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896 윌리엄 듀보이스의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Ⅱ 1894(English Classics896 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1894)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윌버포스 대학교(Wilberforce University)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집필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박사 학위 논문(Ph.D)입니다. 이 논문은 그에게 ‘하버드대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박사’(the first African-American to earn a Ph.D from Harvard)란 타이틀을 얻게 한 성취이자, 당대의 수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희망을 선사한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소설이나 연설문과 달리 12장과 96개의 절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Appendices)과 인덱스(Index)까지 충실하게 담겨 있습니다. 분량만 무려 73만자에 달하는 논문을 쉽게 펼치기는 쉽지 않겠습니다만, 미국의 역사에서도, 노예제 폐지론자의 시각에서도, 그리고 흑인으로 태어난 작가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중요한 작품이기에 일독을 권합니다. 그나저나 2등은 누구일지 문득 궁금해지네요. 세상은 1등만 기억하니까…….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is monograph was begun during my residence as Rogers Memorial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and is based mainly upon a study of the sources, i.e., national, State, and colonial statutes, Congressional documents, reports of societies, personal narratives, etc. The collection of laws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as, I think, nearly complete; on the other hand, facts and statistics bearing on the economic side of the stud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nd my conclusions are consequently liable to modification from this source.
▷ 서문. 이 모노그래프는 제가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로저스 메모리얼 펠로우(Rogers Memorial Fellow)로 재직하는 동안 시작되었으며, 주로 국가, 주 및 식민지 법령, 의회 문서, 사회 보고서, 개인 서사 등의 출처에 대한 연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법률의 수집은 거의 완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연구의 경제적 측면에 관련된 사실과 통계는 찾기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제 결론은 이 출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 The question of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is so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s as to its rise, the system of American slavery, and the whole colonial policy of the eighteenth century, that it is difficult to isolate it,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superficiality on the one hand, and unscientific narrowness of view on the other. While I could not hope entirely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I nevertheless trust that I have succeeded in rendering this monograph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cientific study of slavery and the American Negro.
▷ 노예무역의 억압에 대한 질문은 그것의 부상, 미국의 노예 제도, 그리고 18세기의 전체 식민지 정책에 대한 질문과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그것을 고립시키는 것은 어렵고, 동시에 피상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과학적인 시야의 편협함을 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저는 그러한 어려움을 완전히 극복하기를 바랄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노그래프를 노예제와 미국 흑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작은 기여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믿습니다.
▶ I desire to express my obligation to Dr. Albert Bushnell Hart, of Harvard University, at whose suggestion I began this work and by whose kind aid and encouragement I have brought it to a close; also I have to thank the trustees of the John F. Slater Fund, whose appointment made it possible to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y the general principles laid down in German universities. W.E. BURGHARDT Du BOIS. Wilberforce University, March, 1896.
▷ 저는 하버드 대학의 앨버트 부슈넬 하트(Dr. Albert Bushnell Hart) 박사님께 제 의무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일을 시작한 것은 누군가의 제안이었고, 누군가의 친절한 원조와 격려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또한 존 F. 슬레이터 신탁(John F. Slater Fund) 관리인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슬레이터 펀드의 임명은 독일 대학에서 정해진 일반 원칙에 따라 이 연구의 결론을 실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 윌버포스 대학, 1896년 3월.
▶ 55. The Act of 1807. The first great goal of anti-slavery effort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since the Revolution,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by national law. It would hardly be too much to say that the Haytian revolution, in addition to its influence in the years from 1791 to 1806, was one of the main causes that rendered the accomplishment of this aim possible at the earliest constitutional moment. To the great influence of the fears of the South was added the failure of the French designs on Louisiana, of which Toussaint L'Ouverture was the most probable cause.
▷ 55. 1807년 법(The Act of 1807). 미국에서 노예제도 반대 운동의 첫 번째 큰 목표는 혁명 이후 국내법에 의한 노예무역의 억압이었습니다. 헤이티 혁명(the Haytian revolution)은 1791년부터 1806년까지의 영향력에 더하여 가장 이른 헌법적 순간에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남부에 대한 두려움의 큰 영향에 루이지애나에 대한 프랑스 설계의 실패가 추가되었으며, 그 중 투생 루베르튀르(Toussaint L'Ouverture)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었습니다.
▶ The cession of Louisiana in 1803 challenged and aroused the North on the slavery question again; put the Carolina and Georgia slave-traders in the saddle, to the dismay of the Border States; and brought the whole slave-trade question vividly before the public conscience. Another scarcely less potent influence was, naturally, the great anti-slavery movement in England, which after a mighty struggle of eighteen years was about to gain its first victory in the British Act of 1807.
▷ 1803년 루이지애나의 양도는 노예제 문제에 대해 다시 도전하고 북을 일으켰다. 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노예 무역상을 안장에 앉혀 국경 국가를 경악하게 합니다. 그리고 노예무역 문제 전체를 대중의 양심 앞에 생생하게 제기했습니다. 그다지 강력하지 않은 또 다른 영향력은 당연히 18년간의 치열한 투쟁 끝에 1807년 영국 법에서 첫 번째 승리를 얻으려던 영국의 거대한 노예제 반대 운동이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7 호메로스와 마이클 클라크의 트로이 이야기(English Classics907 The Story of Troy by Michael Clarke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II. THE JUDGMENT OF PARIS. Paris was therefore appointed umpire. By Jupiter's command the golden apple was sent to him, to be given to that one of the three goddesses whom he should judge to be the most beautiful. The goddesses themselves were directed to appear before him on Mount Ida, so that, beholding their charms, he might be able to give a just decision. The English poet, Tennyson, in his poem "Œnone," gives a fine description of the three contending deities standing in the presence of the Trojan prince, each in her turn trying, by promise of great reward, to persuade him to declare in her favor. Juno spoke first, and she offered to bestow kingly power and immense wealth upon Paris, if he would award the prize to her.
