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898 윌리엄 듀보이스와 부커 T. 워싱턴의 남부의 흑인 1907(English Classics898 The Negro in the South by W. E. B. Du Bois and Booker T. Washington)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윌리엄 듀보이스와 부커 T. 워싱턴의 남부의 흑인(The Negro in the South by W. E. B. Du Bois and Booker T. Washington)(1907)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와 부커 T. 워싱턴(Booker T. Washington)(1856~1915)을 비롯한 저명한 흑인 작가들이 쓴 7편의 원고를 함께 묶은 흑인의 문제(The Negro Problem)(1903)의 일부분입니다. 다양한 원고 중에서도 단연 두 작가의 남부의 흑인(The Negro in the South by W. E. B. Du Bois and Booker T. Washington)(1907)이 가장 중요한 작품으로 꼽히며, 총 4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부커 T. 워싱턴이 제1장 노예제에 있는 흑인 인종의 경제 발전(I.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gro Race in Slavery)과 제2장 해방 이후 흑인 인종의 경제 발전(II.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gro Race since its Emancipation)을, 윌리엄 듀보이스가 제3장 남부의 경제 혁명(The Economic Revolution in the South)과 제4장 남부의 종교(Religion in the South)를 집필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HAPTER I.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GRO RACE IN SLAVERY. We are now, I think, far enough removed from the period of slavery to be able to study the influence of that institution objectively rather than subjectively. Surely if any Negro who was a part of the institution itself can do s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American people ought to be able to do so, whether they live at the North or at the South. My subject naturally leads me to a discussion of the Negro as he was in slavery……. But, in this discussion, I am not to consider the economic value of the Negro as a slave, as such, but only the influence of his industrial training while in slavery in the development of his moral and religious life.

▷ 제1장. 노예 상태의 흑인 인종의 경제적 발전. 이제 우리는 노예제도의 영향을 주관적이기 보다는 객관적으로 연구할 수 있을 만큼 노예의 시대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확실히 제도 자체의 일부였던 흑인이 그렇게 할 수 있다면 미국 국민의 나머지 부분은 그들이 북쪽에 살든 남쪽에 살든 그렇게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제 주제는 자연스럽게 흑인에 대한 토론으로 이어집니다. 그가 노예에 있었을 때 말이죠……. 그러나 이 논의에서 저는 노예로서의 흑인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삶의 발전에 있어 노예 생활을 하는 동안 그의 산업 훈련의 영향만을 고려하고자 합니다.

▶ CHAPTER II.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EGRO RACE SINCE ITS EMANCIPATION. In the preceding chapter, I referred to some of the things which the Negro brought with him out of slavery into his life of freedom that he used to his advantage. I shall now discuss those things that were to his disadvantage. We must bear in mind that one of the influences of slavery was to impress upon both master and slave the fact that labor with the hand was not dignified, was disgraceful, that labor of this character was something to be escaped, to be gotten rid of just as soon as possible. Hence, it was very natural that the Negro race looked forward to the day of freedom as being that period when it would be delivered from all necessity of laboring with the hand.

▷ 제2장. 해방 이후 흑인의 경제적 발전. 앞 장에서, 저는 흑인이 노예에서 자유 생활로 가져온 몇 가지를 언급했습니다. 그가 유리하게 사용하던 것입니다. 나는 이제 그에게 불리했던 것들에 대해 토론할 것입니다. 우리는 노예제도의 영향 중 하나는 주인과 노예 모두에게 손으로 하는 노동이 존엄하지 않고 수치스러우며, 이 성격의 노동은 가능한 한 빨리 제거되어야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각인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흑인 인종이 자유의 날을 손으로 일해야 하는 모든 필요성으로부터 전달될 그 기간으로 기대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었습니다.

▶ CHAPTER III. THE ECONOMIC REVOLUTION IN THE SOUTH. Two questions may be asked of any group of human beings: first, How do they earn their living, and secondly, What is their attitude toward life? The first relates to the economic history and condition of that people; the second is a study of their religion. In these two essays I am to treat the first of these questions under the subject: The Economic Revolution in the South, and the second under the subject: Christianity in the South.

▷ 제3장. 남부의 경제 혁명. 인간의 그룹에 대해 두 가지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첫째, 그들은 어떻게 생계를 꾸리며, 둘째, 삶에 대한 태도는 무엇입니까? 첫 번째는 그 민족의 경제사 및 상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두 번째는 그들의 종교에 대한 연구입니다. 이 두 에세이에서 나는 첫 번째 질문을 남부의 경제 혁명이라는 주제로 다루고, 두 번째 주제는 남부의 기독교라는 주제로 다룰 것입니다.

▶ CHAPTER IV. RELIGION IN THE SOUTH. It is often a nice question as to which is of greater importance among a people?the way in which they earn their living, or their attitude toward life. As a matter of fact these two things are but two sides of the same problem, for nothing so reveals the attitude of a people toward life as the manner in which they earn their living; and on the other hand the earning of a living depends in the last analysis upon one's estimate of what life really is. So that these two questions that I am discussing with regard to the South are intimately bound up with each other.

▷ 제4장. 남부의 종교. 사람들 사이에서 생계를 꾸리는 방식과 삶에 대한 태도 중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한 좋은 질문이 될 때가 많습니다. 사실 이 두 가지는 같은 문제의 양면에 불과합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생계를 꾸리는 방식만큼 삶에 대한 태도를 드러내는 것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생계를 꾸리는 것은 마지막 분석에서 삶이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한 평가에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내가 남한과 관련하여 논의하고 있는 이 두 가지 질문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1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 1881(English Classics891 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영웅적 순교자인가, 미치광이 테러리스트인가?! : 존 브라운(John Brown)(1800~1859)은 현재까지도 숱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수밖에 없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노예 제도를 철폐하기 위한 무장 봉기는 정당한가? 육군 대령 출신의 존 브라운은 노예제를 옹호하는 자들을 평화적인 방법으로 설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무력으로 응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선(善)이라고 확신했습니다. 블랙잭 전투(Battle of Black Jack)(1856)와 오사와토미 전투(Battle of Osawatomie)(1856)를 지휘하며, 옹호론자를 사적으로(가족들이 보는 앞에서 거대한 칼로!!) 살해하였고, 무장봉기를 위한 무기를 확보하기 위해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의 조병창을 습격하였습니다. 습격이 실패함에 따라 체포되었고, 유죄를 선고받은 후 사형에 처해졌습니다. 죽기 직전에 남긴 유언은 다음과 같습니다.

▶ I, John Brown, am now quite certain that the crimes of this guilty land can never be purged away but with blood. 나 존 브라운은 이 죄악의 땅의 범죄를 정화할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피뿐이라고 확신하노라.

