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656 알렉상드르 뒤마의 마술사 발사모; 또는 의사의 회고록(English Classics656 Balsamo, the Magician; or, The Memoirs of a Physician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마술사 발사모; 또는 의사의 회고록(Balsamo, the Magician; or, The Memoirs of a Physician by Alexandre Dumas)(1891)은 루이 16세(King Louis XVI)(1774~1792)와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 d'Autriche)(1755~1793)가 활동한 18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한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a historical novel)입니다.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1789~1799)이 발발하기 20년 전 치러진 루이 16세와 마리의 결혼식(1770)에는 과연 어떤 사건사고가 벌어질까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마술사 발사모(Balsamo, the Magician)는 실존했던 이탈리아의 여행가이자 사기꾼(charlatan), 신비주의자이자 연금술사인 주세페 발사모(Giuseppe Balsamo)(1743~1795)를 의미하여, 그는 스스로를 알레산드로 디 칼리오스트로 백작(Count Alessandro di Cagliostro), 즉 칼리오스트로 백작이라 자칭하였습니다. 그 유명한 프리메이슨(1777)의 정회원으로 사교계에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나, 목걸이 사건(Affaire du collier de la reine)(1785)으로 몰락하였고, 1789년 로마에서 체포되어 종교재판에 회부, 1791년 종신형을 언도받았습니다. 그러나 그의 사후에도 그를 봤다는 목격담이 곳곳에서 흘러나오는데...?!

▶ 추기경이 은밀하게 건넨 마리 앙투아네트의 목걸이?! : 목걸이 사건(Affaire du collier de la reine)(1785)은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에게 환심을 사고 싶은 오스트리아 주재 프랑스 대사였던 로앙 추기경(Louis Ren? ?douard de Rohan)(1734~1803)에게 접근하여, 위조한 친필 편지와 서명 등으로 고가의 다이아몬드 목걸이를 대리 구매하도록 유도한 라모트 백작부인(Jeanne de Valois-Saint-R?my)(1756~1791)의 사기사건입니다. 애당초 루이 15세(Louis XV)(1710~1774)가 애첩 뒤바리 백작부인(Jeanne Antoinette B?cu, comtesse du Barry)(1743~1793)을 위하여 주문한 물건이지만,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천연두)으로 판매를 하지 못해 난처해진 보석상과 추기경의 욕망을 엮은 대담한 사기극으로 라모트 백작부인은 목걸이를 가로챈 후 해외에 매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사태의 전모를 알게 된 루이 16세(Louis XVI)(1754~1793)는 분노하였고 백작부인은 물론 추기경, 왕비 행세를 한 창녀 니콜, 주세페 발사모(Giuseppe Balsamo) 등을 체포하였습니다. 사건을 진두지휘한 백작부인만 유죄선고를 받았고, 주세페 발사모는 무죄로 풀려났으나 사교계에서 완전히 몰락하였습니다. 황당하게도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는 이 사건의 피해자에 불과하지만, 무능하면서도 사치스럽기 그지없는 왕실에 대한 적개심이 고조된 상황에서 결국 민심은 그녀에 대한 비판으로 들끓어 올랐고 이는 불과 4년 후 터진 프랑스 혁명의 단두대 처형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녀는 적대국 프랑스와의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정략결혼으로 프랑스에 보내졌으나, 프랑스의 대중은 그녀를 ‘적대국의 왕비’라고 여겼습니다. 결혼 후 7년간 자녀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남편의 공식 정부(ma?tresse en titre) 뒤바리 백작부인과의 사이도 좋지 않아 사교계에서 명망을 잃었고, 베르사유 정원 한 켠의 별궁 프티 트리아농(Petit Trianon)을 호화스럽게 개조했다는 오명을 얻는 등 궁정 생활은 시작부터 불편하기 그지없었습니다. 목걸이 사건은 그녀에 대한 오명과 악명에 불을 지르는 사건이였을 뿐…….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시리즈, 마리 앙투아네트 로맨스(The Marie Antoinette Romances) 시리즈, 의사의 회고록(The Memoirs of a Physician) 시리즈 : 붉은 집의 기사(The Knight of the Red House)(1845), 왕비의 목걸이(The Queen's Necklace)(1849), 바스티유 습격; 혹은 농부 피투(Taking the Bastille; Or, Pitou the Peasant)(1853), 마술사 발사모; 또는 의사의 회고록(Balsamo, the Magician; or, The Memoirs of a Physician)(1891), 왕립 근위대; 또는 왕실의 도피(The Royal Life Guard; or, the flight of the royal family by Alexandre Dumas)(1892), 민중의 영웅; 사랑, 자유, 충성의 역사적 로맨스(The Hero of the People; A Historical Romance of Love, Liberty and Loyalty by Alexandre Dumas)(1892), 최면술사의 희생자(The Mesmerist's Victim)(1894), 샤니 백작부인; 또는 루이 16세의 처형(The Countess of Charny; or, The Execution of King Louis XVI)(1900).

▶ CHAPTER I. THE GRAND MASTER OF THE SECRET SOCIETY. On the left bank of the Rhine, near the spot where the Selz rivulet springs forth, the foothill ranges rise of many mountains, of which the bristling humps seem to rush northerly like herds of frightened buffaloes, disappearing in the haze. These mountains tower over a deserted region, forming a guard around one more lofty than the rest, whose granite brow, crowned with a ruined monastery, defies the skies. It is Thunder Mount.

▷ 제1장. 비밀 사회의 그랜드 마스터. 라인강 왼쪽 제방, 잘츠 개울이 샘솟는 지점 근처에는 산기슭 산맥이 여러 개 솟아 있으며, 그 중 뻣뻣한 혹이 겁에 질린 버팔로 떼처럼 북쪽으로 달려가 안개 속으로 사라지는 것 같습니다. 이 산들은 황량한 지역 위에 우뚝 솟아 있어 나머지 사람들보다 더 높은 사람 주위에 경비병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의 화강암 이마는 폐허가 된 수도원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하늘을 무시합니다. 천둥산입니다.

▶ CHAPTER XI. A MARVEL OF MAGIC. Humble was Balsamo's bow; but immediately raising his intelligent and expressive brow, he fixed his clear eye, though with respect, on the chief guest, silently waiting for her to question him. "If you are the person Baron Taverney has mentioned, pray draw nigh that we may see what a magician is like." Balsamo came a step nearer and bowed to Marie Antoinette. "So you make a business of foretelling?" said the latter, sipping the milk while regarding the new comer with more curiosity than she liked to betray.

▷ 제11장. 마법의 경이. 겸손은 발사모의 활이었습니다. 그러나 즉시 총명하고 표현력이 풍부한 눈썹을 치켜들고, 비록 존경하는 마음으로 주요 손님을 바라보았지만, 조용히 그녀가 질문하기를 기다리면서 맑은 눈을 고정했습니다. "당신이 태버니 남작(Baron Taverney)이 언급한 사람이라면 마술사가 어떤 사람인지 볼 수 있도록 가까이 오십시오." 발사모는 한 걸음 더 다가와 마리 앙투아네트에게 절을 했습니다. "그래서 예언을 장사하는 겁니까?" 후자는 배신하기를 좋아하는 것보다 더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새로 온 사람에 대해 우유를 홀짝이며 말했습니다.

▶ "I make no business of it, but I do foretell, please your royal highness?" was the answer. "Educated in an enlightened faith, we place faith solely in the mysteries of our religion." "Undoubtedly they are worthy of veneration," responded the other dialoguist with a profound cong?. "But the Cardinal de Rohan here, though Prince of the Church, will tell you that they are not the only ones worthy of respect.“

▷ "나는 상관하지 않지만, 예언합니다. 폐하를 기쁘게 해 주시겠습니까?" 대답이었습니다. "계몽된 신앙으로 교육을 받은 우리는 오로지 우리 종교의 신비에만 믿음을 둡니다." "의심할 여지없이 그들은 존경받을 가치가 있습니다."라고 다른 대화 상대가 깊은 공감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하지만 여기 있는 드 로한 추기경은 비록 교회의 왕자이기는 하지만 존경받을 만한 유일한 사람이 아니라고 말할 것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72 알렉상드르 뒤마의 철가면(English Classics672 The Man in the Iron Mask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은 과연 누구일까?! : ‘철가면’은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로 전 세계에 명성을 떨친 ‘신원 미상의 죄수’로 뒤마 이전에도, 이후에도 수많은 작가와 감독에게 영감을 선사한 미스테리 캐릭터입니다. 1669~1670년 체포되어 종신형을 언도받고, 1703년 파리 바스티유 감옥에서 사망한 그의 정체에 대해서는 다양한 썰 ? 루이 13세(Louis XIII)(1601~1643)의 사생아 혹은 루이 14세의 친아버지, 정치인 헨리 크롬웰(Henry Cromwell)(1628~1674), 정치인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1599~1658)의 숨겨진 아들, 앙리 4세(Henri IV de France)(1553~1610) 사생아 프랑수아 드 벤드메(Duc de Beaufort)(1616~1669) 등이 존재합니다. 사실 그의 얼굴은 철가면이 아니라 검은 벨벳 천으로 가려져 있었는데, 이를 오인한 볼테르(Voltaire)(1694~1778)의 백과사전에 대한 질문(Questions sur l'Encyclop?die)(1771)을 통해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이란 명성(?!)을 얻게 되었습니다.

