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900 윌리엄 듀보이스의 소설: 은양털의 추구 1911(English Classics900 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A Novel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저명한 사회학자 겸 교수인 윌리엄 듀보이스가 로맨스 소설을 집필한 이유는? : 은양털의 추구(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A Novel by W. E. B. Du Bois)(1911)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의 첫 번째 소설입니다. 작품에서는 남부의 조라(Zora)와 백인식 교육을 받은 블레스(Bles)가 사랑에 빠지며 벌어지는 남북 간의 거대한 갈등을 그려내고 있습니다. 제목 은양털(Silver Fleece)은 1차적으로 양(洋)에서 채취한 부드러운 털 혹은 양털로 만든 부드러운 천을 의미하지만, 작품에서는 흑인 노예의 피땀으로 길러내는 아름다운 면화(綿花, cotton)에 대한 은유로 활용됩니다. 작가는 노예제에 대해 중립적이거나 옹호하는 이들을 설득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대중적인 소설의 형식을 선택하였고, 남북 간의 극명한 차이로 인해 빚어지는 비극에 어린 두 연인을 던져 넣음으로써 독자들 또한 그 논란의 중심으로 초대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Note. He who would tell a tale must look toward three ideals: to tell it well, to tell it beautifully, and to tell the truth. The first is the Gift of God, the second is the Vision of Genius, but the third is the Reward of Honesty. In 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 there is little, I ween, divine or ingenious; but, at least, I have been honest. In no fact or picture have I consciously set down aught the counterpart of which I have not seen or known; and whatever the finished picture may lack of completeness, this lack is due now to the story-teller, now to the artist, but never to the herald of the Truth. NEW YORK CITY. August 15, 1911. THE AUTHOR.

▷ 메모. 이야기를 하려는 사람은 세 가지 이상을 바라봐야 합니다. 잘 말하는 것, 아름답게 말하는 것, 진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는 하나님의 선물, 두 번째는 천재의 비전, 세 번째는 정직의 상급입니다. 은양털의 추구(The Quest of the Silver Fleece)에는 신성하거나 독창적인 것이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나는 정직했습니다. 사실이나 그림에서 나는 내가 보거나 알지 못한 대응물을 의식적으로 설정한 적이 없습니다. 그리고 완성된 그림에 완전성이 부족하더라도 이 부족은 지금 이야기꾼에게, 이제는 예술가에게 있지만 결코 진실의 전령 때문이 아닙니다. 뉴욕시. 1911년 8월 15일. 저자.

▶ Three. MISS MARY TAYLOR. "What's the mere color of a human soul's skin," she had cried to a Wellesley audience and the audience had applauded with enthusiasm. But here in Alabama, brought closely and intimately in touch with these dark skinned children, their color struck her at first with a sort of terror?it seemed ominous and forbidding. She found herself shrinking away and gripping herself lest they should perceive. She could not help but think that in most other things they were as different from her as in color.

▷ 제3장. 미스 메리 테일러. 그녀는 웰즐리의 청중에게 "인간 영혼의 피부색은 무엇입니까?"라고 외쳤고 청중은 열광적인 박수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여기 앨라배마에서 이 검은 피부의 아이들과 밀접하고 친밀하게 접촉하게 되자 그들의 피부색은 처음에 일종의 공포에 사로잡혔습니다. 그것은 불길하고 끔찍해 보였습니다. 그녀는 그들이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몸을 움츠리고 자신을 움켜쥐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그녀는 대부분의 다른 것들에서 그들이 색깔만큼이나 그녀와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 Eighteen. THE COTTON CORNER. All over the land the cotton had foamed in great white flakes under the winter sun. The Silver Fleece lay like a mighty mantle across the earth. Black men and mules had staggered beneath its burden, while deep songs welled in the hearts of men; for the Fleece was goodly and gleaming and soft, and men dreamed of the gold it would buy. All the roads in the country had been lined with wagons?a million wagons speeding to and fro with straining mules and laughing black men, bearing bubbling masses of piled white Fleece. The gins were still roaring and spitting flames and smoke?fifty thousand of them in town and vale. Then hoarse iron throats were filled with fifteen billion pounds of white-fleeced, black-specked cotton, for the whirling saws to tear out the seed and fling five thousand million pounds of the silken fibre to the press.

▷ 제18장. 코튼 코너. 온 땅에 면화는 겨울 태양 아래서 커다란 흰 조각으로 거품이 일었습니다. 은양털은 거대한 맨틀처럼 땅을 가로질러 펼쳐져 있었습니다. 흑인들과 노새들은 그 짐 아래서 비틀거렸고, 사람들의 마음에는 깊은 노래가 샘솟았습니다. 양털은 훌륭하고 빛나고 부드러웠으며 사람들은 그 양털로 금을 살 꿈을 꾸었습니다. 그 나라의 모든 도로는 마차로 가득 차 있었습니다. 백만 대의 마차는 힘겹게 노새를 태우고 웃고 있는 흑인 남성을 태우고 부글부글 쌓인 흰 양털을 싣고 이리저리 달리고 있었습니다. 진은 여전히 활활 타오르고 화염과 연기를 내뿜고 있었습니다. 그 진은 마을과 계곡에 5만 개가 있었습니다. 그런 다음 150억 파운드의 흰털과 검은 점이 있는 목화로 쉰 철제 목구멍을 채우고 회전하는 톱으로 씨를 뽑아내고 5,000만 파운드의 비단 섬유를 인쇄기로 던졌습니다.

▶ Thirty-eight. ATONEMENT. Zora was dreaming again. Somehow, the old dream-life, with its glorious phantasies, had come silently back, richer and sweeter than ever. There was no tangible reason why, and yet today she had shut herself in her den. Searching down in the depths of her trunk, she drew forth that filmy cloud of white?silk-bordered and half finished to a gown. Why were her eyes wet today and her mind on the Silver Fleece?

▷ 제38장. 보상. 조라는 다시 꿈을 꾸고 있었습니다. 어쩐지 영광스러운 환상을 품은 옛 꿈의 삶이 그 어느 때보다 풍부하고 달콤하게 조용히 돌아왔다. 뚜렷한 이유는 없었지만 오늘 그녀는 자신의 굴에 갇혔습니다. 그녀는 트렁크 깊숙한 곳을 샅샅이 뒤져 실크 테두리가 있고 반쯤은 가운으로 완성된 흰색의 엷은 구름을 꺼냈습니다. 왜 그녀의 눈은 오늘 젖었고 그녀의 마음은 은양털에 있었습니까?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5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English Classics905 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시간상으로는 일리아스(The Iliad)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 패배한 트로이를 떠난 오디세우스는 전리품을 배에 가득 싣고 고향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신들의 저주(포세이돈)와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10년간 지중해 연안을 방황하지요.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아내와 늙은 아버지를 재회하기까지 오디세우스의 고난과 역경’을 담은 모험기이자 표류기입니다. 전쟁담을 다룬 피비린내 가득한 일리아스(The Iliad)와 달리,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말 그대로 신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오가이아 섬의 님프(Nymph)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 공주와 알키노스 왕의 궁전, 미녀의 얼굴과 독수리의 몸으로 매혹적인 노래를 부르며 선원을 유혹하는 세이렌(The Sirens),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Cyclops) 등의 기기묘묘한 신수(神獸)가 쉴새없이 등장하는 판타지이지요!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는 ‘수의가 완성되면 결혼하겠다.’란 말로 숱한 구혼자를 달래며 낮에는 수의를 짓고, 밤에는 다시 풀어 헤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10년 간의 역경 끝에 다시 돌아온 오디세우스가 무려 108명에 달하는 구혼자를 활로 쏴죽이는 엔딩이 압권입니다.

