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고전905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English Classics905 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시간상으로는 일리아스(The Iliad)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 패배한 트로이를 떠난 오디세우스는 전리품을 배에 가득 싣고 고향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신들의 저주(포세이돈)와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10년간 지중해 연안을 방황하지요.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아내와 늙은 아버지를 재회하기까지 오디세우스의 고난과 역경’을 담은 모험기이자 표류기입니다. 전쟁담을 다룬 피비린내 가득한 일리아스(The Iliad)와 달리,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말 그대로 신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오가이아 섬의 님프(Nymph)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 공주와 알키노스 왕의 궁전, 미녀의 얼굴과 독수리의 몸으로 매혹적인 노래를 부르며 선원을 유혹하는 세이렌(The Sirens),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Cyclops) 등의 기기묘묘한 신수(神獸)가 쉴새없이 등장하는 판타지이지요!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는 ‘수의가 완성되면 결혼하겠다.’란 말로 숱한 구혼자를 달래며 낮에는 수의를 짓고, 밤에는 다시 풀어 헤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10년 간의 역경 끝에 다시 돌아온 오디세우스가 무려 108명에 달하는 구혼자를 활로 쏴죽이는 엔딩이 압권입니다.

▶ 호메로스의 짧은 시와 함께한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 together with the shorter poems by Homer)는 15세기 활동한 영국의 고전학자 겸 극작가, 번역가 조지 채프먼(George Chapman)(1559~1634)이 번역한 작품으로 호메로스(Homer)(BC 800?~BC 750?)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s of Homer)를 비롯해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Battle of the Frogs and Mice), 아폴로를 비롯한 신에게 바치는 32편의 찬송가(Hymns), 그리고 십 수편의 경구와 기타 시(Epigrams And Other Poems) 등을 포괄하는 방대한 편집본입니다. 서두에는 서머셋 백작(Earl Of Somerset)과 영국 왕실의 체임벌린 경(Lord Chamberlain)에게 바치는 헌사(獻辭)가, 작품의 말미에 번역자의 에필로그(The Translator’s Epilogue)가 각각 첨부되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CHAPMAN’S INTRODUCTION. TO THE MOST WORTHILY HONOURED, MY SINGULAR GOOD LORD, ROBERT, EARL OF SOMERSET, LORD CHAMBERLAIN, ETC. I have adventured, right noble Earl, out of my utmost and ever-vowed service to your virtues, to entitle their merits to the patronage of Homer’s English life, whose wished natural life the great Macedon would have protected as the spirit of his empire, That he to his unmeasur’d mighty acts Might add a fame as vast; and their extracts, In fires as bright and endless as the stars, His breast might breathe and thunder out his wars.

▷ 채프먼의 소개. 가장 가치 있는 영예를 돌리는 나의 유일한 선하신 주님, 로버트, 서머셋 백작, 체임벌린 경 등. 고귀한 백작님, 저는 당신의 미덕에 대한 최선의 헌신을 다하여 그들의 공로를 호메로스의 영국인 삶의 후원에 부여하기 위해 모험을 했습니다. 그가 그의 측량할 수 없는 강력한 행동에 광대한 명성을 추가할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그들의 추출물, 별처럼 밝고 끝없는 불 속에서 그의 가슴은 숨을 쉬고 그의 전쟁을 천둥으로 몰아칠 것입니다.

▶ 쥐 왕국과 개구리 왕국의 전쟁(Battle of the Frogs and Mice)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 : 쥐 왕자 사이샤팍스(Psycharpax)는 개구리 왕 피시그나투스(Physignathus)의 초대를 받고, 그의 등에 선뜻 올라탑니다. 호수를 건너는 중에 물뱀과 마주친 피시그나투스는 등에 쥐왕자를 태우고 있다는 것조차 잊어버리고 깊은 물 속으로 잠수해 버리고 마는데...?! 결국 왕자를 잃게 된 쥐 왕국은 개구리 왕국에 전쟁을 선포합니다. 한편 쥐와 개구리의 전쟁을 지켜보는 제우스는 아테나에게 억울하게 왕자를 잃은 쥐 왕국을 도울 것을 명하지만, 그녀는 쥐라면 질색!! 결국 신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전쟁은 쥐 왕국의 승리로 끝이 납니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쥐와 개구리간의 전쟁’은 결국 당대의 일리아드(Iliad)를 은유한 패러디이자 우화(偶話)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호메로스는 아르테미시아 1세(Artemisia I) 혹은 루시안(Lucian) 등과 함께 바트라코모마키아(The Batrachomyomachia)의 유력한 저자로 꼽힙니다.

