "GOOD AND BAD." 13. A quantum of force is just such a quantum of movement, will, action?rather it is nothing else than just those very phenomena of moving, willing, acting, and can only appear otherwise in the misleading errors of language (and the fundamental fallacies of reason which have become petrified therein), which understands, and understands wrongly, all working as conditioned by a worker, by a "subject."
▷ 제1논문 선악의 개념. 제13장. 힘의 양자는 움직임, 의지, 행동의 양자일 뿐이며 오히려 움직이고, 의지하고, 행동하는 바로 그 현상일 뿐이며, 언어의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오류에서만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안에서 석화된 이성), 이해하고 잘못 이해하는 모든 것은 노동자, "주체"에 의해 조건 지어진 대로 작동합니다.
▶ SECOND ESSAY. "GUILT," "BAD CONSCIENCE," AND THE LIKE. 21. So much for my rough and preliminary sketch of the interrelation of the ideas "ought" (owe) and "duty" with the postulates of religion. I have intentionally shelved up to the present the actual moralisation of these ideas (their being pushed back into the conscience, or more precisely the interweaving of the bad conscience with the idea of God), and at the end of the last paragraph used language to the effect that this moralisation did not exist, and that consequently these ideas had necessarily come to an end, by reason of what had happened to their hypothesis, the credence in our "creditor," in God.
▷ 제2논문 양심의 가책 제21장. "해야 한다"(빚)와 "의무"라는 관념과 종교의 공준 사이의 상호 관계에 대한 개략적이고 예비적인 개요는 이 정도입니다. 나는 의도적으로 이러한 개념의 실제 도덕화(그 개념이 양심 속으로 밀려나는 것, 또는 더 정확하게는 나쁜 양심과 신의 개념이 뒤섞이는 것)를 현재까지 보류했으며, 마지막 단락의 끝에서 다음을 위해 언어를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도덕화가 존재하지 않았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아이디어는 그들의 가설, 즉 우리의 "채권자", 즉 신에 대한 신뢰에 일어난 일로 인해 필연적으로 종말을 고하게 되었습니다.
▶ THIRD ESSAY. WHAT IS THE MEANING OF ASCETIC IDEALS? 1. But in the very fact that the ascetic ideal has meant so much to man, lies expressed the fundamental feature of man's will, his horror vacui: he needs a goal?and he will sooner will nothingness than not will at all.?Am I not understood??Have I not been understood??"Certainly not, sir?"?Well, let us begin at the beginning.
▷ 제3논문 금욕주의적 이상. 제1장. 그러나 금욕주의적 이상이 인간에게 그토록 큰 의미가 있다는 바로 그 사실에서 인간 의지의 근본적인 특징인 그의 공포스러운 공백은 거짓으로 표현되었습니다. 그는 목표를 필요로 합니다. 내가 이해하지 못했습니까? - 내가 이해하지 못했습니까? - "그렇지 않습니까?" - 처음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68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리 문헌학자들 1874(English Classics968 We Philologist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우리 문헌학자들 1874(We Philologist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총 13개의 주제(The Cultural Philistine, History, The Philosopher, The Scholar, Art, The Teacher, Religion, State War Nation, The Press, Natural Science, Folk Society, Commerce, Language)로 집필한 다섯 번째 원고입니다. 니체는 교수로 재직한 이후 교육에 대해 깊은 관심을 보였고, 기존의 독일 교육 시스템과 교육자에 대한 비판과 고전 문화에 대한 교육법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였습니다. 특히 현재의 세대에게 미치는 현대 기독교(modern Christianity)의 해악을 강도 높게 비판하였으며, 같은 맥락에서 고대 그리스 문화(Greek antiquity)와 알렉산드리아 문화(the Alexandrian culture)에 대해서도 냉소적인 시선을 보냈습니다. 구체적으로 후대 그리스 사상(later Greek thought)이 지나치게 과장된 반편 초기 그리스 사상(early Greek thought)이 과도하게 과소평가되었다고 주장하는 등 고전적 고대(Classical antiquity)의 종교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원칙(religious and "liberal" principles)이 무비판적으로 전래되고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리드리히 니체의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1873(Thoughts out of Season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혹은 유행에 뒤떨어진 관찰과 계절에 맞지 않은 생각(Unfashionable Observations and Thoughts Out of Season)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73년부터 1876년 사이에 집필한 네 편의 작품을 묶은 편집본으로 각각의 에세이는 10여 편으로 분절되어 있습니다. 니체의 유고 노트에 따르면, 그는 총 13개의 주제(The Cultural Philistine, History, The Philosopher, The Scholar, Art, The Teacher, Religion, State War Nation, The Press, Natural Science, Folk Society, Commerce, Language)로 에세이를 기획하였으나, 생전에 완성한 것이 바로 본서에 실린 네 작품입니다.