▶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는 15세기 활동한 영국의 고전학자 겸 극작가, 번역가 조지 채프먼(George Chapman)(1559~1634)이 번역한 작품으로 호메로스(Homer)(BC 800?~BC 750?)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를 비롯해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Battle of the Frogs and Mice), 아폴로를 비롯한 신에게 바치는 32편의 찬송가(Hymns), 그리고 십 수편의 경구와 기타 시(Epigrams And Other Poems) 등을 포괄하는 방대한 편집본입니다. 서두에는 서머셋 백작(Earl Of Somerset)과 영국 왕실의 체임벌린 경(Lord Chamberlain)에게 바치는 헌사(獻辭)가, 작품의 말미에 번역자의 에필로그(The Translator’s Epilogue)가 각각 첨부되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HAPMAN’S INTRODUCTION. TO THE MOST WORTHILY HONOURED, MY SINGULAR GOOD LORD, ROBERT, EARL OF SOMERSET, LORD CHAMBERLAIN, ETC. I have adventured, right noble Earl, out of my utmost and ever-vowed service to your virtues, to entitle their merits to the patronage of Homer’s English life, whose wished natural life the great Macedon would have protected as the spirit of his empire, That he to his unmeasur’d mighty acts Might add a fame as vast; and their extracts, In fires as bright and endless as the stars, His breast might breathe and thunder out his wars.

▷ 채프먼의 소개. 가장 가치 있는 영예를 돌리는 나의 유일한 선하신 주님, 로버트, 서머셋 백작, 체임벌린 경 등. 고귀한 백작님, 저는 당신의 미덕에 대한 최선의 헌신을 다하여 그들의 공로를 호메로스의 영국인 삶의 후원에 부여하기 위해 모험을 했습니다. 그가 그의 측량할 수 없는 강력한 행동에 광대한 명성을 추가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들의 추출물, 별처럼 밝고 끝없는 불 속에서 그의 가슴은 숨을 쉬고 그의 전쟁을 천둥으로 몰아칠 것입니다.

▶ 쥐 왕국과 개구리 왕국의 전쟁(Battle of the Frogs and Mice)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 쥐 왕자 사이샤팍스(Psycharpax)는 개구리 왕 피시그나투스(Physignathus)의 초대를 받고, 그의 등에 선뜻 올라탑니다. 호수를 건너는 중에 물뱀과 마주친 피시그나투스는 등에 쥐왕자를 태우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깊은 물 속으로 잠수해 버리고 마는데...?! 결국 왕자를 잃게 된 쥐 왕국은 개구리 왕국에 전쟁을 선포합니다. 한편 쥐와 개구리의 전쟁을 지켜보는 제우스는 아테나에게 억울하게 왕자를 잃은 쥐 왕국을 도울 것을 명하지만, 그녀는 쥐라면 질색!! 결국 신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쟁은 쥐 왕국의 승리로 끝이 납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쥐와 개구리간의 전쟁’은 결국 당대의 일리아드(Iliad)를 은유한 패러디이자 우화(偶話)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호메로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Artemisia I) 혹은 루시안(Lucian) 등과 함께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의 유력한 저자로 꼽힙니다.

▶ BATRACHOMYOMACHIA. Two heads; nor could to any hand be prise;/They call them lobsters; that ate from the Mice/Their tails, their feet, and hands, and wrested all/Their lances from them, so that cold appall/The wretches put in rout, past all return./And now the Fount of Light forbore to burn/Above the earth; when, which men’s laws commend,/Our battle in one day took absolute end. ▷ 바트라코묘마키아. 두 개의 머리; 어느 누구에게도 경의를 표할 수 없습니다./그들은 그들을 바닷가재라고 부릅니다. 쥐를 잡아먹고/그들의 꼬리와 발과 손을 다 먹어치우고/그들의 창을 빼앗아 가혹한 공포를/비참한 자들이 패주하여 모든 것이 돌아오지 못하게 하였느니라./지구 위; 인간의 법이 칭찬하는 때,/우리의 전투는 하루에 완전히 끝났습니다.

▶ A Hymn to Apollo. I will remember and express the praise/Of heaven’s Far-darter, the fair King of days,/Whom even the Gods themselves fear when he goes/Through Jove’s high house; and when his goodly bows/He goes to bend, all from their thrones arise,/And cluster near, t’ admire his faculties. ▷ 아폴로의 찬송가. 나는 하늘의 저승사자, 아름다운 나날의 왕,/신들 스스로가 그가 갈 때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높은 집을 지나갈 때/신들조차도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좋은 절을 할 때, 모든 것이 그들의 왕좌에서 일어나고/그리고 가까이 모여들면, 그의 능력을 칭찬할 것입니다.

▶ The Translator’s Epilogue. The work that I was born to do is done!/Glory to Him that the conclusion/Makes the beginning of my life; and never/Let me be said to live, till I live ever./Where’s the outliving of my fortunes then, ▷ 번역자의 에필로그. 내가 타고난 일은 끝났어요!/그 결말을 그에게 영광을 돌립니다./내 인생의 시작을 만들어요; 그리고 결코./내가 영원히 살 때까지 살 수 있게 해주세요./그럼 내 운명은 다 어디로 갔죠?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1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 1881(English Classics891 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웅적 순교자인가, 미치광이 테러리스트인가?! : 존 브라운(John Brown)(1800~1859)은 현재까지도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노예 제도를 철폐하기 위한 무장 봉기는 정당한가? 육군 대령 출신의 존 브라운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자들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무력으로 응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선(善)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블랙잭 전투(Battle of Black Jack)(1856)와 오사와토미 전투(Battle of Osawatomie)(1856)를 지휘하며, 옹호론자를 사적으로(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거대한 칼로!!) 살해하였고, 무장봉기를 위한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의 조병창을 습격하였습니다. 습격이 실패함에 따라 체포되었고, 유죄를 선고받은 후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죽기 직전에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John Brown, am now quite certain that the crimes of this guilty land can never be purged away but with blood. 나 존 브라운은 이 죄악의 땅의 범죄를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피뿐이라고 확신하노라.