▶ 그의 과격한 행보는 미국 남북 전쟁(American Civil War)(1861~1865)의 발발을 예고하는 중요한 사건이였으며, 이후 그를 영웅적 순교자로 추앙하는 이들과 사적으로 무력을 행사한 테러리스트라는 이들 간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습니다. 흑인보다 더 흑인의 자유를 지지한 존 브라운의 삶은 이후 노예제 폐지운동의 불씨가 되었고,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를 비롯해 해리엇 터브먼(Harriet Tubman)(1822~1913), 말콤 X(Malcolm X)(1925~1965) 등 또한 그를 추앙하였습니다. 존 브라운의 시체(John Brown's Body)란 노래는 이후 북부 연방군 군가로 널리 불렸으며, 그의 삶을 모티브로 한 제임스 맥브라이드(James McBride)(1957~) 원작의 미국역사드라마(American historical drama miniseries) 더 굿 로드 버드(The Good Lord Bird)(2020)가 2020년부터 방영되기 시작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His zeal in the cause of freedom was infinitely superior to mine. Mine was a taper light, his was the burning sun. Mine was bounded by time, his stretched away to the silent shores of eternity. I could speak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fight for the slave. I could live for the slave. John Brown could die for the slave. Frederick Douglass. ▷ 자유를 위한 그의 열정은 나보다 훨씬 뛰어났습니다. 제 것은 가늘고 긴 빛이었고, 그의 것은 타는 태양이었습니다. 제 것은 시간에 의해 제한되었고, 그는 영원한 조용한 해안으로 뻗어나갔습니다. 저는 노예를 위해 웅변할 수 있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싸울 수 있었습니다. 전 노예를 위해 살았습니다. 존 브라운은 노예를 위해 죽을 수도 있습니다.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

▶ We need allies who are going to help us achieve a victory, not allies who are going to tell us to be nonviolent. If a white man wants to be your ally, what does he think of John Brown? You know what John Brown did? He went to war. He was a white man who went to war against white people to help free slaves. He wasn’t nonviolent. White people call John Brown a nut. Go read the history, go read what all of them say about John Brown. They’re trying to make it look like he was a nut, a fanatic. They made a movie on it, I saw a movie on the screen one night. Why, I would be afraid to get near John Brown if I go by what other white folks say about him. Malcolm X.

▷ 우리는 우리에게 비폭력적이라고 말할 동맹이 아니라 승리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될 동맹이 필요합니다. 백인이 당신의 동맹이 되고 싶어 한다면 그는 존 브라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존 브라운이 한 일을 아십니까? 그는 전쟁에 갔습니다. 그는 노예 해방을 돕기 위해 백인과의 전쟁에 나섰던 백인이었습니다. 그는 비폭력적이지 않았습니다. 백인들은 존 브라운을 미친놈이라고 부르죠. 가서 역사를 읽고 그들이 존 브라운에 대해 말하는 것을 읽으십시오. 그들은 그가 광신자인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합니다. 그들은 그에 대해 영화를 만들었고, 나는 어느 날 밤 스크린에서 영화를 보았습니다. 왜, 나는 다른 백인들이 그에 대해 말하는 것을 따라가면 존 브라운에게 다가가기가 두려울 것입니다. 말콤 X(Malcolm X)(1925~1965).

▶ 스토어러 칼리지 14주년 기념 연설문: 존 브라운(John Brown: An Address at the 14th Anniversary of Storer College by Frederick Douglass)(1881)은 프레더릭 더글러스가 남북전쟁이 종전된지 16년 만인 1881년, 워싱턴 서북쪽 하퍼스 페리(Harpers Ferry)에 위치한 스토어러 칼리지(Storer College)의 연설문 전문입니다. 이곳에는 존 브라운의 업적을 기린 존 브라운 박물관(John Brown Museum), 존 브라운 왁스 뮤지엄(John Brown Wax Museum), 존 브라운 항구(John Brown's Fort) 등이 잘 보존되어 있습니다.

▶ In studying the character and works of a great man, it is always desirable to learn in what he is distinguished from others, and what have been the causes of this difference. Such men as he whom we are now considering, come on to the theater of life only at long intervals. It is not always easy to explain the exact and logical causes that produce them, or the subtle influences which sustain them, at the immense heights where we sometimes find them; but we know that the hour and the man are seldom far apart, and that here, as elsewhere, the demand may in some mysterious way, regulate the supply. A great iniquity, hoary with age, proud and defiant, tainting the whole moral atmosphere of the country, subjecting both church and state to its control, demanded the startling shock which John Brown seemed especially inspired to give it.

▷ 위대한 사람의 성품과 업적을 연구함에 있어서 그가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과 이러한 차이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배우는 것은 언제나 바람직합니다. 우리가 지금 고려하고 있는 그러한 사람들은 긴 간격으로만 인생의 극장에 옵니다. 그것들을 발생시키는 정확하고 논리적인 원인이나 그것들을 유지하는 미묘한 영향을 우리가 때때로 발견하는 엄청난 높이에서 설명하는 것이 항상 쉬운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는 시간과 사람이 좀처럼 떨어져 있지 않으며 여기에서도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수요가 어떤 신비한 방식으로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압니다. 나이가 들면서 노골적이며 교만하고 거만하며 국가 전체의 도덕적 분위기를 더럽히고 교회와 국가를 통제하는 큰 죄악은 존 브라운이 특히 영감을 받은 것처럼 보이는 놀라운 충격을 요구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4 윌리엄 듀보이스의 흑인 민속의 선물: 미국의 흑인 건국자들 1924(English Classics904 The Gift of Black Folk: The Negroes in the Making of America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흑인 민속의 선물: 미국의 흑인 건국자들(The Gift of Black Folk: The Negroes in the Making of America by W. E. B. Du Bois)(1924)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사회학자이자 노예제 해방론자, 교수로 왕성하게 활동하며 54세의 나이에 발표한 작품입니다. 흑인에 대한 인종적인 편견과 차별을 철폐하자는 기존의 작품을 초월한 시각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는 흑인 민속의 선물: 미국의 흑인 건국자들(1924)을 통해 미국을 건국하기 위해 공헌한 흑인의 역사를 기반으로, 흑인 또한 당당한 미국인의 일부라는 점을 설파하였습니다. 흑인에 대한 대중의 시각을 ‘가혹한 노예무역의 피해자’란 동정적인 시각에서 ‘미국 건국에 공헌한 영웅들’로 전환하고자 시도했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인 작품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서두에 여러 통계에 기반을 둔 Edw. F. McSweeney, LL. D.의 미국에 대한 인종적 공헌(THE RACIAL CONTRIBUTIONS TO THE UNITED STATES)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SCRIPT. Who made America? Who made this land that swings its empire from the Atlantic to the Sea of Peace and from Snow to Fire?this realm of New Freedom, with Opportunity and Ideal unlimited We who know may not forget but must forever spread the splendid sordid truth that out of the most lowly and persecuted of men, Man made America. And that what Man has here begun with all its want and imperfection, with all its magnificent promise and grotesque failure will some day blossom in the souls of the Lowly.

▷ 프리스크립트(PRESCRIPT). 누가 미국을 만들었습니까? 대서양에서 평화의 바다로, 눈에서 불로 제국을 휘두르는 이 땅, 기회와 이상은 무한한 이 새로운 자유의 영역을 누가 만들었습니까? 인간은 가장 천하고 박해받는 사람들로부터 미국을 만들었습니다. 인간이 여기에서 시작했던 모든 결핍과 불완전함, 그 모든 장엄한 약속과 기괴한 실패가 언젠가는 낮은 자들의 영혼에서 꽃을 피우게 될 것입니다.