▶ TRANSLATOR'S INTRODUCTION. The subject of education was one to which Nietzsche, especially during his residence in Basel, paid considerable attention, and his insight into it was very much deeper than that of, say, Herbert Spencer or even Johann Friedrich Herbart, the latter of whom has in late years exercised considerable influence in scholastic circles. ▷ 번역가의 서문. 교육의 주제는 니체가 특히 바젤에 거주하는 동안 상당한 관심을 기울인 주제였으며 교육에 대한 그의 통찰력은 허버트 스펜서 또는 요한 프리드리히 허버트보다 훨씬 더 깊었습니다. 말년은 학계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습니다.
▶ These scattered aphorisms, indeed, are significant as showing how far Nietzsche had travelled along the road over which humanity had been travelling from remote ages, and how greatly he was imbued with the pagan spirit which he recognised in Goethe and valued in Burckhardt. Even at this early period of his life Nietzsche was convinced that Christianity was the real danger to culture; and not merely modern Christianity, but also the Alexandrian culture, the last gasp of Greek antiquity, which had helped to bring Christianity about. ▷ 이러한 흩어진 격언들은 참으로 인류가 먼 옛날부터 걸어온 길을 따라 니체가 얼마나 멀리까지 왔는지, 괴테에서 인정하고 부르크하르트에서 높이 평가했던 이교적 정신에 얼마나 깊이 젖어 있었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습니다. 니체는 생애 초기에도 기독교가 문화에 대한 진정한 위험이라고 확신했습니다. 현대 기독교뿐만 아니라 기독교를 낳는 데 도움이 된 그리스 고대의 마지막 헐떡임인 알렉산드리아 문화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Classical antiquity, however, was conveyed to the public through university professors and their intellectual offspring, and these professors, influenced (quite unconsciously, of course) by religious and "liberal" principles, presented to their scholars a kind of emasculated antiquity. ▷ 그러나 고전적 고대는 대학 교수들과 그들의 지적 후손들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되었고, 이 교수들은 (물론 상당히 무의식적으로) 종교적이고 "자유주의적인" 원칙에 의해 영향을 받아 학자들에게 일종의 무력화된 고대를 제시했습니다.
▶ WE PHILOLOGISTS. I. To what a great extent men are ruled by pure hazard, and how little reason itself enters into the question, is sufficiently shown by observing how few people have any real capacity for their professions and callings, and how many square pegs there are in round holes: happy and well chosen instances are quite exceptional, like happy marriages, and even these latter are not brought about by reason. ▷ 우리 문헌학자들. 제1장. 인간이 순전히 위험에 의해 얼마나 많이 지배되고 있는지, 이성 자체가 문제에 얼마나 적게 들어가는지는 그들의 직업과 소명에 대한 실제 능력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적은지, 그리고 얼마나 많은 네모난 말뚝이 있는지를 관찰함으로써 충분히 알 수 있습니다. 둥근 구멍: 행복하고 잘 선택된 경우는 행복한 결혼과 같이 매우 예외적이며 후자조차도 이성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습니다.
