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639 허버트 조지 웰스의 영미 사회 세력(English Classics639 Social Forces in England and America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미 사회 세력(Social Forces in England and America by H. G. Wells)(1914)은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에세이 모음집(essay collection)입니다. 블레리오의 등장(The Coming of Bl?riot)을 시작으로 제국은 살 것인가?(Will the Empire Live?), 노동 불안(The Labour Unrest), 사회적 만명 통치약(Social Panaceas), 이른바 사회과학(The So-called Science of Sociology), 미국 인구(The American Population), 이상적인 시민(The Ideal Citizen) 등 정치, 경제, 해외를 넘나드는 28편의 작품이 실려 있습니다. 각각의 원고는 1만자 안팎으로 그리 부담없이 읽기 좋은 에세이로, 조지 웰스의 팬이라면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COMING OF BL?RIOT(July, 1909). From my garden I look straight upon the Channel, and there are whitecaps upon the water, and the iris and tamarisk are all asway with the south-west wind that was also blowing yesterday. M. Bl?riot has done very well, and Mr. Latham, his rival, had jolly bad luck. That is what it means to us first 2of all. It also, I reflect privately, means that I have underestimated the possible stability of aeroplanes. I did not expect anything of the sort so soon. This is a good five years before my reckoning of the year before last.
블레리오의 등장(1909년 7월). 내 정원에서 나는 해협을 똑바로 바라보고 있고, 물 위에는 흰 모자가 있고, 붓꽃과 타마리스크는 어제도 불었던 남서풍으로 인해 모두 흔들리고 있습니다. M. 블레리엇(M. Bl?riot)은 아주 잘 해냈고, 그의 라이벌인 라탐 씨(Mr. Latham)는 운이 좋지 않았습니다. 그것이 무엇보다도 먼저 우리에게 의미하는 바입니다. 또한 개인적으로 반성하는 것은 내가 비행기의 가능한 안정성을 과소평가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나는 그런 종류의 것을 그렇게 빨리 기대하지 않았다. 이것은 지난해를 계산하기 5년 전입니다.
▶ THE GREAT STATE. For many years now I have taken a part in the discussion of Socialism. During that time Socialism has become a more and more ambiguous term. It has seemed to me desirable to clear up my own ideas of social progress and the public side of my life by restating them, and this I have attempted in this essay. In order to do so it has been convenient to coin two expressions, and to employ them with a certain defined intention. They are firstly: The Normal Social Life, and secondly: The Great State. Throughout this essay these expressions will b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s presently to be given, and the fact that they are so used will be emphasised by the employment of capitals. It will be possible for anyone to argue that what is here defined as the Normal Social Life is not the normal social life, and that the Great State is indeed no state at all. That will be an argument outside the range delimited by these definitions.
그레이트 스테이트. 수년 동안 나는 사회주의에 대한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그 기간 동안 사회주의는 점점 더 모호한 용어가 되었습니다. 사회적 진보에 대한 내 자신의 생각과 내 삶의 공적인 측면을 다시 설명함으로써 정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으며, 나는 이것을 이 에세이에서 시도했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 두 가지 표현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특정한 의도로 사용하는 것이 편리했습니다. 첫 번째는 정상적인 사회생활이고 두 번째는 위대한 국가입니다. 이 에세이 전체에 걸쳐 이러한 표현은 현재 제공되는 정의에 따라 사용되며 그렇게 사용된다는 사실은 자본을 사용하여 강조될 것입니다. 여기에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이라고 정의된 것은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아니며 위대한 국가는 실제로 국가가 전혀 아니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이러한 정의로 구분되는 범위를 벗어난 인수가 됩니다.
▶ IS THERE A PEOPLE? Of all the great personifications that have dominated the mind of man, the greatest, the most marvellous, the most impossible and the most incredible, is surely the People, that impalpable monster to which the world has consecrated its political institutions for the last hundred years. It is doubtful now whether this stupendous superstition has reached its grand climacteric, and there can be little or no dispute that it is destined to play a prominent part in the history of mankind for many years to come. There is a practical as well as a philosophical interest, therefore, in a note or so upon the attributes of this legendary being. I write “legendary,” but thereby I display myself a sceptic. To a very large number of people the People is one of the profoundest realities in life. They believe?what exactly do they believe about the people?
사람이 있습니까? 인간의 마음을 지배한 모든 위대한 의인화 중에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경이롭고, 가장 불가능하고, 가장 믿을 수 없는 것은 분명히 사람들, 즉 지난 백 년 동안 세계가 그 정치 제도를 헌신한 만연한 괴물입니다. 이 엄청난 미신이 장대한 절정에 이르렀는지 여부는 이제 의심스럽고 앞으로 수년 동안 인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운명이라는 데에는 거의 또는 전혀 이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 전설적인 존재의 속성에 대한 메모에는 철학적 관심뿐 아니라 실천적 관심이 있습니다. 나는 "전설적인" 글을 쓰지만 그렇게 함으로써 스스로 회의론자임을 드러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사람들은 인생에서 가장 심오한 현실 중 하나입니다. 그들은 사람들에 대해 정확히 무엇을 믿는가?
▶ THE IDEAL CITIZEN. Our conceptions of what a good citizen should be are all at sixes and sevens. No two people will be found to agree in every particular of such an ideal, and the extreme divergences upon what is necessary, what is permissible, what is unforgivable in him, will span nearly the whole range of human possibility and conduct. As a consequence, we bring up our children in a mist of vague intimations, in a confusion of warring voices, perplexed as to what they must do, uncertain as to what they may do, doomed to lives of compromise and fluctuating and inoperative opinion.
이상적인 시민. 훌륭한 시민이 무엇인지에 대한 우리의 개념은 모두 6과 7입니다. 어떤 두 사람도 그러한 이상에 대해 모든 세부 사항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며,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이 허용 가능한지, 무엇이 용서할 수 없는지에 대한 극단적인 차이는 인간의 가능성과 행동의 거의 모든 범위에 걸쳐 있을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모호한 암시의 안개 속에서, 서로 싸우는 목소리의 혼란 속에서,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당혹스러워하고, 그들이 무엇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 불확실하며, 타협하고 변동하고 작동하지 않는 의견의 삶을 살 운명에 처한 아이들을 양육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12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Ⅱ(English Classics612 The Outline of HistoryⅡ: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류의 모든 이야기(The Whole Story of Man) 또는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가 되는 것(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역사서(history book)입니다. 웰스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당대의 지식인이자 역사가,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써 1919년부터 지구의 기원(The origins of the Earth)부터 웰스가 직접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The Great War)(1914~1918)까지 세계역사를 연대기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격주로 연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 연재한 원고를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란 이름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으며, 영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번역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현재까지 최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당대 영국 고등 교육기관에서 역사 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세계 각지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였고, 1937년까지 자신이 직업 원고를 수정하여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원고의 완성도 못지않게 당대 유럽인의 우생학과 제국주의에 대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와 문명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론(theories of racial and civilizational superiority)을 비판한 대목은 현대의 독자에게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THE RACES OF MANKIND.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in Europe?it may be 10,000 or 12,000 years ago or so?man was differentiating all over the world, and he had already differentiated into a number of varieties, but he has never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species. A “species,” we must remember, in biological language is distinguished from a “variety” by the fact that varieties can interbreed, while species either do not do so or produce offspring which, like mules, are sterile. All mankind can interbreed freely, can learn to understand the same speech, can adapt itself to co-operation.
