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636 허버트 조지 웰스의 세계 평화에 대한 예지: 4년차(English Classics636 In the Fourth Year: Anticipations of a World Peace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세계 평화에 대한 예지: 4년차(In the Fourth Year: Anticipations of a World Peace by H. G. Wells)(1918)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에세이 모음집(essays)입니다.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1914~1918) 이후 전후 정치(post-war politics)에 대한 제안과 항구적인 평화를 위한 국제 연맹(League of Nations) 혹은 자유 국가 연맹(League of Free Nations)의 설립에 대한 아이디어가 담겨 있습니다. 작가가 말하는 국제 연맹은 모든 국제 분쟁에 대해 판결할 수 있는 권한(We must begin by delegating powers), 전 세계 모든 국가의 군사, 해군 및 항공 장비를 정의하고 제한할 수 있는 권한(The preservation of the world-peace rests with the great powers and with the great powers alone.)을 가진 조직을 의미합니다. 또한 영국의 대의민주주의(delegate democracy)는 실패하였으며, 정당 정치를 극복하고 유능한 개인을 선택하기 위한 비례 대표제(Proportional Representation)를 촉구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 those days, moreover, we said this is the “war to end war,” and we still did not know clearly how. We thought in terms of treaties and alliances. It is largely the detachment and practical genius of the great English-speaking nation across the Atlantic that has carried the world on beyond and replaced that phrase by the phrase, “The League of Nations,” a phrase suggesting plainly the organization of a sufficient instrument by which war may be ended for ever. In 1913 talk of a World League of Nations would have seemed, to the extremest pitch, “Utopian.”

더욱이 당시에는 이것이 '종전 전쟁'이라고 말했지만, 아직까지도 어떻게 되는지 명확하게 알지 못했습니다. 우리는 조약과 동맹의 관점에서 생각했습니다. 대서양을 가로질러 대서양을 건너는 위대한 영어권 국가의 초연함과 실용적인 천재성이 세계를 넘어 세계를 확장하고 그 문구를 충분한 도구의 조직을 명백하게 암시하는 문구인 "국제 연맹"이라는 문구로 대체했습니다. 이로써 전쟁은 영원히 끝날 수 있습니다. 1913년에 세계 국제 연맹(World League of Nations)에 대한 이야기는 가장 극단적으로 말하면 "유토피아적"으로 보였을 것입니다.

▶ No one can vie with me in my appreciation of the civilization of Switzerland, Sweden, or Holland, but the plain fact of the case is that such powers are absolutely incapable of uttering an effective protest against war. Far less so are your Haytis and Liberias. The preservation of the world-peace rests with the great powers and with the great powers alone. If they have the will for peace, it is peace. If they have not, it is conflict. The four powers I have named can now, if they see fit, dictate the peace of the world for ever.

스위스, 스웨덴, 네덜란드의 문명에 대한 나의 평가에서 나와 경쟁할 사람은 없지만 분명한 사실은 그러한 열강이 전쟁에 대해 효과적인 항의를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헤이티스(Haytis)와 라이베리아스(Liberias)는 훨씬 적습니다. 세계 평화의 보존은 강대국과 강대국에게만 달려 있습니다. 그들에게 평화의 의지가 있다면 그것은 평화입니다. 그들이 없다면 그것은 갈등입니다. 내가 명명한 4개의 힘은 이제 적절하다고 판단되면 세계의 평화를 영원히 지배할 수 있습니다.

▶ Now, there are two chief arguments, running one into the other, for the necessity of merging our existing sovereignties into a greater and, if possible, a world-wide league. The first is the present geographical impossibility of nearly all the existing European states and empires; and the second is the steadily increasing disproportion between the tortures and destructions inflicted by modern warfare and any possible advantages that may arise from it. Underlying both arguments is the fact that modern developments of mechanical science have brought the nations of Europe together into too close a proximity. This present war, more than anything else, is a violent struggle between old political ideas and new antagonistic conditions.

이제 우리의 기존 주권을 더 크고 가능하다면 세계적인 리그로 통합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두 가지 주요 주장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현존하는 거의 모든 유럽 국가와 제국이 현재 지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두 번째는 현대 전쟁이 가하는 고문과 파괴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이점 사이의 불균형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두 주장의 근간에는 현대 기계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유럽 국가들이 너무 가까워졌다는 사실이 있습니다. 이 현재의 전쟁은 무엇보다 오래된 정치사상과 새로운 적대적 조건 사이의 격렬한 투쟁입니다.

▶ I have made it here in order to render clear first, that what we moderns mean by democracy is not what the Greeks meant at all, that is to say, direct government by the assembly of all the citizens, and secondly and more important, that the word “democracy” is being used very largely in current discussion,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ay in any particular case whether the intention is Class I.(2) or Class II.(1), and that we have to make up our minds whether we mean, if I may coin two phrases, “delegate democracy” or “selective democracy,” or some definite combination of these two, when we talk about “democracy,” before we can get on much beyond a generous gesture of equality and enfranchisement towards our brother man. The word is being used, in fact, confusingly for these two quite widely different things.

저는 첫째, 민주주의가 의미하는 것이 그리스인들이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만들었습니다. 즉, 모든 시민들의 집회에 의한 직접 정부, 그리고 둘째,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민주주의"라는 단어가 현재의 논의에서 매우 크게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그 어떤 부분에서도 말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 의도가 Class I. (2)인지 Class II.(1)인지, 그리고 우리가 대의민주주의(delegate democracy)인지 비례대표제(selective democracy)인지, 아니면 이 두 개의 확실한 조합을 의미하는지, 우리가 민주주의(democracy)에 대해 이야기할 때, 우리가 평등과 특권의 관대한 몸짓을 훨씬 뛰어넘기 전에 우리는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우리 형제를 향한 멘트입니다. 이 단어는 사실 이 두 가지에 대해 혼동스럽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7 허버트 조지 웰스의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English Classics627 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1914)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909년부터 1914년 사이에 발표한 수필 모음집(essay collection)으로 데일리 메일(Daily Mail)과 같은 정기 간행물을 통해 출간하였습니다. 조지 웰스는 작가의 초중반기에는 소설을 주로 발표하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World War I)(1914~1918)이 발발하기 수년 전부터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저널리즘에 좀 더 많은 시간을 쏟았는데, 영국인이 바라본 세계(An Englishman Looks at the World by H. G. Wells)(1914)는 그 분기점이 되는 작품 중 하나로 꼽힙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MY FIRST FLIGHT(EASTBOURNE, August 5, 1912?three years later.) Hitherto my only flights have been flights of imagination but this morning I flew. I spent about ten or fifteen minutes in the air; we went out to sea, soared up, came back over the land, circled higher, planed steeply down to the water, and I landed with the conviction that I had had only the foretaste of a great store of hitherto unsuspected pleasures. At the first chance I will go up again, and I will go higher and further.

나의 첫 비행(이스트본, 1912년 8월 5일 - 3년 후) 지금까지 내 유일한 비행은 상상의 비행이었지만 오늘 아침에는 비행했습니다. 나는 약 10분에서 15분 정도를 공중에서 보냈습니다. 우리는 바다로 나갔다가 하늘을 날고 육지 위로 돌아왔고 더 높은 곳을 원을 그리며 물을 향해 가파르게 내려갔습니다. 그리고 나는 지금까지 예상하지 못했던 엄청난 즐거움을 미리 맛본 것뿐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착륙했습니다. 첫 번째 기회에 나는 다시 올라가고 더 높이 더 높이 올라갈 것입니다.