▶ A man chooses his calling before he is fitted to exercise his faculty of choice. He does not know the number of different callings and professions that exist; he does not know himself; and then he wastes his years of activity in this calling, applies all his mind to it, and becomes experienced and practical. When, afterwards, his understanding has become fully developed, it is generally too late to start something new; for wisdom on earth has almost always had something of the weakness of old age and lack of vigour about it. ▷ 사람은 자신이 선택한 능력을 행사하기에 적합해지기 전에 자신의 부름을 선택합니다. 그는 존재하는 다양한 부름과 직업의 수를 알지 못합니다. 그는 자신을 모릅니다. 그런 다음 그는 이 부름에 자신의 활동을 낭비하고 온 마음을 다해 경험이 풍부하고 실용적이 됩니다. 그 후 그의 이해력이 완전히 발달했을 때 일반적으로 새로운 것을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습니다. 지상의 지혜는 거의 항상 노년의 약점과 활력 부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79 프리드리히 니체의 우상의 황혼 1889(English Classics979 The Twilight of the Idols; or, How to Philosophize with the Hammer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우상의 황혼 1889(The Twilight of the Idols; or, How to Philosophize with the Hammer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는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89년 정신병원에 입원하기 직전 해인 1888년 집필한 작품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1883(Thus Spake Zarathustra: A Book for All and None), 선악의 저편 1886(Beyond Good and Evil), 도덕의 계보 1887(The Genealogy of Morals) 등과 함께 그의 후기 저작에 속합니다. 니체는 1888년에만 바그너의 경우(The Case of Wagner)부터 우상의 황혼(The Twilight of the Idols)과 안티크리스트(적그리스도)(The Antichrist)까지 세 권의 저서를 집필하며, 현재까지도 불타오르는 철학의 열정을 찬란하게 피워 올렸습니다.
▶ 우상의 황혼 1889는 니체가 스위스의 한적한 소도시 실스 임 엥가딘/실(Sils im Engadin/Segl)로 휴가를 떠난 1888년 8월 26일부터 9월 3일까지, 매우 짧은 기간에 자신의 기존 저서와 철학, 사상을 바탕으로 압축해 집필한 작품입니다. 현재까지도 실스에는 니체가 1881년부터 1888년까지 여름휴가를 떠난 니체의 집(Nietzsche-Haus)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 우상의 황혼(The Twilight of the Idols)이란 책 제목은 리하르트 바그너(Richard Wagner, 1813~1883)의 오페라 신들의 황혼(G?tterd?mmerung, Twilight of the Gods)의 패러디이며, 쇠망치로 철학을 하는 법(How to Philosophize with the Hammer)란 부제는 훗날 니체의 별칭 망치를 든 철학자(philosopher with a hammer)의 유래가 되었습니다.
▶ 니체는 서구 전통의 형이상학과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오랫동안 무비판적으로 숭배해온 우상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즉 황혼 상태임을 지적하면서 인간의 이성이란 쇠망치(Hammer)로 이를 부숴야 한다고 설파하였습니다. 잠언과 미사일(Maxims And Missiles)을 시작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영원회귀와 해설(The Eternal Recurrence And Explanatory Notes To “Thus Spake Zarathustra.”)까지 총 12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단계별로 소크라테스로 대변되는 서양 전통의 형이상학, 감각과 본능을 무시하는 이성중심주의, 내면의 열정을 간과한 전통도덕이란 도덕적 괴물(Moral-Unthiere)을 조목조목 비판하였습니다. 우리말로 옮긴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잠언과 미사일(Maxims And Missiles)
▷ 소크라테스의 문제(The Problem Of Socrates)
▷ 철학에서의 이성(“Reason” In Philosophy)
▷ "참된 세계"가 궁극적으로 우화가 된 방법: 오류의 역사(How The “True World” Ultimately Became A Fable : The History Of An Error)
▷ 반자연으로서의 도덕(Morality As The Enemy Of Nature)
▷ 4대 오류(The Four Great Errors)
▷ 인류의 “개량자”(The “Improvers” Of Mankind)
▷ 독일인에게 부족한 것들(Things The Germans Lack)
▷ 시대와의 전쟁 속 쟁탈전(Skirmishes In A War With The Age)
▷ 내가 고대인에게 빚진 것들(Things I Owe To The Ancients)
▷ 안티크리스트(The Antichrist)
▷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대한 영원회귀와 해설(The Eternal Recurrence And Explanatory Notes To “Thus Spake Zarathustra.”)
▶ PREFACE. Even this treatise?as its title shows?is above all a recreation, a ray of sunshine, a leap sideways of a psychologist in his leisure moments. Maybe, too, a new war? And are we again cross-examining new idols? This little work is a great declaration of war; and with regard to the cross-examining of idols, this time it is not the idols of the age but eternal idols which are here struck with a hammer as with a tuning fork,?there are certainly no idols which are older, more convinced, and more inflated.
▷ 머리말.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논문조차도 무엇보다도 여가 시간에 심리학자가 옆으로 도약하는 레크리에이션, 한 줄기 햇빛입니다. 어쩌면, 새로운 전쟁도? 그리고 우리는 다시 새로운 우상을 교차 조사하고 있나요? 이 작은 작업은 위대한 선전포고입니다. 그리고 우상의 교차 조사와 관련하여, 이번에는 시대의 우상이 아니라, 여기서 음차처럼 망치로 치는 영원한 우상입니다. 확실히 더 오래되고, 더 확신하고, 더 부풀려진 우상은 없습니다.