알렉상드르 뒤마는 당대 대중들의 사랑을 받은 달타냥 로망스(d'Artagnan Romances) 3부작을 통해 그가 ‘루이 14세의 일란성 쌍둥이 형제(the twin brother of Louis XIV)’라고 설정하였고 국왕이 정권에 대한 위협 때문에 평생 감옥에서 나올 수 없도록 가두었다는 설명에 많은 독자들이 공감하였습니다. 일개 죄수에게 루이 14세가 그에 대한 처우를 직접 지시했다는 것과 실제로 프랑스 왕의 가계도를 살펴보면 쌍둥이가 적지 않은 빈도로 발견된다는 점에서 그의 정체에 관한 궁금증은 현재까지도 식지 않은 떡밥이 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1802~1870)의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 샤를 오졔 드 바츠 드 카스텔모 달타냥 백작(Charles Ogier de Batz de Castelmore, Comte d'Artagnan, 1611?~1673), 일명 달타냥(d'Artagnan)은 뒤마의 소설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의 주인공이기 이전에, 프랑스 부르봉 왕조 시대 황실 총사대 대장으로 활약한 실존 인물 샤를 드 바츠 드 카스텔모르(Charles de Batz de Castelmore)(1611~1673)입니다. 뒤마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달타냥 로망스(d'Artagnan Romances) 3부작이라 불리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 20년 후(The Twenty Years After)(1945), 브로즐린 자작 : 10년 후(The Vicomte of Bragelonne : Ten Years Later)(1847~1850)를 집필하였습니다.

▶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순서 :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fiction)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일부에 해당하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1844)의 후속작(a sequel)입니다. ‘10년 후’란 제목 때문에 삼총사(1844)로부터 10년 후, 즉 3부작의 두 번째에 해당하는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보다 앞선 시기의 이야기로 오해하기 쉽습니다만,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전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3부작을 작품의 배경에 따라 정리하면, 최초로 공개한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의 배경은 1625~1628년,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는 1648~1649년,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1660~1661년입니다. 즉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삼총사(1625~1628)와 삼총사 20년 후(1648~1649)의 배경을 기준으로 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출판사와 언어별로 출간된 시점과 무관하게 작품의 배경 순서에 따라 읽는 것 또한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을 즐기는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국가와 언어별로 분절 출간된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 10년 후(Ten Years Later),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부인(Louise de la Valliere),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은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완결편의 일부로 각각 1~75 챕터, 76~140 챕터, 141~208 챕터, 209~269 챕터에 해당하며, 이에 대해서는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1847)의 서문(Introduction)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Chapter I. The Prisoner. Since Aramis’s singular transformation into a confessor of the order, Baisemeaux was no longer the same man. Up to that period, the place which Aramis had held in the worthy governor’s estimation was that of a prelate whom he respected and a friend to whom he owed a debt of gratitude; but now he felt himself an inferior, and that Aramis was his master. He himself lighted a lantern, summoned a turnkey, and said, returning to Aramis, “I am at your orders, monseigneur.” Aramis merely nodded his head, as much as to say, “Very good”; and signed to him with his hand to lead the way. Baisemeaux advanced, and Aramis followed him.

▷ 제1장. 죄수. 아라미스가 수도회의 고해 신부로 변모한 이후로 바이즈모는 더 이상 같은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 기간까지 아라미스가 합당한 총독의 평가에 있었던 위치는 그가 존경하는 고위 성직자와 감사의 빚을 지고 있는 친구의 위치였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는 자신이 열등하다고 느꼈고 아라미스가 그의 주인임을 느꼈다. 그는 직접 손전등을 켜고 턴키를 불러서 아라미스로 돌아가면서 "당신의 명령을 따르겠습니다, 몬세뉴르"라고 말했습니다. 아라미스는 그저 “아주 좋군”이라고 고개를 끄덕일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길을 인도하기 위해 손으로 그에게 서명했습니다. 바이즈모는 전진했고 아라미스는 그를 따랐습니다.

▶ Chapter LX. The Last Canto of the Poem. On the morrow, all the noblesse of the provinces, of the environs, and wherever messengers had carried the news, might have been seen arriving in detachments. D’Artagnan had shut himself up, without being willing to speak to anybody. Two such heavy deaths falling upon the captain, so closely after the death of Porthos, for a long time oppressed that spirit which had hitherto been so indefatigable and invulnerable. Except Grimaud, who entered his chamber once, the musketeer saw neither servants nor guests. He supposed, from the noises in the house, and the continual coming and going, that preparations were being made for the funeral of the comte. He wrote to the king to ask for an extension of his leave of absence.

▷ 제60장. 시의 마지막 칸토. 내일이면 속주와 주변, 그리고 전령이 소식을 전한 곳이면 어디든지 모든 귀족들이 분견대로 도착하는 것을 볼 수 있었을 것입니다. 달타냥은 누구에게도 말할 생각도 없이 입을 다물었습니다. 포르토스가 죽은 후 아주 밀접하게 일어난 두 번의 큰 죽음은 지금까지 지칠 줄 모르는 불굴의 정신을 오랫동안 억압했습니다. 그의 방에 한 번 들어간 그리모를 제외하고 총사에게는 하인도 손님도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는 집안의 소음과 계속되는 오고가는 것으로부터 백작의 장례식을 준비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왕에게 편지를 써서 휴가를 연장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66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 20년 후Ⅰ(English Classics666 Twenty Years AfterⅠ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의 인기에 힘입어 1845년 1월부터 8월까지 연재한 후속작(a sequel)이자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두 번째 작품으로 프랑스어 원제는 Vingt ans apr?s(20년 후). 작품은 프랑스 부르봉 왕조에 반기를 든 귀족 세력의 내란 - 프롱드의 난(The Fronde)(1648~1653), 루이 14세(Louis XIV)(1638~1715)의 통치,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1599~1658)의 승리와 찰스 1세(King Charles I)(1625~1649)의 처형(1649) 등 프랑스 17세기 중반의 혼란한 시기를 배경으로 합니다. 20년의 세월이 흐른 후 사총사(四銃士)는 이제 서로 다른 삶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달타냥만이 총사로써 20년째 중위(a lieutenant)로 복무하고 있을 뿐 아토스는 자신의 영지로 돌아갔고, 포르토스는 결혼을, 아라미스는 사제가 되었습니다. 마자랭 추기경(Cardinal Mazarin)의 명을 받은 달타냥은 바스티유 감옥에서 로슈포르 백작(Comte de Rochefort)을 구출한 후 새로운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옛 친구들을 찾아 나서는데……. 그들은 과연 현재의 삶을 버리고, 총사로써의 명예를 위해 다시 한 번 칼을 치켜들 수 있을까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올포원, 원포올(All fer one, One for all)! :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스워시버클러 장르(the swashbuckler genre) 프랑스 역사소설(a French historical adventure novel)이자 모험 소설(adventure novel)로 프랑스어 원제는 Les Trois Mousquetaires(삼총사). 정의를 위해 싸우는 기사도적인 검사(chivalrous swordsmen)가 등장하지요! 3번째 프랑스 혁명(R?volution fran?aise)(1848)이 발발하기 이전인 1844년 3월부터 르 시에클(Le Si?cle)을 통해 연재되기 시작하였으며, 작가는 주인공 달타냥(Charles de Batz-Castelmore d'Artagnan)의 목소리를 빌려 앙시앵 레짐(Ancien R?gime), 당시 프랑스의 절대 군주 정체를 비판하였습니다. 달타냥과 아토스(Athos), 프로토스(Porthos), 아라미스(Aramis)의 모험에 함께하시겠습니까?

▶ 달타냥은 삼총사(三銃士)가 아니다?! : 번외적으로 프랑스어 원제의 Mousquetaires, 즉 총사(銃士)란 머스켓으로 무장한 근세 보병으로, 19세기 프랑스의 왕실 호위병(Mousquetaires de la garde)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작품에서는 총은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주인공은 주로 칼을 들고 싸운다는……. 오늘날 삼총사(三銃士)는 ‘세 명의 죽마고우’를 일컫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만, 작품에 등장하는 달타냥,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는 분명 네 명인데...?! 총사에 가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하급 귀족 달타냥은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와 구분되는 캐릭터로 역사의 운명에 도전하는 주인공입니다. 제목의 삼총사는 어디까지나 달타냥을 제외한 세 명의 왕실 호위병 -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를 의미합니다. 물론 작품의 끝자락에서 리슐리외가 달타냥에게 총사대 부대장 임명장을 써주는 장면이 등장하지만, 이는 곧 삼총사(三銃士)란 작품의 완결을 의미하지요.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1802~1870)의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 샤를 오졔 드 바츠 드 카스텔모 달타냥 백작(Charles Ogier de Batz de Castelmore, Comte d'Artagnan, 1611?~1673), 일명 달타냥(d'Artagnan)은 뒤마의 소설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의 주인공이기 이전에, 프랑스 부르봉 왕조 시대 황실 총사대 대장으로 활약한 실존 인물 샤를 드 바츠 드 카스텔모르(Charles de Batz de Castelmore)(1611~1673)입니다. 뒤마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달타냥 로망스(d'Artagnan Romances) 3부작이라 불리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 20년 후(The Twenty Years After)(1945), 브로즐린 자작 : 10년 후(The Vicomte of Bragelonne : Ten Years Later)(1847~1850)를 집필하였습니다.