▶ 그의 과격한 행보는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1861~1865)의 발발을 예고하는 중요한 사건이였으며, 이후 그를 영웅적 순교자로 추앙하는 이들과 사적으로 무력을 행사한 테러리스트라는 이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흑인보다 더 흑인의 자유를 지지한 존 브라운의 삶은 이후 노예제 폐지운동의 불씨가 되었고,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를 비롯해 해리엇 터브먼(Harriet Tubman)(1822~1913), 말콤 X(Malcolm X)(1925~1965) 등 또한 그를 추앙하였습니다. 존 브라운의 시체(John Brown's Body)란 노래는 이후 북부 연방군 군가로 널리 불렸으며, 그의 삶을 모티브로 한 제임스 맥브라이드(James McBride)(1957~) 원작의 미국역사드라마(American historical drama miniseries) 더 굿 로드 버드(The Good Lord Bird)(2020)가 2020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His zeal in the cause of freedom was infinitely superior to mine. Mine was a taper light, his was the burning sun. Mine was bounded by time, his stretched away to the silent shores of eternity. I could speak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fight for the slave. I could live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die for the slave. Frederick Douglass. ▷ 자유를 위한 그의 열정은 나보다 훨씬 뛰어났습니다. 제 것은 가늘고 긴 빛이었고, 그의 것은 타는 태양이었습니다. 제 것은 시간에 의해 제한되었고, 그는 영원한 조용한 해안으로 뻗어나갔습니다. 저는 노예를 위해 웅변할 수 있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싸울 수 있었습니다. 전 노예를 위해 살았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죽을 수도 있습니다.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

▶ We need allies who are going to help us achieve a victory, not allies who are going to tell us to be nonviolent. If a white man wants to be your ally, what does he think of John Brown? You know what John Brown did? He went to war. He was a white man who went to war against white people to help free slaves. He wasn’t nonviolent. White people call John Brown a nut. Go read the history, go read what all of them say about John Brown. They’re trying to make it look like he was a nut, a fanatic. They made a movie on it, I saw a movie on the screen one night. Why, I would be afraid to get near John Brown if I go by what other white folks say about him. Malcolm X.

▷ 우리는 우리에게 비폭력적이라고 말할 동맹이 아니라 승리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동맹이 필요합니다. 백인이 당신의 동맹이 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존 브라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존 브라운이 한 일을 아십니까? 그는 전쟁에 갔습니다. 그는 노예 해방을 돕기 위해 백인과의 전쟁에 나섰던 백인이었습니다. 그는 비폭력적이지 않았습니다. 백인들은 존 브라운을 미친놈이라고 부르죠. 가서 역사를 읽고 그들이 존 브라운에 대해 말하는 것을 읽으십시오. 그들은 그가 광신자인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합니다. 그들은 그에 대해 영화를 만들었고, 나는 어느 날 밤 스크린에서 영화를 보았습니다. 왜, 나는 다른 백인들이 그에 대해 말하는 것을 따라가면 존 브라운에게 다가가기가 두려울 것입니다. 말콤 X(Malcolm X)(1925~1965).

▶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1881)은 프레더릭 더글러스가 남북전쟁이 종전된지 16년 만인 1881년, 워싱턴 서북쪽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에 위치한 스토어러 칼리지(Storer College)의 연설문 전문입니다. 이곳에는 존 브라운의 업적을 기린 존 브라운 박물관(John Brown Museum), 존 브라운 왁스 뮤지엄(John Brown Wax Museum), 존 브라운 항구(John Brown's Fort) 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 In studying the character and works of a great man, it is always desirable to learn in what he is distinguished from others, and what have been the causes of this difference. Such men as he whom we are now considering, come on to the theater of life only at long intervals. It is not always easy to explain the exact and logical causes that produce them, or the subtle influences which sustain them, at the immense heights where we sometimes find them; but we know that the hour and the man are seldom far apart, and that here, as elsewhere, the demand may in some mysterious way, regulate the supply. A great iniquity, hoary with age, proud and defiant, tainting the whole moral atmosphere of the country, subjecting both church and state to its control, demanded the startling shock which John Brown seemed especially inspired to give it.

▷ 위대한 사람의 성품과 업적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과 이러한 차이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것은 언제나 바람직합니다. 우리가 지금 고려하고 있는 그러한 사람들은 긴 간격으로만 인생의 극장에 옵니다. 그것들을 발생시키는 정확하고 논리적인 원인이나 그것들을 유지하는 미묘한 영향을 우리가 때때로 발견하는 엄청난 높이에서 설명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간과 사람이 좀처럼 떨어져 있지 않으며 여기에서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어떤 신비한 방식으로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나이가 들면서 노골적이며 교만하고 거만하며 국가 전체의 도덕적 분위기를 더럽히고 교회와 국가를 통제하는 큰 죄악은 존 브라운이 특히 영감을 받은 것처럼 보이는 놀라운 충격을 요구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7 호메로스와 마이클 클라크의 트로이 이야기(English Classics907 The Story of Troy by Michael Clarke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II. THE JUDGMENT OF PARIS. Paris was therefore appointed umpire. By Jupiter's command the golden apple was sent to him, to be given to that one of the three goddesses whom he should judge to be the most beautiful. The goddesses themselves were directed to appear before him on Mount Ida, so that, beholding their charms, he might be able to give a just decision. The English poet, Tennyson, in his poem "Œnone," gives a fine description of the three contending deities standing in the presence of the Trojan prince, each in her turn trying, by promise of great reward, to persuade him to declare in her favor. Juno spoke first, and she offered to bestow kingly power and immense wealth upon Paris, if he would award the prize to her.

▷ 제2장. 파리스의 심판. 따라서 파리스가 심판으로 임명되었습니다. 주피터의 명령에 따라 황금 사과가 그에게 보내져 그가 가장 아름답다고 판단해야 할 세 여신 중 한 명에게 주어졌습니다. 여신들 자신이 이다 산에서 그의 앞에 나타나도록 지시를 받았고, 그로 인해 그의 매력을 보고 정당한 결정을 내릴 수 있었습니다. 영국 시인 테니슨(Tennyson)은 그의 시 "오이노네(Œnone)"에서 트로이의 왕자 앞에 서 있는 세 명의 신들이 차례로 큰 보상을 약속하여 그를 설득하여 자신에게 선언하도록 설득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잘 묘사하고 있습니다. 주노(Juno)가 먼저 말하자 그녀는 파리스가 상을 준다면 왕권과 막대한 부를 파리스에 주겠다고 제안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ut soon their attention was attracted by the huge wooden horse, and they gathered about it, astonished at its great size, and wondering what it meant. Some thought that it meant evil to Troy, and advised that it should be burned; others proposed that it should be hauled into the city and placed within the citadel. La-oc?o-on, one of Priam's sons, who was also a priest of Apollo, cried out in a loud voice, warning the king and people against doing this. "Are you so foolish," he exclaimed, "as to suppose that the enemy are gone? Put no faith in this horse. Whatever it is, I fear the Greeks even when offering gifts.“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그러나 곧 그들의 관심은 거대한 목마에 매료되었고, 그들은 그 큰 크기에 놀랐고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궁금해 하여 그 주위에 모여들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그것이 트로이에 해를 끼친다고 생각하고 불태워야 한다고 충고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도시로 운반되어 성채 안에 배치되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프리아모스(Priam)의 아들 중 하나이자 아폴로(Apollo)의 제사장이기도 한 라오콘(La-oco-on)은 큰 소리로 외쳐 왕과 백성에게 이렇게 하지 말라고 경고했습니다. "네가 원수가 사라진 줄로 생각하느냐? 이 말을 믿지 말라. 무슨 일이든지 나는 예물을 드릴 때에도 그리스인을 두려워하노라."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XII. DEATH OF ACHILLES?FALL AND DESTRUCTION OF TROY. By the death of Memnon the Trojans were much discouraged. Their powerful allies had been defeated, and they were no longer able to hold the field against the enemy. Soon after the death of Memnon there was a great battle, in which the Greeks, headed by Achilles, drove them back to the city walls. Through the Scæan Gate, which lay open, the Trojans rushed in terror and confusion, the Greeks pressing on close behind. Achilles reached the gate, and was about to enter, when Paris aimed at him with an arrow. Guided by Apollo, the weapon struck the hero in the heel, the only part in which he could be fatally wounded.