▶ THE PHILOSOPHER's PUBLIC LIBRARY. Suppose a philosopher had a great deal of money to spend?though this is not in accordance with experience, it is not inherently impossible?and suppose he thought, as any philosopher does think, that the British public ought to read much more and better books than they do, and that founding public libraries was the way to induce them to do so, what sort of public libraries would he found? That, I submit, is a suitable topic for a disinterested speculator.

철학자의 공공 도서관. 어떤 철학자가 지출할 돈이 많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것은 경험에 따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불가능한 것도 아닙니다. 그리고 그는 어떤 철학자가 생각하는 것처럼 영국 대중이 훨씬 더 많은, 더 나은 책을 읽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그들이 하는 것보다, 그리고 공공도서관을 설립하는 것이 그들을 그렇게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이었다면, 그는 어떤 종류의 공공도서관을 찾았을까요? 나는 그것이 무관심한 투기꾼에게 적합한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 THE POSSIBLE COLLAPSE OF CIVILISATION(New Year, 1909.) The Editor of the New York World has asked me to guess the general trend of events in the next thirty years or so with especial reference to the outlook for the State and City of New York. I like and rarely refuse such cheerful invitations to prophesy. I have already made a sort of forecast (in my "Anticipations") of what may happen if the social and economic process goes on fairly smoothly for all that time, and shown a New York relieved from its present congestion by the development of the means of communication, and growing and spreading in wide and splendid suburbs towards Boston and Philadelphia.

문명의 붕괴 가능성(New Year, 1909.) 뉴욕 월드(The New York World)의 편집자는 나에게 앞으로 30년 정도의 사건의 일반적인 경향을 예상하도록 요청했으며, 특히 뉴욕 주와 시의 전망을 언급했습니다. 나는 그러한 유쾌한 예언의 초대를 좋아하고 거의 거절하지 않습니다. 나는 이미 (내 "예상"에서) 사회 경제적 과정이 그 기간 동안 상당히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측했고, 수단의 개발로 현재의 혼잡에서 벗어나는 뉴욕을 보여주었습니다. 보스턴과 필라델피아를 향해 넓고 화려한 교외에서 성장하고 퍼집니다.

▶ THE HUMAN ADVENTURE. Alone among all the living things this globe has borne, man reckons with destiny. All other living things obey the forces that created them; and when the mood of the power changes, submit themselves passively to extinction Man only looks upon those forces in the face, anticipates the exhaustion of Nature's kindliness, seeks weapons to defend himself. Last of the children of Saturn, he escapes their general doom. He dispossesses his begetter of all possibility of replacement, and grasps the sceptre of the world. Before man the great and prevalent creatures followed one another processionally to extinction;

인간의 모험. 이 지구가 낳은 모든 생물들 중 홀로 인간은 운명을 생각합니다. 다른 모든 생물은 자신을 만든 힘에 복종합니다. 그리고 권력의 분위기가 바뀌면 수동적으로 소멸에 굴복합니다. 인간은 면전에서 그 세력만을 바라보고, 자연의 친절이 고갈될 것을 예상하고, 자신을 방어할 무기를 찾습니다. 토성의 마지막 아이들인 그는 그들의 일반적인 운명에서 탈출합니다. 그는 그의 낳는 자를 대체할 모든 가능성을 박탈하고 세상의 홀을 움켜쥡니다. 사람이 오기 전에 위대하고 널리 퍼진 피조물들은 멸종에 이르기까지 행렬을 따라 서로를 따랐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6 허버트 조지 웰스의 보이지 않는 왕, 신(神)(English Classics626 God, the Invisible King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SF 작가 조지 웰스의 신학론(神學論) : 보이지 않는 왕, 신(神)(God, the Invisible King by H. G. Wells)(1917)은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신학서(a theological tract)입니다. 조지 웰스는 우리에게 SF 작가로 친숙하지만, 사회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책과 기고문을 적지 않게 발표한 문명비평가(文明批評家)이기도 합니다. 특히 자신의 생전에 제1차 세계대전(World War I)(1914~1918)과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1939~1945)을 모두 겪은 지성인으로써 전쟁과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상에 대한 구상을 담은 책 - 예지(Anticipations by H. G. Wells)(1901), 자유로워진 세계(The World Set Free by H. G. Wells)(1914),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The War That Will End War by H. G. Wells)(1914), 끝까지 본 브리틀링 씨(Mr. Britling Sees It Through by H. G. Wells)(1916), 문명의 구원(救援)(The Salvaging Of Civilization by H. G. Wells)(1921) 등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습니다.

▶ 소설, 논픽션, 단편집, 게임북까지……. 조지 웰스는 생전에 워낙 다양한 분야를 섭렵하며 펜을 휘두른 작가이지만, 그가 신(神)과 종교를 소재로 신학서(a theological tract)를 발표한 것은 당대의 대중과 평론가에게도 충격적인 일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작가는 보이지 않는 왕, 신(神)(God, the Invisible King by H. G. Wells)(1917)을 통해 자신의 종교관이 현대의 기독교와 구분되어야 하며, 신에 대한 믿음은 (종파와 교리가 아니라) 개개인의 내부에서 솟아나는 것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국가가 신의 도구(The State Is God's Instrument)’(가 되어야 한다)는 파격적인 주장을 하였습니다. SF 작가 조지 웰스의 신, 신학, 종교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 모습일지 궁금하시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is book sets out as forcibly and exactly as possible the religious belief of the writer. That belief is not orthodox Christianity; it is not, indeed, Christianity at all; its core nevertheless is a profound belief in a personal and intimate God. There is nothing in its statements that need shock or offend anyone who is prepared for the expression of a faith different from and perhaps in several particulars opposed to his own. The writer will be found to be sympathetic with all sincere religious feeling. Nevertheless it is well to prepare the prospective reader for statements that may jar harshly against deeply rooted mental habits.

머리말. 이 책은 작가의 종교적 신념을 가능한 한 강력하고 정확하게 설명합니다. 그 믿음은 정통 기독교가 아닙니다. 그것은 실제로 기독교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핵심은 인격적이고 친밀한 하나님에 대한 깊은 믿음입니다. 그 성명서에는 자신의 신앙과 다른, 그리고 아마도 여러 면에서 반대되는 신앙을 표현할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에게 충격을 주거나 기분을 상하게 하는 내용이 없습니다. 작가는 모든 진지한 종교적 감정에 공감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잠재적인 독자가 깊이 뿌리박힌 정신적 습관에 거슬리는 말을 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It is well to warn him at the outset that the departure from accepted beliefs is here no vague scepticism, but a quite sharply defined objection to dogmas very widely revered. Let the writer state the most probable occasion of trouble forthwith. An issue upon which this book will be found particularly uncompromising is the dogma of the Trinity. The writer is of opinion that the Council of Nicaea, which forcibly crystallised the controversies of two centuries and formulated the creed upon which all the existing Christian churches are based, was one of the most disastrous and one of the least venerable of all religious gatherings, and he holds that the Alexandrine speculations which were then conclusively imposed upon Christianity merit only disrespectful attention at the present time.