▶ Chapter I. The Shade of Cardinal Richelieu. In a splendid chamber of the Palais Royal, formerly styled the Palais Cardinal, a man was sitting in deep reverie, his head supported on his hands, leaning over a gilt and inlaid table which was covered with letters and papers. Behind this figure glowed a vast fireplace alive with leaping flames; great logs of oak blazed and crackled on the polished brass andirons whose flicker shone upon the superb habiliments of the lonely tenant of the room, which was illumined grandly by twin candelabra rich with wax-lights.

▷ 제1장. 리슐리외 추기경의 그늘. 이전에 팔레 추기경이라고 불렸던 팔레 루아얄(the Palais Cardinal)의 화려한 방에서 한 남자가 두 손으로 머리를 받치고 편지와 종이로 덮인 금박 상감 테이블 위에 기대어 깊은 환상에 잠겨 앉아 있었습니다. 이 형상 뒤에는 거대한 벽난로가 활활 타오르는 불꽃으로 빛나고 있었습니다. 광택이 나는 황동과 철에 타오르고 딱딱거리는 커다란 참나무 통나무가 방에 사는 외로운 세입자의 훌륭한 면모를 깜박거리며 빛나고 있었고, 밀랍 조명이 풍부한 쌍 촛대에 의해 웅장하게 비춰졌습니다.

▶ Chapter L. The Interview. It had been D’Artagnan’s practice, ever since the riots, to sleep in the same room as Porthos, and on this eventful morning he was still there, sleeping, and dreaming that a yellow cloud had overspread the sky and was raining gold pieces into his hat, which he held out till it was overflowing with pistoles. As for Porthos, he dreamed that the panels of his carriage were not capacious enough to contain the armorial bearings he had ordered to be painted on them. They were both aroused at seven o’clock by the entrance of an unliveried servant, who brought a letter for D’Artagnan.

▷ 제50장. 인터뷰. 폭동 이후로 달타냥은 포르토스와 같은 방에서 잠을 자는 것이 관례였으며, 이 다사다난한 아침에도 그는 여전히 그곳에 있었고, 노란 구름이 하늘을 뒤덮고 금 조각을 비가 내리는 꿈을 꾸었습니다. 권총이 가득 찰 때까지 내밀었던 모자. 포르토스에 관해서는, 그는 그의 마차 패널이 그가 그 위에 칠하도록 주문한 장갑 베어링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지 않다는 꿈을 꾸었습니다. 그들은 둘 다 7시에 달타냥에게 편지를 가져온 배달되지 않은 하인의 입구에 의해 깨어났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55 알렉상드르 뒤마의 예후의 동반자(English Classics655 The Companions of Jehu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자코뱅파를 물리쳐라! 왕당파 테러리스트,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 :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 by Alexandre Dumas)(1857)는 1795년 프랑스 리옹(Lyon region of France)에서 공포의 통치를 펼친 자코뱅(Jacobins)을 공격하기 위해 결성된 왕당파 지하 그룹(Royalist underground groups)을 모티브로 집필한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소설입니다. 알렉상드르 뒤마는 역사 속에 분명한 흔적을 남겼으면서도 구체적인 행적은 묘연한 ‘반(反)자코뱅 테러리스트’를 소재로 자신의 상상력을 발휘하였습니다. 1966년 프랑스에서 TV드라마 Les Compagnons de J?hu(예후의 동반자)로 제작 및 방영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예후(Jehu)(BC842~815)는 여호람 왕과 아하지야 왕을 살해하고, 북이스라엘 왕국(Mamlekhet Yisra'el)의 10대 왕이자 예후 왕조의 시조가 되는 인물입니다. 그의 행적 중에 가장 유명한 것은 바알숭배자와 제사장을 바알성전에 불러 모은 뒤 몰살시킨 것으로 이로써 북이스라엘 왕국에서 아합 가문이 멸망하고, 예후 왕조가 시작되었습니다. 그가 바알숭배자를 몰살함으로써 (숭배자가 많은) 남유다 왕국과 페니키아와의 관계가 악화되었는데, 아시리아의 샬마네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치며 속국을 자청하는 외교술로 극복하였습니다. 그의 행적은 구약 열왕기하(列王記下)를 비롯해 현재 영국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검은 오벨리스크(Black Obelisk)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 by Alexandre Dumas)(1857)의 자코뱅은 (마치 바알숭배자와 같이) 프랑스를 가톨릭 종교로부터 멀어지게 만드는 ‘악의 세력’으로, 예후는 악의 세력으로부터 프랑스를 구원하는 ‘정의의 세력’으로 비유됩니다.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는 폭력으로써 바알숭배자를 몰살시킨 행적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 ‘불의의 통치에 맞선 무장단체’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는 실존했는가?! : 1795년 5월 4일 자코뱅 수감자 99명이 살해당한 것을 시작으로 수많은 자코뱅파가 구타와 폭행은 물론 살해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결국 혼란한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군대가 진압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적인 테러와 혼란 속의 린치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었기 때문에 군사재판에서도 그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가려내진 못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혹자는 반자코뱅파, 즉 왕당파가 개별적으로 활동했을 뿐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란 단체는 애당초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합니다. 실제로 루이 18세(Louis XVIII)(1755~1824)가 집권한 이후 공로가 큰 왕당파에게 연금과 훈장을 수여하였으나, 예후의 동반자(The Companions of Jehu)임을 주장한 이는 등장하지 않았으며, 구체적인 물증 또한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1796년 프랑스 포레즈(Forez)와 도피네(Dauphin?)에서 왕당파 지하 그룹을 결성한 콩데 왕자(the Prince of Cond?)와 베시냥 후작(Marquis de Besignan)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될 뿐….

▶ AN INTRODUCTORY WORD TO THE READER. Just about a year ago my old friend, Jules Simon, author of “Devoir,” came to me with a request that I write a novel for the “Journal pour Tous.” I gave him the outline of a novel which I had in mind. The subject pleased him, and the contract was signed on the spot. The action occurred between 1791 and 1793, and the first chapter opened at Varennes the evening of the king’s arrest. Only, impatient as was the “Journal pour Tous,” I demanded a fortnight of Jules Simon before beginning my novel. I wished to go to Varennes; I was not acquainted with the locality, and I confess there is one thing I cannot do; I am unable to write a novel or a drama about localities with which I am not familiar.

▷ 독자에게 소개. 1년 전쯤, "Devoir"의 작가인 제 오랜 친구 Jules Simon이 제게 와서 "Journal pour tou"의 소설을 써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나는 그에게 내가 생각하고 있던 소설의 개요를 말해 주었습니다. 그 주제는 그를 기쁘게 했고, 계약은 즉석에서 체결되었습니다. 이 행동은 1791년과 1793년 사이에 일어났고, 왕이 체포된 날 저녁에 바렌에서 첫 번째 장이 열렸습니다. 단지 "Journal pour Tou"처럼 참을성이 없어서, 저는 제 소설을 쓰기 전에 Jules Simon의 2주간의 책을 요구했습니다. 저는 바렌에 가고 싶었습니다; 저는 그 지역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제가 할 수 없는 것이 하나 있습니다; 저는 제가 익숙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소설이나 드라마를 쓸 수 없습니다.

▶ PROLOGUE. THE CITY OF AVIGNON. We do not know if the prologue we are going to present to our readers’ eyes be very useful, nevertheless we cannot resist the desire to make of it, not the first chapter, but the preface of this book. The more we advance in life, the more we advance in art, the more convinced we become that nothing is abrupt and isolated; that nature and society progress by evolution and not by chance, and that the event, flower joyous or sad, perfumed or fetid, beneficent or fatal, which unfolds itself to-day before our eyes, was sown in the past, and had its roots sometimes in days anterior to ours, even as it will bear its fruits in the future.