▷ 제12장. 아킬레스의 죽음 - 트로이의 몰락과 파괴. 멤논의 죽음으로 트로이군은 크게 낙담했습니다. 그들의 강력한 동맹은 패배했고 더 이상 적과 맞서 싸울 수 없었습니다. 멤논이 죽은 직후 아킬레우스가 이끄는 그리스군이 그들을 성벽으로 몰아넣은 큰 전투가 벌어졌습니다. 열려 있는 스캔 게이트(Scæan Gate)를 통해 트로이군은 공포와 혼란으로 돌진했고 그리스인은 그 뒤를 바짝 밀었습니다. 아킬레우스가 성문에 도달하고 들어가려 할 때 파리스가 화살로 그를 겨냥하고, 아폴로의 지시에 따라 무기는 영웅이 치명상을 입을 수 있는 유일한 부분인 발뒤꿈치를 강타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9 호메로스와 가이 손의 방랑자 율리시스의 모험(English Classics909 The Adventures of Ulysses the Wanderer by Homer and Guy Thorne)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가이 손(Guy Thorne)은 영국 출신의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인 시릴 아서 에드워드 레인저 걸(Cyril Arthur Edward Ranger Gull)(1875~1912)의 필명 중 하나로, 그는 평생 백편 이상의 소설을 발표하며 다작작가로 왕성하게 활동하였습니다. 첫 번째 소설은 익명으로 발표한 위선자: 옥스포드와 런던 생활의 소설(The Hypocrite: A Novel of Oxford and London Life)(1898)이며, 대표작은 반유대적인 캐릭터를 내세운 어둠이 찾아올 때(When It Was Dark)(1904)로 50만부 이상 판매되었습니다. 호메로스와 가이 손의 방랑자 율리시스의 The Adventures of Ulysses the Wanderer by Homer and Guy Thorne)은 작가 가이 손이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트로이 전쟁 후 10년간 방황한 오디세우스(Odyssey), 아니 영어식 발음인 율리시스(Ulysses)의 모험기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집필한(retold)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FOREWORD. Seven fair and illustrious cities of the dim, ancient world, Argos, Athenæ, Chios, Colophon, Salamis, Rhodos, Smyrna, fought a war of words over Homer’s birthplace. Each claimed the honour. And if, indeed, such an accident of chance confers an honour upon a town, then the birthplace of the Greatest Poet of all time should be a place of pilgrimage.

▷ 머리말. 어둡고 고대 세계의 7개의 공정하고 저명한 도시인 아르고스, 아테네, 키오스, 콜로폰, 살라미스, 로도스, 스미르나에서 호메로스의 출생지를 놓고 전쟁을 벌였습니다. 각각 영예를 안았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그러한 우연한 사건이 한 도시에 영예를 안겨준다면,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시인의 탄생지는 순례의 장소여야 합니다.

▶ Of the two imperishable monuments Homer has left us, the decision of critical scholarship has placed the Iliad first. It has been said that the Iliad is like the midday, the Odyssey like the setting sun. Both are of equal splendour, though the latter has lost its noonday heat. But I would take that adroit simile and draw another meaning from it.

▷ 호메로스가 우리에게 남긴 두 개의 불멸의 기념물 중에서 중요한 학문적 결정은 일리아드를 최우선으로 했습니다. 일리아드는 한낮과 같고 오디세이는 지는 해와 같다고 합니다. 후자는 정오의 열기를 잃었지만 둘 다 똑같이 훌륭하죠. 그러나 나는 그 교묘한 직유를 취하고 그것에서 다른 의미를 끌어낼 것입니다.

▶ A fine poet, a great player, are to give us an Ulysses who must perforce be not only full of the spirit of his own age of myth, but instinct with the spirit of this. That is as inevitable as it is interesting. The “Gentle Elia” (how one wishes one could find a better name for him?but custom makes cowards of us all) has written his own version of the Odyssey. I cannot emulate that. But I think I can at least be useful. C. RANGER-GULL.

▷ 훌륭한 시인, 위대한 연주가는 우리에게 신화 시대의 정신으로 가득 차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정신으로 본능을 발휘해야 하는 율리시즈를 우리에게 선사할 것입니다. 흥미로운 만큼 피할 수 없는 일입니다. "젠틀 엘리아"(사람이 그를 위해 더 나은 이름을 찾고 싶지만 관습은 우리 모두를 겁쟁이로 만드는 방법)는 자신의 버전의 오디세이를 작성했습니다. 나는 그것을 모방할 수 없다. 그러나 나는 적어도 유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이 손(Cyril Arthur Edward Ranger Gull)(1875~1912).

▶ A BRIEF ACCOUNT OF THE PRINCIPAL CHARACTERS IN THE WANDERINGS OF ULYSSES, ACCORDING TO THE ANCIENT WRITERS AND LEGENDS. Ulysses. The hero of Homer’s great poem was known to the Greeks under the name of Odysseus. He was king of the pastoral islands of Ithaca and Dulichium. Most of the petty Greek chieftains became suitors for the hand of the beautiful Helen, and Ulysses was among the number, but withdrew when he realised the smallness of his chances. He then married Penelope, the daughter of Icarius, and at the same time joined with the other unsuccessful lovers of Helen in a sworn league for her future protection should she ever stand in need of it. He then returned to Ithaca with his bride.

▷ 고대 작가와 전설에 따르면 율리시즈를 방황하는 주요 등장인물에 대한 간략한 설명. 율리시스. 호메로스의 위대한 시의 영웅은 오디세우스라는 이름으로 그리스인들에게 알려졌습니다. 그는 목가적인 이타카 섬과 둘리키움 섬의 왕이었습니다. 대부분의 하찮은 그리스 족장들은 아름다운 헬레네의 손에 구혼자가 되었고, 율리시스도 그 중 하나였지만 기회가 적음을 깨닫고 물러났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이카리우스의 딸인 페넬로페와 결혼했고, 동시에 헬렌이 필요로 할 경우를 대비하여 그녀의 미래 보호를 위해 맹세한 동맹에서 헬렌의 다른 실패한 연인들과 합류했습니다. 그런 다음 그는 신부와 함께 이타카로 돌아갔습니다.

▶ Ulysses was one of the most prominent figures during the Trojan war, his valour, and still more his cunning, making him of supreme importance in the councils of the princes. After the Trojan war Ulysses set sail for home, and at this period of his career the story of the Odyssey begins. He was driven by malevolent winds on to the shores of Africa, where he and his mariners were captured by the one-eyed giant, Polyphemus, who ate five of the band.

