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908 호메로스의 이타카의 영웅 오디세우스(English Classics908 Odysseus, the Hero of Ithaca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CHAPTER I. ABOUT TROY AND THE JOURNEY OF PARIS TO GREECE. Hera, the queen of Heaven and consort of Zeus?Athena, the goddess of wisdom, and Zeus's favorite daughter?and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 had a dispute among themselves. Each thought herself the most beautiful of the three, and they would have come to high words about it had not Athena proposed that they should ask the handsomest man in the world to settle the question. This happened to be the young royal shepherd, Paris. So the three goddesses floated down to the slope of Mount Ida on a snowy cloud and placed the question before him, each promising to reward him royally if he gave his verdict in her favor.
▷ 제1장. 트로이와 파리의 그리스 여행에 대하여. 하늘의 여왕이자 제우스의 배우자인 지혜의 여신 아테나와 제우스의 최애 딸인 헤라와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서로 논쟁을 벌였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세 사람 중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했고, 아테나가 세상에서 가장 잘생긴 남자에게 질문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았다면 그것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을 것입니다. 어린 양치기 파리스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그래서 세 여신은 눈 덮인 구름을 타고 이다 산비탈로 내려와 그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각각의 여신은 그가 그녀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면 왕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CHAPTER IV. THE FALL OF TROY. The war lasted nine years, and in the tenth the Greeks conquered Troy, not in battle, but by means of a trick which had come into the mind of Odysseus. He told a skilful carpenter to build a wooden horse of gigantic size, and in it he hid the bravest Greek warriors. When he had done this he advised all the other Greeks to depart without leaving anything behind them, and so lead the Trojans to believe that they had given up the fight and gone home.
▷ 제4장 트로이의 몰락. 전쟁은 9년 동안 지속되었고, 10년 만에 그리스는 전투가 아니라 오디세우스의 마음에 떠오른 속임수로 트로이를 정복했습니다. 그는 숙련된 목수에게 거대한 크기의 목마를 만들라고 말했고 그 안에 가장 용감한 그리스 전사를 숨겼습니다. 그가 이것을 하고 나서 그는 다른 모든 그리스인들에게 그들에게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떠나라고 조언했고, 그래서 트로이 사람들은 그들이 싸움을 포기하고 집으로 갔다고 믿게 만들었습니다.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1822~1890) : 독일 출신의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은 터키의 트로이(Troy)와 미케네(Mycenae), 티린스(Tiryns) 등의 유적을 발굴한 세계적인 명성의 고고학자입니다. 신화 속의 이야기이라고 여겨졌던 일리아스(The Iliad)에 심취해, 러시아에서 큰돈을 번 후 직접 탐사에 나서 트로이 유적을 발굴하는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유명하지요! 그러나, 유적지를 두서없이 파헤치는 바람에 적지 않은 유적이 훼손되었을 뿐 아니라, 발굴한 보물을 무단으로 반출하는 등 윤리적인 문제도 적지 않은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가 반출한 트로이 유물은 현재까지도 (이를 독일에서 약탈한) 러시아에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1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 1881(English Classics891 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웅적 순교자인가, 미치광이 테러리스트인가?! : 존 브라운(John Brown)(1800~1859)은 현재까지도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노예 제도를 철폐하기 위한 무장 봉기는 정당한가? 육군 대령 출신의 존 브라운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자들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무력으로 응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선(善)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블랙잭 전투(Battle of Black Jack)(1856)와 오사와토미 전투(Battle of Osawatomie)(1856)를 지휘하며, 옹호론자를 사적으로(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거대한 칼로!!) 살해하였고, 무장봉기를 위한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의 조병창을 습격하였습니다. 습격이 실패함에 따라 체포되었고, 유죄를 선고받은 후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죽기 직전에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John Brown, am now quite certain that the crimes of this guilty land can never be purged away but with blood. 나 존 브라운은 이 죄악의 땅의 범죄를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피뿐이라고 확신하노라.
▶ 그의 과격한 행보는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1861~1865)의 발발을 예고하는 중요한 사건이였으며, 이후 그를 영웅적 순교자로 추앙하는 이들과 사적으로 무력을 행사한 테러리스트라는 이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흑인보다 더 흑인의 자유를 지지한 존 브라운의 삶은 이후 노예제 폐지운동의 불씨가 되었고,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를 비롯해 해리엇 터브먼(Harriet Tubman)(1822~1913), 말콤 X(Malcolm X)(1925~1965) 등 또한 그를 추앙하였습니다. 존 브라운의 시체(John Brown's Body)란 노래는 이후 북부 연방군 군가로 널리 불렸으며, 그의 삶을 모티브로 한 제임스 맥브라이드(James McBride)(1957~) 원작의 미국역사드라마(American historical drama miniseries) 더 굿 로드 버드(The Good Lord Bird)(2020)가 2020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His zeal in the cause of freedom was infinitely superior to mine. Mine was a taper light, his was the burning sun. Mine was bounded by time, his stretched away to the silent shores of eternity. I could speak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fight for the slave. I could live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die for the slave. Frederick Douglass. ▷ 자유를 위한 그의 열정은 나보다 훨씬 뛰어났습니다. 제 것은 가늘고 긴 빛이었고, 그의 것은 타는 태양이었습니다. 제 것은 시간에 의해 제한되었고, 그는 영원한 조용한 해안으로 뻗어나갔습니다. 저는 노예를 위해 웅변할 수 있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싸울 수 있었습니다. 전 노예를 위해 살았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죽을 수도 있습니다.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
▶ We need allies who are going to help us achieve a victory, not allies who are going to tell us to be nonviolent. If a white man wants to be your ally, what does he think of John Brown? You know what John Brown did? He went to war. He was a white man who went to war against white people to help free slaves. He wasn’t nonviolent. White people call John Brown a nut. Go read the history, go read what all of them say about John Brown. They’re trying to make it look like he was a nut, a fanatic. They made a movie on it, I saw a movie on the screen one night. Why, I would be afraid to get near John Brown if I go by what other white folks say about him. Malcolm X.
▷ 우리는 우리에게 비폭력적이라고 말할 동맹이 아니라 승리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동맹이 필요합니다. 백인이 당신의 동맹이 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존 브라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존 브라운이 한 일을 아십니까? 그는 전쟁에 갔습니다. 그는 노예 해방을 돕기 위해 백인과의 전쟁에 나섰던 백인이었습니다. 그는 비폭력적이지 않았습니다. 백인들은 존 브라운을 미친놈이라고 부르죠. 가서 역사를 읽고 그들이 존 브라운에 대해 말하는 것을 읽으십시오. 그들은 그가 광신자인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합니다. 그들은 그에 대해 영화를 만들었고, 나는 어느 날 밤 스크린에서 영화를 보았습니다. 왜, 나는 다른 백인들이 그에 대해 말하는 것을 따라가면 존 브라운에게 다가가기가 두려울 것입니다. 말콤 X(Malcolm X)(1925~1965).