▷ 프롤로그, 아비뇽의 도시. 우리는 우리가 독자들의 눈에 보여줄 서문이 매우 유용한지 알 수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을 거부할 수 없습니다, 첫 장이 아니라 이 책의 서문입니다. 우리가 삶을 더 발전시킬수록, 우리가 예술에 더 많이 진보할수록, 우리는 어떤 것도 갑작스럽고 고립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더 확신하게 됩니다; 자연과 사회는 우연이 아닌 진화에 의해 발전하고, 그리고 오늘 우리의 눈앞에 펼쳐지는 그 사건, 꽃은 기쁘거나 슬프거나 향기롭거나 페티드이거나, 자비롭거나 치명적인 것이 과거에 뿌려졌고, 그리고 그것의 존재를 갖게 되었습니다. 뿌리는 때때로 미래에 열매를 맺을지라도 우리의 날보다 먼저 뿌리를 내립니다.

▶ CHAPTER LVI. CONCLUSION. In the meantime the French army continued its march, and on the 5th of June it entered Milan. There was little resistance. The fort of Milan was invested. Murat, sent to Piacenza, had taken the city without a blow. Lannes had defeated General Ott at Montebello. Thus disposed, the French army was in the rear of the Austrians before the latter were aware of it.

▷ 제16장 결론. 그러는 동안 프랑스군은 행군을 계속했고, 6월 5일에 밀라노에 입성했습니다. 저항은 거의 없었습니다. 밀라노의 요새가 건설되었습니다. 피아첸차로 보내진 뮈라(Murat)는 아무런 타격 없이 도시를 점령했습니다. 랜스는 몬테벨로에서 오트 장군을 물리쳤습니다. 따라서 프랑스군은 오스트리아군이 눈치 채기 전에 오스트리아군의 후방에 있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54 알렉상드르 뒤마의 코르시카 형제(English Classics654 The Corsican Brothers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너와 나의 연결고리, 쌍둥이의 비밀 : 코르시카 형제(The Corsican Brothers by Alexandre Dumas)(1844)는 태어나자마자 헤어진 쌍둥이 형제를 소재로 한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노벨라(a novella)입니다. 같은 부모에게서 비슷한 시간에 태어난 일란성 쌍둥이는 흡사한 외모와 전혀 다른 삶이란 측면에서 작가들의 상상력의 대상으로 애용되었습니다. 추리물의 쌍둥이는 존재 자체로 스포일러가 되는가하면, 수십 년의 세월이 흐른 끝에 다시 만나는 감동을 자아내기도 하지요. 심지어 쌍둥이가 물리적인 거리를 초월해 서로의 고통과 기쁨을 느낀다거나, 서로의 의사를 텔레파시로 주고받는다는 설정은 현대의 여러 소설과 영화에서 변주될 정도로 우리에게 친숙한 쿨리셰입니다. 대표적으로 지아이조(G.I. Joe)에는 크림슨 가드(Crimson Guard)의 지휘관으로 토맥스(Tomax)와 자못(Xamot)이 등장하는데 그들은 대화 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지만, 상대방의 고통 또한 느낄 수 있는 쌍둥이 형제입니다. 데즈카 오사무(Osamu Tezuka)(1828~1989)의 만화 블랙잭(Black Jack)(1973~1983)에는 한발 더 나아가 언니의 몸에 유착된 기생 쌍둥이(Parasitic twin) 피노코(Pinoko)가 등장합니다. 그녀에게는 자신을 떼어내려는 시도를 할 때마다 이를 방해할 수 있는 묘한 초능력이 있지요! 19세기의 대중소설작가 뒤마는 과연 쌍둥이란 흥미진진한 소재를 어떻게 변주하였을까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작품의 배경은 1841년, 프랑스보다 이탈리아와 더 가까운 코르시카 섬의 과부 사빌리아 드 프랑키(Savilia de Franchi)의 집에서 시작됩니다. 그녀는 샴쌍둥이 루이스(Louis)와 루시앙(Lucien)을 낳았고, 그들은 다행히 의사의 손길 덕분에 태어나자마자 무사히 분리될 수 있었습니다. 각각 파리와 코르시카에서 서로 떨어져 자랄 수밖에 없었으나, 극히 낮은 확률을 딛고 건강하게 성인이 되었습니다. 직선거리로 900km에 달하는 파리와 코르시카란 물리적인 거리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서로의 존재를 느끼는데……. 과연 화자를 초청한 루시앙의 의도는 무엇일까요? 그는 대체 왜 올란디와 콜로나 패밀리(the Orlandi and Colona families) 간의 복수극에 끼어든 것일까요?

▶ 초자연적인 능력을 가진 쌍둥이는 수많은 감독과 공연연출가의 관심을 받았고, 1852년 연극과 1898년 영화를 시작으로 영국을 비롯해 미국, 프랑스, 인도, 아르헨티나, 스리랑카 등 세계 각지에서 수차례, 아니 수십 차례 제작 및 방영되었습니다. 1970년 미국 시트콤 아내는 요술쟁이(Bewitched)에서 이 같은 클리셰를 활용한 코르시칸 사촌(The Corsican Cousins)편이 방영된 바 있으며, 성룡이 일인이역으로 활약한 홍콩영화 쌍룡회(Twin Dragons)(1992) 또한 유러머스한 쌍둥이 형제의 활극을 다루고 있습니다.

▶ CHAPTER I. IN the beginning of March, 1841, I was travelling in Corsica. Nothing is more picturesque and more easy to accomplish than a journey in Corsica. You can embark at Toulon, in twenty hours you will be in Ajaccio, and then in twenty-four hours more you are at Bastia. Once there you can hire or purchase a horse. If you wish to hire a horse you can do so for five francs a-day; if you purchase one you can have a good animal for one hundred and fifty francs. And don’t sneer at the moderate price, for the horse hired or purchased will perform as great feats as the famous Gascon horse which leaped over the Pont Neuf, which neither Prospero nor Nautilus, the heroes of Chantilly and the Champ de Mars could do.

▷ 제1장. 1841년 3월 초, 나는 코르시카를 여행하고 있었습니다. 코르시카에서의 여행보다 더 아름답고 성취하기 쉬운 것은 없습니다. 툴롱에서 출발하면 20시간이면 아작시오에, 24시간 후면 바스티아에 도착합니다. 그곳에서 말을 고용하거나 구매할 수 있습니다. 말을 고용하고 싶다면 하루에 5프랑만 내면 됩니다. 한 마리를 사면 백오십 프랑에 좋은 동물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적당한 가격에 비웃지 마십시오. 고용하거나 구매한 말은 샹티이와 샹 드 마르스의 영웅 프로스페로나 노틸러스도 할 수 없었던 퐁네프를 뛰어넘은 유명한 가스콩 말만큼 위대한 업적을 수행할 것입니다.

▶ CHAPTER XI. FROM the top of the steps by which one reached the door of the chateau usually inhabited by Madame de Franchi and her son, one could look over the square. This square, so silent the night before, was now full of people, but curiously enough there was not a man to be seen, the crowd was composed of women and children under twelve. On the lowest step of the church door we could perceive a man girdled with a tri-coloured sash. This was the mayor. Under the portico, another man clothed in black was seated at a table. This was the notary, and the written paper under his hand was the act of reconciliation.

▷ 제11장. 일반적으로 마담 드 프랑키와 그녀의 아들이 거주하는 성의 문에 도달하는 계단의 꼭대기에서 광장을 내려다볼 수 있었습니다. 전날 밤 그토록 조용했던 이 광장은 이제 사람들로 가득 찼지만 이상하게도 남자는 보이지 않았고 군중은 여자와 12세 미만의 어린이들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교회 문의 가장 낮은 계단에서 우리는 삼색 띠를 두른 한 남자를 볼 수 있었습니다. 시장이었습니다. 현관 아래에는 검은 옷을 입은 또 다른 남자가 테이블에 앉았습니다. 이것은 공증인이었고 그의 손에 든 서면은 화해의 행위였습니다.

▶ CHAPTER XX. LUCIEN’S appearance created quite a sensation in consequence of his remarkable likeness to his brother. The news of Louis’ death had gone abroad?not, perhaps, in all its details, but it was known, and Lucien’s appearance astonished many. I requested a private room, saying that we were expecting the Baron Giordano, and we got a room at the end. Lucien began to read the papers carelessly, as if he were oblivious of everything. While we were seated at breakfast Giordano arrived. The two young men had not met for four or five years, nevertheless, a firm clasp of the hand was the only demonstration they permitted themselves.

▷ 제20장. 루시앙의 외모는 그의 형과의 놀라운 닮은 결과로 인해 상당한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루이의 죽음에 대한 소식은 해외에 퍼졌습니다. 아마도 모든 세부 사항은 아니지만 알려졌고 루시앙의 모습은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습니다. 지오다노 남작을 기대하고 있다며 개인실을 요청했더니 결국 방을 얻게 됐습니다. 루시앙은 마치 모든 것을 잊은 것처럼 부주의하게 신문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아침 식사에 앉아있는 동안 지오나도가 도착했습니다. 두 젊은이는 4, 5년 동안 만나지 않았지만, 그들에게 허락된 유일한 시연은 손을 꼭 잡은 것뿐이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75 알렉상드르 뒤마의 프로이센 테러(English Classics675 The Prussian Terror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로이센 테러(The Prussian Terror by Alexandre Dumas)(1915)는 프로이센 왕국과 오스트리아 제국간의 국제전쟁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Austro-Prussian War)(1866) 일명 7주전쟁(Seven Weeks' War)을 배경으로 한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a historical novel)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Austro-Prussian War)(1866)에서 프로이센이 승리를 거듭함에 따라, 7주 만에 휴전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전쟁이 종식되었습니다. 이로써 오스트리아가 주도한 독일 연방(Deutscher Bund)(1815~1866)이 막을 내리고, 프로이센 주도의 북독일 연방(Norddeutscher Bund)(1867~1871)이 공식 승인되었습니다. 그러나 평화는 잠시 뿐, 불과 4년 후 다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Franco-Prussian War)(1870~1871)이 발발하고야 마는데…. 과연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국운은 어디로 기울 것인가?!