받아들여진 믿음으로부터의 출발이 여기에서는 막연한 회의론이 아니라 매우 널리 존경받는 교리에 대한 아주 날카롭게 정의된 반대임을 처음부터 그에게 경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가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경우를 즉시 말하도록 하십시오. 이 책에서 특히 타협하지 않는 문제는 삼위일체 교리입니다. 작가는 2세기 동안의 논쟁을 강제로 구체화하고 현존하는 모든 기독교 교회의 기반이 되는 신조를 공식화한 니케아 공의회가 모든 종교 모임 중에서 가장 재앙적이었고 가장 존경받지 못한 모임 중 하나였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는 기독교에 결정적으로 부과된 알렉산드리아의 추측은 현재로서는 무례한 주의를 기울일 만하다고 주장합니다.

▶ This is a religious book written by a believer, but so far as their beliefs and religion go it may seem to them more sceptical and more antagonistic than blank atheism. That the writer cannot tell. He is not simply denying their God. He is declaring that there is a living God, different altogether from that Triune God and nearer to the heart of man. The spirit of this book is like that of a missionary who would only too gladly overthrow and smash some Polynesian divinity of shark’s teeth and painted wood and mother-of-pearl. To the writer such elaborations as “begotten of the Father before all worlds” are no better than intellectual shark’s teeth and oyster shells. His purpose, like the purpose of that missionary, is not primarily to shock and insult; but he is zealous to liberate, and he is impatient with a reverence that stands between man and God. He gives this fair warning and proceeds with his matter.

이것은 신자에 의해 쓰여진 종교 책이지만 그들의 믿음과 종교에 관한 한 그것은 백지 무신론보다 더 회의적이고 적대적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작가가 말할 수 없는 것. 그는 단순히 그들의 하나님을 부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는 삼일 하나님과는 완전히 다르며 사람의 마음에 더 가까운 살아 계신 하나님이 계시다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이 책의 정신은 폴리네시아의 일부 신인 상어 이빨과 채색된 나무와 자개를 기꺼이 무너뜨리고 부수려는 선교사의 정신과 같습니다. 작가에게 "만물보다 먼저 아버지에게서 나신 것"과 같은 정교함은 지적인 상어의 이빨과 굴 껍데기보다 나을 것이 없습니다. 그 선교사의 목적과 마찬가지로 그의 목적은 주로 충격과 모욕을 주는 것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는 해방시키기 위해 열심이었고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있는 경외심에는 참을성이 없었습니다. 그는 이 정당한 경고를 하고 그의 일을 계속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5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물학 교과서 제1부: 척추동물(English Classics625 Text Book of Biology, Part 1: Vertebrata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SF작가 조지 웰스가 생물학 교과서를?! : 생물학 교과서 제1부: 척추동물(Text Book of Biology, Part 1: Vertebrata by H. G. Wells)(1899)은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교과서(Text Book), 제목 그대로 생물학 교과서(Text Book of Biology)입니다. 작가는 런던 사우스 켄싱턴(South Kensington, London)의 사범 과학대(the Normal School of Science)에서 생물학을 공부하였으나, 1887년 지질학 시험에 떨어지는 등 학업 성취는 그리 뛰어나지 않았습니다만, 과학학교저널(Science School Journal)을 충간하는 등 글에 대한 열정은 뜨거웠습니다. 이후 University Correspondence College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때 교재로 활용하기 위해 생물학 교과서(Text Book of Biology)를 집필하였습니다. 토끼(The Rabbit)부터 개구리(The Frog), 개와 물고기(The Dog-Fish), 활유어(Amphioxus)까지 크게 다섯 단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십여 점의 정교한 해부도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 번외적으로 그의 두 번째 아내 에이미 캐서린 로빈스(Amy Catherine Robbins)(1872~1927)가 소유한 사본에서는 ‘사람만한 토끼가 작가를 해부하는 만화’가 발견되었습니다. 그녀는 런던 University Tutorial College에서 남편이 된 조지 웰스에게 생물학을 배우는 학생이였으며, 그가 첫 번째 아내와 이혼(1995)할 때까지 동거하였습니다. 그녀는 평생 남편의 여성편력에 괴로워하였고, 남편보다 6살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1927년 암으로 먼저 세상을 떠났습니다. (https://www.library.illinois.edu/rbx/hgwells2016/2016/09/text-book-of-biology/)

▶ 우리에게는 낯선 교과서이지만 이 책은 제1부(Part 1)만 있는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1898년 A. M. Davies, 1909년 J. T. Cunningham, 1932년 W. H. Leigh-Sharpe 등의 학자가 꾸준히 업데이트하며 수십 년간 꾸준히 출간되었습니다. 유명 작가의 사생활이나 기행은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밖에 없겠습니다만, 세계적인 명성의 ‘SF 작가 조지 웰스’가 작가로 명성을 떨치기 이전에 학교에서 실제로 활용되는 생물학 교과서(Text Book of Biology)를 집필한 학자이자 교육자라는 점은 독특하면서도 놀라운 대목입니다. 그의 우주적 상상력의 근간에 정교한 지식 체계가 자리 잡고 있었다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인지도…….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In the year 1884 I was invited to give tuition by correspondence, in Biology. Although disposed at the time to ridicule the idea of imparting instruction in natural science by letter, I gladly accepted the opportunity thus afforded me of ascertaining for myself what could and could not be accomplished in that direction. Anyone familiar with the scope of biological enquiry, and the methods of biological instruction, will not need to be reminded that it is only by the most rigorous employment of precise directions for observation, that any good results are to be looked for at the hand of the elementary student.

서론. 1884년에 저는 생물학에서 통신으로 학비를 내도록 초대 받았습니다. 비록 그 당시에 편지로 자연과학에 가르침을 준다는 생각을 비웃기 위해 의도되었지만, 저는 기꺼이 그 방향으로 성취될 수 있는 것과 성취할 수 없는 것을 스스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생물학적 조사의 범위와 생물학적 지시 방법을 잘 아는 사람이라면, 그것은 단지 관찰을 위한 정확한 방향을 가장 엄격하게 채택함으로써, 어떤 좋은 결과도 초등학생의 손에 의해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을 상기시킬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 True to this principle, I determined to issue to my correspondence pupils rigid instructions, and to demand in return faithful annotated drawings of facts observed in their usage. In the case of two among the few students who passed through my hands, the result far exceeded my most sanguine anticipations. The notes sent in by one of them-- a man working at a distance, alone and unaided-- far excelled those wrung from many a student placed under the most favourable surroundings; and their promise for the future has been fulfilled to the utmost, the individual in question being now a recognised investigator. It thus became clear that, not-with-standing the complex conditions of work in the biological field, tuition by correspondence would suffice to awaken the latent abilities of a naturally qualified enquirer.

이 원칙에 따라 나는 학생들에게 엄격한 지시를 내리고 그 대가로 학생들의 사용법에서 관찰된 사실에 대한 주석이 달린 충실한 그림을 요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내 손을 거쳐 간 몇 안 되는 학생 중 2명의 경우 결과는 내 가장 낙관적인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습니다. 그들 중 한 사람이 보낸 메모, 즉 혼자이고 도움도 없이 멀리서 일하는 남자는 가장 유리한 환경에 있는 많은 학생이 작성한 메모보다 훨씬 뛰어났습니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 그들의 약속은 최대한 성취되었으며 문제의 개인은 이제 인정받는 조사관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생물학적 분야의 복잡한 작업 조건에도 불구하고 서신을 통한 수업은 타고난 자격을 갖춘 탐구자의 잠재 능력을 일깨우기에 충분하다는 것이 분명해졌습니다.