▶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1881)은 프레더릭 더글러스가 남북전쟁이 종전된지 16년 만인 1881년, 워싱턴 서북쪽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에 위치한 스토어러 칼리지(Storer College)의 연설문 전문입니다. 이곳에는 존 브라운의 업적을 기린 존 브라운 박물관(John Brown Museum), 존 브라운 왁스 뮤지엄(John Brown Wax Museum), 존 브라운 항구(John Brown's Fort) 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 In studying the character and works of a great man, it is always desirable to learn in what he is distinguished from others, and what have been the causes of this difference. Such men as he whom we are now considering, come on to the theater of life only at long intervals. It is not always easy to explain the exact and logical causes that produce them, or the subtle influences which sustain them, at the immense heights where we sometimes find them; but we know that the hour and the man are seldom far apart, and that here, as elsewhere, the demand may in some mysterious way, regulate the supply. A great iniquity, hoary with age, proud and defiant, tainting the whole moral atmosphere of the country, subjecting both church and state to its control, demanded the startling shock which John Brown seemed especially inspired to give it.
▷ 위대한 사람의 성품과 업적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과 이러한 차이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것은 언제나 바람직합니다. 우리가 지금 고려하고 있는 그러한 사람들은 긴 간격으로만 인생의 극장에 옵니다. 그것들을 발생시키는 정확하고 논리적인 원인이나 그것들을 유지하는 미묘한 영향을 우리가 때때로 발견하는 엄청난 높이에서 설명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간과 사람이 좀처럼 떨어져 있지 않으며 여기에서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어떤 신비한 방식으로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나이가 들면서 노골적이며 교만하고 거만하며 국가 전체의 도덕적 분위기를 더럽히고 교회와 국가를 통제하는 큰 죄악은 존 브라운이 특히 영감을 받은 것처럼 보이는 놀라운 충격을 요구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1 윌리엄 듀보이스의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 1911(English Classics901 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by W. E. B. Du Bois)(1911)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역사 및 교육 논문(Historical and Educational Papers)을 소개하는 미국 흑인 모노그래프(AMERICAN NEGRO MONOGRAPHS CO.)를 통해 발표한 작품으로 서두에 그의 연혁이 간략하게 실려 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는 당시 전국유색인종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lored People)의 기관지 크라이시스(Crisis)의 편집장으로 논문을 기고하였습니다. 2만2천여자의 짧은 분량이지만, 미국 남부의 플랜테이션이란 특수한 환경에서 흑인들이 사회적으로 변화한 과정과 그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였습니다. ‘미국의 흑인들이 스스로 바라본 흑인의 현실’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DR. W. E. BURGHARDT DUBOIS. Dr. W. E. BURGHARDT DUBOIS is a native of Great Barrington, Mass.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in the schools of his native city he entered Fisk University, Tennessee, from which he graduated with the degree of A. B. He subsequently graduated from Harvard and received the degree of Ph. D. He obtained a scholarship and studied two years abroad. Returning to the U. S., he entered upon a distinguished career both as an educator and author. He taught at Wilberforce University, and for more than ten years was Professor of History and Political Economy in Atlanta University. Dr. DuBois is editor of the “Crisis,” the orga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lored People.
▷ 윌리엄 듀보이스 박사는 매사추세츠주 그레이트 배링턴 출신입니다. 그는 고향 도시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테네시주 피스크 대학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A.B.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 후 하버드를 졸업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장학금을 받고 2년 동안 해외에서 공부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교육자이자 작가로서 뛰어난 경력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윌버포스 대학에서 가르쳤고, 10년 이상 애틀랜타 대학의 역사와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듀보이스 박사는 전국유색인종선진화협회의 기관지인 "크라이시스(Crisis)"의 편집자입니다.
▶ I HAVE worded the subject which I am going to treat briefly in this paper; “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and I mean by that, the way in which the more intimate matters of contact of Negroes with themselves and with their neighbors have changed in the evolution of the last half century from slavery to larger freedom. It will be necessary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is evolution to remind you of certain well known conditions in the South during slavery. The unit of the social system of the South was the plantation, and the plantation was peculiar from the fact that it tended to be a monarchy and not an aristocracy.
▷ 나는 이 논문에서 간략하게 다룰 주제를 언급했습니다.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즉 흑인이 그들 자신 및 이웃과의 보다 친밀한 접촉 문제가 지난 반세기 동안 노예 제도에서 더 큰 자유로의 진화 과정에서 변했다는 의미입니다. 노예 기간 동안 남부에서 잘 알려진 특정 조건을 상기시키기 위해 이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합니다. 남부 사회체제의 단위는 플랜테이션이었는데, 그 플랜테이션은 귀족이 아닌 군주제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독특했습니다.
▶ On the part of the Negro there are avowed also the three types: the wiley and crafty man who tells the North and the Negro of the kindness of the South and advance of the black man; the fighter who complains or shoots or migrates; and the silent sensitive black man who suffers but says nothing. Now of these three types I am free to say that the one of whom I hope most is the white brawler and the black fighter; I mean by that not that lynching is not horrible and fighting terrible but I do mean that these are types of men of a certain rough honesty.
▷ 흑인 쪽에는 세 가지 유형도 있다고 공언합니다: 북쪽과 흑인들에게 남부의 친절과 흑인의 진보를 말하는 교활하고 교활한 남자, 불평하거나 총을 쏘거나 이주하는 싸움꾼, 그리고 고통 받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조용한 민감한 흑인 남자. 이 세 가지 유형 중 제가 가장 바라는 것은 백인 싸움꾼과 흑인 싸움꾼이라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제 말은 린치가 끔찍하고 싸우는 것이 끔찍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이 사람들이 어느 정도 거친 정직한 유형의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 I do not believe that the systematic deception concerning the situation in the South either on the part of white men or black men will in the long-run help that situation a single particle. I sincerely hope, therefore, that out of the white silent South and from the ranks of the silent and sensitive Negroes will come men who will approach the lyncher and fighter with their barbaric honesty of purpose and will bring to the situation that large knowledge and moral courage which will enable them to say that this is wrong in the South and that is right, and I am fighting for the right; who will stoop, if necessary, but will let no man ever doubt but that they stoop to conquer.