인류의 종(種). 10,000~12,000년 전쯤으로 추정되는 유럽의 초기 신석기 시대에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분화하고 있었고 이미 많은 변종으로 분화했지만 다른 종으로 분화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생물학적 언어에서 "종"은 품종이 서로 교배할 수 있는 반면 종은 그렇게 하지 않거나 노새처럼 불임의 자손을 낳는다는 사실에 의해 "다양성"과 구별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모든 인류는 자유롭게 교배할 수 있고 같은 말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협력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그가 사망한 이후에는 영국 편집자 레이몬드 포스트게이트(Raymond Postgate)(1896~1971)가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WWII)(1939~1945)을 추가하고, 작가의 아들 G. P. 웰스(G. P. Wells)(1901~1985)가 선사시대에 대한 최신 이론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ANCESTRY OF MAN. THE origin of man is still very obscure. It is commonly asserted that he is “descended” from some man-like ape such as the chimpanzee, the orang-utang, or the gorilla, but that of course is as reasonable as saying that I am “descended” from some Hottentot or Esquimaux as young or younger than myself. Others, alive to this objection, say that man is descended from the common ancestor of the chimpanzee, the orang-utang, and the gorilla. Some “anthropologists” have even indulged in a speculation whether mankind may not have a double or treble origin;
인간의 조상. 인간의 기원은 여전히 ??매우 모호합니다. 그가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와 같은 어떤 인간과 같은 유인원에서 "후손"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주장되지만, 물론 내가 어떤 Hottentot 또는 Esquimaux에서 "후손"이라고 말하는 것만큼 합리적입니다. 나보다 어리거나 어리다. 이 반대에 대해 살아 있는 다른 사람들은 인간이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의 공통 조상의 후손이라고 말합니다. 일부 “인류학자”는 인류가 이중 또는 삼중 기원이 아닐 수도 있다는 추측에 빠져 있기까지 합니다.
▶ NEOLITHIC MAN IN EUROPE. THE Neolithic phase of human affairs began in Europe about 10,000 or 12,000 years ago. But probably men had reached the Neolithic stage elsewhere some thousands of years earlier. Neolithic men came slowly into Europe from the south or south-east as the reindeer and the open steppes gave way to forest and modern European conditions.
유럽의 신석기 시대 남자. 신석기 시대의 인간사는 약 10,000년 또는 12,000년 전에 유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사람들은 수천 년 전에 다른 곳에서 신석기 시대 단계에 도달했을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순록과 탁 트인 대초원이 숲과 현대 유럽의 조건에 자리를 양보하면서 남쪽이나 남동쪽에서 천천히 유럽으로 들어왔습니다.
▶ THE LANGUAGES OF MANKIND. IT is improbable that there was ever such a thing as a common human language. We know nothing of the language of Palæolithic man; we do not even know whether Palæolithic man talked freely. We know that Palæolithic man had a keen sense of form and attitude, because of his drawing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he communicated his ideas very largely by gesture. Probably such words as the earlier men used were mainly cries of alarm or passion or names for concrete things, and in many cases they were probably imitative sounds made by or associated with the things named.
인류의 언어. 인간의 공통 언어와 같은 것이 있었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구석기 시대 사람의 언어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구석기 시대 사람이 자유롭게 이야기했는지조차 모릅니다. 구석기 시대 사람은 그의 그림 때문에 형태와 태도에 대한 예리한 감각을 가졌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생각을 몸짓으로 매우 많이 전달했다고 제안되었습니다. 아마도 초기 사람들이 사용했던 그러한 단어들은 주로 경악의 외침이나 열정의 외침 또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이름이었고, 많은 경우에 그들은 명명된 사물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관련되는 모방 소리였을 ??것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9 허버트 조지 웰스의 전쟁의 미래: 무엇이 올 것인가?(English Classics629 What is Coming? A Forecast of Things after the War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전쟁의 미래: 무엇이 올 것인가?(What is Coming? A Forecast of Things after the War by H. G. Wells)(1916)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제1차 세계대전(the World War)((1914~1918)을 겪으며, 미래의 또 다른 세계대전에 대한 미래적 사상과 개념(the futuristic ideas and concepts)에 대해 집필한 작품입니다. 제1장 미래 예측(Forecasting The Future)을 시작으로 전쟁의 끝(The End Of The War), 유럽의 사회주의(How Far Will Europe Go Toward Socialism?), 새로운 교육(The New Education)을 비롯해 세계 주요 강대국의 전망(The United States, France, Britain, And Russia) 등 총 12장에 걸쳐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개진하였습니다. 특히 각국 정부가 모여 하나의 세계 정부(Common State)를 결성, 세계 평화를 보장하자는 파격적인 주장이 인상적입니다. 그러나 영국 작가로써 독일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비판을 아끼지 않으면서도, 영국의 제국주의가 전 세계에 미친 해악에는 눈감고 있다는 단점은 가리기 어렵습니다. 작가 조지 웰스의 (SF 작가가 아닌) 문명 비평가와 사회주의자로써의 면모를 확인하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 FORECASTING THE FUTURE. Prophecy may vary between being an intellectual amusement and a serious occupation; serious not only in its intentions, but in its consequences. For it is the lot of prophets who frighten or disappoint to be stoned. But for some of us moderns, who have been touched with the spirit of science, prophesying is almost a habit of mind. Science is very largely analysis aimed at forecasting. The test of any scientific law is our verification of its anticipations. The scientific training develops the idea that whatever is going to happen is really here now--if only one could see it. And when one is taken by surprise the tendency is not to say with the untrained man, "Now, who'd ha' thought it?" but "Now, what was it we overlooked?“
제1장. 미래 예측. 예언은 지적인 오락과 진지한 직업 사이에서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의도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 있어서도 심각합니다. 돌에 맞아 죽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실망시키는 것은 많은 선지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학의 정신을 접한 현대인 중 일부에게 예언은 거의 마음의 습관입니다. 과학은 대부분 예측을 목적으로 하는 분석입니다. 과학 법칙의 시험은 그 기대에 대한 우리의 검증입니다. 과학 훈련은 일어날 일이 무엇이든 지금 여기에 있다는 생각을 발전시킵니다. 단 한 사람만 볼 수만 있다면 말입니다. 그리고 놀란 사람은 훈련받지 않은 사람에게 "누가 생각해냈을까?"라고 말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 우리가 간과한 것이 무엇입니까?“
▶ VIII. WHAT THE WAR IS DOING FOR WOMEN. To discuss the effect of this war upon the relations of men and women to each other is to enter upon the analysis of a secular process compared with which even the vast convulsions and destructions of this world catastrophe appear only as jolts and incidents and temporary interruptions. There are certain matters that sustain a perennial development, that are on a scale beyond the dramatic happenings of history; wars, the movements of peoples and races, economic changes, such things may accelerate or stimulate or confuse or delay, but they cannot arrest the endless thinking out, the growth and perfecting of ideas, upon the fundamental relationships of human Beings.