▷ 율리시스는 트로이 전쟁 기간 동안 가장 저명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그의 용맹과 교활함을 겸비하여 군주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이 되었습니다. 트로이 전쟁 후 율리시스는 집으로 항해를 떠났고 그의 경력의 이 기간에 오디세이아(Odyssey)의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그는 사악한 바람에 이끌려 아프리카 해안으로 갔고, 그곳에서 그와 그의 선원들은 외눈박이 거인 폴리페모스에게 붙잡혀 떼 다섯 마리를 먹어치웠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1 윌리엄 듀보이스의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 1911(English Classics901 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by W. E. B. Du Bois)(1911)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역사 및 교육 논문(Historical and Educational Papers)을 소개하는 미국 흑인 모노그래프(AMERICAN NEGRO MONOGRAPHS CO.)를 통해 발표한 작품으로 서두에 그의 연혁이 간략하게 실려 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는 당시 전국유색인종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lored People)의 기관지 크라이시스(Crisis)의 편집장으로 논문을 기고하였습니다. 2만2천여자의 짧은 분량이지만, 미국 남부의 플랜테이션이란 특수한 환경에서 흑인들이 사회적으로 변화한 과정과 그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시하였습니다. ‘미국의 흑인들이 스스로 바라본 흑인의 현실’에 대해 알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DR. W. E. BURGHARDT DUBOIS. Dr. W. E. BURGHARDT DUBOIS is a native of Great Barrington, Mass.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in the schools of his native city he entered Fisk University, Tennessee, from which he graduated with the degree of A. B. He subsequently graduated from Harvard and received the degree of Ph. D. He obtained a scholarship and studied two years abroad. Returning to the U. S., he entered upon a distinguished career both as an educator and author. He taught at Wilberforce University, and for more than ten years was Professor of History and Political Economy in Atlanta University. Dr. DuBois is editor of the “Crisis,” the organ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lored People.

▷ 윌리엄 듀보이스 박사는 매사추세츠주 그레이트 배링턴 출신입니다. 그는 고향 도시의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테네시주 피스크 대학에 입학했고, 그곳에서 A.B.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 후 하버드를 졸업하고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장학금을 받고 2년 동안 해외에서 공부했습니다. 미국으로 돌아온 그는 교육자이자 작가로서 뛰어난 경력을 쌓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윌버포스 대학에서 가르쳤고, 10년 이상 애틀랜타 대학의 역사와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듀보이스 박사는 전국유색인종선진화협회의 기관지인 "크라이시스(Crisis)"의 편집자입니다.

▶ I HAVE worded the subject which I am going to treat briefly in this paper; “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and I mean by that, the way in which the more intimate matters of contact of Negroes with themselves and with their neighbors have changed in the evolution of the last half century from slavery to larger freedom. It will be necessary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is evolution to remind you of certain well known conditions in the South during slavery. The unit of the social system of the South was the plantation, and the plantation was peculiar from the fact that it tended to be a monarchy and not an aristocracy.

▷ 나는 이 논문에서 간략하게 다룰 주제를 언급했습니다. "남부 흑인의 사회적 진화(The Social Evolution of the Black South)", 즉 흑인이 그들 자신 및 이웃과의 보다 친밀한 접촉 문제가 지난 반세기 동안 노예 제도에서 더 큰 자유로의 진화 과정에서 변했다는 의미입니다. 노예 기간 동안 남부에서 잘 알려진 특정 조건을 상기시키기 위해 이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요합니다. 남부 사회체제의 단위는 플랜테이션이었는데, 그 플랜테이션은 귀족이 아닌 군주제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독특했습니다.

▶ On the part of the Negro there are avowed also the three types: the wiley and crafty man who tells the North and the Negro of the kindness of the South and advance of the black man; the fighter who complains or shoots or migrates; and the silent sensitive black man who suffers but says nothing. Now of these three types I am free to say that the one of whom I hope most is the white brawler and the black fighter; I mean by that not that lynching is not horrible and fighting terrible but I do mean that these are types of men of a certain rough honesty.

▷ 흑인 쪽에는 세 가지 유형도 있다고 공언합니다: 북쪽과 흑인들에게 남부의 친절과 흑인의 진보를 말하는 교활하고 교활한 남자, 불평하거나 총을 쏘거나 이주하는 싸움꾼, 그리고 고통 받지만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조용한 민감한 흑인 남자. 이 세 가지 유형 중 제가 가장 바라는 것은 백인 싸움꾼과 흑인 싸움꾼이라고 자유롭게 말할 수 있습니다. 제 말은 린치가 끔찍하고 싸우는 것이 끔찍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라 이 사람들이 어느 정도 거친 정직한 유형의 사람들이라는 것입니다.

▶ I do not believe that the systematic deception concerning the situation in the South either on the part of white men or black men will in the long-run help that situation a single particle. I sincerely hope, therefore, that out of the white silent South and from the ranks of the silent and sensitive Negroes will come men who will approach the lyncher and fighter with their barbaric honesty of purpose and will bring to the situation that large knowledge and moral courage which will enable them to say that this is wrong in the South and that is right, and I am fighting for the right; who will stoop, if necessary, but will let no man ever doubt but that they stoop to conquer.

▷ 나는 백인이든 흑인이든 남부의 상황에 대한 체계적인 기만이 장기적으로 그 상황을 한 덩어리로 도울 것이라고 믿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나는 백색의 고요한 남부와 조용하고 민감한 흑인 대열에서 야만적이고 정직한 목적으로 폭행범과 싸움꾼에게 접근하고 많은 지식과 도덕성을 갖춘 상황을 가져올 사람들이 나오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이것이 남부에서는 옳지 않고 그것은 옳고 나는 옳은 것을 위해 싸우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게 해주는 용기; 필요하다면 구부릴 것이지만, 그들이 정복하기 위해 구부리는 것 외에는 누구도 의심하지 않게 할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3 윌리엄 듀보이스의 다크워터: 장막 속의 목소리 1920(English Classics903 Darkwater: Voices from Within the Veil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다크워터: 장막 속의 목소리(Darkwater: Voices from Within the Veil by W. E. B. Du Bois)(1920)는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사회학자이자 노예제 해방론자, 교수로 왕성하게 활동하며 50세의 나이에 발표한 자전적 작품으로 자전적인 이야기를 비롯한 에세이, 시, 영성(spirituals) 등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가가 아틀란틱(The Atlantic), 인디펜던트(The Independent), 크라이시스(The Crisis), 인종발전 저널(Journal of Race Development) 등 다양한 매체에 발표한 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있으며,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에서 이에 대한 감사를 표시하였습니다. 제1장 세월의 그림자(The Shadow Of Year)부터 제10장 혜성(The Comet)까지 총 10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장마다 기독교 사상에 기반을 둔 기도문이나 짤막한 단편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특히 서두에 위치한 크레도(Credo)는 작품과 별개로 당대의 흑인 기독교 신자들에게 널리 애독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redo. I believe in God, who made of one blood all nations that on earth do dwell. I believe that all men, black and brown and white, are brothers, varying through time and opportunity, in form and gift and feature, but differing in no essential particular, and alike in soul and the possibility of infinite development./Especially do I believe in the Negro Race: in the beauty of its genius, the sweetness of its soul, and its strength in that meekness which shall yet inherit this turbulent earth./I believe in Pride of race and lineage and self: in pride of self so deep as to scorn injustice to other selves; in pride of lineage so great as to despise no man's father; in pride of race so chivalrous as neither to offer bastardy to the weak nor beg wedlock of the strong, knowing that men may be brothers in Christ, even though they be not brothers-in-law.

▷ 신조(Credo). 나는 땅에 사는 모든 민족을 한 혈통으로 만드신 하나님을 믿습니다. 나는 모든 인간이 형제이며, 시간과 기회에 따라, 형태와 은사, 특징이 다르지만 본질적인 특징이 다르며 영혼과 무한한 발전 가능성이 비슷하다고 믿습니다./특히 나는 흑인 인종을 믿습니다. 그 천재성의 아름다움, 영혼의 달콤함, 그리고 이 격동의 땅을 아직 상속받을 온유함의 힘을 믿습니다./나는 인종과 혈통과 자아의 자부심을 믿습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불의를 경멸할 만큼 깊이; 어떤 사람의 아버지도 경멸하지 않을 만큼 위대한 혈통에 대한 자부심으로; 인종을 자랑하여 기사도를 행하여 약한 자에게 남의 자식을 주며 강한 자의 혼인을 구하지 아니함은 사람이 동포는 아니어도 그리스도 안에서 형제가 될 줄 앎이라.