▷ 나는 백인이든 흑인이든 남부의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기만이 장기적으로 그 상황을 한 덩어리로 도울 것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백색의 고요한 남부와 조용하고 민감한 흑인 대열에서 야만적이고 정직한 목적으로 폭행범과 싸움꾼에게 접근하고 많은 지식과 도덕성을 갖춘 상황을 가져올 사람들이 나오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것이 남부에서는 옳지 않고 그것은 옳고 나는 옳은 것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게 해주는 용기; 필요하다면 구부릴 것이지만, 그들이 정복하기 위해 구부리는 것 외에는 누구도 의심하지 않게 할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0 윌리엄 듀보이스의 소설: 은양털의 추구 1911(English Classics900 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A Novel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저명한 사회학자 겸 교수인 윌리엄 듀보이스가 로맨스 소설을 집필한 이유는? : 은양털의 추구(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A Novel by W. E. B. Du Bois)(1911)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의 첫 번째 소설입니다. 작품에서는 남부의 조라(Zora)와 백인식 교육을 받은 블레스(Bles)가 사랑에 빠지며 벌어지는 남북 간의 거대한 갈등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제목 은양털(Silver Fleece)은 1차적으로 양(洋)에서 채취한 부드러운 털 혹은 양털로 만든 부드러운 천을 의미하지만, 작품에서는 흑인 노예의 피땀으로 길러내는 아름다운 면화(綿花, cotton)에 대한 은유로 활용됩니다. 작가는 노예제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옹호하는 이들을 설득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대중적인 소설의 형식을 선택하였고, 남북 간의 극명한 차이로 인해 빚어지는 비극에 어린 두 연인을 던져 넣음으로써 독자들 또한 그 논란의 중심으로 초대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Note. He who would tell a tale must look toward three ideals: to tell it well, to tell it beautifully, and to tell the truth. The first is the Gift of God, the second is the Vision of Genius, but the third is the Reward of Honesty. In 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there is little, I ween, divine or ingenious; but, at least, I have been honest. In no fact or picture have I consciously set down aught the counterpart of which I have not seen or known; and whatever the finished picture may lack of completeness, this lack is due now to the story-teller, now to the artist, but never to the herald of the Truth. NEW YORK CITY. August 15, 1911. THE AUTHOR.
▷ 메모. 이야기를 하려는 사람은 세 가지 이상을 바라봐야 합니다. 잘 말하는 것, 아름답게 말하는 것, 진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는 하나님의 선물, 두 번째는 천재의 비전, 세 번째는 정직의 상급입니다. 은양털의 추구(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에는 신성하거나 독창적인 것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정직했습니다. 사실이나 그림에서 나는 내가 보거나 알지 못한 대응물을 의식적으로 설정한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완성된 그림에 완전성이 부족하더라도 이 부족은 지금 이야기꾼에게, 이제는 예술가에게 있지만 결코 진실의 전령 때문이 아닙니다. 뉴욕시. 1911년 8월 15일. 저자.
▶ Three. MISS MARY TAYLOR. "What's the mere color of a human soul's skin," she had cried to a Wellesley audience and the audience had applauded with enthusiasm. But here in Alabama, brought closely and intimately in touch with these dark skinned children, their color struck her at first with a sort of terror?it seemed ominous and forbidding. She found herself shrinking away and gripping herself lest they should perceive. She could not help but think that in most other things they were as different from her as in color.
▷ 제3장. 미스 메리 테일러. 그녀는 웰즐리의 청중에게 "인간 영혼의 피부색은 무엇입니까?"라고 외쳤고 청중은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여기 앨라배마에서 이 검은 피부의 아이들과 밀접하고 친밀하게 접촉하게 되자 그들의 피부색은 처음에 일종의 공포에 사로잡혔습니다. 그것은 불길하고 끔찍해 보였습니다. 그녀는 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몸을 움츠리고 자신을 움켜쥐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녀는 대부분의 다른 것들에서 그들이 색깔만큼이나 그녀와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 Eighteen. THE COTTON CORNER. All over the land the cotton had foamed in great white flakes under the winter sun. The Silver Fleece lay like a mighty mantle across the earth. Black men and mules had staggered beneath its burden, while deep songs welled in the hearts of men; for the Fleece was goodly and gleaming and soft, and men dreamed of the gold it would buy. All the roads in the country had been lined with wagons?a million wagons speeding to and fro with straining mules and laughing black men, bearing bubbling masses of piled white Fleece. The gins were still roaring and spitting flames and smoke?fifty thousand of them in town and vale. Then hoarse iron throats were filled with fifteen billion pounds of white-fleeced, black-specked cotton, for the whirling saws to tear out the seed and fling five thousand million pounds of the silken fibre to the press.
▷ 제18장. 코튼 코너. 온 땅에 면화는 겨울 태양 아래서 커다란 흰 조각으로 거품이 일었습니다. 은양털은 거대한 맨틀처럼 땅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었습니다. 흑인들과 노새들은 그 짐 아래서 비틀거렸고, 사람들의 마음에는 깊은 노래가 샘솟았습니다. 양털은 훌륭하고 빛나고 부드러웠으며 사람들은 그 양털로 금을 살 꿈을 꾸었습니다. 그 나라의 모든 도로는 마차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백만 대의 마차는 힘겹게 노새를 태우고 웃고 있는 흑인 남성을 태우고 부글부글 쌓인 흰 양털을 싣고 이리저리 달리고 있었습니다. 진은 여전히 활활 타오르고 화염과 연기를 내뿜고 있었습니다. 그 진은 마을과 계곡에 5만 개가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150억 파운드의 흰털과 검은 점이 있는 목화로 쉰 철제 목구멍을 채우고 회전하는 톱으로 씨를 뽑아내고 5,000만 파운드의 비단 섬유를 인쇄기로 던졌습니다.
▶ Thirty-eight. ATONEMENT. Zora was dreaming again. Somehow, the old dream-life, with its glorious phantasies, had come silently back, richer and sweeter than ever. There was no tangible reason why, and yet today she had shut herself in her den. Searching down in the depths of her trunk, she drew forth that filmy cloud of white?silk-bordered and half finished to a gown. Why were her eyes wet today and her mind on the Silver Fleece?