제8장. 전쟁이 여성을 위해 하는 일. 이 전쟁이 남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은 이 세상의 대재앙의 거대한 경련과 파괴조차도 충격과 사건과 일시적인 중단으로만 나타나는 것과 비교하여 세속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역사의 극적인 사건을 초월하는 규모로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하는 특정 문제가 있습니다. 전쟁, 민족과 인종의 이동, 경제의 변화, 이러한 것들이 가속화되거나 자극되거나 혼란되거나 지연될 수 있지만 인간의 근본적인 관계에 대한 끝없는 생각, 아이디어의 성장과 완성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 XII. THE OUTLOOK FOR THE GERMANS. Whatever some of us among the Allies may say, the future of Germany lies with Germany. The utmost ambition of the Allies falls far short of destroying or obliterating Germany; it is to give the Germans so thorough and memorable an experience of war that they will want no more of it for a few generations, and, failing the learning of that lesson, to make sure that they will not be in a position to resume their military aggressions upon mankind with any hope of success. After all, it is not the will of the Allies that has determined even this resolve. It is the declared and manifest will of Germany to become predominant in the world that has created the Alliance against Germany, and forged and tempered our implacable resolution to bring militarist Germany down. And the nature of the coming peace and of the politics that will follow the peace are much more dependent upon German affairs than upon anything else whatever.
제12장. 독일인에 대한 전망. 동맹국 중 우리 중 일부가 뭐라고 말하든 독일의 미래는 독일에 있습니다. 연합국의 최대 야심은 독일을 파괴하거나 말살하는 데 훨씬 미치지 못합니다. 그것은 독일인들이 몇 세대 동안 더 이상 전쟁을 원하지 않을 정도로 철저하고 기억에 남는 전쟁 경험을 제공하고, 그 교훈을 배우지 못한 채 독일인들이 전쟁을 재개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성공의 희망과 함께 인류에 대한 군사적 침략. 결국 이 결의까지 결정한 것은 동맹국의 의지가 아니다. 반독일 동맹을 창설하고 군국주의 독일을 무너뜨리겠다는 우리의 불굴의 결의를 위조하고 단련시킨 것은 세계에서 패권을 쥐고자 하는 독일의 선언적이고 명백한 의지입니다. 그리고 다가오는 평화의 본질과 평화에 뒤따르는 정치의 본질은 무엇보다도 독일 문제에 훨씬 더 많이 의존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4 허버트 조지 웰스의 만들어진 인류(English Classics634 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901년 출간된 예지(Anticipations by H. G. Wells)(1901)의 속편(sequel)입니다. 1902년 9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British Fortnightly Review와 American Cosmopolitan에 발표한 기사문(Review)에 부록(Appendix)을 더하여 1914년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습니다.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는 문자 그대로 “인간이 만들어지는 과정”(man's making), -보통 어린이의 막연한 가능성을 현대 국가 시민의 현실로 만드는 거대한 상황의 복합체"(the great complex of circumstances which mould the vague possibilities of the average child into the reality of the citizen of the modern state.)를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인간의 삶과 생각에 대한 기계적 및 과학적 진보의 예지(Anticipations of the Reaction of Mechanical and Scientific Progress upon Human Life and Thought), 일명 예지(Anticipations by H. G. Wells)(1901)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논픽션(a non-fiction book)입니다. 작가는 불과 34세의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사회의 재편성(a reorganization of human society)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었고, 1901년 첫 출간된 후 적지 않은 찬사와 논란의 중심에 선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 그레이엄 월러스(Graham Wallas)(1858~1932)와의 우정 : 작가는 실제로 파비안 협회(Fabian Society)의 영국인 심리학자 그레이엄 월러스와 스위스 알프스로 여행을 떠났고, 이를 소설에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 인류의 일, 부, 행복(The Work, Wealth and Happiness of Mankind)(1932) 등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당시의 여행을 모티브로 소설 모던 유토피아(A Modern Utopia by H. G. Wells)(1905)를 집필하였습니다.
▶ PREFACE. It may save misunderstanding if a word or so be said here of the aim and scope of this book. It is written in relation to a previous work, Anticipations, [Footnote: Published by Harper Bros.] and together with that and a small pamphlet, “The Discovery of the Future,” [Footnote: Nature, vol. lxv. (1901-2), p. 326, and reprinted in the Smithsonian Report for 1902] presents a general theory of social development and of social and political conduct.
머리말. 여기에서 이 책의 목적과 범위에 대해 한마디 정도만 하면 오해를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전작인 예지(Ancipations)와 관련하여 작성되었으며, 그와 함께 작은 소책자 "미래의 발견(The Discovery of the Future)"은 사회 발전과 사회적, 정치적 행위에 대한 일반 이론을 제시합니다.
▶ It is an attempt to deal with social and political questions in a new way and from a new starting-point, viewing the whole social and political world as aspects of one universal evolving scheme, and placing all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in a defined relation to that; and to this general method and trend it is that the attention of the reader is especially directed. The two books and the pamphlet together are to be regarded as an essay in presentation. It is a work that the writer admits he has undertaken primarily for his own mental comfort.
사회정치적 문제를 새로운 방식과 새로운 출발점에서 다루려는 시도이며, 사회정치적 세계 전체를 하나의 보편적인 진화 계획의 측면으로 보고, 모든 사회정치적 활동을 정의된 관계에 두려는 시도입니다. 저것; 그리고 이 일반적인 방법과 경향에 대해 독자의 관심이 특히 집중됩니다. 두 권의 책과 소책자를 함께 제출하면 에세이로 간주됩니다. 작가 자신이 주로 자신의 정신적 위안을 위해 착수했다고 인정하는 작품입니다.
▶ He is remarkably not qualified to assume an authoritative tone in these matters, and he is acutely aware of the many defects in detailed knowledge, in temper, and in training these papers collectively display. He is aware that at such points, for example, as the reference to authorities in the chapter on the biological problem, and to books in the educational chapter, the lacunar quality of his reading and knowledge is only too evident; to fill in and complete his design?notably in the fourth paper?he has had quite frankly to jerry-build here and there.