▶ I. THE SHADOW OF YEARS. Last year I looked death in the face and found its lineaments not unkind. But it was not my time. Yet in nature some time soon and in the fullness of days I shall die, quietly, I trust, with my face turned South and eastward; and, dreaming or dreamless, I shall, I am sure, enjoy death as I have enjoyed life.

▷ 제1장. 세월의 그림자. 작년에 나는 죽음의 얼굴을 보았고 그 혈통이 불친절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지만 내 때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자연 속에서 머지않은 장래에 나는 조용히 죽을 것이며, 나는 내 얼굴을 남쪽과 동쪽으로 돌린 채 죽을 것이라고 믿습니다. 그리고 꿈을 꾸든 꿈이 없든, 나는 인생을 즐겼던 것처럼 죽음을 즐길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 III. THE HANDS OF ETHIOPIA. Always Africa is giving us something new or some metempsychosis of a world-old thing. On its black bosom arose one of the earliest, if not the earliest, of self-protecting civilizations, which grew so mightily that it still furnishes superlatives to thinking and speaking men. Out of its darker and more remote forest fastnesses came, if we may credit many recent scientists, the first welding of iron, and we know that agriculture and trade flourished there when Europe was a wilderness.

▷ 제3장. 에티오피아의 손. 항상 아프리카는 우리에게 새로운 것을 주고 있습니다. 그 검은 가슴에는 가장 초기는 아니더라도 가장 초기의 자기 보호 문명 중 하나가 생겨났으며, 이 문명은 매우 강력하게 성장하여 여전히 생각하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최상급을 제공합니다. 더 어둡고 외딴 숲에서 견고함이 생겨났고, 우리가 최근의 많은 과학자들을 인정할 수 있다면, 최초의 철 용접이며, 우리는 유럽이 황무지였을 때 그곳에서 농업과 무역이 번성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 IV. OF WORK AND WEALTH. I taught history and economics and something called "sociology" at Atlanta University, where, as our Mr. Webster used to say, we professors occupied settees and not mere chairs. I was fortunate with this teaching in having vivid in the minds of my pupils a concrete social problem of which we all were parts and which we desperately desired to solve. There was little danger, then, of my teaching or of their thinking becoming purely theoretical.

▷ 제4장. 업과 부에 대하여. 저는 애틀랜타 대학교에서 역사와 경제학, 그리고 "사회학"이라는 것을 가르쳤습니다. 웹스터 씨가 말했듯이 우리 교수들은 단순한 의자가 아닌 긴 의자를 사용했습니다. 나는 이 가르침을 통해 우리 모두가 한 부분이고 우리가 간절히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사회 문제를 학생들의 마음에 생생하게 기억할 수 있어서 운이 좋았습니다. 그러므로 나의 가르침이나 그들의 생각이 순전히 이론적인 것이 될 위험은 거의 없었습니다.

▶ VII. THE DAMNATION OF WOMEN. I remember four women of my boyhood: my mother, cousin Inez, Emma, and Ide Fuller. They represented the problem of the widow, the wife, the maiden, and the outcast. They were, in color, brown and light-brown, yellow with brown freckles, and white. They existed not for themselves, but for men; they were named after the men to whom they were related and not after the fashion of their own souls.

▷ 제7장. 여성의 저주. 나는 내 소년 시절의 네 명의 여성을 기억합니다. 어머니, 사촌 이네즈, 엠마, 이데 풀러입니다. 그들은 과부, 아내, 처녀, 추방자의 문제를 나타냈습니다. 그들은 색깔이 갈색과 옅은 갈색, 갈색 주근깨가 있는 노란색, 흰색이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을 위해 존재한 것이 아니라 인간을 위해 존재했습니다. 그들은 그들 자신의 영혼의 양식이 아니라 그들이 관련된 사람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89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뉴욕의 노예제 폐지운동 광신주의 1847(English Classics889 Abolition Fanaticism in New York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뉴욕의 노예제 폐지운동 광신주의(Abolition Fanaticism in New York by Frederick Douglass)(1847)는 1847년 5월 11일 뉴욕 태버내클(Tabernacle)에서 열린 미국 노예제 폐지운동 협회 기념행사(the anniversary of the American Anti-Slavery Society)에서 발간한 팸플릿(A pamphlet)의 일부로, 미국 역사상 가장 유명한 ‘노예 출신의 노예제 폐지론자’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의 연설문 제목입니다. 연설문 원제는 볼티모어 출신 도망노예의 연설, 1847년 5월 11일 뉴욕 노예제 폐지운동 회의(Speech Of A Runaway Slave From Baltimore, At An Abolition Meeting In New York, Held May 11, 1847.)이며, 부제는 도망노예 프레더릭 더글라스가 전한 불타는 노예제 폐지운동 연설, 1847년 5월 11일 뉴욕 태버내클의 미국 노예제 폐지운동 협회 기념일.(Frederick Douglass, At The Anniversary Of The American Anti-Slavery Society, In The Tabernacle, New York, May 11, 1847.)입니다. 불과 2만 5천자 남짓한 짧은 연설문이지만,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를 발표한 후 대중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던 작가의 존재감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레더릭 더글라스는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를 출간한 이후 그에게 분노하는 이들의 추적을 피해 영국으로 도피하였습니다. 21개월간의 영국 생활을 마치고, 다시 미국으로 돌아온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19세기 노예제 폐지운동(Abolitionism)의 중심지인 미국 뉴욕에서 기꺼이 연사로 섰으며, 해외에서 미국(의 노예제)을 비판한 그의 행보를 비난하고, 그의 애국심을 부정한 이들에 대해 담대하게 자신의 의견을 설파하였습니다. ‘노예제로 인하여 남과 북이 갈라져 싸우는 미국’을 벗어남으로써 오히려 노예제 폐지운동(Abolitionism)의 가능성을 확인한 그의 여정에 수많은 대중들이 박수갈채를 보냈으며, 연설문 전문은 뉴욕 트리뷴(New-York Tribune)에 게재되었습니다.

▶ You are aware, doubtless, that my object in going from this country, was to get beyond the reach of the clutch of the man who claimed to own me as his property. I had written a book giving a history of that portion of my life spent in the gall and bitterness and degradation of Slavery, and in which I also identified my oppressors as the perpetrators of some of the most atrocious crimes. This had deeply incensed them against me, and stirred up within them the purpose of revenge, and my whereabouts being known, I believed it necessary for me, if I would preserve my liberty, to leave the shores of America, and take up my abode in some other land, at least until the excitement occasioned by the publication of my Narrative had subsided.