▶ Mr. Wells' little book is avowedly written for examination purposes, and in conformity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now familiar "type system" of teaching. Recent attempts have been made to depreciate this. While affording a discipline in detailed observation and manipulation second to that of no other branch of learning, it provides for that "deduction" and "verification" by which all science has been built up; and this appears to me ample justification for its retention, as the most rational system which can be to-day adopted.

웰스 씨의 작은 책은 분명히 시험 목적으로, 그리고 현재 친숙한 "유형 시스템" 교육의 요구 사항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최근에는 이를 감가상각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다른 학문 분야에 뒤지지 않는 상세한 관찰과 조작에 관한 학문을 제공하면서 모든 과학이 구축된 "연역"과 "검증"을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오늘날 채택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시스템으로서 그 보존에 대한 충분한 정당성을 나에게 보여줍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3 허버트 조지 웰스의 현대 사회주의에 대한 담백한 해설: 구세대의 신세계(English Classics633 New Worlds For Old: A Plain Account of Modern Socialism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대 사회주의에 대한 담백한 해설: 구세대의 신세계(New Worlds For Old: A Plain Account of Modern Socialism by H. G. Wells)(1908)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1901년부터 1908년 사이에 집필한 원고를 엮은 논픽션(Nonfiction)입니다. 작가의 사회주의(socialism)에 관한 철학과 단상, 아이디어 등을 세밀하게 다루고 있으며, SF소설가가 아닌 ‘사회주의자 조지 웰스’의 면모를 만나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조지 웰스는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개인주의 정치경제학 이론에 반대하는 일련의 단절된 항의"(a disconnected series of protests against the extreme theories of Individualism and Individualist Political Economy)에서 사회주의가 발원하였다고 보고 있으며, "부모의 사적 개인 권리와 자녀에 대한 고립된 책임에 대한 생각(The ideas of the private individual rights of the parent and of his isolated responsibility for his children)과 사물에 대한 사적 소유권과 소유자의 권리에 대한 생각(The idea of the private ownership of things and the rights of owners)이 현대사회에서 과도하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사적 소유권에 기반을 둔 사회 시스템(social system, based on Private Ownership)에서 봉사 정신(spirit of service)에 기반을 둔 시스템으로의 변환을 촉구하였으되, 그의 주장은 정치적인 운동(a political movement)이라기보다는 종교적인 사상에 가깝습니다.

▶ 현대 사회주의에 대한 담백한 해설: 구세대의 신세계(New Worlds For Old: A Plain Account of Modern Socialism by H. G. Wells)(1908)는 첫 출간 이후 대중과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작가 또한 두 번 개정할 정도로 열의를 보인 사상서로, 당대의 저명인사들 - 제임스 조이스(James Joyce)(1882~1941), 윌리엄 아처(William Archer)(1856~1924), 존 골즈워디(John Galsworthy)(1867~1933), 레이 랭키스터(Ray Lankester)(1847~1929), 조셉 콘래드(Joseph Conrad)(1857~1924), 아널드 베넷(Arnold Bennett)(1867~1931) 그리고 헬렌 켈러(Helen Keller)(1880~1968)가 극찬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GOOD WILL IN MAN. The present writer has long been deeply interested in the Socialist movement in Great Britain and America, and in all those complicated issues one lumps together as “social questions.” In the last few years he has gone into it personally and studied the Socialist movement closely and intimately at first hand; he has made the acquaintance of many of its leaders upon both sides of the Atlantic, joined numerous organizations, attended and held meetings, experimented in Socialist politics. From these inquiries he has emerged with certain very definite conclusions as to the trend and needs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se he is now rendering in this book. He calls himself a Socialist, but he is by no means a fanatical or uncritical adherent.

인간의 선의. 현 작가는 오랫동안 영국과 미국의 사회주의 운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그 모든 복잡한 문제를 하나의 "사회적 문제"로 묶었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그는 개인적으로 그것에 들어가 사회주의 운동을 처음부터 면밀하고 친밀하게 연구했습니다. 그는 대서양 양쪽에 있는 많은 지도자들과 친분을 쌓았고, 수많은 조직에 가입했으며, 회의에 참석하고 회의를 개최했으며, 사회주의 정치를 실험했습니다. 이러한 질문에서 그는 사회 발전의 경향과 필요에 대한 매우 확실한 결론을 내렸고, 지금 이 책에서 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는 스스로를 사회주의자라고 부르지만 결코 광신적이거나 무비판적인 지지자는 아닙니다.

▶ SOCIALISM A DEVELOPING DOCTRINE. So far we have been discussing the broad elementary propositions of Modern Socialism. As we have dealt with them, they amount to little more than a sketch of the foundation for a great scheme of social reconstruction. It would be a poor service to Socialism to pretend that this scheme is complete. From this point onward one enters upon a series of less unanimous utterances and more questionable suggestions. Concerning much of what follows, Socialism has as yet not elaborated its teaching. It has to do so, it is doing so, but huge labours lie before its servants.

사회주의의 발전하는 교리. 지금까지 우리는 현대 사회주의의 광범위한 기본 명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우리가 그것들을 다루었듯이, 그것들은 사회 재건의 위대한 계획을 위한 기초의 밑그림에 불과합니다. 이 계획이 완전한 척하는 것은 사회주의에 좋지 않은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 이 시점부터 사람들은 덜 만장일치로 발언하고 더 의심스러운 제안을 하게 됩니다. 다음 내용의 많은 부분과 관련하여 사회주의는 아직 그 가르침을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습니다. 그렇게 해야 하고, 그렇게 하고 있지만, 그 종들 앞에는 엄청난 수고가 놓여 있습니다.

▶ THE ADVANCEMENT OF SOCIALISM. And here my brief exposition of the ideals of Modern Socialism may fitly end. I have done my best to set out soberly and plainly this great idea of deliberately making a real civilization by the control and subordination of the instinct of property, and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state of consciousness out of the achievements and squalor, out of the fine forces and wasted opportunities of to-day.

사회주의의 발전. 그리고 여기서 현대 사회주의의 이상에 대한 나의 짧은 설명은 적절하게 끝날지도 모릅니다. 저는 재산본능의 통제와 종속, 그리고 성과와 추악함, 그리고 오늘날의 훌륭한 힘과 낭비된 기회로부터 의식의 상태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킴으로써 의도적으로 진정한 문명을 만들려는 이 위대한 생각을 냉정하고 분명하게 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2 허버트 조지 웰스의 지금은 사라진 삼촌과의 대화{English Classics632 Select Conversations with an Uncle(Now Extinct) and Two Other Reminiscences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지금은 사라진 삼촌과의 대화(Select Conversations with an Uncle(Now Extinct) and Two Other Reminiscences by H. G. Wells)(1895)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출간한 최초의 문학서(H.G. Wells's first literary publication) 중 하나로, 1893년부터 폴몰 매거진(Pall Mall Gazette)을 통해 발표한 기고문을 엮은 작품입니다. 남아프리카에서 영국 런던으로 귀향한 삼촌과 나의 대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삼촌은 어마어마한 재산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과연 삼촌은 남아프리카에서 무슨 일을 한 것일까요? 작중 등장하는 삼촌은 저자 웰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인물로 대화와 패션의 해부학(Of Conversation And The Anatomy Of Fashion)부터 결혼의 고통(The Pains Of Marriage)까지 총 14개의 대화를 통해 다양한 소재를 다루고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TORY. He was, I remember, short, but by no means conspicuously short, and of a bright, almost juvenile, complexion, very active in his movements and garrulous?or at least very talkative. His judgments were copious and frequent in the old days, and some at least I found entertaining. At times his fluency was really remarkable. He had a low opinion of eminent people?a thing I have been careful to suppress, and his dissertations had ever an irresponsible gaiety of manner that may have blinded me to their true want of merit.