▷ 제38장. 보상. 조라는 다시 꿈을 꾸고 있었습니다. 어쩐지 영광스러운 환상을 품은 옛 꿈의 삶이 그 어느 때보다 풍부하고 달콤하게 조용히 돌아왔다. 뚜렷한 이유는 없었지만 오늘 그녀는 자신의 굴에 갇혔습니다. 그녀는 트렁크 깊숙한 곳을 샅샅이 뒤져 실크 테두리가 있고 반쯤은 가운으로 완성된 흰색의 엷은 구름을 꺼냈습니다. 왜 그녀의 눈은 오늘 젖었고 그녀의 마음은 은양털에 있었습니까?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20 에드거 앨런 포의 아몬틸라도의 술통 1846(English Classics920 The Cask of Amontillado by Edgar Allan Poe)
도서정보 :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아몬틸라도의 술통(The Cask of Amontillado by Edgar Allan Poe)(1846)은 1846년 고디스 레이디 북(Godey's Lady's Book) 11월호에 최초로 공개된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단편소설입니다. 모르그 거리의 살인(The Murders in the Rue Morgue)(1841)이나 도둑맞은 편지(The Purloined Letter)(1844)와 같이 범죄자를 쫓는 방식이 아니라, 기존에 발표한 단편소설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1843), 고자질하는 심장(The Tell-Tale Heart)(1843)과 함께 살인범의 시점(murderer's perspective)으로 진행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1만3천자에 불과한 짧은 분량의 소설이지만, 독자에게 몬트레쇼의 지하실에서 아몬틸라도의 향을 맡기에는 부족함이 없는 긴장감을 선사할 것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A succession of loud and shrill screams, bursting suddenly from the throat of the chained form, seemed to thrust me violently back. For a brief moment I hesitated?I trembled. Unsheathing my rapier, I began to grope with it about the recess; but the thought of an instant reassured me. I placed my hand upon the solid fabric of the catacombs, and felt satisfied. I reapproached the wall; I replied to the yells of him who clamoured. I re-echoed?I aided?I surpassed them in volume and in strength. I did this, and the clamourer grew still.
▷ 쇠사슬에 묶인 형태의 목구멍에서 갑자기 터져 나오는 크고 날카로운 비명 소리가 나를 격렬하게 뒤로 밀어내는 것 같았습니다. 잠시 망설였어요. 몸이 떨렸어요. 레이퍼를 벗기면서, 저는 휴식에 대해 더듬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순간적인 생각이 저를 안심시켰습니다. 카타콤브의 단단한 천에 손을 얹고 만족감을 느꼈습니다. 나는 성벽에 다시 다가가서, 소리를 지르는 그의 고함소리에 대답했습니다. 저는 다시 울렸습니다. 제가 도와드렸죠. 저는 부피와 힘에서 그들을 능가했습니다. 제가 이렇게 했더니, 시끄러운 소리가 조용해졌어요.
▶ 화자 몬트레쇼(Montresor)는 자신을 모욕한 포르투나토(Fortunato)에게 복수하기 위해 그가 잘 안다고 자부하는 와인을 미끼로 씁니다. 사육제(the carnival season)로 인해 온 마을은 물론 가문의 하인들조차 집을 비운 틈을 타 포르투나토에게 아몬틸라도(amontillado)란 진귀한 술을 구했다며 감정을 부탁하는데……. 과연 와인을 보관하는 지하실로 끌어들인 포르투나토에게 몬트레쇼는 대체 무슨 보복을 하려는 것일까요?!
▶ There were no attendants at home; they had absconded to make merry in honour of the time. I had told them that I should not return until the morning, and had given them explicit orders not to stir from the house. These orders were sufficient, I well knew, to insure their immediate disappearance, one and all, as soon as my back was turned.
▷ 집에는 수행원이 없었습니다. 그들은 그 시간을 축하하기 위해 사라졌습니다. 저는 그들에게 아침까지 돌아오지 말라고 말했고, 집에서 휘젓지 말라고 분명히 지시했습니다. 이 명령들은 제가 등을 돌리자마자 그들의 즉각적인 실종을 보장하기에 충분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습니다.
▶ Nemo me impune lacessit(아무도 나를 성가시게 하지 않으리라.) : 포르투나토가 몬트레쇼에게 가한 악행이 구체적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는 점은 작품의 해석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가능케 합니다. 작품에 등장하는 몬트레쇼 가문의 문장(family coat of arms)에서 작품의 결말에 대한 스포일러가 살포시 숨겨져 있습니다. 황금빛 발이 밟고 있는 뱀과 그 발에 송곳니를 박아 넣은 뱀.
▶ The thousand injuries of Fortunato I had borne as I best could, but when he ventured upon insult, I vowed revenge. You, who so well know the nature of my soul, will not suppose, however, that I gave utterance to a threat. At length I would be avenged; this was a point definitely settled?but the very definitiveness with which it was resolved, precluded the idea of risk. I must not only punish, but punish with impunity. A wrong is unredressed when retribution overtakes its redresser. It is equally unredressed when the avenger fails to make himself felt as such to him who has done the wrong.
▷ 제가 할 수 있는 한 견딜 수 있는 한 많은 포르투나토의 부상을 짊어졌지만, 그가 모욕을 가할 때, 저는 복수를 맹세했습니다. 내 영혼의 본질을 너무나 잘 알고 있는 당신은, 그러나, 내가 협박을 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마침내 저는 복수를 할 수 있었습니다. 이것은 확실히 해결된 문제였지만, 해결된 바로 그 명확성으로 인해 위험에 대한 개념이 배제되었습니다. 나는 벌을 줄 뿐만 아니라 처벌도 받지 않아야 합니다. 잘못은 응보가 그 보상자를 넘어섰을 때 보상되지 않습니다. 복수를 한 사람이 잘못한 사람에게 자신을 그렇게 느끼지 못할 때도 똑같이 고쳐지지 않습니다.
▶ 에드거 앨런 포는 감금(Immurement) 성애자?! : 몬트레쇼가 포르투나토에게 가한 감금(Immurement)은 종신형의 한 유형으로, 산채로 사람을 파묻는 매장(埋葬, Burial)이나 질식(窒息, Choke)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포는 베레니스(Berenice)(1835)를 시작으로 어셔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1839), 검은 고양이(The Black Cat)(1843), 성급한 매장(The Premature Burial)(1844) 등 여러 작품을 통해 ‘출구가 없는 밀폐된 공간에 누군가를 영원히 고립시키는 감금’을 활용한 바 있습니다. 살아 있는 상태로 세상으로부터 고립된다는 공포감은 즉각적으로 숨이 멎는 질식이나 매장과는 결이 다른 두려움을 자아내는 장치이지요…….
▶ No answer still. I thrust a torch through the remaining aperture and let it fall within. There came forth in reply only a jingling of the bells. My heart grew sick on account of the dampness of the catacombs. I hastened to make an end of my labour. I forced the last stone into its position; I plastered it up. Against the new masonry I re-erected the old rampart of bones. For the half of a century no mortal has disturbed them. In pace requiescat!