▷ 제2장. 파리스의 심판. 따라서 파리스가 심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주피터의 명령에 따라 황금 사과가 그에게 보내져 그가 가장 아름답다고 판단해야 할 세 여신 중 한 명에게 주어졌습니다. 여신들 자신이 이다 산에서 그의 앞에 나타나도록 지시를 받았고, 그로 인해 그의 매력을 보고 정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영국 시인 테니슨(Tennyson)은 그의 시 "오이노네(Œnone)"에서 트로이의 왕자 앞에 서 있는 세 명의 신들이 차례로 큰 보상을 약속하여 그를 설득하여 자신에게 선언하도록 설득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주노(Juno)가 먼저 말하자 그녀는 파리스가 상을 준다면 왕권과 막대한 부를 파리스에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ut soon their attention was attracted by the huge wooden horse, and they gathered about it, astonished at its great size, and wondering what it meant. Some thought that it meant evil to Troy, and advised that it should be burned; others proposed that it should be hauled into the city and placed within the citadel. La-oc?o-on, one of Priam's sons, who was also a priest of Apollo, cried out in a loud voice, warning the king and people against doing this. "Are you so foolish," he exclaimed, "as to suppose that the enemy are gone? Put no faith in this horse. Whatever it is, I fear the Greeks even when offering gifts.“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그러나 곧 그들의 관심은 거대한 목마에 매료되었고, 그들은 그 큰 크기에 놀랐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 하여 그 주위에 모여들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트로이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하고 불태워야 한다고 충고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도시로 운반되어 성채 안에 배치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프리아모스(Priam)의 아들 중 하나이자 아폴로(Apollo)의 제사장이기도 한 라오콘(La-oco-on)은 큰 소리로 외쳐 왕과 백성에게 이렇게 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네가 원수가 사라진 줄로 생각하느냐? 이 말을 믿지 말라. 무슨 일이든지 나는 예물을 드릴 때에도 그리스인을 두려워하노라."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y the death of Memnon the Trojans were much discouraged. Their powerful allies had been defeated, and they were no longer able to hold the field against the enemy. Soon after the death of Memnon there was a great battle, in which the Greeks, headed by Achilles, drove them back to the city walls. Through the Scæan Gate, which lay open, the Trojans rushed in terror and confusion, the Greeks pressing on close behind. Achilles reached the gate, and was about to enter, when Paris aimed at him with an arrow. Guided by Apollo, the weapon struck the hero in the heel, the only part in which he could be fatally wounded.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멤논의 죽음으로 트로이군은 크게 낙담했습니다. 그들의 강력한 동맹은 패배했고 더 이상 적과 맞서 싸울 수 없었습니다. 멤논이 죽은 직후 아킬레우스가 이끄는 그리스군이 그들을 성벽으로 몰아넣은 큰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열려 있는 스캔 게이트(Scæan Gate)를 통해 트로이군은 공포와 혼란으로 돌진했고 그리스인은 그 뒤를 바짝 밀었습니다. 아킬레우스가 성문에 도달하고 들어가려 할 때 파리스가 화살로 그를 겨냥하고, 아폴로의 지시에 따라 무기는 영웅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인 발뒤꿈치를 강타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4 에드거 앨런 포의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 1838(English Classics914 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 by Edgar Allan Poe)
도서정보 :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1838) : 국내에서만 약 160만 관객을 동원한 이안 감독의 미국영화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2012)는 전 세계적으로 1,200만부가 팔린 맨부커상(Man Booker Prize for Fiction) 수상작 파이 이야기(Life of Pi)(2001)를 영상으로 실감나게 옮긴 작품입니다. 인도를 출발한 주인공이 표류하여, 한 척의 배에서 호랑이와 함께 공존하는 기묘한 경험담을 환상적인 특수 효과와 함께 펼쳐내 세계적으로 호평 받았습니다. 영화는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 영화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원작 소설에서는 파이와 조우한 눈 먼 조난자를 호랑이가 먹어치우는 장면이 있습니다. 바로 이 장면이 왜 호랑이 이름이 리처드 파커(Richard Parker)인지 알 수 있는 대목이지요. 에드가 엘런 포는 평생 단 한 편의 장편 소설(the only complete novel)을 완결 지었습니다. 바로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1838)로, 국내에도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소설에는 식량이 떨어진 선원들이 제비뽑기를 해 걸린 선원을 먹어 치우는데, 바로 운 나쁜 선원의 이름이 리처드 파커(Richard Parker)입니다. 포의 소설에서 ‘먹힌 선원’이 영화에서는 ‘먹는 호랑이’로 변신한 셈이네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쥘 베른이 오마주한 에드거 앨런 포, 남극 미스터리(빙원의 스핑크스){An Antarctic Mystery(The Sphinx of the Ice Fields)}(1897) : 쥘 베른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낸터킷의 아서 고든 핌의 이야기(The Narrative of Arthur Gordon Pym of Nantucket)(1838)를 읽고, 너무나 감명 받아 해당 작품과 이어지는 남극 미스터리(빙원의 스핑크스)(1897)를 집필하였습니다. 비공식(?!) 속편(Sequel)이자 헌정작(Tribute)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남극 미스터리(1897)는 아서 고든 핌(Arthur Gordon Pym)으로부터 11년 후인 1839년 케르겔렌 제도(Kerguelen Islands)를 배경으로 하며, 두 작품은 인도양 남부(The South Indian Ocean) 케르겔렌 제도(Kerguelen Islands)를 배경으로 한 희귀한 문학 작품으로 꼽힙니다만, 쥘 베른의 의도와 다르게 그리 좋은 평을 받지는 못했다는…….
▶ PREFACE. Upon my return to the United States a few months ago, after the extraordinary series of adventure in the South Seas and elsewhere, of which an account is given in the following pages, accident threw me into the society of several gentlemen in Richmond, Va., who felt deep interest in all matters relating to the regions I had visited, and who were constantly urging it upon me, as a duty, to give my narrative to the public.
▷ 머리말. 몇 달 전 미국으로 돌아왔을 때 남해와 다른 곳에서 일련의 특별한 모험을 하고 다음 페이지에서 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우연히 버지니아 주 리치먼드에 있는 여러 신사의 사회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 내가 방문한 지역과 관련된 모든 문제에 깊은 관심을 느꼈고, 의무로서 내 이야기를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끊임없이 촉구했습니다.
▶ I had several reasons, however, for declining to do so, some of which were of a nature altogether private, and concern no person but myself; others not so much so. One consideration which deterred me was, that, having kept no journal during a greater portion of the time in which I was absent, I feared I should not be able to write, from mere memory, a statement so minute and connected as to have the appearance of that truth it would really possess, barring only the natural and unavoidable exaggeration to which all of us are prone when detailing events which have had powerful influence in exciting the imaginative faculties.
▷ 하지만, 저는 그렇게 하기를 거부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 중 일부는 완전히 사적인 성격이었고, 저 외에는 아무도 관심이 없었습니다. 다른 것들은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저를 단념시킨 한 가지 고려사항은, 제가 부재한 대부분의 시간 동안 일기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저는 그것이 정말로 가지고 있는 진실의 외관을 가지기 위해 너무 세밀하고 연결된 진술을 쓸 수 없어 두려웠다는 것입니다. 우리 모두는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 강력한 영향을 미친 사건들을 상세히 설명할 때 경향이 있습니다.