그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권위 있는 어조를 취할 자격이 전혀 없으며, 상세한 지식, 기질 및 이러한 논문이 집합적으로 표시하는 훈련에서 많은 결함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를 들어 생물학적 문제에 관한 장에서 권위자를 언급하고 교육장에서 책을 언급할 때 자신의 읽기와 지식의 세세한 질이 너무 분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의 디자인을 채우고 완성하기 위해(특히 네 번째 논문에서) 그는 솔직히 여기저기서 짓밟아야 했습니다.
▶ Nevertheless, he ventures to publish this book. There are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every science when an incautious outsider may think himself almost necessary, when sketchiness ceases to be a sin, when the mere facts of irresponsibility and an untrained interest may permit a freshness, a freedom of mental gesture that would be inconvenient and compromising for the specialist; and such a phase, it is submitted, has been reached in this field of specula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책의 출판을 감행합니다. 모든 과학의 발전에는 부주의한 외부인이 자신이 거의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 뻔뻔함이 더 이상 죄가 되지 않을 때, 무책임한 사실과 훈련되지 않은 관심이 신선함과 정신적 제스처의 자유를 허용할 때 있는 단계가 있습니다. 전문가에게는 불편하고 타협적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단계는 추측의 이 분야에서 도달했다고 제출되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4 허버트 조지 웰스의 만들어진 인류(English Classics634 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901년 출간된 예지(Anticipations by H. G. Wells)(1901)의 속편(sequel)입니다. 1902년 9월부터 이듬해 9월까지 British Fortnightly Review와 American Cosmopolitan에 발표한 기사문(Review)에 부록(Appendix)을 더하여 1914년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습니다.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는 문자 그대로 “인간이 만들어지는 과정”(man's making), -보통 어린이의 막연한 가능성을 현대 국가 시민의 현실로 만드는 거대한 상황의 복합체"(the great complex of circumstances which mould the vague possibilities of the average child into the reality of the citizen of the modern state.)를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인간의 삶과 생각에 대한 기계적 및 과학적 진보의 예지(Anticipations of the Reaction of Mechanical and Scientific Progress upon Human Life and Thought), 일명 예지(Anticipations by H. G. Wells)(1901)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논픽션(a non-fiction book)입니다. 작가는 불과 34세의 젊은 나이에도 불구하고, 인간 사회의 재편성(a reorganization of human society)에 대한 성찰을 담아내었고, 1901년 첫 출간된 후 적지 않은 찬사와 논란의 중심에 선 베스트셀러가 되었습니다.
▶ 그레이엄 월러스(Graham Wallas)(1858~1932)와의 우정 : 작가는 실제로 파비안 협회(Fabian Society)의 영국인 심리학자 그레이엄 월러스와 스위스 알프스로 여행을 떠났고, 이를 소설에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만들어진 인류(Mankind in the Making by H. G. Wells)(1903), 인류의 일, 부, 행복(The Work, Wealth and Happiness of Mankind)(1932) 등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당시의 여행을 모티브로 소설 모던 유토피아(A Modern Utopia by H. G. Wells)(1905)를 집필하였습니다.
▶ PREFACE. It may save misunderstanding if a word or so be said here of the aim and scope of this book. It is written in relation to a previous work, Anticipations, [Footnote: Published by Harper Bros.] and together with that and a small pamphlet, “The Discovery of the Future,” [Footnote: Nature, vol. lxv. (1901-2), p. 326, and reprinted in the Smithsonian Report for 1902] presents a general theory of social development and of social and political conduct.
머리말. 여기에서 이 책의 목적과 범위에 대해 한마디 정도만 하면 오해를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은 전작인 예지(Ancipations)와 관련하여 작성되었으며, 그와 함께 작은 소책자 "미래의 발견(The Discovery of the Future)"은 사회 발전과 사회적, 정치적 행위에 대한 일반 이론을 제시합니다.
▶ It is an attempt to deal with social and political questions in a new way and from a new starting-point, viewing the whole social and political world as aspects of one universal evolving scheme, and placing all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in a defined relation to that; and to this general method and trend it is that the attention of the reader is especially directed. The two books and the pamphlet together are to be regarded as an essay in presentation. It is a work that the writer admits he has undertaken primarily for his own mental comfort.
사회정치적 문제를 새로운 방식과 새로운 출발점에서 다루려는 시도이며, 사회정치적 세계 전체를 하나의 보편적인 진화 계획의 측면으로 보고, 모든 사회정치적 활동을 정의된 관계에 두려는 시도입니다. 저것; 그리고 이 일반적인 방법과 경향에 대해 독자의 관심이 특히 집중됩니다. 두 권의 책과 소책자를 함께 제출하면 에세이로 간주됩니다. 작가 자신이 주로 자신의 정신적 위안을 위해 착수했다고 인정하는 작품입니다.
▶ He is remarkably not qualified to assume an authoritative tone in these matters, and he is acutely aware of the many defects in detailed knowledge, in temper, and in training these papers collectively display. He is aware that at such points, for example, as the reference to authorities in the chapter on the biological problem, and to books in the educational chapter, the lacunar quality of his reading and knowledge is only too evident; to fill in and complete his design?notably in the fourth paper?he has had quite frankly to jerry-build here and there.
그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권위 있는 어조를 취할 자격이 전혀 없으며, 상세한 지식, 기질 및 이러한 논문이 집합적으로 표시하는 훈련에서 많은 결함을 예리하게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를 들어 생물학적 문제에 관한 장에서 권위자를 언급하고 교육장에서 책을 언급할 때 자신의 읽기와 지식의 세세한 질이 너무 분명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의 디자인을 채우고 완성하기 위해(특히 네 번째 논문에서) 그는 솔직히 여기저기서 짓밟아야 했습니다.
▶ Nevertheless, he ventures to publish this book. There are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every science when an incautious outsider may think himself almost necessary, when sketchiness ceases to be a sin, when the mere facts of irresponsibility and an untrained interest may permit a freshness, a freedom of mental gesture that would be inconvenient and compromising for the specialist; and such a phase, it is submitted, has been reached in this field of speculation.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 책의 출판을 감행합니다. 모든 과학의 발전에는 부주의한 외부인이 자신이 거의 필요하다고 생각할 때, 뻔뻔함이 더 이상 죄가 되지 않을 때, 무책임한 사실과 훈련되지 않은 관심이 신선함과 정신적 제스처의 자유를 허용할 때 있는 단계가 있습니다. 전문가에게는 불편하고 타협적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단계는 추측의 이 분야에서 도달했다고 제출되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16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Ⅵ(English Classics616 The Outline of HistoryⅥ: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류의 모든 이야기(The Whole Story of Man) 또는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가 되는 것(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역사서(history book)입니다. 웰스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당대의 지식인이자 역사가,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써 1919년부터 지구의 기원(The origins of the Earth)부터 웰스가 직접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The Great War)(1914~1918)까지 세계역사를 연대기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격주로 연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 연재한 원고를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란 이름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으며, 영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번역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현재까지 최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당대 영국 고등 교육기관에서 역사 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세계 각지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였고, 1937년까지 자신이 직업 원고를 수정하여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원고의 완성도 못지않게 당대 유럽인의 우생학과 제국주의에 대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와 문명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론(theories of racial and civilizational superiority)을 비판한 대목은 현대의 독자에게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THE RACES OF MANKIND.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in Europe?it may be 10,000 or 12,000 years ago or so?man was differentiating all over the world, and he had already differentiated into a number of varieties, but he has never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species. A “species,” we must remember, in biological language is distinguished from a “variety” by the fact that varieties can interbreed, while species either do not do so or produce offspring which, like mules, are sterile. All mankind can interbreed freely, can learn to understand the same speech, can adapt itself to co-operation.