▷ 당신은 의심할 여지없이 이 나라에서 떠나는 나의 목적이 나를 자신의 재산으로 소유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의 손아귀에서 벗어나는 것이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저는 노예제도의 잔인함과 씁쓸함, 타락에서 보낸 제 인생의 그 부분에 대한 역사를 담은 책을 썼고, 그 책에서 제 억압자들이 가장 잔인한 범죄의 가해자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나에 대해 깊이 화나게 했고, 그들 안에서 복수의 목적을 불러일으켰고, 나의 행방이 알려졌습니다, 만약 내가 내 자유를 보존한다면, 적어도 내 서술의 출판으로 인한 흥분이 가라앉을 때까지, 나는 미국의 해안을 떠나 다른 나라에 거주할 필요가 있다고 믿었습니다.

▶ I went to England, Monarchical England, to get rid of Democratic Slavery, and I must confess that, at the very threshold, I was satisfied that I had gone to the right place. Say what you will of England?of the degradation?of the poverty?and there is much of it there?say what you will of the oppression and suffering going on in England at this time, there is Liberty there?there is Freedom there, not only for the white man, but for the black man also.

▷ 나는 민주 노예제(Democratic Slavery)를 없애기 위해 영국, 군주제 영국(Monarchical England)에 갔고, 바로 그 문턱에서 내가 올바른 곳으로 갔다는 것에 만족했다고 고백해야 합니다. 영국에 대해 - 빈곤의 퇴보에 대해 - 그리고 거기에 많은 부분이 있습니다 ― 현재 영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억압과 고통에 대해 당신이 원하는 대로 말하십시오, 거기에 자유가 있습니다 ― 거기에 자유가 있고, 백인뿐만 아니라 흑인에게도.

▶ The instant I stepped upon the shore, and looked into the faces of the crowd around me, I saw in every man a recognition of my manhood, and an absence, a perfect absence, of everything like that disgusting hate with which we are pursued in this country. [Cheers.] I looked around in vain to see in any man's face a token of the slightest aversion to me on account of my complexion. Even the cabmen demeaned themselves to me as they did to other men, and the very dogs and pigs of old England treated me as a man!

▷ 제가 해안으로 올라서서, 제 주변 군중의 얼굴을 보는 순간, 저는 모든 사람들에게 제 남자다움에 대한 인식을 보았고, 우리가 이 나라에서 추구하고 있는 역겨운 증오와 같은 모든 것의 부재와 완벽한 부재를 보았습니다. [건배!] 저는 제 피부색 때문에 남자들의 얼굴에서 저에 대한 아주 작은 혐오의 징표를 보기 위해 주위를 둘러보았지만 허사였습니다. 심지어 마부들도 다른 남자들에게 그랬던 것처럼 나를 비하했고, 고대 영국의 개와 돼지들도 나를 남자로 대했습니다!

▶ I cannot, however, my friends, dwell upon this anti-Prejudice, or rather the many illustrations of the absence of Prejudice against Color in England?but will proceed, at once, to defend the Right and Duty of invoking English aid and English sympathy for the overthrow of American Slavery, for the education of Colored Americans, and to forward in every way, the interests of humanity; inasmuch as the right of appealing to England for aid in overthrowing Slavery in this country, has been called in question, in public meetings and by the press, in this city.

▷ 그러나 내 친구들은 이 반편견이나 오히려 영국에서 유색인종에 대한 편견이 없다는 많은 예시에 대해 이야기할 수 없지만, 영국의 원조와 영국의 동정을 불러일으킬 권리와 의무를 즉시 방어하기 위해 진행할 것입니다. 미국 노예 제도의 타도, 유색 미국인의 교육, 모든 면에서 인류의 이익을 위해; 이 나라에서 노예 제도를 타도하기 위한 도움을 영국에 호소할 수 있는 권리가 이 도시에서 공개회의와 언론에 의해 문제로 제기되어 왔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5 윌리엄 듀보이스의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Ⅰ 1894(English Classics895 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1894)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윌버포스 대학교(Wilberforce University)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집필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박사 학위 논문(Ph.D)입니다. 이 논문은 그에게 ‘하버드대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박사’(the first African-American to earn a Ph.D from Harvard)란 타이틀을 얻게 한 성취이자, 당대의 수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희망을 선사한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소설이나 연설문과 달리 12장과 96개의 절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Appendices)과 인덱스(Index)까지 충실하게 담겨 있습니다. 분량만 무려 73만자에 달하는 논문을 쉽게 펼치기는 쉽지 않겠습니다만, 미국의 역사에서도, 노예제 폐지론자의 시각에서도, 그리고 흑인으로 태어난 작가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중요한 작품이기에 일독을 권합니다. 그나저나 2등은 누구일지 문득 궁금해지네요. 세상은 1등만 기억하니까…….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is monograph was begun during my residence as Rogers Memorial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and is based mainly upon a study of the sources, i.e., national, State, and colonial statutes, Congressional documents, reports of societies, personal narratives, etc. The collection of laws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as, I think, nearly complete; on the other hand, facts and statistics bearing on the economic side of the stud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nd my conclusions are consequently liable to modification from this source.

▷ 서문. 이 모노그래프는 제가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로저스 메모리얼 펠로우(Rogers Memorial Fellow)로 재직하는 동안 시작되었으며, 주로 국가, 주 및 식민지 법령, 의회 문서, 사회 보고서, 개인 서사 등의 출처에 대한 연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법률의 수집은 거의 완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연구의 경제적 측면에 관련된 사실과 통계는 찾기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제 결론은 이 출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 The question of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is so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s as to its rise, the system of American slavery, and the whole colonial policy of the eighteenth century, that it is difficult to isolate it,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superficiality on the one hand, and unscientific narrowness of view on the other. While I could not hope entirely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I nevertheless trust that I have succeeded in rendering this monograph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cientific study of slavery and the American Negro.

▷ 노예무역의 억압에 대한 질문은 그것의 부상, 미국의 노예 제도, 그리고 18세기의 전체 식민지 정책에 대한 질문과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그것을 고립시키는 것은 어렵고, 동시에 피상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과학적인 시야의 편협함을 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저는 그러한 어려움을 완전히 극복하기를 바랄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노그래프를 노예제와 미국 흑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작은 기여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믿습니다.

▶ I desire to express my obligation to Dr. Albert Bushnell Hart, of Harvard University, at whose suggestion I began this work and by whose kind aid and encouragement I have brought it to a close; also I have to thank the trustees of the John F. Slater Fund, whose appointment made it possible to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y the general principles laid down in German universities. W.E. BURGHARDT Du BOIS. Wilberforce University, March, 1896.

▷ 저는 하버드 대학의 앨버트 부슈넬 하트(Dr. Albert Bushnell Hart) 박사님께 제 의무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일을 시작한 것은 누군가의 제안이었고, 누군가의 친절한 원조와 격려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또한 존 F. 슬레이터 신탁(John F. Slater Fund) 관리인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슬레이터 펀드의 임명은 독일 대학에서 정해진 일반 원칙에 따라 이 연구의 결론을 실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 윌버포스 대학, 1896년 3월.

▶ 1. Plan of the Monograph. This monograph proposes to set forth the efforts made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rom early colonial times until the present, to limit and suppress the trade in slaves between Africa and these shores. The study begins with the colonial period, setting forth in brief the attitude of England and, more in detail, the attitude of the planting, farming, and trading groups of colonies toward the slave-trade. It deals next with the first concerted effort against the trade and with the further action of the individual States.