▶ Another reason was, that the incidents to be narrated were of a nature so positively marvellous, that, unsupported as my assertions must necessarily be (except by the evidence of a single individual, and he a half-breed Indian), I could only hope for belief among my family, and those of my friends who have had reason, through life, to put faith in my veracity?the probability being that the public at large would regard what I should put forth as merely an impudent and ingenious fiction. A distrust in my own abilities as a writer was, nevertheless, one of the principal causes which prevented me from complying with the suggestions of my advisers.
▷ 또 다른 이유는, 서술할 사건들이 너무나 긍정적으로 경이로운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내 주장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처럼 (단일 개인과 혼혈 인도인의 증거를 제외하고) 나는 내 가족과 삶을 통해 이성을 가진 내 친구들 사이에서 믿음만을 바랄 수 있었습니다. 나의 진실성?대중들이 내가 내세워야 할 것을 단지 뻔뻔하고 기발한 허구로 여길 가능성이 큽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로서의 제 능력에 대한 불신은 제 조언자들의 제안을 따르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였습니다.
▶ This expos? being made, it will be seen at once how much of what follows I claim to be my own writing; and it will also be understood that no fact is misrepresented in the first few pages which were written by Mr. Poe. Even to those readers who have not seen the Messenger, it will be unnecessary to point out where his portion ends and my own commences; the difference in point of style will be readily perceived. A. G. PYM. New-York, July, 1838.
▷ 이 폭로가 이루어지면 다음 내용 중 내가 내 자신의 글이라고 주장하는 내용이 얼마나 많은지 즉시 알 수 있습니다. 또한 포가 작성한 처음 몇 페이지에는 사실이 잘못 표현되지 않았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메신저를 본 적이 없는 독자들에게도 그의 몫이 어디에서 끝나고 나의 몫이 시작되는지를 지적하는 것은 불필요할 것입니다. 스타일 포인트의 차이를 쉽게 감지할 수 있습니다. 아서 고든 핌(Arthur Gordon Pym). 1838년 7월 뉴욕.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8 호메로스의 이타카의 영웅 오디세우스(English Classics908 Odysseus, the Hero of Ithaca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CHAPTER I. ABOUT TROY AND THE JOURNEY OF PARIS TO GREECE. Hera, the queen of Heaven and consort of Zeus?Athena, the goddess of wisdom, and Zeus's favorite daughter?and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 had a dispute among themselves. Each thought herself the most beautiful of the three, and they would have come to high words about it had not Athena proposed that they should ask the handsomest man in the world to settle the question. This happened to be the young royal shepherd, Paris. So the three goddesses floated down to the slope of Mount Ida on a snowy cloud and placed the question before him, each promising to reward him royally if he gave his verdict in her favor.
▷ 제1장. 트로이와 파리의 그리스 여행에 대하여. 하늘의 여왕이자 제우스의 배우자인 지혜의 여신 아테나와 제우스의 최애 딸인 헤라와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서로 논쟁을 벌였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세 사람 중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했고, 아테나가 세상에서 가장 잘생긴 남자에게 질문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았다면 그것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을 것입니다. 어린 양치기 파리스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그래서 세 여신은 눈 덮인 구름을 타고 이다 산비탈로 내려와 그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각각의 여신은 그가 그녀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면 왕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CHAPTER IV. THE FALL OF TROY. The war lasted nine years, and in the tenth the Greeks conquered Troy, not in battle, but by means of a trick which had come into the mind of Odysseus. He told a skilful carpenter to build a wooden horse of gigantic size, and in it he hid the bravest Greek warriors. When he had done this he advised all the other Greeks to depart without leaving anything behind them, and so lead the Trojans to believe that they had given up the fight and gone home.
▷ 제4장 트로이의 몰락. 전쟁은 9년 동안 지속되었고, 10년 만에 그리스는 전투가 아니라 오디세우스의 마음에 떠오른 속임수로 트로이를 정복했습니다. 그는 숙련된 목수에게 거대한 크기의 목마를 만들라고 말했고 그 안에 가장 용감한 그리스 전사를 숨겼습니다. 그가 이것을 하고 나서 그는 다른 모든 그리스인들에게 그들에게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떠나라고 조언했고, 그래서 트로이 사람들은 그들이 싸움을 포기하고 집으로 갔다고 믿게 만들었습니다.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1822~1890) : 독일 출신의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은 터키의 트로이(Troy)와 미케네(Mycenae), 티린스(Tiryns) 등의 유적을 발굴한 세계적인 명성의 고고학자입니다. 신화 속의 이야기이라고 여겨졌던 일리아스(The Iliad)에 심취해, 러시아에서 큰돈을 번 후 직접 탐사에 나서 트로이 유적을 발굴하는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유명하지요! 그러나, 유적지를 두서없이 파헤치는 바람에 적지 않은 유적이 훼손되었을 뿐 아니라, 발굴한 보물을 무단으로 반출하는 등 윤리적인 문제도 적지 않은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가 반출한 트로이 유물은 현재까지도 (이를 독일에서 약탈한) 러시아에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2 윌리엄 듀보이스의 니그로 1915(English Classics902 The Negro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니그로(The Negro by W. E. B. Du Bois)(1915)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사회학자이자 노예제 해방론자, 교수로 왕성하게 활동하며 발표한 여러 논문, 에세이, 소설 등에서 ‘대표작’이라고 꼽을만한 중요한 작품입니다. 기존의 저서가 ‘미국의 흑인’이라는 한계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면, 니그로(1915)는 보다 더 넓은 시야의 흑인 담론을 펼치기 때문입니다. 흑인이 태동한 아프리카의 역사를 시작으로 아프리카에서 발원한 에티오피아와 이집트 문명국을 비롯해 인류의 비극인 인종 전쟁과 노예제까지……. 백인들이 왜곡한 아프리카와 흑인, 그리고 흑인에 대한 인종주의의 문제점을 적나라하게 고발하면서도 모든 인류가 화합하는 희망찬 미래를 노래하고 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의 사상을 집대성한 니그로(1915)는 가나의 독립운동을 지휘한 초대 대통령 콰메 은크루마(Kwame Nkurmah)(1909~1972)와를 비롯한 흑인 지도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는 아프리카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일으킨 범아프리카주의(Pan- Africanism)로 이어졌습니다. 한국의 독자에게는 반갑게도 윌리엄 듀보이스의 작품으로 매우 드물게 번역본(삼천리, 2013)이 출간되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e time has not yet come for a complete history of the Negro peoples. Archæological research in Africa has just begun, and many sources of information in Arabian, Portuguese, and other tongues are not fully at our command; and, too, it must frankly be confessed, racial prejudice against darker peoples is still too strong in so-called civilized centers for judicial appraisement of the peoples of Africa. Much intensive monographic work in history and science is needed to clear mooted points and quiet the controversialist who mistakes present personal desire for scientific proof.