▶ CHAPTER II. BLACK LABOR. How the Negro gave his brawn and brain to fell the forests, till the soil and make America a rich and prosperous land. The primary reason for the presence of the black man in America was, of course, his labor and much has been written of the influence of slavery as established by the Portuguese, Spanish, Dutch and English. Most writers have written of slavery as a moral and economic evil or of the worker, white and black, as a victim of this system. In this chapter, however, let us think of the slave as a laborer, as one who furnished the original great labor force of the new world and differed from modern labor only in the wages received, the political and civil rights enjoyed, and the cultural surroundings from which he was taken.

▷ 제2장 흑인의 노동. 흑인이 어떻게 그의 두뇌와 힘을 내어 숲을 쓰러뜨리고, 땅을 갈아엎고, 미국을 부유하고 번영한 땅으로 만들었습니까? 흑인이 미국에 있는 주된 이유는 물론 그의 노동과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에 의해 확립된 노예제도의 영향에 대한 많은 기록들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노예제도를 도덕적, 경제적 악으로 묘사하거나, 백인과 흑인의 노동자를 이 제도의 희생자로 묘사했습니다. 그러나 이 장에서 노예를 노동자로 생각해봅시다. 노예는 새로운 세계의 독창적인 위대한 노동력을 제공했고 받는 임금, 누리는 정치적, 시민적 권리, 그리고 그가 빼앗긴 문화적 환경에서만 현대 노동과 달랐습니다.

▶ CHAPTER III. BLACK SOLDIERS. The relation of the Negro to the Revolutionary War was peculiar. If his services were used by the Colonists this would be an excuse for the English to use the Indians and to emancipate the slaves. If he were not used not only was this source of strength to the small loyal armies neglected but there still remained the danger that the English would bid for the services of Negroes. At first then the free Negro went quite naturally into the army as he had for the most part been recognized as liable to military service.

▷ 제3장. 흑인 군인. 독립 전쟁에 대한 흑인의 관계는 독특했습니다. 그의 서비스가 식민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었다면 이것은 영국인이 인디언을 사용하고 노예를 해방시키는 핑계가 될 것입니다. 그가 사용되지 않으면 충성스러운 소규모 군대에 대한 이 힘의 원천이 무시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국인이 흑인에게 봉사하기 위해 입찰할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었습니다. 처음에 자유 흑인은 대부분 병역 의무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 군대에 아주 자연스럽게 입대했습니다.

▶ CHAPTER V. THE RECONSTRUCTION OF FREEDOM. Slavery was the cause of the war. There might have been other questions large enough and important enough to have led to a disruption of the Union but none have successfully done so except slavery. But the North fought for union and not against slavery and for a long time it refused to recognize that the Civil War was essentially a war against Negro slavery. Abraham Lincoln said to Horace Greeley as late as August, 1862, “If there be those who would not save the Union unless they could at the same time destroy slavery, I do not agree with them. My paramount object is to save the Union and not either to save or destroy slavery.”

▷ 제5장. 자유의 재건. 노예제가 전쟁의 원인이었습니다. 연방을 붕괴시킬 만큼 충분히 크고 중요한 다른 질문이 있었을지 모르지만 노예제를 제외하고는 아무도 성공적으로 그렇게 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북부는 노예제가 아닌 연합을 위해 싸웠고 오랫동안 남북 전쟁이 본질적으로 흑인 노예제에 대한 전쟁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에이브러햄 링컨은 1862년 8월에 호러스 그릴리(Horace Greeley)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노예제를 구하거나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연방을 구하는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0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 1855(English Classics890 My Bondage and My Freedom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두 번째 자서전,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는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의 인기에 힘입어, 평생 2권의 자서전을 추가로 집필하였습니다. 두 번째 자서전은 첫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10년 후 출간한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이며, 세 번째 자서전은 두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무려 26년 후 발표한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입니다. 추천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써 ‘미국 최초로 정규 교육을 받은 유색인종 의사(First regularly-educated Colored Physician in the United States)’ 제임스 맥쿤 스미스(JAMES M’CUNE SMITH)(1813~1865)가 썼습니다.

▶ It is an American book, for Americans, in the fullest sense of the idea. It shows that the worst of our institutions, in its worst aspect, cannot keep down energy, truthfulness, and earnest struggle for the right. It proves the justice and practicability of Immediate Emancipation. JAMES M’CUNE SMITH. ▷ 이 책은 미국인을 위한, 그 아이디어의 완전한 의미에서 미국 책입니다. 그것은 우리 제도 중 최악의 것이, 최악의 측면에서, 에너지, 진실성, 그리고 권리를 위한 진지한 투쟁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즉각적인 해방의 정의와 실행 가능성을 증명합니다. 제임스 맥쿤 스미스(1813~1865)

▶ 두 번째 자서전은 제1장 어린 시절(Childhood)부터 제21장 노예제로부터의 탈출(My Escape from Slavery)까지 시간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혈통(Parentage), 노예 농장(Slave Plantation)과 노예제(Slavery) 등에 관한 작가의 진솔한 생각은 물론 노예로써 견뎌내야만 했던 악인(the Negro Breaker) 코비(Covey) 등에 얽힌 경험담을 담담히 털어 놓습니다. 제22장부터는 자유인(Freeman)으로써 새롭게 시작한 삶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책의 말미에 그를 대중들에게 알린 유명한 연설문과 강의록, 편지 등을 함께 실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당대 미국의 악명 높은 도망노예법(逃亡奴?法, Fugitive slave laws)에 의거해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유를 위해 몸값을 지불해야만 하였습니다. 작가는 현실적으로 지인의 도움을 받아 영국에 정착해 새로운 자유인으로써의 삶을 시작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향땅과 미국에서 고통 받는 동포들을 구하고 싶다는 신념하에 기꺼이 150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노예가 아닌 인간으로써의 삶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 It is true, I was not in the possession of my claimants, and could have easily remained in England, for the same friends who had so generously purchased my freedom, would have assisted me in establishing myself in that country. To this, however, I could not consent. I felt that I had a duty to perform?and that was, to labor and suffer with the oppressed in my native land. Considering, therefore, all the circumstances?the fugitive slave bill included?I think the very best thing was done in letting Master Hugh have the hundred and fifty pounds sterling, and leaving me free to return to my appropriate field of labor.

▷ 사실, 저는 청구인들의 소유가 아니었고, 쉽게 영국에 남을 수 있었습니다. 제 자유를 아낌없이 구매한 같은 친구들이라면 제가 그 나라에서 제 자신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저는 제가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것은 제 조국에서 억압받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고통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망노예법 벌금(the fugitive slave bill)을 포함한 모든 상황을 고려합니다. 가장 잘한 일은 휴(Master Hugh)에게 150 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하고, 내가 원하는 노동 분야로 돌아갈 수 있게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Had I been a private person, having no other relations or duties than those of a personal and family nature, I should never have consented to the payment of so large a sum for the privilege of living securely under our glorious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I could have remained in England, or have gone to some other country; and perhaps I could even have lived unobserved in this. But to this I could not consent. I had already become somewhat notorious, and withal quite as unpopular as notorious; and I was, therefore, much exposed to arrest and recapture.