▶ THE PROBLEM OF SOCRATES. In all ages the wisest have always agreed in their judgment of life: it is no good. At all times and places the same words have been on their lips,?words full of doubt, full of melancholy, full of weariness of life, full of hostility to life. Even Socrates’ dying words were:?“To live?means to be ill a long while: I owe a cock to the god Æsculapius.” Even Socrates had had enough of it.
▷ 소크라테스의 문제. 모든 시대에 걸쳐 가장 현명한 사람들은 삶에 대한 판단에 항상 동의했습니다. 그것은 좋지 않습니다. 의심으로 가득 찬 말, 우울함으로 가득 찬 말, 삶의 피로로 가득 찬 말, 삶에 대한 적대감으로 가득 찬 말, 그들의 입술에 항상 같은 말이 있었습니다. 심지어 소크라테스의 임종의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사는 것은 오랫동안 병이 난 것을 의미합니다: 저는 애스쿨라피우스 신에게 수탉을 빚졌습니다." 심지어 소크라테스도 그것에 질렸습니다.
▶ “REASON” IN PHILOSOPHY. You ask me what all idiosyncrasy is in philosophers?... For instance their lack of the historical sense, their hatred even of the idea of Becoming, their Egyptianism. They imagine that they do honour to a thing by divorcing it from history sub specie æterni,?when they make a mummy of it. All the ideas that philosophers have treated for thousands of years, have been mummied concepts; nothing real has ever come out of their hands alive.
▷ 철학의 "이유". 당신은 철학자들의 모든 특이성이 무엇인지 물으시나요... 예를 들어, 그들은 역사적 감각이 부족하고, 심지어 그들의 이집트주의가 되는 것에 대한 증오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그들이 그것을 미라로 만들 때, 그것을 역사의 하위 종인 에테르니와 분리함으로써 그것에 경의를 표한다고 상상합니다. 철학자들이 수천 년 동안 다뤄온 모든 아이디어들은 미완성된 개념들이었습니다. 그들의 손에서 살아난 것은 아무것도 없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84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3부 1901(English Classics984 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 Book III)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리드리히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1901(The Will to Power: An Attempted Transvaluation of All Values.)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89년 정신병원에 입원한 후 출간된 저서입니다. 그가 병동에 누워 있는 동안 그보다 두 살 어린 여동생 엘리자베트(Therese Elisabeth Alexandra F?rster-Nietzsche, 1846~1935)는 나치의 열렬한 추종자로써 니체의 미발표원고를 취합해 니체 아카이브(Nietzsche Archive, 1894)를 설립하는가 하면, 기존의 작품을 편집해 발간하는 등 탁월한 처세술(?!)을 발휘하였습니다. 심지어 그녀의 장례식장에 아돌프 히틀러(Adolf Hitler, 1889~1945)가 직접 방문하였다는...?!
▷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The Will to Power)는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가 주장한 살려는 의지(Will to live)에 영향을 받아 탄생하였습니다. 그러나 엘리자베트의 편집으로 인하여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사상 원리’로써 제시된 권력에의 의지(der Wille zur Macht, The Will to Power)란 개념은 니체의 뜻과 무관하게 변용되었고, 아돌프 히틀러가 자신의 권력을 합리화하는 권력의지설(權力意志說)로 활용되며 독일과 온 유럽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병동에 누워있는 니체가 알면 벌떡 일어날만한 일이 아닐 수 없겠습니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나치 추종자인 엘리자베트에 의해 악용된 것으로 니체에게 친나치주의자이거나 반유대주의자(Antisemitismus)란 오명이 씌여진 원인이 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RANSLATOR'S PREFACE. Unfortunately, The Will to Power was never completed by its author. The text from which this translation was made is a posthumous publication, and it suffers from all the disadvantages that a book must suffer from which has been arranged and ordered by foster hands... It is deeply to be deplored that Nietzsche was never able to complete his life-work... It is to be hoped that we are too sensible nowadays to allow our sensibilities to be shocked by serious and well-meditated criticism, even of the most cherished among our institutions, and an honest and sincere reformer ought no longer to find us prejudiced?to the extent of deafness?against him, more particularly when he comes forward with a gospel?"The Will to Power"?which is, above all, a test of our power to will. ANTHONY M. LUDOVICI.