▶ BATRACHOMYOMACHIA. Two heads; nor could to any hand be prise;/They call them lobsters; that ate from the Mice/Their tails, their feet, and hands, and wrested all/Their lances from them, so that cold appall/The wretches put in rout, past all return./And now the Fount of Light forbore to burn/Above the earth; when, which men’s laws commend,/Our battle in one day took absolute end. ▷ 바트라코묘마키아. 두 개의 머리; 어느 누구에게도 경의를 표할 수 없습니다./그들은 그들을 바닷가재라고 부릅니다. 쥐를 잡아먹고/그들의 꼬리와 발과 손을 다 먹어치우고/그들의 창을 빼앗아 가혹한 공포를/비참한 자들이 패주하여 모든 것이 돌아오지 못하게 하였느니라./지구 위; 인간의 법이 칭찬하는 때,/우리의 전투는 하루에 완전히 끝났습니다.

▶ A Hymn to Apollo. I will remember and express the praise/Of heaven’s Far-darter, the fair King of days,/Whom even the Gods themselves fear when he goes/Through Jove’s high house; and when his goodly bows/He goes to bend, all from their thrones arise,/And cluster near, t’ admire his faculties. ▷ 아폴로의 찬송가. 나는 하늘의 저승사자, 아름다운 나날의 왕,/신들 스스로가 그가 갈 때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높은 집을 지나갈 때/신들조차도 두려워하는 사람/주피터(Jove)의 좋은 절을 할 때, 모든 것이 그들의 왕좌에서 일어나고/그리고 가까이 모여들면, 그의 능력을 칭찬할 것입니다.

▶ The Translator’s Epilogue. The work that I was born to do is done!/Glory to Him that the conclusion/Makes the beginning of my life; and never/Let me be said to live, till I live ever./Where’s the outliving of my fortunes then, ▷ 번역자의 에필로그. 내가 타고난 일은 끝났어요!/그 결말을 그에게 영광을 돌립니다./내 인생의 시작을 만들어요; 그리고 결코./내가 영원히 살 때까지 살 수 있게 해주세요./그럼 내 운명은 다 어디로 갔죠?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0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 1855(English Classics890 My Bondage and My Freedom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두 번째 자서전,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는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의 인기에 힘입어, 평생 2권의 자서전을 추가로 집필하였습니다. 두 번째 자서전은 첫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10년 후 출간한 나의 속박과 나의 자유(My Bondage and My Freedom)(1855)이며, 세 번째 자서전은 두 번째 자서전으로부터 무려 26년 후 발표한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입니다. 추천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으로써 ‘미국 최초로 정규 교육을 받은 유색인종 의사(First regularly-educated Colored Physician in the United States)’ 제임스 맥쿤 스미스(JAMES M’CUNE SMITH)(1813~1865)가 썼습니다.

▶ It is an American book, for Americans, in the fullest sense of the idea. It shows that the worst of our institutions, in its worst aspect, cannot keep down energy, truthfulness, and earnest struggle for the right. It proves the justice and practicability of Immediate Emancipation. JAMES M’CUNE SMITH. ▷ 이 책은 미국인을 위한, 그 아이디어의 완전한 의미에서 미국 책입니다. 그것은 우리 제도 중 최악의 것이, 최악의 측면에서, 에너지, 진실성, 그리고 권리를 위한 진지한 투쟁을 억제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것은 즉각적인 해방의 정의와 실행 가능성을 증명합니다. 제임스 맥쿤 스미스(1813~1865)

▶ 두 번째 자서전은 제1장 어린 시절(Childhood)부터 제21장 노예제로부터의 탈출(My Escape from Slavery)까지 시간 순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혈통(Parentage), 노예 농장(Slave Plantation)과 노예제(Slavery) 등에 관한 작가의 진솔한 생각은 물론 노예로써 견뎌내야만 했던 악인(the Negro Breaker) 코비(Covey) 등에 얽힌 경험담을 담담히 털어 놓습니다. 제22장부터는 자유인(Freeman)으로써 새롭게 시작한 삶에 대해 서술하고 있으며, 책의 말미에 그를 대중들에게 알린 유명한 연설문과 강의록, 편지 등을 함께 실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프레더릭 더글러스는 당대 미국의 악명 높은 도망노예법(逃亡奴?法, Fugitive slave laws)에 의거해 다시 미국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자신의 자유를 위해 몸값을 지불해야만 하였습니다. 작가는 현실적으로 지인의 도움을 받아 영국에 정착해 새로운 자유인으로써의 삶을 시작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고향땅과 미국에서 고통 받는 동포들을 구하고 싶다는 신념하에 기꺼이 150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함으로써 ‘공식적으로’ 노예가 아닌 인간으로써의 삶을 되찾을 수 있었습니다.