▷ 내가 일개 개인이고 개인적 및 가족적 성격 외에 다른 관계나 의무가 없었다면 영광스러운 공화정 정부 아래서 안전하게 생활하는 특권을 위해 그렇게 큰 금액을 지불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나는 영국에 남거나 다른 나라로 갈 수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나는 이것에서 관찰되지 않고 살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이미 어느 정도 악명을 떨쳤고 악명 높은 만큼 인기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나는 체포와 탈환에 많이 노출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 : 노예 출신의 노예제 폐지론자(Abolitionist)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계기는 바로 그가 자신의 노예 생활을 엮은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가 대중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입니다. 글조차 제대로 배우지 않았기에 일자무식으로 치부되던 ‘흑인의 자전적 문학작품’에 대중들은 한편으로는 충격을, 다른 한편으로는 감동을 받았으며 미국 내에서만 9번이나 재판을 거듭하면서 11,000부 이상이 팔리는 인기를 누렸습니다. 미국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그의 자서전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로 번역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의 명성이 유럽 대륙까지 전파될 수 있었으며 이는 훗날 그가 아일랜드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국내에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혹은 ‘노예의 노래’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세 번째 자서전,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은 그의 세 번째이자 사망하기 전 집필한 마지막 자서전으로, 첫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36년, 두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26년 만에 출간되었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집필한 자서전이니만큼 노예로써의 삶과 이후 노예제 해방 운동가이자 웅변가로써의 삶은 물론 당대의 저명인사로써 신문사를 운영하고, 두 명의 미국 대통령과 만나는 등의 정치적인 행보가 가장 상세하게 담겨 있습니다. 1991년 최초로 출간한 이후 아이티(Haiti)의 미국 장관(U.S. minister)(1889~1891)을 포함해 1892년 새롭게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의 후손이 한 국가의 장관이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여정이 궁금하시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4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기사집(記事集) 1944(English Classics894 Collected Articles of Frederick Douglass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기사집(記事集)(Collected Articles of Frederick Douglass by Frederick Douglass)(1944)은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가 더 센추리 일러스트레이티드 매거진(The Century Illustrated Magazine)을 통해 발표한 나의 노예로부터의 탈출(My Escape from Slavery)(1881)과 아틀란틱 먼슬리(Atlantic Monthly)를 통해 공개된 재건(Reconstruction)(1866), 두 작품을 묶은 편집본으로 작가의 사후 50여년이 지난 1944년에 출간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My Escape from Slavery. In the first narrative of my experience in slavery, written nearly forty years ago, and in various writings since, I have given the public what I considered very good reasons for withholding the manner of my escape. In substance these reasons were, first, that such publication at any time during the existence of slavery might be used by the master against the slave, and prevent the future escape of any who might adopt the same means that I did. The second reason was, if possible, still more binding to silence: the publication of details would certainly have put in peril the persons and property of those who assisted.

▷ 나의 노예로부터의 탈출. 거의 40년 전에 쓰인 노예 생활에 대한 첫 번째 이야기와 그 이후의 다양한 글에서 나는 탈출 방식을 보류하는 데 매우 타당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대중에게 설명했습니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이유는 첫째, 노예가 존재하는 동안 언제든지 그러한 출판물이 주인에 의해 노예에 대항하여 사용될 수 있고, 내가 했던 것과 같은 수단을 채택할 수 있는 사람이 미래에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가능하다면 침묵에 더 구속력이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세부 사항의 공개는 분명히 도움을 준 사람들의 인적 사항과 재산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었습니다.

▶ My free life began on the third of September, 1838. On the morning of the fourth of that month, after an anxious and most perilous but safe journey, I found myself in the big city of New York, a free man?one more added to the mighty throng which, like the confused waves of the troubled sea, surged to and fro between the lofty walls of Broadway. Though dazzled with the wonders which met me on every hand, my thoughts could not be much withdrawn from my strange situation. For the moment, the dreams of my youth and the hopes of my manhood were completely fulfilled.

▷ 나의 자유로운 삶은 1838년 9월 3일에 시작되었습니다. 그 달 4일 아침, 불안하고 가장 위험하지만 안전한 여행을 마친 후 저는 뉴욕이라는 대도시에서 자유로운 사람인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요란한 바다의 혼란스러운 파도처럼 브로드웨이의 높은 벽 사이를 이리저리 몰아치는 거대한 군중에게. 사방에서 나를 만나는 경이로움에 눈이 부시긴 했지만, 내 생각은 내 이상한 상황에서 많이 철회될 수 없었습니다. 그 순간, 내 젊음의 꿈과 내 청년의 희망이 완전히 이루어졌습니다.

▶ The reader may be surprised at the impressions I had in some way conceived of the social and material condition of the people at the North. I had no proper idea of the wealth, refinement, enterprise, and high civilization of this section of the country. My “Columbian Orator,” almost my only book, had done nothing to enlighten me concerning Northern society. I had been taught that slavery was the bottom fact of all wealth. With this foundation idea, I came naturally to the conclusion that poverty must be the general condition of the people of the free States. In the country from which I came, a white man holding no slaves was usually an ignorant and poverty-stricken man, and men of this class were contemptuously called “poor white trash.” Hence I supposed that, since the non-slave-holders at the South were ignorant, poor, and degraded as a class, the non-slave-holders at the North must be in a similar condition.

▷ 독자들은 북부 주민들의 사회적, 물질적 상황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제가 느꼈던 인상에 놀랄지도 모릅니다. 저는 이 지역의 부, 세련됨, 진취성, 그리고 높은 문명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했습니다. 제가 쓴 거의 유일한 책인 "컬럼비아 웅변가(Columbian Orator)"는 북부 사회에 대해 저를 깨우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저는 노예제도가 모든 부의 근본적인 사실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 기초 아이디어를 가지고, 저는 자연스럽게 빈곤이 자유 국가 사람들의 일반적인 조건임에 틀림없다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제가 태어난 나라에서 노예를 갖지 않는 백인은 보통 무지하고 가난에 찌든 사람이었고, 이 계급의 남자들은 "가난한 백인 쓰레기(poor white trash)"라고 경멸적으로 불렸습니다. 그래서 저는 남부의 비노예주들이 계급적으로 무지하고 가난하고 품위가 떨어졌기 때문에 북부의 비노예주들도 비슷한 상태일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The fifth day after my arrival, I put on the clothes of a common laborer, and went upon the wharves in search of work. On my way down Union street I saw a large pile of coal in front of the house of Rev. Ephraim Peabody, the Unitarian minister. I went to the kitchen door and asked the privilege of bringing in and putting away this coal. “What will you charge?” said the lady. “I will leave that to you, madam.” “You may put it away,” she said. I was not long in accomplishing the job, when the dear lady put into my hand two silver half-dollars. To understand the emotion which swelled my heart as I clasped this money, realizing that I had no master who could take it from me,?that it was mine?that my hands were my own, and could earn more of the precious coin,?one must have been in some sense himself a slave.