▷ 머리말. 흑인 민족의 완전한 역사를 위한 시간은 아직 오지 않았습니다. 아프리카의 고고학 연구는 막 시작되었으며 아라비아어, 포르투갈어 및 기타 언어로 된 많은 정보 자료는 우리가 완전히 정복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또한 솔직하게 고백해야 합니다. 흑인에 대한 인종적 편견은 아프리카 사람들에 대한 사법 평가를 위한 소위 문명 센터에서 여전히 너무 강합니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 부분을 없애고 과학적 증거에 대한 개인적인 욕망을 제시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논쟁가를 진정시키기 위해서는 역사와 과학에 대한 많은 집중적인 단행본 작업이 필요합니다.
▶ Nevertheless, I have not been able to withstand the temptation to essay such short general statement of the main known facts and their fair interpretation as shall enable the general reader to know as men a sixth or more of the human race. Manifestly so short a story must be mainly conclusions and generalizations with but meager indication of authorities and underlying arguments. Possibly, if the Public will, a later and larger book may be more satisfactory on these points. W.E. BURGHARDT DU BOIS. New York City, Feb. 1, 1915.
▷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일반 독자가 인류의 6분의 1 이상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주요 알려진 사실과 그 공정한 해석에 대한 짧은 일반 진술을 에세이하고 싶은 유혹을 견딜 수 없었습니다. 명백히 너무 짧은 이야기는 권위와 기본 주장의 빈약한 표시와 함께 주로 결론과 일반화여야 합니다. 아마도 대중이 원하면 이러한 점에 대해 나중에 더 큰 책이 더 만족스러울 것입니다.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 1915년 2월 1일 뉴욕시.
▶ I. AFRICA. Africa is at once the most romantic and the most tragic of continents. Its very names reveal its mystery and wide-reaching influence. It is the "Ethiopia" of the Greek, the "Kush" and "Punt" of the Egyptian, and the Arabian "Land of the Blacks." To modern Europe it is the "Dark Continent" and "Land of Contrasts"; in literature it is the seat of the Sphinx and the lotus eaters, the home of the dwarfs, gnomes, and pixies, and the refuge of the gods; in commerce it is the slave mart and the source of ivory, ebony, rubber, gold, and diamonds. What other continent can rival in interest this Ancient of Days?
▷ 제1장. 아프리카. 아프리카는 가장 낭만적인 동시에 가장 비극적인 대륙입니다. 그 이름은 그 신비와 광범위한 영향력을 보여줍니다. 그리스인의 '에티오피아', 이집트인의 '쿠시'와 '푼트', 아라비아인의 '흑인의 땅'. 현대 유럽에게 그것은 "어두운 대륙"과 "대조의 땅"입니다. 문학에서 이곳은 스핑크스와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자리, 난쟁이, 노움, 픽시의 집, 신들의 피난처입니다. 상업에서는 노예 시장이며 상아, 흑단, 고무, 금, 다이아몬드의 공급원입니다. 이 고대부터 늘 계신 이에게 관심을 가질 만한 다른 대륙이 어디 있겠습니까?
▶ IX. THE TRADE IN MEN. There was thus begun in modern days a new slavery and slave trade. I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ast, because more and more it came in time to be founded on racial caste, and this caste was made the foundation of a new industrial system. For four hundred years, from 1450 to 1850, European civilization carried on a systematic trade in human beings of such tremendous proportions that the physical, economic, and moral effects are still plainly to be remarked throughout the world. To this must be added the large slave trade of Mussulman lands, which began with the seventh century and raged almost unchecked until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 제9장. 남성의 무역. 그리하여 현대에 새로운 노예 제도와 노예무역이 시작되었습니다. 과거와 다른 점은 인종적 카스트를 기반으로 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이 카스트가 새로운 산업 체제의 기반이 되었기 때문입니다. 1450년부터 1850년까지 400년 동안 유럽 문명은 물리적, 경제적, 도덕적 영향이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명백하게 나타날 정도로 엄청난 비율로 인간을 체계적으로 거래했습니다. 여기에 7세기에 시작되어 19세기 말까지 거의 통제되지 않은 무술만 땅의 대규모 노예무역이 추가되어야 합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9 호메로스와 가이 손의 방랑자 율리시스의 모험(English Classics909 The Adventures of Ulysses the Wanderer by Homer and Guy Thorne)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가이 손(Guy Thorne)은 영국 출신의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시릴 아서 에드워드 레인저 걸(Cyril Arthur Edward Ranger Gull)(1875~1912)의 필명 중 하나로, 그는 평생 백편 이상의 소설을 발표하며 다작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였습니다. 첫 번째 소설은 익명으로 발표한 위선자: 옥스포드와 런던 생활의 소설(The Hypocrite: A Novel of Oxford and London Life)(1898)이며, 대표작은 반유대적인 캐릭터를 내세운 어둠이 찾아올 때(When It Was Dark)(1904)로 50만부 이상 판매되었습니다. 호메로스와 가이 손의 방랑자 율리시스의 The Adventures of Ulysses the Wanderer by Homer and Guy Thorne)은 작가 가이 손이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트로이 전쟁 후 10년간 방황한 오디세우스(Odyssey), 아니 영어식 발음인 율리시스(Ulysses)의 모험기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집필한(retold)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FOREWORD. Seven fair and illustrious cities of the dim, ancient world, Argos, Athenæ, Chios, Colophon, Salamis, Rhodos, Smyrna, fought a war of words over Homer’s birthplace. Each claimed the honour. And if, indeed, such an accident of chance confers an honour upon a town, then the birthplace of the Greatest Poet of all time should be a place of pilgrimage.
▷ 머리말. 어둡고 고대 세계의 7개의 공정하고 저명한 도시인 아르고스, 아테네, 키오스, 콜로폰, 살라미스, 로도스, 스미르나에서 호메로스의 출생지를 놓고 전쟁을 벌였습니다. 각각 영예를 안았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러한 우연한 사건이 한 도시에 영예를 안겨준다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의 탄생지는 순례의 장소여야 합니다.
▶ Of the two imperishable monuments Homer has left us, the decision of critical scholarship has placed the Iliad first. It has been said that the Iliad is like the midday, the Odyssey like the setting sun. Both are of equal splendour, though the latter has lost its noonday heat. But I would take that adroit simile and draw another meaning from it.