▶ It is true, I was not in the possession of my claimants, and could have easily remained in England, for the same friends who had so generously purchased my freedom, would have assisted me in establishing myself in that country. To this, however, I could not consent. I felt that I had a duty to perform?and that was, to labor and suffer with the oppressed in my native land. Considering, therefore, all the circumstances?the fugitive slave bill included?I think the very best thing was done in letting Master Hugh have the hundred and fifty pounds sterling, and leaving me free to return to my appropriate field of labor.

▷ 사실, 저는 청구인들의 소유가 아니었고, 쉽게 영국에 남을 수 있었습니다. 제 자유를 아낌없이 구매한 같은 친구들이라면 제가 그 나라에서 제 자신을 확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저는 제가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것은 제 조국에서 억압받는 사람들과 함께 일하고 고통 받는 것입니다. 따라서 도망노예법 벌금(the fugitive slave bill)을 포함한 모든 상황을 고려합니다. 가장 잘한 일은 휴(Master Hugh)에게 150 파운드 스털링을 지불하고, 내가 원하는 노동 분야로 돌아갈 수 있게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Had I been a private person, having no other relations or duties than those of a personal and family nature, I should never have consented to the payment of so large a sum for the privilege of living securely under our glorious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I could have remained in England, or have gone to some other country; and perhaps I could even have lived unobserved in this. But to this I could not consent. I had already become somewhat notorious, and withal quite as unpopular as notorious; and I was, therefore, much exposed to arrest and recapture.

▷ 내가 일개 개인이고 개인적 및 가족적 성격 외에 다른 관계나 의무가 없었다면 영광스러운 공화정 정부 아래서 안전하게 생활하는 특권을 위해 그렇게 큰 금액을 지불하는 데 동의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나는 영국에 남거나 다른 나라로 갈 수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나는 이것에서 관찰되지 않고 살았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는 이에 동의할 수 없었습니다. 나는 이미 어느 정도 악명을 떨쳤고 악명 높은 만큼 인기가 없었습니다. 따라서 나는 체포와 탈환에 많이 노출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 : 노예 출신의 노예제 폐지론자(Abolitionist)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계기는 바로 그가 자신의 노예 생활을 엮은 첫 번째 자서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Narrative of the Life of Frederick Douglass, an American Slave)(1845)가 대중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입니다. 글조차 제대로 배우지 않았기에 일자무식으로 치부되던 ‘흑인의 자전적 문학작품’에 대중들은 한편으로는 충격을, 다른 한편으로는 감동을 받았으며 미국 내에서만 9번이나 재판을 거듭하면서 11,000부 이상이 팔리는 인기를 누렸습니다. 미국에서의 인기에 힘입어 그의 자서전은 프랑스어와 네덜란드로 번역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의 명성이 유럽 대륙까지 전파될 수 있었으며 이는 훗날 그가 아일랜드에서 활약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국내에도 ‘미국 노예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에 관한 이야기’ 혹은 ‘노예의 노래’란 제목으로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세 번째 자서전,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 :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삶과 시간(The Life and Times of Frederick Douglass)(1881)은 그의 세 번째이자 사망하기 전 집필한 마지막 자서전으로, 첫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36년, 두 번째 자서전이 출간된 지 26년 만에 출간되었습니다. 가장 마지막에 집필한 자서전이니만큼 노예로써의 삶과 이후 노예제 해방 운동가이자 웅변가로써의 삶은 물론 당대의 저명인사로써 신문사를 운영하고, 두 명의 미국 대통령과 만나는 등의 정치적인 행보가 가장 상세하게 담겨 있습니다. 1991년 최초로 출간한 이후 아이티(Haiti)의 미국 장관(U.S. minister)(1889~1891)을 포함해 1892년 새롭게 업데이트하였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노예의 후손이 한 국가의 장관이 되기까지의 파란만장한 여정이 궁금하시다면 일독을 권합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2 프레더릭 더글러스의 백인과 유색인의 관계에 대한 3가지 연설문 1886(English Classics892 Three Addresses On The Relations Subsisting Between The White And Colored People by Frederick Douglass)