서론. 내가 기억하기로는 그는 키가 작았지만 눈에 띄게 작았던 것은 결코 아니었고 밝고 거의 젊고 안색이었으며 움직임이 매우 활발하고 수다스럽거나 최소한 말이 많았습니다. 그의 판단은 옛날에 풍부하고 빈번했으며 적어도 일부는 재미있었습니다. 때때로 그의 유창함은 정말 놀랍습니다. 그는 저명한 사람들에 대해 낮은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제가 조심스럽게 억제해 왔던 것이었고, 그의 논문은 무책임한 현란한 태도로 인해 그들이 진정한 공로가 없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게 했을 수도 있습니다.

▶ OF CONVERSATION AND THE ANATOMY OF FASHION. This uncle of mine, you must understand, having attained?by the purest accident?some trifles of distinction and a certain affluence in South Africa, came over at the earliest opportunity to London to be photographed and lionised. He took to fame easily, as one who had long prepared in secret. He lurked in my chambers for a week while the new dress suit was a-making?his old one I really had to remonstrate against?and then we went out to be admired.

대화와 패션의 해부학. 이 삼촌은 가장 순수한 우연으로 남아프리카에서 약간의 구별과 어느 정도의 부유함을 얻은 후 가장 빠른 기회에 런던으로 건너와 사진을 찍고 사자가 되었음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는 오랫동안 비밀리에 준비한 사람으로 쉽게 명성을 얻었습니다. 그는 새 양복이 만들어지는 동안 일주일 동안 내 방에 숨어 있었습니다. 그의 옛날 옷은 내가 정말로 반론을 제기해야 했습니다. 그런 다음 우리는 감탄하기 위해 밖에 나갔습니다.

▶ THE USE OF IDEALS. "Ideals!" said my uncle; "certainly Ideals. Of course one must have ideals, else life would be bare materialism. Bare fact alone, naked necessity, is impossible barren rock for a soul to root upon. Life, indeed, is an unfurnished house, an empty glass in a thirsty land?good and necessary for foundation, but insufficient for any satisfaction unless we have ideals. Or, again, ideals are the flesh upon the skeleton of reality, and it cannot live without them.

이상(理想) 사용. "이상!" 삼촌이 말했다. "확실히 이상입니다. 물론 이상을 가져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삶은 물질만능주의가 될 것입니다. 사실만으로, 적나라한 필요성은 영혼이 뿌리를 내릴 수 없는 불모의 바위입니다. 인생은 참으로 가구가 비치되지 않은 집, 빈 유리잔입니다. 목마른 땅 - 기초에는 좋고 필요하지만 이상이 없으면 만족하기에는 부족합니다.

▶ ON A TRICYCLE. I sat on the parapet of the bridge, and swung my feet over the water that frothed and fretted at the central pier below. Above the bridge the stream broadened into a cress-bespangled pool, over which the sapphire dragon-flies hovered, and its earlier course was hidden by the big oak trees that bent towards each other from either bank. Through their speckled tracery of green one saw the hazy blue depths of the further forest. I was watching the proceedings of some quick-moving brown bird amid the rushes and marsh marigolds of the opposite bank.

세발자전거에 올라. 나는 다리의 난간에 앉아 아래 중앙 부두에서 거품을 일으키고 초조하게 만드는 물 위로 발을 휘둘렀습니다. 다리 위의 개울은 사파이어 잠자리가 둥실둥실 떠 있는 유채꽃 모양의 웅덩이로 확장되었으며, 그 이전 경로는 양쪽 강둑에서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 큰 떡갈나무에 의해 숨겨졌습니다. 얼룩덜룩한 녹색 트레이서리를 통해 더 먼 숲의 흐릿한 푸른 깊이를 보았습니다. 나는 맞은편 제방의 덤불과 습지 금잔화 사이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어떤 갈색 새의 진행을 지켜보고 있었습니다.

▶ A MISUNDERSTOOD ARTIST. The gentleman with the Jovian coiffure began to speak as the train moved. "'Tis the utmost degradation of art," he said. He had apparently fallen into conversation with his companion upon the platform. "I don't see it," said this companion, a prosperous-looking gentleman with a gold watch-chain. "This art for art's sake?I don't believe in it, I tell you. Art should have an aim. If it don't do you good, if it ain't moral, I'd as soon not have it. What good is it? I believe in Ruskin. I tell you??“

오해받는 아티스트. 목성 머리띠를 한 신사가 기차가 움직이자 말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예술의 극도의 타락'이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그는 연단에서 동반자와 대화에 빠져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안 보여요." 금색 시계줄을 차고 있는 부유해 보이는 신사인 이 동반자가 말했습니다. "이 예술을 위한 예술은-나는 그것을 믿지 않습니다, 나는 말합니다. 예술에는 목표가 있어야 합니다. 그것이 당신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그것이 도덕적이지 않다면 나는 곧 그것을 갖지 않을 것입니다. 그게 무슨 소용입니까? 나는 러스킨을 믿습니다. 내가 말하건대??"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1 허버트 조지 웰스의 현실추구: 미국의 미래(English Classics631 The Future in America: A Search After Realities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실추구: 미국의 미래(The Future in America: A Search After Realities by H. G. Wells)(1906)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여행 에세이(travel essay)입니다. 작가는 1906년 3월 27일 카르마니아 호(Carmania)를 타고 미국으로 향한 후 같은 해 5월 27일 캄브리아 호(Cambria)를 타고 귀국하였습니다. 영국의 트리뷴(Tribune)과 미국 하퍼스 위클리(Harper's Weekly)에 연재한 후 같은 해 10월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습니다. 영국의 유명작가이자 저명인사로써 백악관을 방문, 당대 미국 대통령 시어도어 루스벨트(Theodore Roosevelt)(1858~1919)와 면담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s Progress Inevitable? It is the development of such things as this, it is this dramatically abbreviated perspective from those pre-Reformation caravels to the larger, larger, larger of the present vessels, one must blame for one's illusions. One is led unawares to believe that this something called Progress is a natural and necessary and secular process, going on without the definite will of man, carrying us on quite independently of us; one is led unawares to forget that it is after all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nly a sudden universal jolting forward in history, an affair of two centuries at most, a process for the continuance of which we have no sort of guarantee.

진보는 불가피한가? 그것은 이러한 것들의 발전입니다. 종교 개혁 이전의 카레이블(caravels)에서 현재의 더 크고 더 크고 더 큰 선박에 이르기까지 극적으로 축약된 관점입니다. 자신의 환상에 대해 책임을 져야합니다. 진보라고 하는 이 과정이 인간의 명확한 의지 없이 진행되는 자연스럽고 필요하며 세속적인 과정으로, 우리와는 완전히 별개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우리는 역사적 관점에서 볼 때, 기껏해야 2세기에 걸친 역사의 갑작스러운 전진에 불과하며, 그 지속을 보장할 수 없는 과정이라는 사실을 잊게 됩니다.