▷ 아직 답이 없습니다. 나는 남은 구멍을 통해 횃불을 찔러 그 안에 떨어지게 했습니다. 대답으로 방울 소리만이 들려옵니다. 지하 묘지의 습기 때문에 내 마음은 병들었습니다. 나는 내 노동을 끝내기 위해 서둘렀습니다. 나는 마지막 돌을 제자리에 밀어 넣습니다. 나는 그것을 회반죽합니다. 새로운 벽돌에 대항하여 나는 뼈의 오래된 성벽을 다시 세웠습니다. 반세기 동안 아무도 그들을 방해하지 않았습니다. 편히 쉬기를!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8 에드거 앨런 포의 더 레이븐(까마귀) 1845(English Classics918 The Raven by Edgar Allan Poe)
도서정보 :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에드거 앨런 포의 더 레이븐(까마귀)(The Raven by Edgar Allan Poe)(1845)은 1842년 그래햄 매거진(Graham's Magazine) 5월호에 최초로 공개된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시(詩)입니다. ‘미국인에게 가장 사랑받은 시인’의 대표작이니만큼 수많은 판본으로 출간되었으며, 본지에서는 프랑스 삽화가 귀스타브 도레(Gustave Dor?)(1832~1883)의 일러스트를 함께 실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포는 시인(詩人, poet)이다?! 갈가마귀(The Raven)(1845) & 애너벨 리(Annabel Lee)(1849) : 우리에게 포는 ‘추리 소설 작가’로 인식되지만, 그는 단편 소설 외에도 시인, 비평, 장편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집필하였습니다. 그가 무명 시절 최초로 출간한 책이 시집이였을 정도로 다른 분야에 비해 시에 관심이 많았으며, 그의 연심을 담은 갈가마귀(The Raven)(1845)와 애너벨 리(Annabel Lee)(1849)는 미국인들이 그를 ‘미국인이 가장 애송하는 시’의 주인공으로 추앙하게 만들었습니다. 포는 시의 인기에 힘입어 자신의 시 창작법을 강의하였으며, 그의 사후에 시의 원리(The Poetic principle)(1850)란 작법서로 출간되었습니다.
▶ 영화 더 레이븐(The Raven)(2012) : 영화 더 레이븐(The Raven)(2012)은 에드거 앨런 포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스릴러 영화입니다. 어느 날 그의 소설 모르그 가의 살인사건(The Murders in the Rue Morgue)(1841)과 함정과 진자(The Pit and the Pendulum)(1842)에 나온 살인사건을 모방한 범죄가 잇달아 발생하자, 경감은 작가인 포에게 수사에 협조할 것을 요청합니다. 그리고 둘은 범인을 찾기 위해 협력하지만, 범인은 포의 연인을 납치하고야 마는데……. 에밀리를 살리고 싶다면 범인의 어처구니없는 요구 ? 자신이 준 암호를 풀어 다음날 신문에 실어야 한다, 에 따라야 합니다. 과연 포의 선택은?! 영화 더 레이븐(The Raven)(2012)은 포의 작품을 비롯해 그가 사망할 당시의 미스터리와 그의 일화, 죽음 이후의 의문 등을 잘 버무린 오락 영화로, 제목 또한 그의 대표작 갈가마귀(The Raven)(1845)에서 따왔습니다.
▷ 영화에서 범인이 자신의 암호를 풀 것을 요구한 것은 포는 자신의 암호학에 대한 지식을 뽐내기 위해 자신이 암호를 푸는 방법을 상세히 풀이한 단편 소설 황금충(黃金蟲, The Gold-Bug)(1843)을 집필한 일화에서 따온 것입니다. 알파벳의 통계학에 근거하여, 해적이 보물을 숨긴 곳을 찾아내는 과정이 흥미진진하지요. 가장 많이 나오는 알파벳은……. 바로 e! 이것만 알아도 행맨(Hangman) 게임에서 한 수 앞서갈 수 있답니다. 황금충(黃金蟲, The Gold-Bug)(1843)은 이후 코난 도일의 춤추는 사람 인형(The Adventure of the Dancing Men)(1903)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보물찾기’ 테마의 창작물에서 흔치 않게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작품이기도 합니다.
▶ COMMENT ON THE POEM. But The Raven, like "The Bells" and "Annabel Lee," commends itself to the many and the few. I have said elsewhere that Poe's rarer productions seemed to me "those in which there is the appearance, at least, of spontaneity,?in which he yields to his feelings, while dying falls and cadences most musical, most melancholy, come from him unawares." This is still my belief; and yet, upon a fresh study of this poem, it impresses me more than at any time since my boyhood. Close acquaintance tells in favor of every true work of art. Induce the man, who neither knows art nor cares for it, to examine some poem or painting, and how soon its force takes hold of him! In fact, he will overrate the relative value of the first good work by which his attention has been fairly caught.
▷ 시(詩)에 대한 주석. 그러나 더 레이븐(The Raven)은 "종(The Bells)"과 "애나벨 리(Annabel Lee)"와 같이 다수와 소수에게 자신을 칭찬합니다. 나는 다른 곳에서 포의 더 희귀한 작품이 "적어도 자발성의 모습이 있고, 그가 자신의 감정에 굴복하는 반면, 죽어가는 동안 가장 음악적이고 가장 우울한 작품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그에게서 나오는 것 같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이것은 여전히 ????내 믿음입니다. 그러나 이 시를 새롭게 연구하면 어린 시절 이후 그 어느 때보다 깊은 인상을 받았습니다. 가까운 지인은 모든 진정한 예술 작품에 찬성한다고 말합니다. 예술을 알지도 못하고 관심도 없는 사람에게 시나 그림을 살펴보고 그 힘이 얼마나 빨리 그를 사로잡는지 살펴보게 하십시오! 사실, 그는 그의 주의를 상당히 끌었던 첫 번째 좋은 작품의 상대적 가치를 과대평가할 것입니다.
▶ The Raven, also, has consistent qualities which even an expert must admire. In no other of its author's poems is the motive more palpably defined. "The Haunted Palace" is just as definite to the select reader, but Poe scarcely would have taken that subtle allegory for bald analysis. The Raven is wholly occupied with the author's typical theme?the irretrievable loss of an idolized and beautiful woman; but on other grounds, also, the public instinct is correct in thinking it his representative poem.
▷ 더 레이븐(The Raven)은 전문가도 감탄해야 할 일관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작가의 다른 어떤 시에서도 그 동기가 더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유령의 궁전(The Haunted Palace)"은 엄선된 독자들에게는 확실한 것이지만, 포는 그 미묘한 우화를 대머리 분석에 거의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입니다. 더 레이븐은 우상화되고 아름다운 여성을 되찾을 수 없다는 작가의 전형적인 주제에 완전히 몰두하고 있지만, 다른 이유로, 대중의 본능은 그것을 그의 대표 시로 생각하는 것이 옳습니다.
▶ Doubtless his environment was not one to guard a fine-grained, ill-balanced nature from perils without and within. His strongest will, to be lord of himself, gained for him "that heritage of woe." He confessed himself the bird's unhappy master, the stricken sufferer of this poem. But his was a full share of that dramatic temper which exults in the presage of its own doom. There is a delight in playing one's high part: we are all gladiators, crying Ave Imperator!