▶ 프로이센(Preussen) VS 오스트리아(?sterreich) : 국경선을 맞댄 국가 간에 사이가 좋을 수 있을까요?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간의 주도권 경쟁은 수많은 국가, 왕조, 세력이 다툼을 벌여온 유럽 내에서는 그리 신기한 일도 아닙니다.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1483~1546)의 95개조 반박문(Ninety-five Theses)에서 촉발된 종교개혁(Reformation)(1517), ‘서유럽 최후의 종교전쟁’이자 ‘서양 최초의 국제전쟁’이라 불린 30년 전쟁(Thirty Years' War)(1618~1648),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의 차기 왕위 계승권을 둘러싸고 발발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sterreichischer Erbfolgekrieg)(1740~1748),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Maria Theresia)(1717~1780)가 프리드리히 2세(Friedrich II)(1712~1786)에게 복수의 칼날을 치켜든 7년 전쟁(The Seven Years' War)(1756~1763)….

▶ INTRODUCTION. The enemy passed beneath our window and then out of view. A moment afterwards we heard the sound as it were of a hurricane; the house trembled to the gallop of horses. At the end of the street the enemy had been charged by our cavalry; and, not knowing our small numbers, they were returning at full speed hotly pursued by our men. Pell-mell they all passed by?a whirlwind of smoke and noise. Our soldiers fired and slashed away, the enemy on their side fired as they fled.

▷ 소개. 적은 우리 창 아래로 지나가다가 시야에서 사라졌습니다. 잠시 후 우리는 허리케인 같은 소리를 들었습니다. 집은 말의 질주로 흔들렸습니다. 거리 끝에서 적이 우리 기병에게 돌격했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우리의 적은 수를 알지 못한 채 우리 병사들의 맹렬한 추격을 받아 전속력으로 돌아오고 있었습니다. 연기와 소음의 회오리바람이 모두 스쳐지나갔습니다. 우리 병사들은 총을 쏘고 베고, 옆에 있던 적들은 달아나면서 발포했습니다.

▶ CHAPTER I. BERLIN. The architect of Berlin appears to have carefully designed his plan according to line and rule in order to produce a capital of dullness as far removed from the picturesque as his ingenuity could accomplish. Seen from the cathedral, which is the loftiest point attainable, the place suggests an enormous chess-board on which the Royal Palace, the Museum, Cathedral, and other important buildings fairly represent kings, queens, and castles.

▷ 제1장. 베를린. 베를린의 건축가는 그의 독창성이 달성할 수 있는 한 그림 같은 것과는 거리가 먼 둔탁한 수도를 만들기 위해 선과 규칙에 따라 계획을 신중하게 설계한 것으로 보입니다. 도달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지점인 대성당에서 보면 왕궁, 박물관, 대성당 및 기타 주요 건물이 왕과 왕비, 성을 공평하게 나타내는 거대한 체스 판을 암시합니다.

▶ CHAPTER XXXVI. "WAIT AND SEE". You, yourself, were so good as to acknowledge that I had a reputation for courage, and you added that you knew me to be a first-rate shot and swordsman. You cannot, therefore, attribute my refusal to any fear of facing you. A proverb, common to all countries, says: 'Mountains do not meet, but men do.' If we meet anywhere else than in Prussia, and if you are still desirous of killing me, we will see about settling this little matter; but I warn you that the result is by no means a foregone conclusion, and that you will have more trouble than you expect in keeping your promise to your friend Frederic.

▷ 제36장. "기다림 그리고 봄". 당신은 내가 용기 있는 사람으로 명성이 높다는 것을 인정할 만큼 훌륭했고, 당신은 내가 일류 사격과 검사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므로 당신은 내가 거절한 것이 당신을 대면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모든 나라에 공통된 속담에 '산은 만나지 않고 사람은 만난다.'는 말이 있습니다. 만약 우리가 프로이센이 아닌 다른 곳에서 만나고 당신이 여전히 나를 죽이고자 한다면 이 작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알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그 결과가 결코 예견된 결론이 아니며 친구인 프레데릭과의 약속을 지키는 데 예상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임을 경고합니다.

▶ CONCLUSION. "And now, my little doggies, as you have the honour to be Prussian dogs, shout 'Hurrah for the King of Prussia!'" Then every man pressed his toe upon the tail, the ear, or the paw of his dog, and there arose such frightful uproar, including the deepest and the shrillest notes, as could only be covered by the band of the 34th Prussian Regiment playing "Heil dir im Siegeskranze," which means "Hail to thee in the crown of victory." Thus was the former free town of Frankfort united to the kingdom of Prussia. But many people say that it is not stitched, but only tacked on.

▷ 결론. "그리고 이제 나의 작은 강아지들이여, 당신이 프러시아의 개라는 영예를 얻었으니, '프로이센의 왕을 위한 만세!'라고 외치십시오! 34 프로이센 연대의 악단이 연주하는 "Heil dir im Siegeskranze"(이것은 "승리의 왕관에 만세"를 의미함)만이 가릴 수 있는 가장 깊고 날카로운 소리를 포함하여 무서운 소란이 일어났습니다. 따라서 이전의 자유 도시인 프랑크포르는 프로이센 왕국에 통합되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꿰매는 것이 아니라 붙일 뿐이라고 말합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61 알렉상드르 뒤마의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프랑스 왕녀(여왕 마고)(English Classics661 Marguerite de Valois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프랑스 왕녀(여왕 마고)(Marguerite de Valois by Alexandre Dumas)(1845)는 샤를 9세(Charles IX of France)(1550~1574)의 집권 시기 발발한 프랑스 종교 전쟁(French Wars of Religion)(1562~1598), 일명 위그노 전쟁(Huguenots Wars)을 배경으로 하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fiction)입니다. 제목에서 짐작할 수 있듯 앙리 2세(Henry II)(1519~155)의 딸 마르그리트 드 발루아 프랑스 왕녀(Marguerite de Valois)(1553~1615), 일명 여왕 마고(Queen Margot)가 연인과의 결혼을 반대하는 자신의 어머니 카트린 드 메디시스(Catherine de Medici)(1519~1589)와 오빠 샤를 9세(Charles IX)(1550~1574)와 대립하는 주인공으로 등장합니다. 과연 그녀는 자신의 연인과 결혼할 수 있을까요? 운명의 신은 과연 그녀에게 어떠한 삶을 허락할 것인가?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어려서부터 똑똑하고 아름답기로 유명한 그녀는 기즈 가문의 앙리 1세 드 기즈 공작(Henri Ier de Guise)(1550~1588)과 사랑에 빠졌으나, 계승권이 기즈 가문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한 어머니와 자신의 오빠 샤를 9세(Charles IX)(1550~1574)의 반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녀는 개신교에 대한 화해의 제스처로 나바르 여왕 호아나 3세 나파로아코아(Joana III.a Nafarroakoa)(1528~1572)의 아들 앙리 4세(Henri IV)(1553~1610)와 정략결혼, 그의 첫 번째 부인이 되었습니다.

▶ 영화 여왕 마고(La Reine Margot)(1994)의 모티브가 된 라 몰르(Joseph Boniface de La M?le)(1526~1574)와의 스캔들 : 그러나 가톨릭과 위그노인(Huguenot) 간의 불화는 왕실간의 결혼 따위로 무마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고, 결국 성 바르톨로메오 축일의 학살(St. Bartholomew's Day Massacre)(1572)이라 불리는 사건이 터지고 맙니다! 당시 혼란한 상황에서 여왕 마고가 구한 라 몰르(Joseph Boniface de La M?le)(1526~1574)와의 스캔들은 영화 여왕 마고(La Reine Margot)(1994)의 모티브가 되었습니다. 앙리 마고 역을 자벨 야스미나 아자니(Isabelle Yasmina Adjani)(1955~), 이자벨 아자니가 맡았습니다. 실제 역사에서 여왕의 침실에서 구조된 인물은 라 몰르가 아닌, 테이안(M. de Teian)이란 인물입니다.