▷ 번역가의 서문. 불행하게도, 권력에의 의지는 결코 저자에 의해 완성되지 않았습니다. 이 번역본은 사후에 출판된 것입니다. 그리고 책이 겪어야 할 모든 불이익을 겪고 있습니다. 이 책은 수양인의 손에 의해 배열되고 주문되었습니다... 니체가 평생의 일을 끝내지 못했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너무 분별력이 있어서, 심지어 우리 기관들 중에서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조차도 진지하고 잘 계획된 비판에 의해 우리의 감성이 충격을 받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정직하고 성실한 개혁가는 더 이상 우리가 그에 대해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해서는 안 됩니다. 특히 그가 고스피치를 들고 나설 때 말입니다l?"힘에의 의지"?무엇보다도 의지에 대한 우리의 힘을 시험하는 것입니다. 앤서니 M. 루도비치.
▶ 479. The phenomenalism of the "inner world!" A chronological inversion takes place, so that the cause reaches consciousness as the effect.?We know that pain is projected into a certain part of the body although it is not really situated there; we have learnt that all sensations which were ingenuously supposed to be conditioned by the outer world are, as a matter of fact, conditioned by the inner world: that the real action of the outer world never takes place in a way of which we can become conscious.... That fragment of the outer world of which we become conscious, is born after the effect produced by the outer world has been recorded, and is subsequently interpreted as the "cause" of that effect....
▷ 479. "내부 세계"의 현상주의. 시간적 반전이 일어나, 원인이 효과로서 의식에 도달합니다.?우리는 고통이 실제로 몸의 특정 부분에 투영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고통은 실제로 외부 세계에 의해 조정되어야 하는 모든 감각은 내부 세계에 의해 조정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외부 세계의 진정한 작용은 결코 우리가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일어나지 않습니다. 의식을 되찾습니다... 우리가 의식하게 되는 외부 세계의 조각은 외부 세계에 의해 생성된 효과가 기록된 후에 태어나고, 그 결과 그 효과의 "원인"으로 해석됩니다...
▶ 592. The antagonism between the "true world," as pessimism depicts it, and a world in which it were possible to live?for this the rights of truth must be tested. It is necessary to measure all these "ideal force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at antagonism: the struggle of sickly, desperate life, cleaving to a beyond, against healthier, more foolish, more false, richer, and fresher life. Thus it is not "truth" struggling with Life, but one kind of Life with another kind.?But the former would fain be the higher kind!?Here we must prove that some order of rank is necessary,?that the first problem is the order of rank among kinds of Life.
▷ 592. 비관주의가 묘사하는 "진정한 세계"와 그것이 살 수 있는 세계 사이의 반목 - 이것은 진실의 권리를 시험해야 합니다. 그 적대감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삶의 기준에 따라 이 모든 "이상적인 힘"을 측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병들고, 절망적인 삶, 더 이상적인 삶, 더 건강하고, 더 어리석고, 더 거짓되고, 더 부유하고, 더 신선한 삶에 대한 투쟁입니다. 그러므로 그것은 삶과 씨름하는 "진리"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 삶과 씨름하는 한 종류의 삶입니다.?하지만 전자는 더 높은 종류일 것입니다!?여기서 우리는 어떤 순위 순서가 필요하다는 것을 증명해야 합니다. 첫 번째 문제는 생명의 종류 중 순위 순서라는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67 프리드리히 니체의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2부 1873(English Classics967 Thoughts Out of Season, Part II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도서정보 :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 2023-01-3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리드리히 니체의 계절에 맞지 않는 생각 1873(Thoughts out of Season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 혹은 유행에 뒤떨어진 관찰과 계절에 맞지 않은 생각(Unfashionable Observations and Thoughts Out of Season)은 프리드리히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가 1873년부터 1876년 사이에 집필한 네 편의 작품을 묶은 편집본으로 각각의 에세이는 10여 편으로 분절되어 있습니다. 니체의 유고 노트에 따르면, 그는 총 13개의 주제(The Cultural Philistine, History, The Philosopher, The Scholar, Art, The Teacher, Religion, State War Nation, The Press, Natural Science, Folk Society, Commerce, Language)로 에세이를 기획하였으나, 생전에 완성한 것이 바로 본서에 실린 네 작품입니다.