▷ 의심할 여지없이 그의 환경은 미세하고 균형이 잘 잡히지 않은 자연을 외부와 내부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환경이 아니었습니다. 자신의 주인이 되려는 그의 가장 강한 의지가 그를 위해 "비애의 유산(that heritage of woe)"을 얻었습니다. 그는 자신을 새의 불행한 주인이자 이 시로 괴로워하는 사람이라고 고백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파멸을 예감하고 기뻐하는 극적인 기질의 완전한 몫이었습니다. 높은 역할을 하는 것은 기쁨이 있습니다. 우리는 모두 검투사이며 아베 임페라토르(Ave Imperator)를 외치고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7 호메로스와 마이클 클라크의 트로이 이야기(English Classics907 The Story of Troy by Michael Clarke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II. THE JUDGMENT OF PARIS. Paris was therefore appointed umpire. By Jupiter's command the golden apple was sent to him, to be given to that one of the three goddesses whom he should judge to be the most beautiful. The goddesses themselves were directed to appear before him on Mount Ida, so that, beholding their charms, he might be able to give a just decision. The English poet, Tennyson, in his poem "Œnone," gives a fine description of the three contending deities standing in the presence of the Trojan prince, each in her turn trying, by promise of great reward, to persuade him to declare in her favor. Juno spoke first, and she offered to bestow kingly power and immense wealth upon Paris, if he would award the prize to her.
▷ 제2장. 파리스의 심판. 따라서 파리스가 심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주피터의 명령에 따라 황금 사과가 그에게 보내져 그가 가장 아름답다고 판단해야 할 세 여신 중 한 명에게 주어졌습니다. 여신들 자신이 이다 산에서 그의 앞에 나타나도록 지시를 받았고, 그로 인해 그의 매력을 보고 정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영국 시인 테니슨(Tennyson)은 그의 시 "오이노네(Œnone)"에서 트로이의 왕자 앞에 서 있는 세 명의 신들이 차례로 큰 보상을 약속하여 그를 설득하여 자신에게 선언하도록 설득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주노(Juno)가 먼저 말하자 그녀는 파리스가 상을 준다면 왕권과 막대한 부를 파리스에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ut soon their attention was attracted by the huge wooden horse, and they gathered about it, astonished at its great size, and wondering what it meant. Some thought that it meant evil to Troy, and advised that it should be burned; others proposed that it should be hauled into the city and placed within the citadel. La-oc?o-on, one of Priam's sons, who was also a priest of Apollo, cried out in a loud voice, warning the king and people against doing this. "Are you so foolish," he exclaimed, "as to suppose that the enemy are gone? Put no faith in this horse. Whatever it is, I fear the Greeks even when offering gifts.“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그러나 곧 그들의 관심은 거대한 목마에 매료되었고, 그들은 그 큰 크기에 놀랐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 하여 그 주위에 모여들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트로이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하고 불태워야 한다고 충고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도시로 운반되어 성채 안에 배치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프리아모스(Priam)의 아들 중 하나이자 아폴로(Apollo)의 제사장이기도 한 라오콘(La-oco-on)은 큰 소리로 외쳐 왕과 백성에게 이렇게 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네가 원수가 사라진 줄로 생각하느냐? 이 말을 믿지 말라. 무슨 일이든지 나는 예물을 드릴 때에도 그리스인을 두려워하노라."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y the death of Memnon the Trojans were much discouraged. Their powerful allies had been defeated, and they were no longer able to hold the field against the enemy. Soon after the death of Memnon there was a great battle, in which the Greeks, headed by Achilles, drove them back to the city walls. Through the Scæan Gate, which lay open, the Trojans rushed in terror and confusion, the Greeks pressing on close behind. Achilles reached the gate, and was about to enter, when Paris aimed at him with an arrow. Guided by Apollo, the weapon struck the hero in the heel, the only part in which he could be fatally wounded.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멤논의 죽음으로 트로이군은 크게 낙담했습니다. 그들의 강력한 동맹은 패배했고 더 이상 적과 맞서 싸울 수 없었습니다. 멤논이 죽은 직후 아킬레우스가 이끄는 그리스군이 그들을 성벽으로 몰아넣은 큰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열려 있는 스캔 게이트(Scæan Gate)를 통해 트로이군은 공포와 혼란으로 돌진했고 그리스인은 그 뒤를 바짝 밀었습니다. 아킬레우스가 성문에 도달하고 들어가려 할 때 파리스가 화살로 그를 겨냥하고, 아폴로의 지시에 따라 무기는 영웅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인 발뒤꿈치를 강타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7 윌리엄 듀보이스의 인종의 보존 1897(English Classics897 The Conservation of Races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종의 보존(The Conservation of Races by W. E. B. Du Bois)(1897)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 회의를 위해 작성한 원고입니다. 작가는 짧은 원고를 통해 ‘미국의 흑인(American Negro)’이란 인종(人種)이 미국인으로써의 정체성과 아프리카계로써의 주체성을 동시에 갖춰야 하며, 이를 위해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가 주도적으로 미국의 800만 명에 달하는 흑인들의 고등 교육과 문화의 혜택을 추구해야 한다는 장대한 비전을 주장하였습니다. 원고의 말미에 첨부한 7조문으로 이루어진 아카데미 신조(Academy Creed)는 오늘날에도 유효할 것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Announcement. The American Negro Academy believes that upon those of the race who have had the advantages of higher education and culture, rests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oncerted steps for the employment of these agencies to uplift the race to higher planes of thought and action. Two great obstacles to this consummation are apparent: (a) The lack of unity, want of harmony, absence of a self-sacrificing spirit, and no well-defined line of policy seeking definite aims; and (b) The persistent, relentless, at times covert opposition employed to thwart the Negro at every step of his upward struggles to establish the justness of his claim to the highest physical, intellectual and moral possibilities. The Academy will, therefore, from time to time, publish such papers as in their judgment aid, by their broad and scholarly treatment of the topics discussed the dissemination of principles tend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egro along right lines, and the vindication of that race against vicious assaults.
▷ 안내(Announcement).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는 고등교육과 문화의 이점을 가진 인종에게 인종을 더 높은 수준의 생각과 행동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이러한 기관의 고용을 위한 일치된 조치를 취할 책임이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성취에 대한 두 가지 큰 장애물은 명백합니다: (a) 통합의 부족, 조화의 부족, 자기희생 정신의 부재, 명확한 목표를 추구하는 명확한 정책 라인의 부재. 그리고 (b) 그의 상승의 모든 단계에서 흑인을 좌절시키기 위해 고용된 끈질기고 무자비하며 때로는 은밀한 반대. 육체적, 지적, 도덕적 최고 가능성에 대한 그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아카데미는 올바른 노선을 따라 흑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원칙의 보급과 악랄한 공격에 대한 인종 정당성을 논의한 주제에 대한 광범위하고 학술적인 처리를 통해 심판 지원에서 그러한 논문을 발표할 것입니다.