▷ 도착한 지 닷새째 되는 날, 저는 평범한 노동자의 옷을 입고, 일을 찾아 부두에 올라갔습니다. 유니언 거리를 내려가는 길에 유니테리언 목사 에브라임 피바디 목사의 집 앞에 석탄 더미가 쌓여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저는 부엌문으로 가서 이 석탄을 가지고 와서 치울 수 있는 특권을 요청했습니다. "무엇을 청구하시겠습니까?"라고 그 여자가 말했습니다. "그건 당신에게 맡기겠습니다, 부인." "당신은 그것을 치워도 돼요," 그녀가 말했습니다. 제가 그 일을 완성하는 데 얼마 걸리지 않아서, 그 귀여운 아가씨가 제 손에 하프 달러 두 개를 쥐어 주었습니다. 이 돈을 쥐면서 내 마음을 부풀린 감정을 이해하려면, 내 손은 내 것이고, 더 많은 귀중한 동전을 얻을 수 있는 것은 내 것이라는 것을 깨닫고, 이 돈을 움켜쥐면서 내 마음을 부풀린 감정을 이해하려면, 어떤 의미에서는 그 자신이 노예였을 것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1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이타카의 율리시스(English Classics911 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이타카의 율리시스(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독일 역사가이자 교육가 칼 프리드리히 베커(Karl Friedrich Becker)(1777~1806)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으로 트로이의 몰락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기 까지 10년간의 율리시스의 모험담을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칼 프리드리히 베커는 교육자로써 독일 소년 소녀들을 위한 고대 세계의 로망스 시리즈(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를 집필하였으며, 18세기 독일의 청소년에게 고대 그리스의 문학을 보다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와 아킬레스(Achilles by Karl Friedrich Becker)를 선택하였습니다. 작품에는 4개의 흑백 삽화가 수록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Translator’s Preface. Many years ago Karl Friedrich Becker wrote 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 of which “Ulysses” and “Achilles” in the present series of “Life Stories for Young People” form an important part. They became great favorites in their day and still preserve their interest, so that in a sense they may be called classics. The masterly manner in which the author has presented the old gods and heroes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and the atmosphere of the old days of mythology, as well as the thrill of the adventurous narrative and the deep human interest of the story, should commend them also to American boys and girls.

▷ 번역가의 서문. 수년 전 칼 프리드리히 베커(Karl Friedrich Becker)는 독일 소년 소녀들을 위한 고대 세계의 로망스 시리즈(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를 썼는데, 그 중 현재 시리즈 "청소년을 위한 삶의 이야기(Life Stories for Young People)"에서 "율리시스(Ulysses)"와 "아킬레스(Achilles)"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그 시대에 큰 인기를 얻었고 여전히 그들의 관심을 보존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고전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저자가 인간의 관점에서 고대 신과 영웅을 제시하는 솜씨와 신화의 고대 분위기, 모험적인 서사의 스릴과 이야기의 깊은 인간적 관심은 칭찬할 만하며, 또한 미국 소년과 소녀들에게도 추천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 None of the ancient stories is more entrancing than that of Ulysses and the vicissitudes he had to endure in his effort to return to Ithaca after the Trojan war, and of the patience, sweetness, and faithfulness of Penelope, as she waited year after year for the return of her lord, while her life was made wretched by the unwelcome and often brutal solicitations of her numerous suitors, as well as of her final happiness when Ulysses returned and wreaked deserved vengeance upon her persecutors. Incidentally also the reader will enjoy the charming descriptions of his adventures with Calypso and the beautiful Nausicaa, his escape from the monstrous Cyclops, the fascinating Circe, and his thrilling experiences in passing Scylla and Charybdis. It is a story replete with interest, delightfully told. G. P. U. Chicago, July, 1912.

▷ 율리시스와 그가 트로이 전쟁 후 이타카로 돌아가기 위해 견뎌야 했던 우여곡절, 그리고 페넬로페가 해마다 기다려온 인내, 달콤함, 충실함에 대한 이야기보다 더 황홀한 고대 이야기는 없습니다. 수많은 구혼자들의 환영받지 못하고 종종 잔혹한 간청으로 인해 그녀의 삶은 비참한 삶을 살았지만, 율리시스가 돌아와 그녀의 박해자들에게 합당한 복수를 했을 때 그녀의 마지막 행복은 그녀의 주인이 돌아왔습니다. 덧붙여서 독자는 칼립소와 아름다운 나우시카와의 모험, 괴물 같은 사이클롭스로부터의 탈출, 매혹적인 키르케, 스킬라와 카리브디스를 지나치는 스릴 넘치는 경험에 대한 매력적인 설명을 즐길 것입니다. 흥미진진하고 유쾌한 이야기입니다. G. P. U. 시카고, 1912년 7월.

▶ Chapter XVII. I have surmounted many difficulties and often barely escaped with my life, always trusting in a fortunate outcome. And now, ye gracious gods, I can look back gratefully upon my past. Often will I renew this offering, for one should remember the dead gladly, nor ever shun the goddess of death and fate. But wherever destiny may lead me, oh grant that I may rule the people gloriously and in peace, and that the name of the illustrious Ulysses may live among future generations of men.”

▷ 제17장. 나는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종종 간신히 인생을 탈출했으며 항상 운이 좋은 결과를 믿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은혜로운 신이시여, 감사하게도 제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나는 종종 이 제물을 새롭게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죽은 자를 기쁘게 기억해야 하고 죽음과 운명의 여신을 결코 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운명이 나를 이끄는 곳이면 어디든지 내가 백성을 영광스럽게 평화롭게 다스리게 하시고, 저명한 율리시스의 이름이 후대에 살게 하소서.”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2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아킬레스(English Classics912 Achilles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아킬레스(Achilles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독일 역사가이자 교육가 칼 프리드리히 베커(Karl Friedrich Becker)(1777~1806)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입니다. 칼 프리드리히 베커는 교육자로써 독일 소년 소녀들을 위한 고대 세계의 로망스 시리즈(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를 집필하였으며, 18세기 독일의 청소년에게 고대 그리스의 문학을 보다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와 아킬레스(Achilles by Karl Friedrich Becker)를 선택하였습니다. 작품에는 3점의 흑백 삽화가 수록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Translator’s Preface. In tracing the career of Achilles in connection with the Trojan war, that inimitable classic story-teller, Carl Friedrich Becker, follows the lines of Homer’s Iliad. He gives the reader a graphic picture of the stirring events in the ten years’ siege maintained by the Greeks, under the leadership of Agamemnon, king of Mycenæ, in their finally successful effort to redress the injury done to Menelaus, king of Sparta, whose wife, Helen, was carried off by Paris. The striking points in this thrilling narrative are the quarrel between Agamemnon and Achilles; the exploits of Hector, noblest character of them all; the human impersonations of the gods, who take part in the strife?some on one side, some on the other; the death of Patroclus; the final reconciliation of Achilles and Agamemnon and the former’s tremendous exploits; the death of Hector, and the touching interview with the aged Priam, who seeks to recover his body.