▷ 호메로스가 우리에게 남긴 두 개의 불멸의 기념물 중에서 중요한 학문적 결정은 일리아드를 최우선으로 했습니다. 일리아드는 한낮과 같고 오디세이는 지는 해와 같다고 합니다. 후자는 정오의 열기를 잃었지만 둘 다 똑같이 훌륭하죠. 그러나 나는 그 교묘한 직유를 취하고 그것에서 다른 의미를 끌어낼 것입니다.
▶ A fine poet, a great player, are to give us an Ulysses who must perforce be not only full of the spirit of his own age of myth, but instinct with the spirit of this. That is as inevitable as it is interesting. The “Gentle Elia” (how one wishes one could find a better name for him?but custom makes cowards of us all) has written his own version of the Odyssey. I cannot emulate that. But I think I can at least be useful. C. RANGER-GULL.
▷ 훌륭한 시인, 위대한 연주가는 우리에게 신화 시대의 정신으로 가득 차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정신으로 본능을 발휘해야 하는 율리시즈를 우리에게 선사할 것입니다. 흥미로운 만큼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젠틀 엘리아"(사람이 그를 위해 더 나은 이름을 찾고 싶지만 관습은 우리 모두를 겁쟁이로 만드는 방법)는 자신의 버전의 오디세이를 작성했습니다. 나는 그것을 모방할 수 없다. 그러나 나는 적어도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이 손(Cyril Arthur Edward Ranger Gull)(1875~1912).
▶ A BRIEF ACCOUNT OF THE PRINCIPAL CHARACTERS IN THE WANDERINGS OF ULYSSES, ACCORDING TO THE ANCIENT WRITERS AND LEGENDS. Ulysses. The hero of Homer’s great poem was known to the Greeks under the name of Odysseus. He was king of the pastoral islands of Ithaca and Dulichium. Most of the petty Greek chieftains became suitors for the hand of the beautiful Helen, and Ulysses was among the number, but withdrew when he realised the smallness of his chances. He then married Penelope, the daughter of Icarius, and at the same time joined with the other unsuccessful lovers of Helen in a sworn league for her future protection should she ever stand in need of it. He then returned to Ithaca with his bride.
▷ 고대 작가와 전설에 따르면 율리시즈를 방황하는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 율리시스. 호메로스의 위대한 시의 영웅은 오디세우스라는 이름으로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졌습니다. 그는 목가적인 이타카 섬과 둘리키움 섬의 왕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하찮은 그리스 족장들은 아름다운 헬레네의 손에 구혼자가 되었고, 율리시스도 그 중 하나였지만 기회가 적음을 깨닫고 물러났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이카리우스의 딸인 페넬로페와 결혼했고, 동시에 헬렌이 필요로 할 경우를 대비하여 그녀의 미래 보호를 위해 맹세한 동맹에서 헬렌의 다른 실패한 연인들과 합류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신부와 함께 이타카로 돌아갔습니다.
▶ Ulysses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figures during the Trojan war, his valour, and still more his cunning, making him of supreme importance in the councils of the princes. After the Trojan war Ulysses set sail for home, and at this period of his career the story of the Odyssey begins. He was driven by malevolent winds on to the shores of Africa, where he and his mariners were captured by the one-eyed giant, Polyphemus, who ate five of the band.
▷ 율리시스는 트로이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용맹과 교활함을 겸비하여 군주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트로이 전쟁 후 율리시스는 집으로 항해를 떠났고 그의 경력의 이 기간에 오디세이아(Odyssey)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는 사악한 바람에 이끌려 아프리카 해안으로 갔고, 그곳에서 그와 그의 선원들은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혀 떼 다섯 마리를 먹어치웠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5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English Classics905 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시간상으로는 일리아스(The Iliad)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 패배한 트로이를 떠난 오디세우스는 전리품을 배에 가득 싣고 고향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신들의 저주(포세이돈)와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10년간 지중해 연안을 방황하지요.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아내와 늙은 아버지를 재회하기까지 오디세우스의 고난과 역경’을 담은 모험기이자 표류기입니다. 전쟁담을 다룬 피비린내 가득한 일리아스(The Iliad)와 달리,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말 그대로 신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오가이아 섬의 님프(Nymph)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 공주와 알키노스 왕의 궁전, 미녀의 얼굴과 독수리의 몸으로 매혹적인 노래를 부르며 선원을 유혹하는 세이렌(The Sirens),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Cyclops) 등의 기기묘묘한 신수(神獸)가 쉴새없이 등장하는 판타지이지요!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는 ‘수의가 완성되면 결혼하겠다.’란 말로 숱한 구혼자를 달래며 낮에는 수의를 짓고, 밤에는 다시 풀어 헤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10년 간의 역경 끝에 다시 돌아온 오디세우스가 무려 108명에 달하는 구혼자를 활로 쏴죽이는 엔딩이 압권입니다.
▶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는 15세기 활동한 영국의 고전학자 겸 극작가, 번역가 조지 채프먼(George Chapman)(1559~1634)이 번역한 작품으로 호메로스(Homer)(BC 800?~BC 750?)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를 비롯해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Battle of the Frogs and Mice), 아폴로를 비롯한 신에게 바치는 32편의 찬송가(Hymns), 그리고 십 수편의 경구와 기타 시(Epigrams And Other Poems) 등을 포괄하는 방대한 편집본입니다. 서두에는 서머셋 백작(Earl Of Somerset)과 영국 왕실의 체임벌린 경(Lord Chamberlain)에게 바치는 헌사(獻辭)가, 작품의 말미에 번역자의 에필로그(The Translator’s Epilogue)가 각각 첨부되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HAPMAN’S INTRODUCTION. TO THE MOST WORTHILY HONOURED, MY SINGULAR GOOD LORD, ROBERT, EARL OF SOMERSET, LORD CHAMBERLAIN, ETC. I have adventured, right noble Earl, out of my utmost and ever-vowed service to your virtues, to entitle their merits to the patronage of Homer’s English life, whose wished natural life the great Macedon would have protected as the spirit of his empire, That he to his unmeasur’d mighty acts Might add a fame as vast; and their extracts, In fires as bright and endless as the stars, His breast might breathe and thunder out his wars.