▶ If this be true, then the history of the world is the history, not of individuals, but of groups, not of nations, but of races, and he who ignores or seeks to override the race idea in human history ignores and overrides the central thought of all history. What, then, is a race? It is a vast family of human beings, generally of common blood and language, always of common history, traditions and impulses, who are both voluntarily and involuntarily striving together for the accomplishment of certain more or less vividly conceived ideals of life.
▷ 이것이 사실이라면 세계의 역사는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집단의 역사이며 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인종의 역사이며, 인류 역사에서 인종 사상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려는 자는 중심 사상을 무시하고 무시합니다. 모든 역사를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경주란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공통의 혈통과 언어를 사용하고 항상 공통의 역사, 전통 및 충동을 갖고 있으며, 어느 정도 생생하게 구상된 삶의 이상을 성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그리고 비자발적으로 함께 노력하는 인간의 대가족입니다.
▶ Turning to real history, there can be no doubt, first, as to the widespread, nay, universal, prevalence of the race idea, the race spirit, the race ideal, and as to its efficiency as the vastest and most ingenious invention for human progress. We, who have been reared and trained under the individualistic philosophy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laisser-faire philosophy of Adam Smith, are loath to see and loath to acknowledge this patent fact of human history.
▷ 실제 역사로 눈을 돌리면, 첫째, 인종 사상, 인종 정신, 인종 이상, 그리고 인간의 진보를 위한 가장 방대하고 기발한 발명으로서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독립선언서(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는 개인주의 철학과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 철학 아래 길러지고 훈련받은 우리는 인류 역사의 이런 특허적 사실을 인정하기가 싫고 싫습니다.
▶ We see the Pharaohs, Caesars, Toussaints and Napoleons of history and forget the vast races of which they were but epitomized expressions. We are apt to think in our American impatience, that while it may have been true in the past that closed race groups made history, that here in conglomerate America nous avons changer tout cela?we have changed all that, and have no need of this ancient instrument of progress. This assumption of which the Negro people are especially fond, can not be established by a careful consideration of history.
▷ 우리는 역사의 파라오(Pharaohs), 시저스(Caesars), 투생트(Toussaints), 나폴레옹(Napoleons)을 보고 그들이 단지 전형적으로 표현되었던 광대한 인종을 잊어버립니다. 우리는 폐쇄적인 인종 집단이 역사를 만들었다는 것이 과거에는 사실일 수도 있지만, 여기 대기업에서는 셀라(cela)를 내세우는 것이 사실일 수도 있다고 미국의 조바심 속에서 생각하기 쉽습니다. 우리는 그 모든 것을 바꾸었고, 이러한 오래된 진보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흑인들이 특히 좋아하는 이 가정은 역사에 대한 신중한 고려로는 확립될 수 없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6 윌리엄 듀보이스의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Ⅱ 1894(English Classics896 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1894)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윌버포스 대학교(Wilberforce University)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집필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박사 학위 논문(Ph.D)입니다. 이 논문은 그에게 ‘하버드대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박사’(the first African-American to earn a Ph.D from Harvard)란 타이틀을 얻게 한 성취이자, 당대의 수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희망을 선사한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소설이나 연설문과 달리 12장과 96개의 절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Appendices)과 인덱스(Index)까지 충실하게 담겨 있습니다. 분량만 무려 73만자에 달하는 논문을 쉽게 펼치기는 쉽지 않겠습니다만, 미국의 역사에서도, 노예제 폐지론자의 시각에서도, 그리고 흑인으로 태어난 작가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중요한 작품이기에 일독을 권합니다. 그나저나 2등은 누구일지 문득 궁금해지네요. 세상은 1등만 기억하니까…….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is monograph was begun during my residence as Rogers Memorial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and is based mainly upon a study of the sources, i.e., national, State, and colonial statutes, Congressional documents, reports of societies, personal narratives, etc. The collection of laws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as, I think, nearly complete; on the other hand, facts and statistics bearing on the economic side of the stud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nd my conclusions are consequently liable to modification from this source.
▷ 서문. 이 모노그래프는 제가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로저스 메모리얼 펠로우(Rogers Memorial Fellow)로 재직하는 동안 시작되었으며, 주로 국가, 주 및 식민지 법령, 의회 문서, 사회 보고서, 개인 서사 등의 출처에 대한 연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법률의 수집은 거의 완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연구의 경제적 측면에 관련된 사실과 통계는 찾기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제 결론은 이 출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 The question of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is so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s as to its rise, the system of American slavery, and the whole colonial policy of the eighteenth century, that it is difficult to isolate it,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superficiality on the one hand, and unscientific narrowness of view on the other. While I could not hope entirely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I nevertheless trust that I have succeeded in rendering this monograph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cientific study of slavery and the American Negro.
▷ 노예무역의 억압에 대한 질문은 그것의 부상, 미국의 노예 제도, 그리고 18세기의 전체 식민지 정책에 대한 질문과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그것을 고립시키는 것은 어렵고, 동시에 피상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과학적인 시야의 편협함을 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저는 그러한 어려움을 완전히 극복하기를 바랄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노그래프를 노예제와 미국 흑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작은 기여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믿습니다.
▶ I desire to express my obligation to Dr. Albert Bushnell Hart, of Harvard University, at whose suggestion I began this work and by whose kind aid and encouragement I have brought it to a close; also I have to thank the trustees of the John F. Slater Fund, whose appointment made it possible to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y the general principles laid down in German universities. W.E. BURGHARDT Du BOIS. Wilberforce University, March, 1896.
▷ 저는 하버드 대학의 앨버트 부슈넬 하트(Dr. Albert Bushnell Hart) 박사님께 제 의무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일을 시작한 것은 누군가의 제안이었고, 누군가의 친절한 원조와 격려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또한 존 F. 슬레이터 신탁(John F. Slater Fund) 관리인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슬레이터 펀드의 임명은 독일 대학에서 정해진 일반 원칙에 따라 이 연구의 결론을 실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 윌버포스 대학, 1896년 3월.
▶ 55. The Act of 1807. The first great goal of anti-slavery effort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since the Revolution,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by national law. It would hardly be too much to say that the Haytian revolution, in addition to its influence in the years from 1791 to 1806, was one of the main causes that rendered the accomplishment of this aim possible at the earliest constitutional moment. To the great influence of the fears of the South was added the failure of the French designs on Louisiana, of which Toussaint L'Ouverture was the most probable cause.