번외적으로 라 몰르는 샤를 9세에 대한 암살 혐의로 사형을 선고, 파리 그레브 광장(Place de Gr?ve)에서 참수되었습니다. 그의 죽음은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1564~1616)의 4대 비극 - 헨리 6세(King Henry VI) 제4장의 소재가 되었고, 작품에서 마고는 잘린 옛 연인의 머리를 가져갑니다;;

▶ 여왕 마고는 정략결혼으로 만난 남편과의 사이에서 후사를 낳지 못했고 이 때문인지 (서로) 자유롭게 연인을 만났습니다. 개신교도인 남편의 왕위 계승을 막기 위해 반역을 일으킬 정도로 자유롭게(?!) 살았으며, 이로 인해 (고작?!) 이혼을 당했을지언정 프랑스의 공주이자 왕비라는 지위를 평생 유지, 파리에서 호화스럽게 살았습니다. 이혼 후 전남편의 두 번째 아내 마리 드 메디시스(Maria de' Medici)(1575~1642)나 그들의 자식들과 사이가 좋았다네요. 적잖은 남자관계에도 불구하고 단 한명의 자식조차 남기지 않았기 때문에 불임이 아닐까 추측됩니다. 그녀의 죽음으로 인해 발루아 왕조(Dynastie des Valois)(1372~1589)는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부르봉 왕조(Maison de Bourbon)(1589~1792ㅡ1814~1830)가 시작되었습니다.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프랑스 혁명(French Revolution) 시리즈, 마리 앙투아네트 로맨스(The Marie Antoinette Romances) 시리즈, 의사의 회고록(The Memoirs of a Physician) 시리즈 : 붉은 집의 기사(The Knight of the Red House)(1845), 왕비의 목걸이(The Queen's Necklace)(1849), 바스티유 습격; 혹은 농부 피투(Taking the Bastille; Or, Pitou the Peasant)(1853), 마술사 발사모; 또는 의사의 회고록(Balsamo, the Magician; or, The Memoirs of a Physician)(1891), 최면술사의 희생자(The Mesmerist's Victim)(1894), 샤니 백작부인; 또는 루이 16세의 처형(The Countess of Charny; or, The Execution of King Louis XVI)(1900)

▶ CHAPTER I. MONSIEUR DE GUISE'S LATIN. On Monday, the 18th of August, 1572, there was a splendid festival at the Louvre. The ordinarily gloomy windows of the ancient royal residence were brilliantly lighted, and the squares and streets adjacent, usually so solitary after Saint Germain l'Auxerrois had struck the hour of nine, were crowded with people, although it was past midnight. In spite of the royal festival, and perhaps even because of the royal festival, there was something threatening in the appearance of the people, for no doubt was felt that this imposing ceremony which called them there as spectators, was only the prelude to another in which they would participate a week later as invited guests and amuse themselves with all their hearts.

▷ 제1장. 무슈 드 기즈(MONSIEUR DE GUISE)의 라틴어. 1572년 8월 18일 월요일, 루브르 박물관에서 화려한 축제가 있었습니다. 평소에는 어두웠던 고대 왕실의 창문은 환하게 밝혀져 있었고, 생 제르맹 로세로아가 9시를 가리킨 후 평소에는 그리도 한적했던 광장과 거리는 자정이 넘었지만 사람들로 붐볐습니다. 왕의 축제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아마도 왕의 축제 때문에 사람들의 모습에는 위협적인 무언가가 있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을 관중으로 불러들이는 이 위풍당당한 의식이 다른 하나의 서곡에 불과하다는 것이 의심의 여지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일주일 후 초대 손님으로 참여하여 온 마음을 다해 즐겁게 할 것입니다.

▶ CHAPTER LXVI. EPILOGUE. One year had elapsed since the death of Charles IX. and the accession of his successor to the throne. King Henry III., happily reigning by the grace of God and his mother Catharine, was attending a fine procession given in honor of Notre Dame de Cl?ry. He had gone on foot with the queen, his wife, and all the court. King Henry III. could well afford this little pastime, for no serious business occupied him for the moment. The King of Navarre was in Navarre, where he had so long desired to be, and where he was said to be very much taken up with a beautiful girl of the blood of the Montmorencies whom he called La Fosseuse. Marguerite was with him, sad and gloomy, finding in the beautiful mountains not distraction but a softening of the two greatest griefs of life,?absence and death.

▷ 제66장. 발문. 샤를 9세가 세상을 떠난 지 1년이 지났습니다. 그리고 그의 후계자의 왕위 계승. 신의 은총과 그의 어머니 캐서린의 은총으로 행복하게 다스리던 헨리 3세 왕은 클레리 노트르담(Notre Dame de Cl?ry)을 기리는 훌륭한 행렬에 참석하고 있었습니다. 그는 왕비와 그의 아내와 모든 궁정과 함께 걸어서 갔습니다. 헨리 3세. 당분간은 진지한 일이 없었기 때문에 이 작은 오락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었습니다. 나바라의 왕은 그가 그토록 원했던 나바라에 있었고, 그곳에서 그는 라 포수우즈(La Fosseuse)라고 불렀던 몽모랑시(Montmorencies) 혈통의 아름다운 소녀와 매우 많이 사로잡혔다고 합니다. 마르그리트는 그와 함께 슬프고 우울했으며 아름다운 산에서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이 아니라 삶의 가장 큰 두 가지 슬픔인 부재와 죽음이 부드러워지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62 알렉상드르 뒤마의 광대 치코Ⅰ(English Classics662 Chicot the JesterⅠ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광대 치코(Chicot the Jester by Alexandre Dumas)(1845) 혹은 몽소로 부인(La Dame de Monsoreau)(1845)은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fiction)입니다. 몽소로 부인(La Dame de Monsoreau)이란 제목은 파리와 낭트(Nantes) 사이에 위치한 몽소로 성(ch?teau de Montsoreau)의 백작(the counts)에서 따온 것으로 영미권에서는 등장인물 중 하나인 광대 치코(Chicot the Jester)란 제목으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본지에서는 원제 대신 영미권에서 친숙한 광대 치코(Chicot the Jester by Alexandre Dumas)(1845)로 옮겼습니다.

▶ 프랑스 발루아 왕조(Dynastie des Valois)(1372~1589) 최후의 왕 앙리 3세(Henri III)(1551~1589) 치하의 왕실 투쟁(fraternal royal strife), 즉 ‘형제의 난’을 소재로 하는 작품입니다. 형제의 난 승자는 과연 누가 될 것인지, 드 뷔시 백작(Count de Bussy)과 그가 사랑하는 몽소로 부인(Dame de Monsoreau)의 운명은 과연 어디서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 16세기 프랑스로 떠나는 여정에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HAPTER I. THE WEDDING OF ST. LUC. On the evening of a Sunday, in the year 1578, a splendid f?te was given in the magnificent hotel just built opposite the Louvre, on the other side of the water, by the family of Montmorency, who, allied to the royalty of France, held themselves equal to princes. This f?te was to celebrate the wedding of Fran?ois d’Epinay de St. Luc, a great friend and favorite of the king, Henri III., with Jeanne de Cross?-Brissac, daughter of the marshal of that name.

▷ 제1장. 성녀의 결혼식 루크. 1578년 어느 일요일 저녁, 프랑스 왕실과 동맹을 맺은 몽모랑시 가족 - 자신을 왕자와 동등하게 여기는, 이 물 건너 루브르 박물관 맞은편에 지은 웅장한 호텔에서 화려한 축제가 거행되었습니다. 이 축제는 앙리 3세의 절친한 친구이자 가장 아끼는 프랑수아 드 에피네 드 생 뤽과 그 이름의 원수(the marshal)의 딸 잔 드 크로세 브리삭(Jeanne de Cross?-Brissac)의 결혼식을 축하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 The banquet had taken place at the Louvre, and the king, who had been with much difficulty induced to consent to the marriage, had appeared at it with a severe and grave countenance. His costume was in harmony with his face; he wore that suit of deep chestnut, in which Clouet described him at the wedding of Joyeuse; and this kind of royal specter, solemn and majestic, had chilled all the spectators, but above all the young bride, at whom he cast many angry glances. The reason of all this was known to everyone, but was one of those court secrets of which no one likes to speak.

▷ 잔치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열렸고, 혼인신고를 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었던 왕이 엄숙하고 엄숙한 표정으로 그 자리에 나타났습니다. 그의 의상은 그의 얼굴과 조화를 이뤘습니다. 그는 클루에가 조이유즈(Joyeuse)의 결혼식에서 그를 묘사한 깊은 밤나무 옷을 입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엄숙하고 위엄 있는 왕의 유령은 모든 관중을 냉랭하게 만들었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많은 화난 눈을 던진 젊은 신부였습니다. 이 모든 것의 이유는 모두에게 알려져 있었지만 아무도 말하기를 좋아하지 않는 궁정의 비밀 중 하나였습니다.