▷ 번역가의 서문. 트로이 전쟁과 관련하여 아킬레스의 경력을 추적하면서 그 흉내 낼 수 없는 고전적인 이야기꾼인 칼 프리드리히 베커(Carl Friedrich Becker)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Iliad) 라인을 따릅니다. 그는 독자들에게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이 이끄는 그리스인들이 마침내 아내 헬렌이 파리로 끌려간 스파르타의 왕 메넬라오스에게 가해진 상처를 보상하기 위해 벌인 10년간의 포위 공격에서 일어난 동요하는 사건들에 대한 생생한 그림을 제공합니다. 이 스릴 넘치는 이야기에서 눈에 띄는 점은 아가멤논과 아킬레우스의 싸움, 그들 중 가장 고귀한 인물인 헥토르의 공훈, 싸움에 참여하는 신들의 인간 흉내, 파트로클로스의 죽음, 아킬레우스와 아가멤논의 마지막 화해, 그리고 전자의 떨림입니다. 헥토르의 죽음과 그의 몸을 회복하려는 늙은 프리아모스의 감동적인 인터뷰가 끝났습니다.

▶ The ultimate fate of Achilles and the fall of the city are not told, nor the wretched end of Agamemnon, who, according to Æschylus, was killed by Clytemnestra, the queen, upon his return. Hector is one of the most conspicuous figures in this great drama and appears only second to Achilles among all the warriors. The exciting Trojan war story has never been told more graphically or interestingly in modern prose than in Becker’s version. In adapting it to the series of “Life Stories” the translator has been obliged to abridge the original work somewhat, but the parts omitted do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story. G. P. U. Chicago, May, 1912.

▷ 아킬레우스의 궁극적인 운명과 도시의 함락, 아이스킬로스(Æschylus)에 따르면 왕비 클리타임네스트라가 돌아오자 살해한 아가멤논의 비참한 최후는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헥토르는 이 위대한 드라마에서 가장 눈에 띄는 인물 중 하나이며 모든 전사 중에서 아킬레스 다음으로 두 번째로 등장합니다. 흥미진진한 트로이 전쟁 이야기는 베커의 버전보다 현대 산문에서 더 그래픽으로 또는 흥미롭게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그것을 "라이프 스토리(Life Stories)" 시리즈로 각색하면서 번역가는 원작을 어느 정도 요약해야 할 의무가 있지만 생략된 부분은 이야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G. P. U. 시카고, 1912년 5월.

▶ Chapter XVI. The old mother also could not be torn from her beloved son. First she caressed his head, then the cold hands, as though she hoped to call him back to life. Helen too lamented over the dead. “Hector dearest,” she cried, “thou didst love me more than any of my husband’s brothers. What insults I have suffered since the hero brought me to Troy! Thou alone hadst never an unkind word for me. Yea often, when thy mother or one of my sisters-in-law or even their husbands heaped abuse upon me, thou didst mollify the angry ones and make peace. How thy friendly encouragement comforted me! Ah, I shall never hear that dear voice again, and I have no longer a friend in this house, where all turn from me with loathing.”

▷ 제16장. 노모도 사랑하는 아들에게서 떼어낼 수 없었습니다. 먼저 그녀는 그의 머리를 쓰다듬었고, 그 다음에는 차가운 손을 쓰다듬었다. 마치 그를 다시 살리려는 듯이. 헬렌도 죽은 자를 한탄했습니다. "사랑하는 헥토르야." 그녀가 외쳤다. 영웅이 나를 트로이로 데려온 이후로 내가 얼마나 모욕을 당했는지! 당신만이 나에게 불친절한 말을 한 적이 없습니다. 참으로 자주, 당신의 어머니나 나의 시누이 중 한 사람 또는 그들의 남편이 나에게 모욕을 퍼부었을 때, 당신은 화난 자들을 달래고 화해를 이루었습니다. 당신의 친절한 격려가 나를 얼마나 위로했습니까! 아, 나는 그 귀한 목소리를 다시는 들을 수 없고, 모두가 혐오로 나를 외면하는 이 집에 더 이상 친구도 없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7 에드거 앨런 포의 적사병의 가면극 1842(English Classics917 The Masque of the Red Death by Edgar Allan Poe)

도서정보 :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에드거 앨런 포의 적사병의 가면극(The Masque of the Red Death by Edgar Allan Poe)(1842)은 1842년 그래햄 매거진(Graham's Magazine) 5월호에 최초로 공개된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단편 소설입니다. 작품에는 감염되자마자 30분 만에 사망하는 정체불명의 전염병(plague), 일명 적사병(Red Death)을 피해 오직 천 명의 국민만을 추려 수도원(the abbey)으로 스스로 고립된 프로스페로 왕자(Prince Prospero)가 등장합니다. 그가 거주하는 수도원에는 각기 다른 콘셉트로 꾸며진 7개의 방이 있으며, 성 밖에서 국민들이 숨을 거두고 있을 때 화려한 음악과 함께 매일같이 가장무도회(a masquerade ball)를 개최하는 모습은 그 자체로 으스스합니다……. 과연 포는 프로스페로 왕자와 그의 일행들에게 영원히 행복한 삶을 선사할까요? 글쎄요, 그렇진 않을 것 같네요…….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But the Prince Prospero was happy and dauntless and sagacious. When his dominions were half depopulated, he summoned to his presence a thousand hale and light-hearted friends from among the knights and dames of his court, and with these retired to the deep seclusion of one of his castellated abbeys. This was an extensive and magnificent structure, the creation of the prince’s own eccentric yet august taste. A strong and lofty wall girdled it in. This wall had gates of iron. The courtiers, having entered, brought furnaces and massy hammers and welded the bolts.

▷ 하지만 프로스페로 왕자는 행복하고 용감하며 현명했습니다. 그의 영토가 절반의 인구가 감소했을 때, 그는 그의 궁정의 기사들과 딸들 사이에서 천 명의 금발이고 가벼운 친구들을 그의 앞에 불러들였고, 그들과 함께 그의 성스러운 수도원 중 한 명의 깊은 은둔지로 은퇴했습니다. 이것은 광범위하고 웅장한 건축물로, 왕자의 기이하면서도 고귀한 취향을 만들어냈습니다. 튼튼하고 높은 벽이 그것을 감쌌습니다. 이 벽에는 철문이 있었습니다. 궁정들은 들어간 후 용광로와 거대한 망치를 가져와 볼트를 용접했습니다.

▶ They resolved to leave means neither of ingress nor egress to the sudden impulses of despair or of frenzy from within. The abbey was amply provisioned. With such precautions the courtiers might bid defiance to contagion. The external world could take care of itself. In the meantime it was folly to grieve, or to think. The prince had provided all the appliances of pleasure. There were buffoons, there were improvisatori, there were ballet-dancers, there were musicians, there was Beauty, there was wine. All these and security were within. Without was the “Red Death”.

▷ 그들은 절망의 갑작스러운 충동이나 내부로부터의 광란에 대한 진입이나 퇴장을 의미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수도원은 충분히 공급되었습니다. 그러한 예방 조치로 신하들은 전염병에 저항할 수 있습니다. 외부 세계는 스스로를 돌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 슬퍼하거나 생각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었습니다. 왕자는 쾌락의 모든 기구를 제공했습니다. 광대, 즉흥 연주, 발레 댄서, 음악가, 미녀, 와인이 있었습니다. 이 모든 것과 보안이 내부에 있었습니다. "적사병"이 없었습니다.