▷ 1. 모노그래프의 계획. 이 모노그래프는 초기 식민지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와 이 해안 사이의 노예무역을 제한하고 억제하기 위해 미국에서 이루어진 노력을 설명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 연구는 식민지 시대부터 시작하여 잉글랜드의 태도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더 자세하게는 노예무역에 대한 식민지의 재배, 농업 및 무역 그룹의 태도를 설명합니다. 다음으로 무역에 반대하는 최초의 공동 노력과 개별 국가의 추가 조치를 다룹니다.

▶ The important work of the Constitutional Convention follows,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the trade in that critical period which preceded the Act of 1807. The attempt to suppress the trade from 1807 to 1830 is next recounted. A chapter then deals with the slave-trade as an international problem. Finally the development of the crises up to the Civil War is studied, together with the steps leading to the final suppression; and a concluding chapter seek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roughout the monograph the institution of slavery and the interstate slave-trade are considered only incidentally.

▷ 1807년 법 이전의 중요한 시기에 무역의 역사와 함께 헌법 협약의 중요한 작업이 뒤따릅니다. 1807년부터 1830년까지 무역을 억제하려는 시도가 다음에 자세히 설명됩니다. 그런 다음 한 장에서는 국제 문제로서의 노예무역을 다룹니다. 마지막으로 남북 전쟁까지의 위기 전개와 최종 진압으로 이어지는 단계를 연구합니다. 마지막 장에서는 조사 결과를 요약하려고 합니다. 논문 전반에 걸쳐 노예 제도와 주간 노예무역은 부수적으로만 고려됩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9 윌리엄 듀보이스의 존 브라운 1909(English Classics899 John Brown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웅적 순교자인가, 미치광이 테러리스트인가?! : 존 브라운(John Brown)(1800~1859)은 현재까지도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노예 제도를 철폐하기 위한 무장 봉기는 정당한가? 육군 대령 출신의 존 브라운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자들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무력으로 응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선(善)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블랙잭 전투(Battle of Black Jack)(1856)와 오사와토미 전투(Battle of Osawatomie)(1856)를 지휘하며, 옹호론자를 사적으로(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거대한 칼로!!) 살해하였고, 무장봉기를 위한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의 조병창을 습격하였습니다. 습격이 실패함에 따라 체포되었고, 유죄를 선고받은 후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죽기 직전에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John Brown, am now quite certain that the crimes of this guilty land can never be purged away but with blood. 나 존 브라운은 이 죄악의 땅의 범죄를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피뿐이라고 확신하노라.

▶ 그의 과격한 행보는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1861~1865)의 발발을 예고하는 중요한 사건이였으며, 이후 그를 영웅적 순교자로 추앙하는 이들과 사적으로 무력을 행사한 테러리스트라는 이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흑인보다 더 흑인의 자유를 지지한 존 브라운의 삶은 이후 노예제 폐지운동의 불씨가 되었고,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를 비롯해 해리엇 터브먼(Harriet Tubman)(1822~1913), 말콤 X(Malcolm X)(1925~1965) 등 또한 그를 추앙하였습니다. 존 브라운의 시체(John Brown's Body)란 노래는 이후 북부 연방군 군가로 널리 불렸으며, 그의 삶을 모티브로 한 제임스 맥브라이드(James McBride)(1957~) 원작의 미국역사드라마(American historical drama miniseries) 더 굿 로드 버드(The Good Lord Bird)(2020)가 2020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는 노예제 해방론자이자 당대 흑인을 대표하는 교수(Professor of Sociology, Atlanta University)로써 존 브라운(John Brown)(1800~1859)에 대한 전기 - 존 브라운(John Brown by W. E. B. Du Bois)(1909)을 출간함으로써 그의 업적과 삶을 오래도록 기리고자 하였습니다. 그의 연대(Chronology)기를 포함한 그의 전기는 조지 W. 제이콥스 & 컴퍼니(George W. Jacobs & Company)가 출간한 미국 위기 전기(American Crisis Biographies) 시리즈의 일부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After the work of Sanborn, Hinton, Connelley, and Redpath, the only excuse for another life of John Brown is an opportunity to lay new emphasis upon the material which they have so carefully collected, and to treat these fact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 view-point adopted in this book is that of the little known but vastly important inner development of the Negro American.

▷ 서문(PREFACE). 샌본(Sanborn), 힌튼(Hinton), 코넬리(Connelley), 레드패스(Redpath)의 작품 이후, 존 브라운의 또 다른 삶에 대한 유일한 변명은 그들이 매우 조심스럽게 수집한 자료에 새로운 중점을 두고, 이러한 사실을 다른 관점에서 다룰 수 있는 기회입니다. 이 책에서 채택된 관점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지만 매우 중요한 흑인 내면의 발전에 관한 것입니다.

▶ John Brown worked not simply for Black Men?he worked with them; and he was a companion of their daily life, knew their faults and virtues, and felt, as few white Americans have felt, the bitter tragedy of their lot. The story of John Brown, then, cannot be complete unless due emphasis is given this phase of his activity. Unfortunately, however, few written records of these friendships and this long continued intimacy exist, so that little new material along these lines can be adduced.

▷ 존 브라운은 단순히 흑인 남성들을 ‘위해’ 일한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 일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그들의 일상의 동반자였고, 그들의 결점과 미덕을 알고 있었고, 소수의 백인 미국인들이 느꼈듯이, 그들의 운명의 쓰라린 비극을 느꼈습니다. 그렇다면 존 브라운의 이야기는 그의 활동의 이 단계가 충분히 강조되지 않는 한 완성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러한 우정에 대한 기록된 기록이 거의 없고 오랫동안 지속된 친밀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선에 따라 새로운 자료가 거의 추가될 수 없습니다.

▶ For the most part one must be content with quoting the authors mentioned (and I have quoted them freely), and other writers like Anderson, Featherstonhaugh, Barry, Hunter, Boteler, Douglass and Hamilton. But even in the absence of special material the great broad truths are clear, and this book is at once a record of and a tribute to the man who of all Americans has perhaps come nearest to touching the real souls of black folk. W. E. Burghardt Du Bois.

▷ 대부분의 경우 언급된 작가들을 인용하는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그리고 저는 자유롭게 인용했습니다). 그리고 앤더슨(Anderson), 페더스턴허우(Featherstonhaugh), 배리(Barry), 헌터(Hunter), 보텔러(Boteler), 더글라스(Douglass), 해밀턴(Hamilton)과 같은 다른 작가들을 인용하는 것에 만족해야 합니다. 하지만 특별한 소재가 없어도 큰 진실은 분명하고, 이 책은 아마도 모든 미국인들 중 흑인들의 진짜 영혼을 만지는 것에 가장 근접한 사람에 대한 기록이자 헌사입니다.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

▶ CHAPTER XIII. THE LEGACY OF JOHN BROWN. “You had better?all you people of the South?prepare yourselves for a settlement of this question. It must come up for settlement sooner than you are prepared for it, and the sooner you commence that preparation, the better for you. You may dispose of me very easily?I am nearly disposed of now; but this question is still to be settled?this Negro question, I mean. The end of that is not yet.”

▷ 제13장. 존 브라운의 유산. "여러분, 남쪽 사람들은 이 문제를 해결할 준비를 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당신이 그것을 준비하기 전에 그것은 빨리 해결되어야 하며, 당신이 그 준비를 빨리 시작할수록 당신에게 더 좋습니다. 당신은 저를 아주 쉽게 처분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제 거의 처분할 뻔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합니다. 이 흑인 문제 말입니다. 그것의 끝은 아직 아닙니다."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