▷ 채프먼의 소개. 가장 가치 있는 영예를 돌리는 나의 유일한 선하신 주님, 로버트, 서머셋 백작, 체임벌린 경 등. 고귀한 백작님, 저는 당신의 미덕에 대한 최선의 헌신을 다하여 그들의 공로를 호메로스의 영국인 삶의 후원에 부여하기 위해 모험을 했습니다. 그가 그의 측량할 수 없는 강력한 행동에 광대한 명성을 추가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들의 추출물, 별처럼 밝고 끝없는 불 속에서 그의 가슴은 숨을 쉬고 그의 전쟁을 천둥으로 몰아칠 것입니다.
▶ 쥐 왕국과 개구리 왕국의 전쟁(Battle of the Frogs and Mice)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 쥐 왕자 사이샤팍스(Psycharpax)는 개구리 왕 피시그나투스(Physignathus)의 초대를 받고, 그의 등에 선뜻 올라탑니다. 호수를 건너는 중에 물뱀과 마주친 피시그나투스는 등에 쥐왕자를 태우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깊은 물 속으로 잠수해 버리고 마는데...?! 결국 왕자를 잃게 된 쥐 왕국은 개구리 왕국에 전쟁을 선포합니다. 한편 쥐와 개구리의 전쟁을 지켜보는 제우스는 아테나에게 억울하게 왕자를 잃은 쥐 왕국을 도울 것을 명하지만, 그녀는 쥐라면 질색!! 결국 신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쟁은 쥐 왕국의 승리로 끝이 납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쥐와 개구리간의 전쟁’은 결국 당대의 일리아드(Iliad)를 은유한 패러디이자 우화(偶話)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호메로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Artemisia I) 혹은 루시안(Lucian) 등과 함께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의 유력한 저자로 꼽힙니다.
▶ BATRACHOMYOMACHIA. Two heads; nor could to any hand be prise;/They call them lobsters; that ate from the Mice/Their tails, their feet, and hands, and wrested all/Their lances from them, so that cold appall/The wretches put in rout, past all return./And now the Fount of Light forbore to burn/Above the earth; when, which men’s laws commend,/Our battle in one day took absolute end. ▷ 바트라코묘마키아. 두 개의 머리; 어느 누구에게도 경의를 표할 수 없습니다./그들은 그들을 바닷가재라고 부릅니다. 쥐를 잡아먹고/그들의 꼬리와 발과 손을 다 먹어치우고/그들의 창을 빼앗아 가혹한 공포를/비참한 자들이 패주하여 모든 것이 돌아오지 못하게 하였느니라./지구 위; 인간의 법이 칭찬하는 때,/우리의 전투는 하루에 완전히 끝났습니다.
▶ A Hymn to Apollo. I will remember and express the praise/Of heaven’s Far-darter, the fair King of days,/Whom even the Gods themselves fear when he goes/Through Jove’s high house; and when his goodly bows/He goes to bend, all from their thrones arise,/And cluster near, t’ admire his faculties. ▷ 아폴로의 찬송가. 나는 하늘의 저승사자, 아름다운 나날의 왕,/신들 스스로가 그가 갈 때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높은 집을 지나갈 때/신들조차도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좋은 절을 할 때, 모든 것이 그들의 왕좌에서 일어나고/그리고 가까이 모여들면, 그의 능력을 칭찬할 것입니다.
▶ The Translator’s Epilogue. The work that I was born to do is done!/Glory to Him that the conclusion/Makes the beginning of my life; and never/Let me be said to live, till I live ever./Where’s the outliving of my fortunes then, ▷ 번역자의 에필로그. 내가 타고난 일은 끝났어요!/그 결말을 그에게 영광을 돌립니다./내 인생의 시작을 만들어요; 그리고 결코./내가 영원히 살 때까지 살 수 있게 해주세요./그럼 내 운명은 다 어디로 갔죠?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2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백인과 유색인의 관계에 대한 3가지 연설문 1886(English Classics892 Three Addresses On The Relations Subsisting Between The White And Colored People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는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웅변가로써 평생 전국각지의 연단에 올랐으며, 당시의 연설문 중 일부는 신문과 잡지는 물론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백인과 유색인의 관계에 대한 3가지 연설문(Three Addresses On The Relations Subsisting Between The White And Colored People by Frederick Douglass)(1886)은 1883년 켄터키주 루이빌(In Louisville, KY., 1883.)에서 개최된 유색인종 대회(Convention of Colored Men) 연설문을 비롯해 1885년 워싱턴의 노예 제도 폐지 23주년(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 연설과 1886년 워싱턴의 컬럼비아 특별구의 독립 24주년(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연설문까지 총 3편의 연설문을 함께 묶은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 Louisville, KY., 1883. The following was delivered by Frederick Douglass as an address to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t a Convention of Colored Men held in Louisville, Ky., September 24, 1883: ▷ 1883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다음은 프레더릭 더글러스가 1883년 9월 24일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유색인종 대회(Convention of Colored Men)에서 미국 국민들에게 연설한 내용입니다.
▶ If the six millions of colored people of this country, armed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with a million votes of their own to lean upon, and millions of white men at their back, whose hearts are responsive to the claims of humanity, have not sufficient spirit and wisdom to organize and combine to defend themselves from outrag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t will be idle for them to expect that the Republican party or any other political party will organize and combine for them or care what becomes of them... We put ourselves before them as honest men, and ask their judgment upon our work.
▷ 미국 헌법으로 무장한 이 나라의 600만 유색인종과 기댈 수 있는 100만 표를 가진 수백만 명의 백인, 인류의 요구에 마음을 다하는 수백만 명의 백인이 있다면, 분노, 차별, 억압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조직하고 결합할 충분한 정신과 지혜가 없다면, 공화당이나 다른 정당이 조직하고 결합하거나 자신들의 상황을 돌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우리는 정직한 사람으로서 그들 앞에 우리 자신을 놓고 우리의 일에 대한 그들의 판단을 묻습니다.
▶ IN WASHINGTON, D. C., 1885. On being introduced by Hon. B. K. Bruce, on the occasion of 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 in the District of Columbia, Frederick Douglass spoke as follows: ▷ 1885년 워싱턴 DC에서, 혼(Hon) 님의 소개로 B.K.브루스(B. K. Bruce), 콜롬비아 특별구에서 노예 제도 폐지 23주년(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을 기념하여 Frederick Douglass 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Friends and Fellow-Citizens: Your committee of arrangements were pleased to select me as your orator of the day, on an occasion similar to this, two years ago. At that time, while appreciating the honor conferred upon me, I ventured to express the wish that some one of the many competent colored young men of this city and District had been chosen to discharge this honorable duty in my stead. There were excellent reasons for that wish then, and there are even much better reasons for the same wish now.