▶ 각각의 원고는 서로 독립된 작품이지만, 크게 유럽의 현대적인 조건(the contemporary condition of European)이란 주제로 포괄할 수 있으며, 특히 독일 문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후 출간된 다섯 번째 에세이는 우리 문헌학자들 1874(We Philologists by Friedrich Wilhelm Nietzsche)이란 제목으로 별도로 출간되었으며, 함께 읽어시면 더욱 좋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생명을 위한 역사의 이용과 남용에 대하여(The Use And Abuse Of History, 1874)는 니체가 역사를 읽는 대안적인 방법(an alternative way of reading history)을 설명한 작품으로 고전적인 휴머니즘(the basic precepts of classic humanism)에 반하는 엘리트주의(elitism)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대다수(the majoritarian mass of humanity)에 기반을 둔 민주적 근대성(demotic modernity)을 지지하고, 위대한 개인(great individuals)을 신뢰하는 독자와 비평가들에게 불편한 작품이 아닐 수 없습니다.
▶ Are we to continue to work for these creations and write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sses; to look for laws in it, to be deduced from the needs of the masses, the laws of motion of the lowest loam and clay strata of society? ▷ 우리는 이러한 창조물을 위해 계속 일하고 대중의 관점에서 역사를 쓸 것인가? 그 안에서 법을 찾고 대중의 필요, 사회의 가장 낮은 양토와 점토층의 운동 법칙에서 추론하려면?
▶ The masses seem to be worth notice in three aspects only: first as the copies of great men, printed on bad paper from worn-out plates, next as a contrast to the great men, and lastly as their tools: for the rest, let the devil and statistics fly away with them! How could statistics prove that there are laws in history? Laws? Yes, they may prove how common and abominably uniform the masses are: and should we call the effects of leaden folly, imitation, love and hunger?laws? We may admit it: but we are sure of this too?that so far as there are laws in history, the laws are of no value and the history of no value either.
▷ 대중은 세 가지 측면에서만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첫 번째는 낡은 판에서 나쁜 종이에 인쇄된 위인의 사본으로, 다음으로 위인과의 대조, 마지막으로 그들의 도구입니다. 악마와 통계는 그들과 함께 날아갑니다! 통계는 역사에 법칙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증명할 수 있습니까? 법률? 예, 그것들은 대중이 얼마나 일반적이고 끔찍할 정도로 획일적인지를 증명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리석음, 모방, 사랑, 굶주림의 결과를 법이라고 부를까요? 우리는 그것을 인정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이것 역시 확신합니다. 역사에 법칙이 있는 한, 법칙은 가치가 없으며 역사도 가치가 없습니다.
▶ 교육자로서의 쇼펜하우어(Schopenhauer As Educator, 1874) : 니체는 비관주의(pessimism)로 유명한 독일 철학자 아르투어 쇼펜하우어(Arthur Schopenhauer, 1788~1860)의 다른 면모 ? 명랑함(cheerfulness), 개인주의(individualism), 정직함(honesty), 확고함(steadfastness) 등 다양한 미덕에도 주목하였습니다. 무엇보다 쇼펜하우어의 철학적 천재성(the philosophic genius of Schopenhauer)이야말로 독일 문화를 부활(a resurgence of German culture)시킬 수 있는 촉매제라고 주장하였습니다.
▶ When the traveller, who had seen many countries and nations and continents, was asked what common attribute he had found everywhere existing among men, he answered, “They have a tendency to sloth.” Many may think that the fuller truth would have been, “They are all timid.” They hide themselves behind “manners” and “opinions.” At bottom every man knows well enough that he is a unique being, only once on this earth; and by no extraordinary chance will such a marvellously picturesque piece of diversity in unity as he is, ever be put together a second time.
▷ 많은 나라와 대륙을 본 여행자가 사람들 사이에 어디에나 존재하는 공통점이 무엇인지 묻자, 그는 "그들은 게으름을 피우는 경향이 있습니다."라고 대답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더 완전한 진실이 "그들은 모두 소심하군요."였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매너"와 "의견" 뒤에 자신을 숨깁니다. 근본적으로 모든 사람은 자신이 이 지구상에서 단 한 번뿐인 유일한 존재라는 것을 충분히 잘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처럼 놀라운 통일성의 다양성 조각은 결코 두 번째로 합쳐지지 않을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