인류의 종(種). 10,000~12,000년 전쯤으로 추정되는 유럽의 초기 신석기 시대에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분화하고 있었고 이미 많은 변종으로 분화했지만 다른 종으로 분화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생물학적 언어에서 "종"은 품종이 서로 교배할 수 있는 반면 종은 그렇게 하지 않거나 노새처럼 불임의 자손을 낳는다는 사실에 의해 "다양성"과 구별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모든 인류는 자유롭게 교배할 수 있고 같은 말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협력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그가 사망한 이후에는 영국 편집자 레이몬드 포스트게이트(Raymond Postgate)(1896~1971)가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WWII)(1939~1945)을 추가하고, 작가의 아들 G. P. 웰스(G. P. Wells)(1901~1985)가 선사시대에 대한 최신 이론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BEGINNINGS, THE RISE, AND THE DIVISIONS OF CHRISTIANITY. BEFORE we can understand the qualities of Christianity, which must now play a large part in our history, and which opened men’s eyes to fresh aspects of the possibility of a unified world, we must go back some centuries and tell of the condition of affairs in Palestine and Syria, in which countries Christianity arose. We have already told in Chapter XXI the main facts about the origin of the Jewish nation and tradition, about the Diaspora, about the fundamentally scattered nature of Jewry even from the beginning, and the gradual development of the idea of one just God ruling the earth and bound by a special promise to preserve and bring to honour the Jewish people. The Jewish idea was and is a curious combination of theological breadth and an intense racial patriotism. The Jews looked for a special saviour, a Messiah, who was to redeem mankind by the agreeable process of restoring the fabulous glories of David and Solomon, and bringing the whole world at last under the benevolent but firm Jewish heel.
기독교의 시작, 부상, 분열. 이제 우리 역사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해야 하고 통일 세계의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측면에 대해 사람들의 눈을 열어준 기독교의 특성을 이해하기 전에, 우리는 몇 세기 전으로 돌아가 그 시대의 상황을 이야기해야 합니다. 팔레스타인과 시리아, 기독교가 발생한 국가. 우리는 이미 21장에서 유대 민족과 전통의 기원, 디아스포라, 태초부터 유대인의 근본적으로 흩어져 있는 본성, 그리고 한 분 하나님이 땅을 통치하신다는 사상의 점진적인 발전에 대한 주요 사실을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유대 민족을 보존하고 영예롭게 하겠다는 특별한 약속으로 묶여 있습니다. 유대교 사상은 신학적 폭과 강렬한 인종적 애국심의 기묘한 조합이었고 지금도 그렇습니다. 유대인들은 다윗과 솔로몬의 놀라운 영광을 원만하게 회복하고 마침내 온 세상을 자비로우나 확고한 유대인의 발 아래 두는 즐거운 과정을 통해 인류를 구속할 특별한 구세주 메시아를 찾았습니다.
▶ SEVEN CENTURIES IN ASIA (CIRCA 50 B.C. TO A.D. 650). IN the preceding two chapters we have concentrated our attention chiefly on the collapse in the comparatively short space of four centuries of the political and social order of the western part of the great Roman Empire of Cæsar and Trajan. We have dwelt upon the completeness of that collapse. To any intelligent and public-spirited mind living in the time and under the circumstances of St. Benedict or Cassiodorus, it must have seemed, indeed, as if the light of civilization was waning and near extinction. But with the longer views a study of universal history gives us, we can view those centuries of shadow as a phase, and probably a necessary phase, in the onward march of social and political ideas and understandings. And if, during that time, a dark sense of calamity rested upon Western Europe, we must remember that over large portions of the world there was no retrogression.
아시아의 7세기(기원전 50년~서기 650년). 앞의 두 장에서 우리는 주로 카이사르와 트라야누스의 위대한 로마 제국 서부의 정치적, 사회적 질서가 비교적 짧은 4세기 동안 무너지는 데 집중했습니다. 우리는 그 붕괴의 완전성에 대해 숙고했습니다. 성 베네딕트(St. Benedict)나 카시오도루스(Cassiodorus)의 시대와 상황에 살고 있는 지적이고 대중적인 정신이 있는 사람이라면 문명의 빛이 약해지고 거의 소멸되는 것처럼 보였을 것입니다. 그러나 보편 역사에 대한 연구가 우리에게 주는 더 긴 관점을 통해 우리는 수세기 동안의 그림자를 사회적, 정치적 아이디어와 이해의 전진 행진에서 한 단계, 아마도 필요한 단계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간 동안 서유럽에 어두운 재앙이 닥쳤다면 우리는 세계의 많은 부분에서 역행이 없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17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Ⅶ(English Classics617 The Outline of HistoryⅦ: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류의 모든 이야기(The Whole Story of Man) 또는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가 되는 것(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역사서(history book)입니다. 웰스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당대의 지식인이자 역사가,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써 1919년부터 지구의 기원(The origins of the Earth)부터 웰스가 직접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The Great War)(1914~1918)까지 세계역사를 연대기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격주로 연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 연재한 원고를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란 이름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으며, 영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번역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현재까지 최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당대 영국 고등 교육기관에서 역사 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세계 각지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였고, 1937년까지 자신이 직업 원고를 수정하여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원고의 완성도 못지않게 당대 유럽인의 우생학과 제국주의에 대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와 문명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론(theories of racial and civilizational superiority)을 비판한 대목은 현대의 독자에게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THE RACES OF MANKIND.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in Europe?it may be 10,000 or 12,000 years ago or so?man was differentiating all over the world, and he had already differentiated into a number of varieties, but he has never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species. A “species,” we must remember, in biological language is distinguished from a “variety” by the fact that varieties can interbreed, while species either do not do so or produce offspring which, like mules, are sterile. All mankind can interbreed freely, can learn to understand the same speech, can adapt itself to co-operation.