▷ 친구 및 시민 여러분: 2년 전 이와 비슷한 기회에 여러분의 준비 위원회는 저를 오늘의 웅변사로 선택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 당시 나는 나에게 수여된 영예를 감사하면서 이 도시와 지역의 유능한 유색 청년 중 한 명이 나를 대신하여 이 명예로운 의무를 수행하도록 선택되기를 과감히 바랐습니다. 그 소원에는 훌륭한 이유가 있었고, 지금은 같은 소원에 대해 훨씬 더 나은 이유가 있습니다.
▶ IN WASHINGTON, D. C., 1886. In introducing Mr. Frederick Douglass, on the occasion of 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Prof. J. M. Gregory made the following remarks: ▷ 1886년 워싱턴 DC에서, 컬럼비아 특별구의 독립 24주년(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을 기념하여 프레더릭 더글러스 씨를 소개 하면서 J.M. 그레고리(J.M. Gregory)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Ladies and Gentlemen: For many years prior to 1861 the friends of freedom, seeing the prominence slavery had acquired because of its existence at the capital of the nation, and the evil influence which it necessarily exerted upon legislation, sought in vain by petitions and other measures for its aboli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It was not, however, till the national conscience began to be quickened by the reverses of our armies, and legislators to realize the dangers which threatened the life of the nation, that the cause could muster sufficient strength to gain a hearing in Congress.
▷ 신사 숙녀 여러분: 1861년 이전 수년 동안 자유의 친구들은 노예제가 국가의 수도에 존재하기 때문에 얻은 유명세와 그것이 반드시 입법에 가한 악한 영향력을 보고 콜롬비아 특별구의 탄원서와 다른 조치들에 의해 헛된 노력을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군대와 국회의원들이 국가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깨닫고 국가의 양심이 회복되기 전까지는 그 대의가 의회에서 청문회를 얻을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모을 수 없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0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 1855(English Classics890 My Bondage and My Freedom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두 번째 자서전,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는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의 인기에 힘입어, 평생 2권의 자서전을 추가로 집필하였습니다. 두 번째 자서전은 첫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10년 후 출간한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이며, 세 번째 자서전은 두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무려 26년 후 발표한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입니다. 추천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써 ‘미국 최초로 정규 교육을 받은 유색인종 의사(First regularly-educated Colored Physician in the United States)’ 제임스 맥쿤 스미스(JAMES M’CUNE SMITH)(1813~1865)가 썼습니다.
▶ It is an American book, for Americans, in the fullest sense of the idea. It shows that the worst of our institutions, in its worst aspect, cannot keep down energy, truthfulness, and earnest struggle for the right. It proves the justice and practicability of Immediate Emancipation. JAMES M’CUNE SMITH. ▷ 이 책은 미국인을 위한, 그 아이디어의 완전한 의미에서 미국 책입니다. 그것은 우리 제도 중 최악의 것이, 최악의 측면에서, 에너지, 진실성, 그리고 권리를 위한 진지한 투쟁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즉각적인 해방의 정의와 실행 가능성을 증명합니다. 제임스 맥쿤 스미스(1813~1865)
▶ 두 번째 자서전은 제1장 어린 시절(Childhood)부터 제21장 노예제로부터의 탈출(My Escape from Slavery)까지 시간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혈통(Parentage), 노예 농장(Slave Plantation)과 노예제(Slavery) 등에 관한 작가의 진솔한 생각은 물론 노예로써 견뎌내야만 했던 악인(the Negro Breaker) 코비(Covey) 등에 얽힌 경험담을 담담히 털어 놓습니다. 제22장부터는 자유인(Freeman)으로써 새롭게 시작한 삶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책의 말미에 그를 대중들에게 알린 유명한 연설문과 강의록, 편지 등을 함께 실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당대 미국의 악명 높은 도망노예법(逃亡奴?法, Fugitive slave laws)에 의거해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유를 위해 몸값을 지불해야만 하였습니다. 작가는 현실적으로 지인의 도움을 받아 영국에 정착해 새로운 자유인으로써의 삶을 시작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향땅과 미국에서 고통 받는 동포들을 구하고 싶다는 신념하에 기꺼이 150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노예가 아닌 인간으로써의 삶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 It is true, I was not in the possession of my claimants, and could have easily remained in England, for the same friends who had so generously purchased my freedom, would have assisted me in establishing myself in that country. To this, however, I could not consent. I felt that I had a duty to perform?and that was, to labor and suffer with the oppressed in my native land. Considering, therefore, all the circumstances?the fugitive slave bill included?I think the very best thing was done in letting Master Hugh have the hundred and fifty pounds sterling, and leaving me free to return to my appropriate field of labor.
▷ 사실, 저는 청구인들의 소유가 아니었고, 쉽게 영국에 남을 수 있었습니다. 제 자유를 아낌없이 구매한 같은 친구들이라면 제가 그 나라에서 제 자신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저는 제가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것은 제 조국에서 억압받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고통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망노예법 벌금(the fugitive slave bill)을 포함한 모든 상황을 고려합니다. 가장 잘한 일은 휴(Master Hugh)에게 150 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하고, 내가 원하는 노동 분야로 돌아갈 수 있게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Had I been a private person, having no other relations or duties than those of a personal and family nature, I should never have consented to the payment of so large a sum for the privilege of living securely under our glorious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I could have remained in England, or have gone to some other country; and perhaps I could even have lived unobserved in this. But to this I could not consent. I had already become somewhat notorious, and withal quite as unpopular as notorious; and I was, therefore, much exposed to arrest and recapture.