▶ The Flood. My picture of America assumes now a certain definite form. I have tried to convey the effect of a great and energetic English-speaking population strewn across a continent so vast as to make it seem small and thin; I have tried to show this population caught by the upward sweep of that great increase in knowledge that is everywhere enlarging the power and scope of human effort, exhilarated by it, and active and hopeful beyond any population the world has ever seen, and I have tried to show how the members of this population struggle and differentiate among themselves in a universal commercial competition that must, in the end, if it is not modified, divide them into two permanent classes of rich and poor.

홍수. 미국에 대한 나의 그림은 이제 특정한 형태를 취합니다. 나는 대륙을 작고 가늘게 보이게 할 만큼 광대한 대륙에 흩어져 있는 위대하고 활기찬 영어 사용 인구의 효과를 전달하려고 노력했습니다. 나는 인간의 노력의 힘과 범위를 도처에 확대하고, 그것에 의해 들뜨고, 활동적이고 희망적이며 세계가 본 어떤 인구보다 적극적이고 희망적인 지식의 엄청난 증가의 상승세에 사로잡힌 이 인구를 보여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이 인구의 구성원이 보편적인 상업적 경쟁에서 어떻게 투쟁하고 그들 사이에서 차별화되는지 보여주려고 노력했습니다.

▶ President Roosevelt. In the White House, set midway between the Washington of the sightseers and the Washington of brilliant conversation, I met President Roosevelt. I was mightily pleased by the White House; it is dignified and simple?once again am I tempted to use the phrase "aristocratic in the best sense" of things American; and an entire absence of uniforms or liveries creates an atmosphere of Republican equality that is reinforced by "Mr. President's" friendly grasp of one's undistinguishable hand. And after lunch I walked about the grounds with him, and so achieved my ambition to get him "placed," as it were, in my vision of America.

루스벨트 대통령. 백악관에서, 관광객들의 워싱턴과 화려한 대화의 워싱턴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저는 루즈벨트 대통령을 만났습니다. 저는 백악관에 의해 매우 기뻤습니다; 그것은 위엄 있고 단순합니다. 다시 한 번 저는 "최고의 의미에서의 귀족주의"라는 문구를 미국적인 것에 사용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유니폼이나 전부의 부재는 "대통령"의 구분할 수 없는 친근한 손에 의해 강화되는 공화당의 평등의 분위기를 만듭니다. 그리고 점심 식사 후에 저는 그와 함께 운동장을 돌아다녔고, 그래서 그를 미국에 대한 저의 비전에 있는 것처럼 "배치" 시키려는 저의 야망을 이루었습니다.

▶ THE ENVOY. And at last I am back in my study by the sea. It is high June. When I said good-bye to things it was March, a March warm and eager to begin with, and then dashed with sleet and wind; but the daffodils were out, and the primulas and primroses shone brown and yellow in the unseasonable snow. The spring display that was just beginning is over. The iris rules. Outside the window is a long level line of black fleur-de-lys rising from a serried rank of leaf-blades. Their silhouettes stand out against the brightness of the twilight sea. They mark, so opened, two months of absence. And in the interval I have seen a great world.

특사(特使). 그리고 마침내 저는 바닷가에 있는 제 서재로 돌아왔습니다. 6월 중순입니다. 내가 물건에 작별을 말할 때 그것은 시작하기를 열망 따뜻한 3월, 그리고 진눈깨비와 바람과 함께 돌진했습니다, 그러나 수선화는 밖으로, 그리고 프리뮬러와 프리즘 장미는 계절에 맞지 않는 눈에서 갈색과 노란색을 빛냈습니다. 이제 막 시작된 봄맞이 전시가 끝났습니다. 홍채가 규칙이에요. 창밖에는 검은 벼룩들이 줄지어 서 있는 잎 날에서 길게 늘어서 있습니다. 그들의 실루엣은 황혼의 바다의 밝음을 배경으로 두드러집니다. 그들은 두 달 동안의 결석을 기록했습니다. 그 사이 저는 멋진 세상을 보았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30 허버트 조지 웰스의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의 전쟁: 전쟁과 미래(English Classics630 War and the Future: Italy, France and Britain at War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전쟁과 미래(War and the Future: Italy, France and Britain at War by H. G. Wells)(1917)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전쟁 선전 작품(a work of war propaganda)으로 부제는 이탈리아, 프랑스, 영국의 전쟁(Italy, France and Britain at War)입니다. 연재에 앞서 1916년 8월 8일부터 프랑스 수아송(Soissons)을 시작으로 이탈리아 베니스(Venice), 우디네(Udine), 베로나(Verona), 밀라노(Milan)를 거쳐 다시 프랑스의 아라스(Arras), 돔피에르(Dompierre), 프리쿠르(Fricourt), 알베르(Albert) 등 전선(戰線)을 두루 취재하였습니다.

서두의 이탈리아 전쟁(The War in Italy)을 시작으로 프랑스의 서부전쟁(The Western War), 미래에 대한 예측(How People Think About The War) 등의 순으로 연재하였으며, 1917년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습니다. 자신은 평화주의자(I avow myself an extreme Pacifist)란 주장과 독일의 만행을 막기 위한 영국의 전쟁이 정당함을 주장하는 메시지는 상호 모순됩니다만, 당대의 유럽 독자들에게는 호평 받았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THE PASSING OF THE EFFIGY. One of the minor peculiarities of this unprecedented war is the Tour of the Front. After some months of suppressed information?in which even the war correspondent was discouraged to the point of elimination?it was discovered on both sides that this was a struggle in which Opinion was playing a larger and more important part than it had ever done before.

동상의 통과. 이 전례 없는 전쟁의 사소한 특징 중 하나는 전선의 순회(Tour of the Front)입니다. 종군기자조차 제거할 지경까지 낙담한 정보가 몇 달 동안 은폐된 후 양측에서 이것이 여론이 그 어느 때보다 더 크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투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 THE WESTERN WAR (SEPTEMBER, 1916). If I had to present some particular scene as typical of the peculiar vileness and mischief wrought by this modern warfare that Germany has elaborated and thrust upon the world, I do not think I should choose as my instance any of those great architectural wrecks that seem most to impress contemporary writers. I have seen the injuries and ruins of the cathedrals at Arras and Soissons and the wreckage of the great church at Saint Eloi, I have visited the Hotel de Ville at Arras and seen photographs of the present state of the Cloth Hall at Ypres?a building I knew very well indeed in its days of pride?and I have not been very deeply moved. I suppose that one is a little accustomed to Gothic ruins, and that there is always something monumental about old buildings; it is only a question of degree whether they are more or less tumble-down.

서부 전쟁(1916년 9월). 독일이 정교하게 만들고 세계를 강타한 이 현대 전쟁이 초래한 기이한 사악함과 장난의 전형으로 어떤 특정한 장면을 제시해야 한다면, 나는 가장 많이 보이는 그 위대한 건축적 잔해를 내 예로 선택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현대 작가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나는 아라스(Arras)와 수아송(Soissons)의 대성당의 부상과 폐허와 세인트 엘로이(Saint Eloi)의 큰 교회의 잔해를 보았고 아라스의 호텔 드 빌레(Hotel de Ville)을 방문했으며 이프르(Ypres)의 클로쓰 홀(Cloth Hal)l의 현재 상태 사진을 보았습니다. 나는 그 교만의 시대를 참으로 잘 알고 있었고 그다지 크게 감동하지 않았습니다. 고딕 양식의 폐허에 조금 익숙해지고 오래된 건물에는 항상 기념비적인 것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들이 어느 정도 하락했는지 여부는 정도의 문제일 뿐입니다.