인류의 종(種). 10,000~12,000년 전쯤으로 추정되는 유럽의 초기 신석기 시대에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분화하고 있었고 이미 많은 변종으로 분화했지만 다른 종으로 분화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생물학적 언어에서 "종"은 품종이 서로 교배할 수 있는 반면 종은 그렇게 하지 않거나 노새처럼 불임의 자손을 낳는다는 사실에 의해 "다양성"과 구별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모든 인류는 자유롭게 교배할 수 있고 같은 말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협력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그가 사망한 이후에는 영국 편집자 레이몬드 포스트게이트(Raymond Postgate)(1896~1971)가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WWII)(1939~1945)을 추가하고, 작가의 아들 G. P. 웰스(G. P. Wells)(1901~1985)가 선사시대에 대한 최신 이론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WE have to tell now of the last and greatest of all the raids of nomadism upon the civilizations of the East and West. We have traced in this history the development side by side of these two ways of living, and we have pointed out that as the civilizations grew more extensive and better organized, the arms, the mobility, and the intelligence of the nomads also improved. The nomad was not simply an uncivilized man, he was a man specialized and specializing along his own line. From the very beginning of history the nomad and the settled people have been in reaction.
유목민주의가 동서양의 문명을 침략한 마지막, 가장 위대한 사건을 지금 이야기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 역사에서 이 두 가지 삶의 방식을 나란히 추적해 왔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문명이 더 광범위하고 더 잘 조직화됨에 따라, 유목민들의 무장, 이동성, 지능도 향상되었다고 지적했습니다. 유목민들은 단순히 미개한 사람이 아니라 자신의 계통을 따라 전문화되고 전문화된 사람이었습니다. 역사의 시작부터 유목민들과 정착민들은 반응해 왔습니다.
▶ JUDGED by the map, the three centur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thirteenth to the end of the fifteenth century were an age of recession for Christendom. These centuries were the Age of the Mongolian peoples. Nomadism from Central Asia dominated the known world. At the crest of this period there were rulers of Mongol or the kindred Turkish race and nomadic tradition in China, India, Persia, Egypt, North Africa, the Balkan Peninsula, Hungary, and Russia. The Ottoman Turk had even taken to the sea, and fought the Venetian upon his own Mediterranean waters.
지도에서 판단하건대, 13세기 초부터 15세기 말까지 3세기는 기독교의 불황의 시대였습니다. 이 세기는 몽골 민족의 시대였습니다. 중앙아시아에서 온 유목민주의는 알려진 세계를 지배했습니다. 이 시기의 최고봉에는 몽골의 통치자나 중국, 인도, 페르시아, 이집트, 북아프리카, 발칸 반도, 헝가리, 그리고 러시아에 유목민 전통과 같은 터키 종족의 통치자들이 있었습니다. 오스만 투르크는 심지어 바다로 갔고, 자신의 지중해 수역에서 베네치아인들과 싸웠습니다.
▶ We have given as much attention as we have done to the writings of Machiavelli and to the personality of Charles V because they throw a flood of light upon the antagonisms of the next period in our history. This present chapter has told the story of a vast expansion of human horizons and of a great increase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we have seen the conscience of common men awakening and intimations of a new and profounder social justice spreading throughout the general body of the Western civilization. But this process of light and thought was leaving courts and the political life of the world untouched. There is little in Machiavelli that might not have been written by some clever secretary in the court of Chosroes I or Shi-Hwang-ti?or even of Sargon I or Pepi.
우리는 마키아벨리의 글과 찰스 5세의 성격에 대해 우리가 했던 것만큼 많은 관심을 기울여 왔습니다. 왜냐하면 그것들은 우리 역사에서 다음 시기의 적대감에 빛을 던지기 때문입니다. 이 현재 장은 인간의 지평의 광대한 확장과 지식의 엄청난 증가와 분배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주었습니다; 우리는 평범한 사람들의 양심이 깨어나는 것과 새롭고 심오한 사회 정의의 암시를 서구 문명의 전반으로 퍼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빛과 생각의 과정은 법원과 세계의 정치적 삶을 건드리지 않고 내버려두고 있었습니다. 마키아벨리에는 초로스 1세나 시황티, 심지어 사르곤 1세나 페피의 궁정에서 영리한 비서가 쓰지 않았을지도 모르는 것이 거의 없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48 허버트 조지 웰스의 도난당한 간균(桿菌)(English Classics648 The Stolen Bacillus and Other Incidents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도난당한 간균(桿菌)(The Stolen Bacillus and Other Incidents by H. G. Wells)(1895)은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893년부터 1895년 사이에 발표한 단편집(shorts stories collection)으로 대표작 도난당한 간균(桿菌)(The Stolen Bacillus)을 포함한 15편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작가는 평생 수많은 단편집을 집필 및 출간하였으나, 그의 첫 번째 단편집이란 점에서 조지 웰스의 초기 작풍을 만날 수 있는 작품으로 꼽힙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바이오테러리즘(Bioterrorism)에 대한 최초의 소설! : 도난당한 간균(桿菌)(The Stolen Bacillus)은 무정부주의자(The anarchist) ‘창백한 얼굴의 남자(pale-faced man)가 세균학자의 연구실(the bacteriologist)에서 아시아 콜레라(the Asiatic Cholera)가 든 시험관을 훔치는데 성공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택시 기사에게 웃돈을 얹어주며, 황급히 도피하는 무정부주의자는 시험관으로 대체 어디서 무슨 일을 벌이려는 것일까요? 과연 세균학자는 무사히 시험관을 되찾을 수 있을까요?
▶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한 실화(實話)! : 작중 등장하는 아시아 콜레라(the Asiatic Cholera)는 1817년 인도 캘커타에서 발원하여 동남아시아를 비롯해 동북아, 유럽, 미주 등으로 번진 실제 전염병 범유행(cholera pandemic)을 의미합니다. 또한 런던 왕립 천문대 인근에서 1894년 프랑스 무정부주의자 마티알 부르댕(Martial Bourdin)의 (실패한) 폭탄 테러가 있었는데, 작가 조지 웰스는 두 가지 사건을 교묘히 엮어 이듬해 도난당한 간균(桿菌)(The Stolen Bacillus)을 발표하였습니다.
▶ THE STOLEN BACILLUS. “It's a deadly thing to have in your possession,” he said, devouring the little tube with his eyes. The Bacteriologist watched the morbid pleasure in his visitor's expression. This man, who had visited him that afternoon with a note of introduction from an old friend, interested him from the very contrast of their dispositions. The lank black hair and deep grey eyes, the haggard expression and nervous manner, the fitful yet keen interest of his visitor were a novel change from the phlegmatic deliberations of the ordinary scientific worker with whom the Bacteriologist chiefly associated. It was perhaps natural, with a hearer evidently so impressionable to the lethal nature of his topic, to take the most effective aspect of the matter.