▷ 내가 일개 개인이고 개인적 및 가족적 성격 외에 다른 관계나 의무가 없었다면 영광스러운 공화정 정부 아래서 안전하게 생활하는 특권을 위해 그렇게 큰 금액을 지불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나는 영국에 남거나 다른 나라로 갈 수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나는 이것에서 관찰되지 않고 살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이미 어느 정도 악명을 떨쳤고 악명 높은 만큼 인기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나는 체포와 탈환에 많이 노출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 : 노예 출신의 노예제 폐지론자(Abolitionist)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계기는 바로 그가 자신의 노예 생활을 엮은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가 대중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입니다. 글조차 제대로 배우지 않았기에 일자무식으로 치부되던 ‘흑인의 자전적 문학작품’에 대중들은 한편으로는 충격을, 다른 한편으로는 감동을 받았으며 미국 내에서만 9번이나 재판을 거듭하면서 11,000부 이상이 팔리는 인기를 누렸습니다. 미국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그의 자서전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로 번역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의 명성이 유럽 대륙까지 전파될 수 있었으며 이는 훗날 그가 아일랜드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국내에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혹은 ‘노예의 노래’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세 번째 자서전,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은 그의 세 번째이자 사망하기 전 집필한 마지막 자서전으로, 첫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36년, 두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26년 만에 출간되었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집필한 자서전이니만큼 노예로써의 삶과 이후 노예제 해방 운동가이자 웅변가로써의 삶은 물론 당대의 저명인사로써 신문사를 운영하고, 두 명의 미국 대통령과 만나는 등의 정치적인 행보가 가장 상세하게 담겨 있습니다. 1991년 최초로 출간한 이후 아이티(Haiti)의 미국 장관(U.S. minister)(1889~1891)을 포함해 1892년 새롭게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의 후손이 한 국가의 장관이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여정이 궁금하시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6 호메로스와 H. L. 하벨과 오디세이아 이야기(English Classics906 Stories from the Odyssey by H. L. Havell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시간상으로는 일리아스(The Iliad)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 패배한 트로이를 떠난 오디세우스는 전리품을 배에 가득 싣고 고향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신들의 저주(포세이돈)와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10년간 지중해 연안을 방황하지요.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아내와 늙은 아버지를 재회하기까지 오디세우스의 고난과 역경’을 담은 모험기이자 표류기입니다. 전쟁담을 다룬 피비린내 가득한 일리아스(The Iliad)와 달리,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말 그대로 신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오가이아 섬의 님프(Nymph)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 공주와 알키노스 왕의 궁전, 미녀의 얼굴과 독수리의 몸으로 매혹적인 노래를 부르며 선원을 유혹하는 세이렌(The Sirens),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Cyclops) 등의 기기묘묘한 신수(神獸)가 쉴 새 없이 등장하는 판타지이지요!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는 ‘수의가 완성되면 결혼하겠다.’란 말로 숱한 구혼자를 달래며 낮에는 수의를 짓고, 밤에는 다시 풀어 헤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10년간의 역경 끝에 다시 돌아온 오디세우스가 무려 108명에 달하는 구혼자를 활로 쏴 죽이는 엔딩이 압권입니다.
▶ 호메로스와 H. L. 하벨과 오디세이아 이야기(Stories from the Odyssey by H. L. Havell and Homer)는 前 옥스포드 대학교 장학생(Formerly Scholar Of University College Oxford)이자 할레 대학교 영어 후기 독자(Late Reader In English In The University Of Halle) H. L. 하벨(H. L. Havel B.A.)이 다시 풀어쓴(Retold) 편집본으로 호메로스의 독서(L. Alma Tadema)를 비롯한 8점의 삽화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하벨은 이 작품을 쓰기 이전에 이미 헤로도토스의 이야기(Stories from Herodotus), 그리스 비극 이야기(Stories from Greek Tragedy), 아이네이스의 이야기(Stories from the Æneid), 일리아드의 이야기(Stories from the Iliad) 등 그리스로마 신화 원작의 ‘~의 이야기’ 시리즈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소개(Introduction)와 결론(Conclusion)을 포함해 총 2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 말미에 작품에 등장하는 수많은 캐릭터를 알파벳순으로 정리한 이름의 발음 목록(Pronouncing List Of Names)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소개(Introduction)에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와 일리아드에 대한 배경 설명을 서술하고 있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The impersonal character of the Homeric poems has left us entirely in the dark as to the birthplace, the history, and the date, of their author. So complete is the darkness which surrounds the name of Homer that his very existence has been disputed, and his works have been declared to be an ingenious compilation, drawn from the productions of a multitude of singers. It is not my intention here to enter into the endless and barren controversy which has raged round this question. It will be more to the purpose to try and form some general idea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ek Epic; an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give a brief review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which it was produced.
▷ 소개. 호메로스 시의 비인격적인 성격은 저자의 출생지, 역사 및 날짜에 관해 우리를 완전히 어둠 속에 남겨두었습니다. 호메로스의 이름을 둘러싼 어둠이 너무도 완벽해서 그의 존재 자체가 논란이 되었고 그의 작품은 수많은 가수의 작품에서 가져온 독창적인 편집물로 선언되었습니다. 이 질문을 둘러싼 끝없는 불모의 논쟁에 참여하려는 것은 여기서 나의 의도가 아닙니다. 그리스 서사시의 특징에 대한 몇 가지 일반적인 개념을 시도하고 형성하는 것이 목적에 더 부합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그것이 생산된 정치적, 사회적 조건에 대한 간략한 검토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INTRODUCTION-II. In speaking of the religion of the Homeric Greeks we have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the Iliad and the Odyssey. In the Iliad the gods play a much livelier and more human part than in the latter poem, and it is highly remarkable that the only comic scenes in the first and greatest of epics are those in which the gods are the chief actors?as when the lame Hephæstus takes upon him the office of cupbearer at the Olympian banquet, or when Artemis gets her ears boxed by the angry Hera. It would almost seem as if there were a vein of deliberate satire running through these descriptions, so daring is the treatment of the divine personages.
▷ 서론-II. 호메로스식 그리스인의 종교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를 구별해야 합니다. 일리아드에서 신들은 후자의 시보다 훨씬 더 활기차고 인간적인 역할을 하며,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서사시의 유일한 희극적 장면은 신들이 주연을 맡은 장면뿐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합니다. 절름발이 헤파이스토스는 올림픽 연회에서 또는 아르테미스가 화난 헤라에게 귀를 막았을 때 술 맡은 관원을 맡게 됩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고의적인 풍자가 흐르는 것처럼 보일 것이므로 대담하게 신성한 인물을 대하는 것입니다.
▶ INTRODUCTION-VI. Space does not allow us to give a detailed criticism of the Odyssey as a poem, and determine its relation to the Iliad. We must content ourselves with quoting the words of the most eloquent of ancient critics, which sum up the subject with admirable brevity and insight: "Homer in his Odyssey may be compared to the setting sun: he is still as great as ever, but he has lost his fervent heat……. Like the sea when it retires upon itself and leaves its shores waste and bare, henceforth the tide of sublimity begins to ebb, and draws us away into the dim region of myth and legend.“
▷ 서론-VI. 공간은 우리로 하여금 시로서의 오디세이에 대한 상세한 비평을 하도록 허용하지 않으며, 일리아드와의 관계를 결정짓습니다. 우리는 가장 유창한 고대 비평가들의 말을 인용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이 말은 주제를 훌륭하고 간결하고 통찰력 있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는 석양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뜨거운 열기를 잃었습니다……. 바다가 스스로 물러나서 해안을 황폐하고 벌거벗은 채로 남겨두는 것처럼, 이제부터 숭고의 조수가 썰물을 시작하고 우리를 신화와 전설의 희미한 영역으로 끌어들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