▶ HOW PEOPLE THINK ABOUT THE WAR. All human affairs are mental affairs; the bright ideas of to-day are the realities of to-morrow. The real history of mankind is the history of how ideas have arisen, how they have taken possession of men's minds, how they have struggled, altered, proliferated, decayed. There is nothing in this war at all but a conflict of ideas, traditions, and mental habits. The German Will clothed in conceptions of aggression and fortified by cynical falsehood, struggles against the fundamental sanity of the German mind and the confused protest of mankind. So that the most permanently important thing in the tragic process of this war is the change of opinion that is going on. What are people making of it? Is it producing any great common understandings, any fruitful unanimities?

사람들이 전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인간의 모든 일은 정신적인 일입니다. 오늘의 밝은 생각이 내일의 현실입니다. 인류의 진정한 역사는 사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사상이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았는지, 어떻게 투쟁하고, 변화하고, 증식하고, 쇠퇴해 왔는지에 대한 역사입니다. 이 전쟁에는 사상, 전통, 정신적 습관의 충돌 외에는 아무 것도 없습니다. 냉소적인 거짓으로 강화된 침략의 관념으로 무장한 독일 의지는 독일 정신의 근본적인 정신에 대항하는 투쟁과 인류의 혼란스러운 항의에 맞서 싸웁니다. 그래서 이 전쟁의 비극적인 과정에서 가장 영구적으로 중요한 것은 현재 진행 중인 의견의 변화입니다. 사람들은 그것을 무엇으로 만들고 있습니까? 그것은 어떤 위대한 공통된 이해, 어떤 유익한 만장일치를 생산하고 있습니까?

▶ THE ENDING OF THE WAR. About the end of the war there are two chief ways of thinking, there is a simpler sort of mind which desires merely a date, and a more complex kind which wants particulars. To the former class belong most of the men out at the front. They are so bored by this war that they would welcome any peace that did not definitely admit defeat?and examine the particulars later. The “tone” of the German army, to judge by its captured letters, is even lower. It would welcome peace in any form. Never in the whole history of the world has a war been so universally unpopular as this war.

전쟁의 끝. 전쟁이 끝날 무렵에는 두 가지 주요 사고방식이 있습니다. 단순한 날짜를 원하는 단순한 종류의 마음과 세부 사항을 원하는 보다 복잡한 종류의 마음이 있습니다. 전자 계급에 속하는 대부분의 남성은 최전선에 있습니다. 그들은 이 전쟁이 너무 지루해서 패배를 인정하지 않는 평화라면 무엇이든 환영하고 나중에 세부 사항을 검토할 것입니다. 캡처된 문자로 판단할 수 있는 독일군의 "음조"는 훨씬 낮습니다. 그것은 어떤 형태로든 평화를 환영할 것입니다. 세계 역사상 이 전쟁만큼 보편적으로 인기가 없는 전쟁은 없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29 허버트 조지 웰스의 전쟁의 미래: 무엇이 올 것인가?(English Classics629 What is Coming? A Forecast of Things after the War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전쟁의 미래: 무엇이 올 것인가?(What is Coming? A Forecast of Things after the War by H. G. Wells)(1916)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가 제1차 세계대전(the World War)((1914~1918)을 겪으며, 미래의 또 다른 세계대전에 대한 미래적 사상과 개념(the futuristic ideas and concepts)에 대해 집필한 작품입니다. 제1장 미래 예측(Forecasting The Future)을 시작으로 전쟁의 끝(The End Of The War), 유럽의 사회주의(How Far Will Europe Go Toward Socialism?), 새로운 교육(The New Education)을 비롯해 세계 주요 강대국의 전망(The United States, France, Britain, And Russia) 등 총 12장에 걸쳐 자신의 의견과 주장을 개진하였습니다. 특히 각국 정부가 모여 하나의 세계 정부(Common State)를 결성, 세계 평화를 보장하자는 파격적인 주장이 인상적입니다. 그러나 영국 작가로써 독일과 러시아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비판을 아끼지 않으면서도, 영국의 제국주의가 전 세계에 미친 해악에는 눈감고 있다는 단점은 가리기 어렵습니다. 작가 조지 웰스의 (SF 작가가 아닌) 문명 비평가와 사회주의자로써의 면모를 확인하고 싶은 독자에게 일독을 권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 FORECASTING THE FUTURE. Prophecy may vary between being an intellectual amusement and a serious occupation; serious not only in its intentions, but in its consequences. For it is the lot of prophets who frighten or disappoint to be stoned. But for some of us moderns, who have been touched with the spirit of science, prophesying is almost a habit of mind. Science is very largely analysis aimed at forecasting. The test of any scientific law is our verification of its anticipations. The scientific training develops the idea that whatever is going to happen is really here now--if only one could see it. And when one is taken by surprise the tendency is not to say with the untrained man, "Now, who'd ha' thought it?" but "Now, what was it we overlooked?“

제1장. 미래 예측. 예언은 지적인 오락과 진지한 직업 사이에서 다를 수 있습니다. 그 의도뿐만 아니라 그 결과에 있어서도 심각합니다. 돌에 맞아 죽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실망시키는 것은 많은 선지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과학의 정신을 접한 현대인 중 일부에게 예언은 거의 마음의 습관입니다. 과학은 대부분 예측을 목적으로 하는 분석입니다. 과학 법칙의 시험은 그 기대에 대한 우리의 검증입니다. 과학 훈련은 일어날 일이 무엇이든 지금 여기에 있다는 생각을 발전시킵니다. 단 한 사람만 볼 수만 있다면 말입니다. 그리고 놀란 사람은 훈련받지 않은 사람에게 "누가 생각해냈을까?"라고 말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 우리가 간과한 것이 무엇입니까?“

▶ VIII. WHAT THE WAR IS DOING FOR WOMEN. To discuss the effect of this war upon the relations of men and women to each other is to enter upon the analysis of a secular process compared with which even the vast convulsions and destructions of this world catastrophe appear only as jolts and incidents and temporary interruptions. There are certain matters that sustain a perennial development, that are on a scale beyond the dramatic happenings of history; wars, the movements of peoples and races, economic changes, such things may accelerate or stimulate or confuse or delay, but they cannot arrest the endless thinking out, the growth and perfecting of ideas, upon the fundamental relationships of human Beings.

제8장. 전쟁이 여성을 위해 하는 일. 이 전쟁이 남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논의하는 것은 이 세상의 대재앙의 거대한 경련과 파괴조차도 충격과 사건과 일시적인 중단으로만 나타나는 것과 비교하여 세속적 과정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역사의 극적인 사건을 초월하는 규모로 지속적인 발전을 유지하는 특정 문제가 있습니다. 전쟁, 민족과 인종의 이동, 경제의 변화, 이러한 것들이 가속화되거나 자극되거나 혼란되거나 지연될 수 있지만 인간의 근본적인 관계에 대한 끝없는 생각, 아이디어의 성장과 완성을 막을 수는 없습니다.

▶ XII. THE OUTLOOK FOR THE GERMANS. Whatever some of us among the Allies may say, the future of Germany lies with Germany. The utmost ambition of the Allies falls far short of destroying or obliterating Germany; it is to give the Germans so thorough and memorable an experience of war that they will want no more of it for a few generations, and, failing the learning of that lesson, to make sure that they will not be in a position to resume their military aggressions upon mankind with any hope of success. After all, it is not the will of the Allies that has determined even this resolve. It is the declared and manifest will of Germany to become predominant in the world that has created the Alliance against Germany, and forged and tempered our implacable resolution to bring militarist Germany down. And the nature of the coming peace and of the politics that will follow the peace are much more dependent upon German affairs than upon anything else whatever.