도난당한 간균. "그것은 당신이 소유하고 있는 치명적인 것입니다." 그가 작은 튜브를 눈으로 삼키며 말했다. 세균학자는 방문자의 표정에서 병적인 기쁨을 보았습니다. 그날 오후 오랜 친구의 소개로 그를 찾아간 이 남자는 그들의 성향이 매우 대조적이어서 그에게 관심을 보였습니다. 가느다란 검은 머리와 짙은 회색 눈, 초라한 표정과 신경질적인 태도, 방문자의 변덕스럽지만 예리한 관심은 세균학자가 주로 연관되어 있는 평범한 과학자의 점액질적인 숙고에서 새로운 변화였습니다. 청중이 그의 주제의 치명적인 성격에 너무나 감명을 받은 것이 분명하므로 그 문제의 가장 효과적인 측면을 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습니다.
▶ Minnie, hearing the door slam violently, ran in alarm to the window. Down the street a slender man was getting into a cab. The Bacteriologist, hatless, and in his carpet slippers, was running and gesticulating wildly towards this group. One slipper came off, but he did not wait for it. “He has gone mad!” said Minnie; “it's that horrid science of his”; and, opening the window, would have called after him. The slender man, suddenly glancing round, seemed struck with the same idea of mental disorder. He pointed hastily to the Bacteriologist, said something to the cabman, the apron of the cab slammed, the whip swished, the horse's feet clattered, and in a moment cab, and Bacteriologist hotly in pursuit, had receded up the vista of the roadway and disappeared round the corner.
문이 심하게 쾅쾅 닫히는 소리를 들은 미니는 깜짝 놀라 창문으로 달려갔습니다. 길 아래에서 날씬한 남자가 택시에 타고 있었습니다. 모자를 쓰고 양탄자 슬리퍼를 신고 있는 세균학자가 이 그룹을 향해 미친 듯이 뛰고 몸짓을 하고 있었습니다. 슬리퍼 한 개가 떨어졌지만 그는 그것을 기다리지 않았습니다. "미친 놈!" 미니가 말했습니다. "그것은 그의 끔찍한 과학입니다"; 그리고 창문을 열면 그를 불렀을 것입니다. 날씬한 남자는 갑자기 주위를 둘러보고 정신 장애에 대해 같은 생각을 한 것 같았습니다. 그는 서둘러 세균학자를 가리키며 택시 기사에게 뭐라고 말했습니다. 택시 앞치마가 쾅 닫히고 채찍이 휘날리며 말의 발이 덜덜 떨렸습니다. 그리고 잠시 후 택시와 맹렬히 추격하던 세균학자는 도로 전망을 뒤로하고 물러났습니다. 모퉁이를 돌면서 사라졌습니다.
▶ “You see, that man came to my house to see me, and he is an Anarchist. No?don’t faint, or I cannot possibly tell you the rest. And I wanted to astonish him, not knowing he was an Anarchist, and took up a cultivation of that new species of Bacterium I was telling you of, that infest, and I think cause, the blue patches upon various monkeys; and like a fool, I said it was Asiatic cholera. And he ran away with it to poison the water of London, and he certainly might have made things look blue for this civilised city. And now he has swallowed it. Of course, I cannot say what will happen, but you know it turned that kitten blue, and the three puppies?in patches, and the sparrow?bright blue. But the bother is, I shall have all the trouble and expense of preparing some more.
“그 사람은 나를 만나러 우리 집에 왔고 그는 아나키스트입니다. 아니요. 기절하지 마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나머지는 말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가 아나키스트인 줄도 모르고 그를 놀라게 하고 싶었고, 내가 당신에게 말한 새로운 종의 박테리아를 재배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바보처럼 나는 그것이 아시아 콜레라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그는 런던의 물을 독살시키기 위해 그것으로 도망쳤고, 그는 확실히 이 문명화된 도시를 파랗게 보이게 만들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지금 그는 그것을 삼켰습니다. 물론 무슨 일이 일어날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그것이 그 새끼 고양이를 파랗게 하고 세 마리의 강아지(패치와 참새)가 밝은 파랗게 변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귀찮은 것은 내가 더 많은 것을 준비하는 모든 수고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7 허버트 조지 웰스의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English Classics627 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1914)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909년부터 1914년 사이에 발표한 수필 모음집(essay collection)으로 데일리 메일(Daily Mail)과 같은 정기 간행물을 통해 출간하였습니다. 조지 웰스는 작가의 초중반기에는 소설을 주로 발표하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1914~1918)이 발발하기 수년 전부터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저널리즘에 좀 더 많은 시간을 쏟았는데,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1914)는 그 분기점이 되는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MY FIRST FLIGHT(EASTBOURNE, August 5, 1912?three years later.) Hitherto my only flights have been flights of imagination but this morning I flew. I spent about ten or fifteen minutes in the air; we went out to sea, soared up, came back over the land, circled higher, planed steeply down to the water, and I landed with the conviction that I had had only the foretaste of a great store of hitherto unsuspected pleasures. At the first chance I will go up again, and I will go higher and further.
나의 첫 비행(이스트본, 1912년 8월 5일 - 3년 후) 지금까지 내 유일한 비행은 상상의 비행이었지만 오늘 아침에는 비행했습니다. 나는 약 10분에서 15분 정도를 공중에서 보냈습니다. 우리는 바다로 나갔다가 하늘을 날고 육지 위로 돌아왔고 더 높은 곳을 원을 그리며 물을 향해 가파르게 내려갔습니다. 그리고 나는 지금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엄청난 즐거움을 미리 맛본 것뿐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착륙했습니다. 첫 번째 기회에 나는 다시 올라가고 더 높이 더 높이 올라갈 것입니다.
▶ THE PHILOSOPHER's PUBLIC LIBRARY. Suppose a philosopher had a great deal of money to spend?though this is not in accordance with experience, it is not inherently impossible?and suppose he thought, as any philosopher does think, that the British public ought to read much more and better books than they do, and that founding public libraries was the way to induce them to do so, what sort of public libraries would he found? That, I submit, is a suitable topic for a disinterested speculator.
철학자의 공공 도서관. 어떤 철학자가 지출할 돈이 많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것은 경험에 따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그는 어떤 철학자가 생각하는 것처럼 영국 대중이 훨씬 더 많은, 더 나은 책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들이 하는 것보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이 그들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었다면, 그는 어떤 종류의 공공도서관을 찾았을까요? 나는 그것이 무관심한 투기꾼에게 적합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 THE POSSIBLE COLLAPSE OF CIVILISATION(New Year, 1909.) The Editor of the New York World has asked me to guess the general trend of events in the next thirty years or so with especial reference to the outlook for the State and City of New York. I like and rarely refuse such cheerful invitations to prophesy. I have already made a sort of forecast (in my "Anticipations") of what may happen if the social and economic process goes on fairly smoothly for all that time, and shown a New York relieved from its present congestion by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and growing and spreading in wide and splendid suburbs towards Boston and Philadelphia.