▶ 적사병(Red Death)이 뭐야?! : 적사병(Red Death)은 적사병의 가면극(1842)에서 감염되자마자 30분 만에 사망하는 정체불명의 전염병(plague)을 일컫는 표현입니다만, 실제로 존재하는 질병은 아닙니다. 우리에게 친숙한 흑사병(黑死病, Black Death)을 살짝 변형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질병의 이름 자체가 ‘죽음(Death)’을 뜻한다는 것은 그 자체로 스포일러가 되는데, 이 때문에 가장무도회에 등장하는 적사병(Red Death)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지요. 실체 없이 붉은 가면을 쓴 그의 정체는 과연 무엇일까요?!

▶ The “Red Death” had long devastated the country. No pestilence had ever been so fatal, or so hideous. Blood was its Avatar and its seal?the redness and the horror of blood. There were sharp pains, and sudden dizziness, and then profuse bleeding at the pores, with dissolution. The scarlet stains upon the body and especially upon the face of the victim, were the pest ban which shut him out from the aid and from the sympathy of his fellow-men. And the whole seizure, progress and termination of the disease, were the incidents of half an hour.

▷ "적사병"은 오랫동안 이 나라를 황폐화시켰습니다. 어떤 역병도 그렇게 치명적이거나 끔찍한 적이 없었습니다. 피는 그것의 아바타이자 그것의 도장, 즉 피의 붉은색과 공포였습니다. 심한 통증과 갑작스러운 현기증, 그리고 모공에서 출혈이 심하고 용출이 있었습니다. 시신과 특히 피해자의 얼굴에 묻은 주홍색 얼룩은 그를 원조와 동료들의 동정으로부터 격리시킨 해충 금지령이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발작, 병의 진행과 종식은 단 30분이었습니다.

▶ 적사병을 피해 달아났으나, 역설적으로 스스로를 수도원에 가둔 프로스페로 왕자(Prince Prospero)는 어리석은 인간에 대한 비유일 것입니다. 프로스페로이 익숙하신 분이 계시다면, 윌리엄 셰익스피어(William Shakespeare)(1564~1616)의 템페스트(The Tempest)(1610)를 떠올리실 것입니다. 템페스트의 프로스페로는 동생 안토니오에게 추방당한 밀라노의 공작으로, 폭풍으로 인해 표류한 안토니오에게 복수한 후 다시 나폴리로 금의환향하는 인물입니다. 해피엔딩을 맞은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와 달리 적사병의 가면극(1842)의 프로스페로에겐 편안한 죽음이 허락되지 않았습니다.

▶ And now was acknowledged the presence of the Red Death. He had come like a thief in the night. And one by one dropped the revellers in the blood-bedewed halls of their revel, and died each in the despairing posture of his fall. And the life of the ebony clock went out with that of the last of the gay. And the flames of the tripods expired. And Darkness and Decay and the Red Death held illimitable dominion over all.

▷ 그리고 이제 적사병의 존재가 인정되었습니다. 그는 밤중에 도둑처럼 왔습니다. 그리고 하나둘씩 그들의 흥청망청 피로 물든 홀에 경배자들을 떨어뜨렸고, 그가 쓰러졌을 때의 절망적인 자세로 각각 죽었습니다. 흑단시계의 삶은 마지막 게이들의 삶과 함께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삼각대의 불꽃은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어둠과 부패와 붉은 죽음이 모든 것을 무한히 지배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0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English Classics910 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영국 고전학자 알프레드 존 처치(Alfred John Church)(1829~1912)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으로 트로이의 몰락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기 까지 10년간의 율리시스의 모험담을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소개(Introduction)란에 작가 본인이 직접 호메로스의 시대에 대한 배경과 주요 작품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으며, 원작과 비교하면, 19세기 영국독자의 취향과 입맛에 맞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While they were still a rude people, they had noble ideals of beauty and bravery, of duty and justice. Even before they had a written language, their singers had made songs about their heroes and their great deeds; and later these songs, which fathers had taught to children, and these children to their children, were brought together into two long and wonderful poems, which have ever since been the delight of the world, the Iliad and the Odyssey.

▷ 소개. 그들은 여전히 ??무례한 사람들이었지만 아름다움과 용감함, 의무와 정의의 고귀한 이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글을 쓰기도 전에 그들의 가수들은 그들의 영웅과 그들의 위업에 대해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아버지들이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과 이 아이들이 그들의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은 그 이후로 세상의 기쁨이 된 두 편의 길고 멋진 시인 일리아드(the Iliad)와 오디세이아(the Odyssey)로 합쳐졌습니다.

▶ The Iliad is the story of the siege of Ilium, or Troy, on the western coast of Asia Minor. Paris, son of the king of Troy, had enticed Helen, the most beautiful of Grecian women, and the wife of a Grecian king, to leave her husband's home with him; and the kings and princes of the Greeks had gathered an army and a fleet and sailed across the Aegean Sea to rescue her. For ten years they strove to capture the city. According to the fine old legends, the gods themselves took a part in the war, some siding with the Greeks, and some with the Trojans. It was finally through Ulysses, a famous Greek warrior, brave and fierce as well as wise and crafty, that the Greeks captured the city.

▷ 일리아드(Iliad)는 소아시아의 서쪽 해안에 있는 일리움(트로이) 또는 일리움 포위 공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트로이 왕의 아들 파리스는 그리스의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자 그리스 왕의 아내인 헬레네를 유혹하여 남편의 집을 떠나게 했습니다. 그리스의 왕들과 방백들이 군대와 함대를 모아 에게 해를 건너 그녀를 구출했습니다. 10년 동안 그들은 도시를 점령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훌륭한 옛 전설에 따르면, 신들 자신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일부는 그리스 편에, 일부는 트로이 목마 편에 가담했습니다. 마침내 그리스인들이 도시를 점령한 것은 용감하고 사나우며 현명하고 교활한 유명한 그리스 전사인 율리시스(Ulysses)를 통해서였습니다.

▶ The second poem, the Odyssey, tells what befell Ulysses, or Odysseus, as the Greeks called him, on his homeward way. Sailing from Troy with his little fleet of ships, which were so small that they used oars as well as sails, he was destined to wander for ten years longer before he could return to his rocky island of Ithaca, on the west shore of Greece, and to his faithful wife, Penelope.

▷ 두 번째 시인 오디세이(Odyssey)는 율리시스(Ulysses) 또는 그리스인이 부르는 오디세우스(Odysseus)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당한 일을 알려줍니다. 노와 돛을 모두 사용할 정도로 매우 작은 작은 함대를 이끌고 트로이에서 항해한 그는 그리스 서쪽 해안에 있는 바위투성이의 이타카 섬과 그의 충실한 아내 페넬로페에게 돌아갈 수 있기까지 10년을 더 방황할 운명이었습니다.

▶ As you read these ancient tales, you must forget what knowledge you have of the world, and think of it as the Greeks did. It was only a little part of the world that they knew at all,?the eastern end of the Mediterranean,?but even that seemed to them a great and marvellous region. Beyond its borders were strange and mysterious lands, in which wonders of all kinds were found, and round all ran the great world-river, the encircling stream of Ocean.

▷ 이 고대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신이 세상에 대해 어떤 지식을 갖고 있는지 잊어버리고 그리스인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그들이 전혀 알고 있는 것은 세계의 아주 작은 부분, 즉 지중해의 동쪽 끝이었지만, 그들에게는 그마저도 위대하고 놀라운 지역으로 보였습니다. 그 경계 너머에는 모든 종류의 경이로움이 발견되는 기이하고 신비한 땅이 있었고, 그 둘레에는 거대한 세계 강이 흐르고 있었고, 대양의 흐름이 에워싸고 있었습니다.