도서정보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프레더릭 더글러스(Frederick Douglass)(1818~1895)는 19세기 미국을 대표하는 노예제 폐지론자이자 웅변가로써 평생 전국각지의 연단에 올랐으며, 당시의 연설문 중 일부는 신문과 잡지는 물론 책으로 출간되었습니다. 백인과 유색인의 관계에 대한 3가지 연설문(Three Addresses On The Relations Subsisting Between The White And Colored People by Frederick Douglass)(1886)은 1883년 켄터키주 루이빌(In Louisville, KY., 1883.)에서 개최된 유색인종 대회(Convention of Colored Men) 연설문을 비롯해 1885년 워싱턴의 노예 제도 폐지 23주년(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 연설과 1886년 워싱턴의 컬럼비아 특별구의 독립 24주년(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연설문까지 총 3편의 연설문을 함께 묶은 작품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 Louisville, KY., 1883. The following was delivered by Frederick Douglass as an address to the people of the United States at a Convention of Colored Men held in Louisville, Ky., September 24, 1883: ▷ 1883년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다음은 프레더릭 더글러스가 1883년 9월 24일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열린 유색인종 대회(Convention of Colored Men)에서 미국 국민들에게 연설한 내용입니다.

▶ If the six millions of colored people of this country, armed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with a million votes of their own to lean upon, and millions of white men at their back, whose hearts are responsive to the claims of humanity, have not sufficient spirit and wisdom to organize and combine to defend themselves from outrage,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it will be idle for them to expect that the Republican party or any other political party will organize and combine for them or care what becomes of them... We put ourselves before them as honest men, and ask their judgment upon our work.

▷ 미국 헌법으로 무장한 이 나라의 600만 유색인종과 기댈 수 있는 100만 표를 가진 수백만 명의 백인, 인류의 요구에 마음을 다하는 수백만 명의 백인이 있다면, 분노, 차별, 억압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조직하고 결합할 충분한 정신과 지혜가 없다면, 공화당이나 다른 정당이 조직하고 결합하거나 자신들의 상황을 돌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우리는 정직한 사람으로서 그들 앞에 우리 자신을 놓고 우리의 일에 대한 그들의 판단을 묻습니다.

▶ IN WASHINGTON, D. C., 1885. On being introduced by Hon. B. K. Bruce, on the occasion of 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 in the District of Columbia, Frederick Douglass spoke as follows: ▷ 1885년 워싱턴 DC에서, 혼(Hon) 님의 소개로 B.K.브루스(B. K. Bruce), 콜롬비아 특별구에서 노예 제도 폐지 23주년(the twenty-third anniversary of the abolition of slavery)을 기념하여 Frederick Douglass 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Friends and Fellow-Citizens: Your committee of arrangements were pleased to select me as your orator of the day, on an occasion similar to this, two years ago. At that time, while appreciating the honor conferred upon me, I ventured to express the wish that some one of the many competent colored young men of this city and District had been chosen to discharge this honorable duty in my stead. There were excellent reasons for that wish then, and there are even much better reasons for the same wish now.

▷ 친구 및 시민 여러분: 2년 전 이와 비슷한 기회에 여러분의 준비 위원회는 저를 오늘의 웅변사로 선택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그 당시 나는 나에게 수여된 영예를 감사하면서 이 도시와 지역의 유능한 유색 청년 중 한 명이 나를 대신하여 이 명예로운 의무를 수행하도록 선택되기를 과감히 바랐습니다. 그 소원에는 훌륭한 이유가 있었고, 지금은 같은 소원에 대해 훨씬 더 나은 이유가 있습니다.

▶ IN WASHINGTON, D. C., 1886. In introducing Mr. Frederick Douglass, on the occasion of 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Prof. J. M. Gregory made the following remarks: ▷ 1886년 워싱턴 DC에서, 컬럼비아 특별구의 독립 24주년(the Twenty-fourth Anniversary of Emancipa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을 기념하여 프레더릭 더글러스 씨를 소개 하면서 J.M. 그레고리(J.M. Gregory) 교수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 Ladies and Gentlemen: For many years prior to 1861 the friends of freedom, seeing the prominence slavery had acquired because of its existence at the capital of the nation, and the evil influence which it necessarily exerted upon legislation, sought in vain by petitions and other measures for its abolition in the District of Columbia. It was not, however, till the national conscience began to be quickened by the reverses of our armies, and legislators to realize the dangers which threatened the life of the nation, that the cause could muster sufficient strength to gain a hearing in Congress.