문명의 붕괴 가능성(New Year, 1909.) 뉴욕 월드(The New York World)의 편집자는 나에게 앞으로 30년 정도의 사건의 일반적인 경향을 예상하도록 요청했으며, 특히 뉴욕 주와 시의 전망을 언급했습니다. 나는 그러한 유쾌한 예언의 초대를 좋아하고 거의 거절하지 않습니다. 나는 이미 (내 "예상"에서) 사회 경제적 과정이 그 기간 동안 상당히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했고, 수단의 개발로 현재의 혼잡에서 벗어나는 뉴욕을 보여주었습니다. 보스턴과 필라델피아를 향해 넓고 화려한 교외에서 성장하고 퍼집니다.
▶ THE HUMAN ADVENTURE. Alone among all the living things this globe has borne, man reckons with destiny. All other living things obey the forces that created them; and when the mood of the power changes, submit themselves passively to extinction Man only looks upon those forces in the face, anticipates the exhaustion of Nature's kindliness, seeks weapons to defend himself. Last of the children of Saturn, he escapes their general doom. He dispossesses his begetter of all possibility of replacement, and grasps the sceptre of the world. Before man the great and prevalent creatures followed one another processionally to extinction;
인간의 모험. 이 지구가 낳은 모든 생물들 중 홀로 인간은 운명을 생각합니다. 다른 모든 생물은 자신을 만든 힘에 복종합니다. 그리고 권력의 분위기가 바뀌면 수동적으로 소멸에 굴복합니다. 인간은 면전에서 그 세력만을 바라보고, 자연의 친절이 고갈될 것을 예상하고, 자신을 방어할 무기를 찾습니다. 토성의 마지막 아이들인 그는 그들의 일반적인 운명에서 탈출합니다. 그는 그의 낳는 자를 대체할 모든 가능성을 박탈하고 세상의 홀을 움켜쥡니다. 사람이 오기 전에 위대하고 널리 퍼진 피조물들은 멸종에 이르기까지 행렬을 따라 서로를 따랐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12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Ⅱ(English Classics612 The Outline of HistoryⅡ: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류의 모든 이야기(The Whole Story of Man) 또는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가 되는 것(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역사서(history book)입니다. 웰스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당대의 지식인이자 역사가,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써 1919년부터 지구의 기원(The origins of the Earth)부터 웰스가 직접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The Great War)(1914~1918)까지 세계역사를 연대기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격주로 연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 연재한 원고를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란 이름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으며, 영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번역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현재까지 최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당대 영국 고등 교육기관에서 역사 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세계 각지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였고, 1937년까지 자신이 직업 원고를 수정하여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원고의 완성도 못지않게 당대 유럽인의 우생학과 제국주의에 대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와 문명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론(theories of racial and civilizational superiority)을 비판한 대목은 현대의 독자에게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THE RACES OF MANKIND.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in Europe?it may be 10,000 or 12,000 years ago or so?man was differentiating all over the world, and he had already differentiated into a number of varieties, but he has never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species. A “species,” we must remember, in biological language is distinguished from a “variety” by the fact that varieties can interbreed, while species either do not do so or produce offspring which, like mules, are sterile. All mankind can interbreed freely, can learn to understand the same speech, can adapt itself to co-operation.
인류의 종(種). 10,000~12,000년 전쯤으로 추정되는 유럽의 초기 신석기 시대에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분화하고 있었고 이미 많은 변종으로 분화했지만 다른 종으로 분화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생물학적 언어에서 "종"은 품종이 서로 교배할 수 있는 반면 종은 그렇게 하지 않거나 노새처럼 불임의 자손을 낳는다는 사실에 의해 "다양성"과 구별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모든 인류는 자유롭게 교배할 수 있고 같은 말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협력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그가 사망한 이후에는 영국 편집자 레이몬드 포스트게이트(Raymond Postgate)(1896~1971)가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WWII)(1939~1945)을 추가하고, 작가의 아들 G. P. 웰스(G. P. Wells)(1901~1985)가 선사시대에 대한 최신 이론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ANCESTRY OF MAN. THE origin of man is still very obscure. It is commonly asserted that he is “descended” from some man-like ape such as the chimpanzee, the orang-utang, or the gorilla, but that of course is as reasonable as saying that I am “descended” from some Hottentot or Esquimaux as young or younger than myself. Others, alive to this objection, say that man is descended from the common ancestor of the chimpanzee, the orang-utang, and the gorilla. Some “anthropologists” have even indulged in a speculation whether mankind may not have a double or treble origin;
인간의 조상. 인간의 기원은 여전히 ??매우 모호합니다. 그가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와 같은 어떤 인간과 같은 유인원에서 "후손"되었다고 일반적으로 주장되지만, 물론 내가 어떤 Hottentot 또는 Esquimaux에서 "후손"이라고 말하는 것만큼 합리적입니다. 나보다 어리거나 어리다. 이 반대에 대해 살아 있는 다른 사람들은 인간이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의 공통 조상의 후손이라고 말합니다. 일부 “인류학자”는 인류가 이중 또는 삼중 기원이 아닐 수도 있다는 추측에 빠져 있기까지 합니다.
▶ NEOLITHIC MAN IN EUROPE. THE Neolithic phase of human affairs began in Europe about 10,000 or 12,000 years ago. But probably men had reached the Neolithic stage elsewhere some thousands of years earlier. Neolithic men came slowly into Europe from the south or south-east as the reindeer and the open steppes gave way to forest and modern European conditions.
유럽의 신석기 시대 남자. 신석기 시대의 인간사는 약 10,000년 또는 12,000년 전에 유럽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러나 아마도 사람들은 수천 년 전에 다른 곳에서 신석기 시대 단계에 도달했을 것입니다.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순록과 탁 트인 대초원이 숲과 현대 유럽의 조건에 자리를 양보하면서 남쪽이나 남동쪽에서 천천히 유럽으로 들어왔습니다.
▶ THE LANGUAGES OF MANKIND. IT is improbable that there was ever such a thing as a common human language. We know nothing of the language of Palæolithic man; we do not even know whether Palæolithic man talked freely. We know that Palæolithic man had a keen sense of form and attitude, because of his drawings; and it has been suggested that he communicated his ideas very largely by gesture. Probably such words as the earlier men used were mainly cries of alarm or passion or names for concrete things, and in many cases they were probably imitative sounds made by or associated with the things named.
인류의 언어. 인간의 공통 언어와 같은 것이 있었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우리는 구석기 시대 사람의 언어에 대해 아무것도 모릅니다. 구석기 시대 사람이 자유롭게 이야기했는지조차 모릅니다. 구석기 시대 사람은 그의 그림 때문에 형태와 태도에 대한 예리한 감각을 가졌다는 것을 압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생각을 몸짓으로 매우 많이 전달했다고 제안되었습니다. 아마도 초기 사람들이 사용했던 그러한 단어들은 주로 경악의 외침이나 열정의 외침 또는 구체적인 사물에 대한 이름이었고, 많은 경우에 그들은 명명된 사물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관련되는 모방 소리였을 ??것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