▶ CHAPTER XVII. HOW HENRI III. TRAVELED, AND HOW LONG IT TOOK HIM TO GET FROM PARIS TO FONTAINEBLEAU. The sun, which shone four or five hours after the events which we have just recorded had taken place, saw, by his pale light, Henri III. set off for Fontainebleau, where a grand chase was projected. A crowd of gentlemen, mounted on good horses and wrapped in their fur cloaks, then a number of pages, after them lackey, and then Swiss, followed the royal litter. This litter, drawn by eight mules richly caparisoned, was a large machine, about fifteen feet long and eight wide, on four wheels, furnished inside with cushions and curtains of silk brocade. In difficult places they substituted for the mules an indefinite number of oxen.

▷ 제17장 앙리 3세(HENRI III). 여행, 그리고 그가 파리에서 퐁텐블로까지 가는데 걸린 시간. 우리가 방금 기록한 사건이 발생한 지 4~5시간 후에 밝게 빛나는 태양이 그의 창백한 빛으로 앙리 3세(Henri III)를 보았습니다. 웅대한 추격전이 예정된 퐁텐블로(Fontainebleau)로 출발했습니다. 좋은 말을 타고 모피 망토를 두른 신사 무리가 그 뒤를 이어 여러 페이지에 걸쳐, 그 뒤를 이어 스위스인이 왕실 쓰레기를 따랐습니다. 여덟 마리의 노새가 풍성하게 끌고 다니는 이 깔짚은 길이가 약 15피트, 너비가 8피트이고 바퀴가 4개 달린 대형 기계였으며 내부에는 실크 브로케이드 커튼과 쿠션이 갖춰져 있었습니다. 어려운 곳에서 그들은 노새를 무한한 수의 소로 대체했습니다.

▶ CHAPTER XLII. THE PRINCE AND THE FRIEND. We may remember that the Duc de Guise had invited the Duc d’Anjou to meet him in the streets of Paris that evening. However, he determined not to go out of his palace unless he was well accompanied; therefore the duke went to seek his sword, which was Bussy d’Amboise. For the duke to make up his mind to this step he must have been very much afraid; for since his deception with regard to M. de Monsoreau he had not seen Bussy, and stood in great dread of him. Bussy, like all fine natures, felt sorrow more vividly than pleasure; for it is rare that a man intrepid in danger, cold and calm in the face of fire and sword, does not give way to grief more easily than a coward.

▷ 제42장. 왕자와 친구. 우리는 기즈 공작이 그날 저녁 파리 거리에서 그를 만나자고 앙주 공작을 초대했던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잘 동행하지 않는 한 궁 밖으로 나가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므로 공작은 그의 검인 뷔시 담부아즈(Bussy d'Amboise)를 찾으러 갔습니다. 공작이 이 단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두려웠을 것입니다. 몽소로 부인(M. de Monsoreau)과 관련하여 속임수를 쓴 이후로 그는 뷔시를 본 적이 없었고 그를 몹시 두려워했습니다. 뷔시는 모든 훌륭한 본성과 마찬가지로 기쁨보다 슬픔을 더 생생하게 느꼈습니다. 위험에 겁이 없고 불과 칼 앞에서도 차갑고 침착한 사람이 겁쟁이보다 더 쉽게 슬픔에 굴복하지 않는 사람은 드물기 때문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65 알렉상드르 뒤마의 삼총사(English Classics665 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올포원, 원포올(All fer one, One for all)! :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스워시버클러 장르(the swashbuckler genre) 프랑스 역사소설(a French historical adventure novel)이자 모험 소설(adventure novel)로 프랑스어 원제는 Les Trois Mousquetaires(삼총사). 정의를 위해 싸우는 기사도적인 검사(chivalrous swordsmen)가 등장하지요! 3번째 프랑스 혁명(R?volution fran?aise)(1848)이 발발하기 이전인 1844년 3월부터 르 시에클(Le Si?cle)을 통해 연재되기 시작하였으며, 작가는 주인공 달타냥(Charles de Batz-Castelmore d'Artagnan)의 목소리를 빌려 앙시앵 레짐(Ancien R?gime), 당시 프랑스의 절대 군주 정체를 비판하였습니다. 달타냥과 아토스(Athos), 프로토스(Porthos), 아라미스(Aramis)의 모험에 함께하시겠습니까?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달타냥은 삼총사(三銃士)가 아니다?! : 번외적으로 프랑스어 원제의 Mousquetaires, 즉 총사(銃士)란 머스켓으로 무장한 근세 보병으로, 19세기 프랑스의 왕실 호위병(Mousquetaires de la garde)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작품에서는 총은 거의 등장하지 않으며, 주인공은 주로 칼을 들고 싸운다는……. 오늘날 삼총사(三銃士)는 ‘세 명의 죽마고우’를 일컫는 표현으로 널리 사용됩니다만, 작품에 등장하는 달타냥,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는 분명 네 명인데...?! 총사에 가입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하급 귀족 달타냥은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와 구분되는 캐릭터로 역사의 운명에 도전하는 주인공입니다. 제목의 삼총사는 어디까지나 달타냥을 제외한 세 명의 왕실 호위병 - 아토스, 프로토스, 아라미스를 의미합니다. 물론 작품의 끝자락에서 리슐리외가 달타냥에게 총사대 부대장 임명장을 써주는 장면이 등장하지만, 이는 곧 삼총사(三銃士)란 작품의 완결을 의미하지요.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1802~1870)의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 샤를 오졔 드 바츠 드 카스텔모 달타냥 백작(Charles Ogier de Batz de Castelmore, Comte d'Artagnan, 1611?~1673), 일명 달타냥(d'Artagnan)은 뒤마의 소설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의 주인공이기 이전에, 프랑스 부르봉 왕조 시대 황실 총사대 대장으로 활약한 실존 인물 샤를 드 바츠 드 카스텔모르(Charles de Batz de Castelmore)(1611~1673)입니다. 뒤마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달타냥 로망스(d'Artagnan Romances) 3부작이라 불리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 20년 후(The Twenty Years After)(1945), 브로즐린 자작 : 10년 후(The Vicomte of Bragelonne : Ten Years Later)(1847~1850)를 집필하였습니다.

▶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순서 :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fiction)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일부에 해당하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1844)의 후속작(a sequel)입니다. ‘10년 후’란 제목 때문에 삼총사(1844)로부터 10년 후, 즉 3부작의 두 번째에 해당하는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보다 앞선 시기의 이야기로 오해하기 쉽습니다만,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전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3부작을 작품의 배경에 따라 정리하면, 최초로 공개한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의 배경은 1625~1628년,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는 1648~1649년,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1660~1661년입니다. 즉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삼총사(1625~1628)와 삼총사 20년 후(1648~1649)의 배경을 기준으로 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출판사와 언어별로 출간된 시점과 무관하게 작품의 배경 순서에 따라 읽는 것 또한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을 즐기는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국가와 언어별로 분절 출간된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 10년 후(Ten Years Later),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부인(Louise de la Valliere),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은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완결편의 일부로 각각 1~75 챕터, 76~140 챕터, 141~208 챕터, 209~269 챕터에 해당하며, 이에 대해서는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1847)의 서문(Introduction)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 AUTHOR’S PREFACE. D’Artagnan relates that on his first visit to M. de Tr?ville, captain of the king’s Musketeers, he met in the antechamber three young men, serving in the illustrious corps into which he was soliciting the honor of being received, bearing the names of Athos, Porthos, and Aramis. We must confess these three strange names struck us; and it immediately occurred to us that they were but pseudonyms, under which D’Artagnan had disguised names perhaps illustrious, or else that the bearers of these borrowed names had themselves chosen them on the day in which, from caprice, discontent, or want of fortune, they had donned the simple Musketeer’s uniform.

▷ 저자의 서문. 달타냥(D'Artagnan)은 그가 처음으로 왕의 총사대 대장인 무슈 드 트레빌레(M. de Tr?ville)를 방문했을 때 세 명의 청년을 만나 영예의 영예를 얻으려 하고 있던 저명한 군단에서 복무했다고 합니다. 아토스, 포르토스, 아라미스. 우리는 이 세 가지 이상한 이름이 우리를 놀라게 했음을 고백해야 합니다. 그리고 달타냥이 아마도 걸출한 이름을 위장한 가명일 뿐이거나, 아니면 이러한 차용된 이름의 소유자가 변덕, 불만 또는 부족으로 인해 그 이름을 선택한 날 운이 좋게도 그들은 단순한 총사병의 제복을 입었습니다.

▶ Chapter I. THE THREE PRESENTS OF D’ARTAGNAN THE ELDER. “Porthos, you are as vain as Narcissus; I plainly tell you so,” replied Aramis. “You know I hate moralizing, except when it is done by Athos. As to you, good sir, you wear too magnificent a baldric to be strong on that head. I will be an abb? if it suits me. In the meanwhile I am a Musketeer; in that quality I say what I please, and at this moment it pleases me to say that you weary me.”