▶ If you let yourselves be beguiled into this old, simple way of regarding earth and heaven, you will not only love these ancient tales yourself, but you will see why, for century after century, they have been the longest loved and the best loved of all tales? beloved by old and young, by men and women and children. For they are hero-tales,?tales of war and adventure, tales of bravery and nobility, tales of the heroes that mankind, almost since the beginning of time, have looked to as ideals of wisdom and strength and beauty.

▷ 만약 당신이 땅과 하늘에 관한 이 오래되고 단순한 방식에 속아 넘어가게 된다면, 당신은 이 고대 이야기를 스스로 사랑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백 세기 동안 그들이 가장 오래 사랑받고 가장 사랑받는 이유를 알게 될 것입니다. 모든 이야기 - 노인과 젊은이, 남자와 여자와 어린이에게 사랑받는. 전쟁과 모험의 이야기, 용감함과 귀족의 이야기, 태초부터 인류가 지혜와 힘과 아름다움의 이상으로 여겼던 영웅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6 에드거 앨런 포의 어셔가의 몰락 1839(English Classics916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by Edgar Allan Poe)

도서정보 :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어셔가의 몰락(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 by Edgar Allan Poe)(1839)은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가 버튼스 젠틀맨 매거진(Burton's Gentleman's Magazine)(1839)을 통해 최초로 발표한 단편 소설(short story)이자 고딕 소설(Gothic fiction)로 1840년 그로테스크와 아라베스크 이야기(Tales of the Grotesque and Arabesque) 컬렉션에 포함된 바 있습니다. 몰락한 저택에서의 고립(isolation)과 광기(madness)에 시달리는 환자, 쌍둥이 남매와 이로 인해 흔들리는 형이상학적 정체성(metaphysical identities)까지……. 짧은 단편이지만, 두려움(feelings of fear)으로 고통 받는 캐릭터, 임박한 운명(impending doom)과 이에 대한 자기 성취적 예언(own self-fulfilling prophecy), 인간으로써 피할 수 없는 죄책감(guilt) 등 작가 포의 정체성(Poe's “totality”)을 두루 갖추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 출간된 후 영화 La Chute de la maison Usher(1928)를 비롯해 오페라 La chute de la maison Usher(1988),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1991), 단막극 The Fall of the House of Usher(2002), 뮤지컬 Usher(2008), 소설 What Moves the Dead(2022) 등으로 재창조되었습니다. 무려 183년 전의 작품이지만, 지난 2021년 넷플릭스는 동명 원작의 8부작 시리즈를 제작한다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자, 에드거 앨런 포가 창조한 세계, 어셔가(the House of Usher)로 독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어셔가(the House of Usher)가 실존한다구?! :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Boston, Massachusetts)에 위치한 히즈키야 어셔 하우스(Hezekiah Usher House)에서 밝혀진 기묘한 사건은 에드거 앨런 포에게 영감을 주었으리라 추측되는 강력한 실존 사례로 거론됩니다. 1684년 건축된 저택은 (작가가 21세인) 1830년 철거되었는데, 당시 지하실에서 두 구의 시신이 서로 끌어안은 채 발견되었습니다. 그들은 집주인의 젊은 아내와 어느 선원으로 추정됩니다.

▶ 작품에는 오랜 역사와 막대한 재산을 지니고 있으나, 불과 두 명의 남매만이 남아 있는 어셔가(the House of Usher)가 등장합니다. 오빠 로데릭 오셔(Roderick Usher)은 큰 병에 걸리자 어렸을 적의 친구인 화자를 자신의 집으로 초청하고, 화자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선뜻 이를 받아들입니다. 화자가 어셔가를 방문하면서 왠지 모르게 우울하면서도 음침한 이야기가 시작되지요…….

▶ In this there was much that reminded me of the specious totality of old wood-work which has rotted for long years in some neglected vault, with no disturbance from the breath of the external air. Beyond this indication of extensive decay, however, the fabric gave little token of instability. Perhaps the eye of a scrutinizing observer might have discovered a barely perceptible fissure, which, extending from the roof of the building in front, made its way down the wall in a zigzag direction, until it became lost in the sullen waters of the tarn.

▷ 여기에는 외부 공기의 숨결로 인한 방해 없이 방치된 일부 금고에서 오랜 세월 동안 썩어가던 오래된 목공예품의 거창한 전체성을 상기시키는 것이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광범위한 붕괴의 징후를 넘어서는 직물은 불안정성의 징후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습니다. 면밀히 관찰하는 관찰자의 눈은 앞 건물의 지붕에서 뻗어 나와 지그재그 방향으로 벽을 따라 내려가 늪의 음산한 물에 빠질 때까지 거의 감지할 수 없는 균열을 발견했을 것입니다.

▶ 화자는 로데릭과 쌍둥이 남매인 마델린(Madeline)의 매장을 도운 후 닥친 폭풍으로 인해 로데릭과 저택에서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책을 읽고, 음악을 듣는 것 외에는 별다를 것 없는 일상이지만, 로데릭의 증세는 점차 심각해지기만 하는데...?! 대체 로데릭에게만 들린다는 소음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짧은 작품이지만, 작품 내에 로데릭이 노래하는 유령의 궁전(The Haunted Palace)과 작가가 창조한 론슬릿 캐닝 경(Sir Launcelot Canning)의 중세 기사소설 미친 트리스트(Mad Trist)가 교차되며 생동감과 긴박감을 더합니다!!

▶ As if in the superhuman energy of his utterance there had been found the potency of a spell, the huge antique panels to which the speaker pointed threw slowly back, upon the instant, their ponderous and ebony jaws. It was the work of the rushing gust?but then without those doors there did stand the lofty and enshrouded figure of the lady Madeline of Usher. There was blood upon her white robes, and the evidence of some bitter struggle upon every portion of her emaciated frame. For a moment she remained trembling and reeling to and fro upon the threshold?then, with a low moaning cry, fell heavily inward upon the person of her brother, and in her violent and now final death-agonies, bore him to the floor a corpse, and a victim to the terrors he had anticipated.

▷ 마치 그의 발언의 초인적인 에너지에서 주문의 힘이 발견되었듯이, 화자가 가리키는 거대한 골동품 패널은 그 순간 무겁고 흑단색 턱을 천천히 뒤로 던졌습니다. 그것은 돌진하는 돌풍의 작품이었습니다. 하지만 그 문들 없이 어셔의 매들린의 높고 웅장한 모습이 서 있었습니다. 그녀의 하얀 예복에는 피가 묻어 있었고, 그녀의 수척한 몸 구석구석에는 쓰라린 투쟁의 흔적이 있었습니다. 잠시 동안 그녀는 문턱에서 떨고 비틀거리며 남아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낮은 신음소리와 함께, 그녀의 오빠의 사람에게 무겁게 안쪽으로 떨어졌고, 그녀의 폭력적이고 이제 마지막 죽음의 고통 속에서, 그는 시체와 그가 예상했던 공포의 희생자가 되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