▷ 55. 1807년 법(The Act of 1807). 미국에서 노예제도 반대 운동의 첫 번째 큰 목표는 혁명 이후 국내법에 의한 노예무역의 억압이었습니다. 헤이티 혁명(the Haytian revolution)은 1791년부터 1806년까지의 영향력에 더하여 가장 이른 헌법적 순간에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남부에 대한 두려움의 큰 영향에 루이지애나에 대한 프랑스 설계의 실패가 추가되었으며, 그 중 투생 루베르튀르(Toussaint L'Ouverture)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었습니다.
▶ The cession of Louisiana in 1803 challenged and aroused the North on the slavery question again; put the Carolina and Georgia slave-traders in the saddle, to the dismay of the Border States; and brought the whole slave-trade question vividly before the public conscience. Another scarcely less potent influence was, naturally, the great anti-slavery movement in England, which after a mighty struggle of eighteen years was about to gain its first victory in the British Act of 1807.
▷ 1803년 루이지애나의 양도는 노예제 문제에 대해 다시 도전하고 북을 일으켰다. 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노예 무역상을 안장에 앉혀 국경 국가를 경악하게 합니다. 그리고 노예무역 문제 전체를 대중의 양심 앞에 생생하게 제기했습니다. 그다지 강력하지 않은 또 다른 영향력은 당연히 18년간의 치열한 투쟁 끝에 1807년 영국 법에서 첫 번째 승리를 얻으려던 영국의 거대한 노예제 반대 운동이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0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English Classics910 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영국 고전학자 알프레드 존 처치(Alfred John Church)(1829~1912)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으로 트로이의 몰락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기 까지 10년간의 율리시스의 모험담을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소개(Introduction)란에 작가 본인이 직접 호메로스의 시대에 대한 배경과 주요 작품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으며, 원작과 비교하면, 19세기 영국독자의 취향과 입맛에 맞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While they were still a rude people, they had noble ideals of beauty and bravery, of duty and justice. Even before they had a written language, their singers had made songs about their heroes and their great deeds; and later these songs, which fathers had taught to children, and these children to their children, were brought together into two long and wonderful poems, which have ever since been the delight of the world, the Iliad and the Odyssey.
▷ 소개. 그들은 여전히 ??무례한 사람들이었지만 아름다움과 용감함, 의무와 정의의 고귀한 이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글을 쓰기도 전에 그들의 가수들은 그들의 영웅과 그들의 위업에 대해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아버지들이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과 이 아이들이 그들의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은 그 이후로 세상의 기쁨이 된 두 편의 길고 멋진 시인 일리아드(the Iliad)와 오디세이아(the Odyssey)로 합쳐졌습니다.
▶ The Iliad is the story of the siege of Ilium, or Troy, on the western coast of Asia Minor. Paris, son of the king of Troy, had enticed Helen, the most beautiful of Grecian women, and the wife of a Grecian king, to leave her husband's home with him; and the kings and princes of the Greeks had gathered an army and a fleet and sailed across the Aegean Sea to rescue her. For ten years they strove to capture the city. According to the fine old legends, the gods themselves took a part in the war, some siding with the Greeks, and some with the Trojans. It was finally through Ulysses, a famous Greek warrior, brave and fierce as well as wise and crafty, that the Greeks captured the city.
▷ 일리아드(Iliad)는 소아시아의 서쪽 해안에 있는 일리움(트로이) 또는 일리움 포위 공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트로이 왕의 아들 파리스는 그리스의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자 그리스 왕의 아내인 헬레네를 유혹하여 남편의 집을 떠나게 했습니다. 그리스의 왕들과 방백들이 군대와 함대를 모아 에게 해를 건너 그녀를 구출했습니다. 10년 동안 그들은 도시를 점령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훌륭한 옛 전설에 따르면, 신들 자신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일부는 그리스 편에, 일부는 트로이 목마 편에 가담했습니다. 마침내 그리스인들이 도시를 점령한 것은 용감하고 사나우며 현명하고 교활한 유명한 그리스 전사인 율리시스(Ulysses)를 통해서였습니다.
▶ The second poem, the Odyssey, tells what befell Ulysses, or Odysseus, as the Greeks called him, on his homeward way. Sailing from Troy with his little fleet of ships, which were so small that they used oars as well as sails, he was destined to wander for ten years longer before he could return to his rocky island of Ithaca, on the west shore of Greece, and to his faithful wife, Penelope.
▷ 두 번째 시인 오디세이(Odyssey)는 율리시스(Ulysses) 또는 그리스인이 부르는 오디세우스(Odysseus)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당한 일을 알려줍니다. 노와 돛을 모두 사용할 정도로 매우 작은 작은 함대를 이끌고 트로이에서 항해한 그는 그리스 서쪽 해안에 있는 바위투성이의 이타카 섬과 그의 충실한 아내 페넬로페에게 돌아갈 수 있기까지 10년을 더 방황할 운명이었습니다.
▶ As you read these ancient tales, you must forget what knowledge you have of the world, and think of it as the Greeks did. It was only a little part of the world that they knew at all,?the eastern end of the Mediterranean,?but even that seemed to them a great and marvellous region. Beyond its borders were strange and mysterious lands, in which wonders of all kinds were found, and round all ran the great world-river, the encircling stream of Ocean.
▷ 이 고대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신이 세상에 대해 어떤 지식을 갖고 있는지 잊어버리고 그리스인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그들이 전혀 알고 있는 것은 세계의 아주 작은 부분, 즉 지중해의 동쪽 끝이었지만, 그들에게는 그마저도 위대하고 놀라운 지역으로 보였습니다. 그 경계 너머에는 모든 종류의 경이로움이 발견되는 기이하고 신비한 땅이 있었고, 그 둘레에는 거대한 세계 강이 흐르고 있었고, 대양의 흐름이 에워싸고 있었습니다.
▶ If you let yourselves be beguiled into this old, simple way of regarding earth and heaven, you will not only love these ancient tales yourself, but you will see why, for century after century, they have been the longest loved and the best loved of all tales? beloved by old and young, by men and women and children. For they are hero-tales,?tales of war and adventure, tales of bravery and nobility, tales of the heroes that mankind, almost since the beginning of time, have looked to as ideals of wisdom and strength and beauty.
▷ 만약 당신이 땅과 하늘에 관한 이 오래되고 단순한 방식에 속아 넘어가게 된다면, 당신은 이 고대 이야기를 스스로 사랑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백 세기 동안 그들이 가장 오래 사랑받고 가장 사랑받는 이유를 알게 될 것입니다. 모든 이야기 - 노인과 젊은이, 남자와 여자와 어린이에게 사랑받는. 전쟁과 모험의 이야기, 용감함과 귀족의 이야기, 태초부터 인류가 지혜와 힘과 아름다움의 이상으로 여겼던 영웅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