▷ 제1장. 장로 달타냥의 세 가지 선물. “포르토스, 너는 나르키소스처럼 허영이다. 분명히 말씀드립니다.” 아라미스가 대답했습니다. “아토스가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내가 도덕화를 싫어한다는 것을 알잖아요. 당신에 관해서는, 당신은 그 머리에 강하기에는 너무 멋진 발드릭(baldric)을 착용합니다. 나에게 적합하다면 나는 수도승(abb?)이 될 겁니다. 한편 저는 총사입니다. 그 품질로 나는 내가 원하는 것을 말하고, 지금 이 순간에 당신이 나를 지치게 하는 것이 나는 기쁘게 생각합니다.”

▶ Chapter XXXIX. A VISION. At four o’clock the four friends were all assembled with Athos. Their anxiety about their outfits had all disappeared, and each countenance only preserved the expression of its own secret disquiet?for behind all present happiness is concealed a fear for the future. ▷ 제39장. 비전. 4시에 네 명의 친구들이 모두 아토스와 함께 모였습니다. 그들의 복장에 대한 걱정은 모두 사라졌고, 각각의 얼굴에는 비밀스러운 불안의 표현만 남아 있었습니다. 현재의 모든 행복 뒤에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이 숨겨져 있기 때문입니다.

▶ Chapter LXVII. CONCLUSION. As soon as the escort arrived in a city, when they had conducted the king to his quarters the four friends either retired to their own or to some secluded cabaret, where they neither drank nor played; they only conversed in a low voice, looking around attentively to see that no one overheard them. ▷ 제67장. 결론. 호위대가 도시에 도착하자마자 왕을 그의 숙소로 안내했을 때 네 명의 친구들은 술도 마시지도 놀지도 않은 한적한 카바레로 가거나 각자의 휴식처로 갔습니다. 그들은 낮은 목소리로 대화할 뿐이었습니다. 아무도 그들의 말을 엿듣지 않았는지 주의 깊게 주위를 둘러보았습니다.

구매가격 : 8,910 원

영어고전671 알렉상드르 뒤마의 10년 후Ⅱ(English Classics671 Ten Years LaterⅡ by Alexandre Dumas)

도서정보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 | 2022-06-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fiction)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의 일부에 해당하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1844)의 후속작(a sequel)입니다. ‘10년 후’란 제목 때문에 삼총사(1844)로부터 10년 후, 즉 3부작의 두 번째에 해당하는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보다 앞선 시기의 이야기로 오해하기 쉽습니다만,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전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3부작을 작품의 배경에 따라 정리하면, 최초로 공개한 삼총사(The Three Musketeers by Alexandre Dumas)(1844)의 배경은 1625~1628년, 삼총사 20년 후(Twenty Years After by Alexandre Dumas)(1845)는 1648~1649년,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는 1660~1661년입니다. 즉 20년 후(After)와 10년 후(Later)는 각각 삼총사(1625~1628)와 삼총사 20년 후(1648~1649)의 배경을 기준으로 한 표현입니다. 따라서 출판사와 언어별로 출간된 시점과 무관하게 작품의 배경 순서에 따라 읽는 것 또한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을 즐기는 매력적인 선택이 될 것입니다.

또한 국가와 언어별로 분절 출간된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 10년 후(Ten Years Later),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부인(Louise de la Valliere),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은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완결편의 일부로 각각 1~75 챕터, 76~140 챕터, 141~208 챕터, 209~269 챕터에 해당하며, 이에 대해서는 10년 후(Ten Years Later by Alexandre Dumas)(1847)의 서문(Introduction)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1802~1870)의 달타냥 로망스(The d'Artagnan Romances) 3부작(1844~1850) : 샤를 오졔 드 바츠 드 카스텔모 달타냥 백작(Charles Ogier de Batz de Castelmore, Comte d'Artagnan, 1611?~1673), 일명 달타냥(d'Artagnan)은 뒤마의 소설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의 주인공이기 이전에, 프랑스 부르봉 왕조 시대 황실 총사대 대장으로 활약한 실존 인물 샤를 드 바츠 드 카스텔모르(Charles de Batz de Castelmore)(1611~1673)입니다. 뒤마는 그의 일대기를 바탕으로 달타냥 로망스(d'Artagnan Romances) 3부작이라 불리는 삼총사(The Three Musketers)(1844), 20년 후(The Twenty Years After)(1945), 브로즐린 자작 : 10년 후(The Vicomte of Bragelonne : Ten Years Later)(1847~1850)를 집필하였습니다.

▶ The Three Musketeers (serialized March-July, 1844): The year is 1625. The young D’Artagnan arrives in Paris at the tender age of 18, and almost immediately offends three musketeers, Porthos, Aramis, and Athos. Instead of dueling, the four are attacked by five of the Cardinal’s guards, and the courage of the youth is made apparent during the battle. The four become fast friends, and, when asked by D’Artagnan’s landlord to find his missing wife, embark upon an adventure that takes them across both France and England in order to thwart the plans of the Cardinal Richelieu. Along the way, they encounter a beautiful young spy, named simply Milady, who will stop at nothing to disgrace Queen Anne of Austria before her husband, Louis XIII, and take her revenge upon the four friends.

▷ 삼총사(1844년 3월-7월 연재): 연도는 1625년입니다. 젊은 달타냥은 18세의 어린 나이에 파리에 도착하고 거의 즉시 세 총사, 포르토스, 아라미스, 아토스를 화나게 합니다. 결투 대신 4명은 카디널의 경호원 5명에게 공격을 받으며, 전투에서 청년들의 용기가 드러납니다. 네 사람은 금세 친구가 되고, 달타냥의 집주인이 실종된 아내를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고 리슐리외 추기경의 계획을 저지하기 위해 프랑스와 영국을 가로질러 모험을 떠납니다. 그 과정에서 그들은 남편 루이 13세보다 먼저 오스트리아의 앤 여왕을 욕되게 하고 네 친구에게 복수할 계획인 단순히 밀라디(Milady)라는 이름의 아름다운 젊은 스파이와 마주칩니다.

▶ Twenty Years After (serialized January-August, 1845): The year is now 1648, twenty years since the close of the last story. Louis XIII has died, as has Cardinal Richelieu, and while the crown of France may sit upon the head of Anne of Austria as Regent for the young Louis XIV, the real power resides with the Cardinal Mazarin, her secret husband. D’Artagnan is now a lieutenant of musketeers, and his three friends have retired to private life. Athos turned out to be a nobleman, the Comte de la Fere, and has retired to his home with his son, Raoul de Bragelonne. Aramis, whose real name is D’Herblay, has followed his intention of shedding the musketeer’s cassock for the priest’s robes, and Porthos has married a wealthy woman, who left him her fortune upon her death. But trouble is stirring in both France and England.

▷ 20년 후(1845년 1월-8월 연재): 지금은 1648년, 마지막 이야기가 끝난 후 20년입니다. 루이 13세와 리슐리외 추기경이 사망했으며 젊은 루이 14세의 섭정으로서 프랑스의 왕관이 오스트리아의 앤의 머리에 앉을 수 있지만 진정한 권력은 그녀의 비밀 남편인 마자랭 추기경에게 있습니다. 달타냥은 이제 총사 중위이며 그의 세 친구는 사생활로 은퇴했습니다. 아토스는 귀족인 라 페르 백작(Comte de la Fere)로 밝혀졌고 그의 아들 라울 드 브라젤론(Raoul de Bragelonne)과 함께 그의 집으로 은퇴했습니다. 본명이 드허블레이(D'Herblay)인 아라미스(Aramis)는 사제의 예복을 위해 총사복을 벗고자 하는 그의 의도를 따랐고, 프로토스는 부유한 여성과 결혼했고 그녀는 그녀의 죽음과 함께 재산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프랑스와 영국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The third novel, The Vicomte de Bragelonne (serialized October, 1847 ?January, 1850), has enjoyed a strange history in its English translation. It has been split into three, four, or five volumes at various points in its history. The five-volume edition generally does not give titles to the smaller portions, but the others do. In the three-volume edition, the novels are entitled The Vicomte de Bragelonne, Louise de la Valliere, and The Man in the Iron Mask. For the purposes of this etext, I have chosen to split the novel as the four-volume edition does, with these titles: The Vicomte de Bragelonne, Ten Years Later, Louise de la Valliere, and The Man in the Iron Mask. In the last etext:

▷ 세 번째 소설인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1847년 10월 ~ 1850년 1월 연재)은 영어 번역에서 이상한 역사를 겪었습니다. 그것은 역사의 다양한 시점에서 3권, 4권 또는 5권으로 분할되었습니다. 다섯 권으로 된 판은 일반적으로 더 작은 부분에 제목을 붙이지 않지만 다른 부분에는 제목을 붙입니다. 세 권짜리 판에서 소설의 제목은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부인(Louise de la Valliere),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입니다. 이 텍스트의 목적을 위해 나는 이 소설을 4권으로 나누기로 선택했습니다. 이 제목은 브로즐린 자작(The Vicomte de Bragelonne), 루이즈 드 라 발리에르 공작부인(Louise de la Valliere), 철가면(The Man in the Iron Mask)입니다.

구매가격 : 8,91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