제12장. 독일인에 대한 전망. 동맹국 중 우리 중 일부가 뭐라고 말하든 독일의 미래는 독일에 있습니다. 연합국의 최대 야심은 독일을 파괴하거나 말살하는 데 훨씬 미치지 못합니다. 그것은 독일인들이 몇 세대 동안 더 이상 전쟁을 원하지 않을 정도로 철저하고 기억에 남는 전쟁 경험을 제공하고, 그 교훈을 배우지 못한 채 독일인들이 전쟁을 재개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성공의 희망과 함께 인류에 대한 군사적 침략. 결국 이 결의까지 결정한 것은 동맹국의 의지가 아니다. 반독일 동맹을 창설하고 군국주의 독일을 무너뜨리겠다는 우리의 불굴의 결의를 위조하고 단련시킨 것은 세계에서 패권을 쥐고자 하는 독일의 선언적이고 명백한 의지입니다. 그리고 다가오는 평화의 본질과 평화에 뒤따르는 정치의 본질은 무엇보다도 독일 문제에 훨씬 더 많이 의존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19 허버트 조지 웰스의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 세계사 대계Ⅸ(English Classics619 The Outline of HistoryⅨ: 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by H. G. Wells)

도서정보 :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 | 2022-05-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류의 모든 이야기(The Whole Story of Man) 또는 생명과 인류의 평범한 역사가 되는 것(Being a Plain History of Life and Mankind) :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는 허버트 조지 웰스(H. G. Wells)(1866~1946)의 역사서(history book)입니다. 웰스는 소설가이기 이전에 당대의 지식인이자 역사가, 그리고 교육에 관심이 많은 작가로써 1919년부터 지구의 기원(The origins of the Earth)부터 웰스가 직접 경험한 제1차 세계 대전(The Great War)(1914~1918)까지 세계역사를 연대기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격주로 연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1920년 연재한 원고를 세계사 대계(The Outline of History)(1920)란 이름의 단행본으로 출간하였으며, 영국을 비롯한 세계 각지에 번역 출간될 정도로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

현재까지 최소 200만부 이상이 판매되었으며, 당대 영국 고등 교육기관에서 역사 교육을 위한 필독서로 사랑받았습니다. 또한 조지 웰스는 세계 각지의 오류에 대한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였고, 1937년까지 자신이 직업 원고를 수정하여 개정판을 발간하였습니다. 원고의 완성도 못지않게 당대 유럽인의 우생학과 제국주의에 대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인종주의와 문명적 우월성을 주장하는 이론(theories of racial and civilizational superiority)을 비판한 대목은 현대의 독자에게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THE RACES OF MANKIND. In the early Neolithic Period in Europe?it may be 10,000 or 12,000 years ago or so?man was differentiating all over the world, and he had already differentiated into a number of varieties, but he has never differentiated into different species. A “species,” we must remember, in biological language is distinguished from a “variety” by the fact that varieties can interbreed, while species either do not do so or produce offspring which, like mules, are sterile. All mankind can interbreed freely, can learn to understand the same speech, can adapt itself to co-operation.

인류의 종(種). 10,000~12,000년 전쯤으로 추정되는 유럽의 초기 신석기 시대에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분화하고 있었고 이미 많은 변종으로 분화했지만 다른 종으로 분화한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생물학적 언어에서 "종"은 품종이 서로 교배할 수 있는 반면 종은 그렇게 하지 않거나 노새처럼 불임의 자손을 낳는다는 사실에 의해 "다양성"과 구별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모든 인류는 자유롭게 교배할 수 있고 같은 말을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으며 협력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 그가 사망한 이후에는 영국 편집자 레이몬드 포스트게이트(Raymond Postgate)(1896~1971)가 제2차 세계 대전(Second World War, WWII)(1939~1945)을 추가하고, 작가의 아들 G. P. 웰스(G. P. Wells)(1901~1985)가 선사시대에 대한 최신 이론을 추가하는 등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WE have brought this Outline of History up to our own times, but we have brought it to no conclusion. It breaks off at a dramatic phase of expectation. The story of life which began inestimable millions of years ago, the adventure of mankind which was already afoot half a million years ago, rises to a crisis in the immense interrogation of to-day. The drama becomes ourselves. It is you, it is I, it is all that is happening to us and all that we are doing which will supply the next chapter of this continually expanding adventure.

우리는 이 역사의 개요를 우리 시대까지 가져왔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습니다. 그것은 극적인 기대의 단계에서 끊어집니다.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수백만 년 전에 시작된 생명의 이야기, 이미 50만 년 전에 시작된 인류의 모험은 오늘날의 거대한 심문 속에서 위기로 치닫습니다. 드라마는 우리 자신이 됩니다. 바로 여러분, 저, 우리에게 일어나고 있는 모든 일들과 우리가 하고 있는 모든 일들이 이 끊임없이 확장되는 모험의 다음 장을 제공할 것입니다.

Our Outline of History has been ill written if it has failed to convey our conviction of the character of the state towards which the world is moving. Let us summarize here, very briefly, the main lines to which the developments of history seem to point as the necessary lines of that world organization. The attainment of this world state may be impeded and may be opposed to-day by many apparently vast forces; but it has, urging it on, a much more powerful force, that of the free and growing common intelligence of mankind.

우리의 세계사 대계(Outline of History)는 세계가 나아가고 있는 국가의 성격에 대한 우리의 확신을 전달하는 데 실패한다면 잘못 쓰여진 것입니다. 역사의 발전이 세계 조직의 필수 선으로 지목하는 주요 선들을 아주 간략하게 요약해 보겠습니다. 이 세계 국가의 성취는 오늘날 많은 명백히 거대한 힘에 의해 방해될 수 있고 반대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그것을 촉구하기 위해, 훨씬 더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류의 자유롭고 성장하는 공통 지능의 것입니다.

History is and must always be no more than an account of beginnings. We can venture to prophesy that the next chapters to be written will tell, though perhaps with long interludes of set-back and disaster, of the final achievement of world-wide political and social unity. But when that is attained, it will mean no resting stage, nor even a breathing stage, before the development of a new struggle and of new and vaster efforts. Men will unify only to intensify the search for knowledge and power, and live as ever for new occasions. Animal and vegetable life, the obscure processes of psychology, the intimate structure of matter and the interior of our earth, will yield their secrets and endow their conqueror.

역사는 언제나 시작에 지나지 않습니다. 우리는 다음 장들이 비록 오랫동안 좌절과 재난을 겪었지만, 세계적인 정치적, 사회적 통합의 최종 성과에 대해 말할 것이라고 감히 예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달성되면, 그것은 새로운 투쟁과 새롭고 더 방대한 노력의 발전 이전에 휴식 단계도, 심지어 숨 쉬는 단계도 의미하지 않을 것입니다. 인류는 지식과 권력에 대한 탐구를 강화하기 위해 단결할 것이며, 새로운 기회를 위해 변함없이 살아갈 것입니다. 동물과 식물, 심리학의 모호한 과정, 물질의 친밀한 구조와 우리 지구의 내부는 그들의 비밀을 산출하고 정복자에게 기부할 것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