▷ 신사 숙녀 여러분: 1861년 이전 수년 동안 자유의 친구들은 노예제가 국가의 수도에 존재하기 때문에 얻은 유명세와 그것이 반드시 입법에 가한 악한 영향력을 보고 콜롬비아 특별구의 탄원서와 다른 조치들에 의해 헛된 노력을 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군대와 국회의원들이 국가의 생명을 위협하는 위험을 깨닫고 국가의 양심이 회복되기 전까지는 그 대의가 의회에서 청문회를 얻을 수 있는 충분한 힘을 모을 수 없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6 호메로스와 H. L. 하벨과 오디세이아 이야기(English Classics906 Stories from the Odyssey by H. L. Havell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시간상으로는 일리아스(The Iliad)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전쟁에 패배한 트로이를 떠난 오디세우스는 전리품을 배에 가득 싣고 고향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신들의 저주(포세이돈)와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10년간 지중해 연안을 방황하지요.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한마디로 ‘아름다운 아내와 늙은 아버지를 재회하기까지 오디세우스의 고난과 역경’을 담은 모험기이자 표류기입니다. 전쟁담을 다룬 피비린내 가득한 일리아스(The Iliad)와 달리, 오디세이아(The Odyssey)는 말 그대로 신화 속에서나 나올 법한 오가이아 섬의 님프(Nymph) 칼립소(Calypso), 나우시카 공주와 알키노스 왕의 궁전, 미녀의 얼굴과 독수리의 몸으로 매혹적인 노래를 부르며 선원을 유혹하는 세이렌(The Sirens), 외눈박이 거인 키클롭스(Cyclops) 등의 기기묘묘한 신수(神獸)가 쉴 새 없이 등장하는 판타지이지요! 오디세우스의 아내 페넬로페(Penelope)는 ‘수의가 완성되면 결혼하겠다.’란 말로 숱한 구혼자를 달래며 낮에는 수의를 짓고, 밤에는 다시 풀어 헤치며 시간을 끌었습니다. 10년간의 역경 끝에 다시 돌아온 오디세우스가 무려 108명에 달하는 구혼자를 활로 쏴 죽이는 엔딩이 압권입니다.

▶ 호메로스와 H. L. 하벨과 오디세이아 이야기(Stories from the Odyssey by H. L. Havell and Homer)는 前 옥스포드 대학교 장학생(Formerly Scholar Of University College Oxford)이자 할레 대학교 영어 후기 독자(Late Reader In English In The University Of Halle) H. L. 하벨(H. L. Havel B.A.)이 다시 풀어쓴(Retold) 편집본으로 호메로스의 독서(L. Alma Tadema)를 비롯한 8점의 삽화가 추가되어 있습니다. 하벨은 이 작품을 쓰기 이전에 이미 헤로도토스의 이야기(Stories from Herodotus), 그리스 비극 이야기(Stories from Greek Tragedy), 아이네이스의 이야기(Stories from the Æneid), 일리아드의 이야기(Stories from the Iliad) 등 그리스로마 신화 원작의 ‘~의 이야기’ 시리즈를 출간한 바 있습니다. 소개(Introduction)와 결론(Conclusion)을 포함해 총 2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책 말미에 작품에 등장하는 수많은 캐릭터를 알파벳순으로 정리한 이름의 발음 목록(Pronouncing List Of Names)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소개(Introduction)에는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와 일리아드에 대한 배경 설명을 서술하고 있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The impersonal character of the Homeric poems has left us entirely in the dark as to the birthplace, the history, and the date, of their author. So complete is the darkness which surrounds the name of Homer that his very existence has been disputed, and his works have been declared to be an ingenious compilation, drawn from the productions of a multitude of singers. It is not my intention here to enter into the endless and barren controversy which has raged round this question. It will be more to the purpose to try and form some general idea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eek Epic; and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give a brief review of th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which it was produced.

▷ 소개. 호메로스 시의 비인격적인 성격은 저자의 출생지, 역사 및 날짜에 관해 우리를 완전히 어둠 속에 남겨두었습니다. 호메로스의 이름을 둘러싼 어둠이 너무도 완벽해서 그의 존재 자체가 논란이 되었고 그의 작품은 수많은 가수의 작품에서 가져온 독창적인 편집물로 선언되었습니다. 이 질문을 둘러싼 끝없는 불모의 논쟁에 참여하려는 것은 여기서 나의 의도가 아닙니다. 그리스 서사시의 특징에 대한 몇 가지 일반적인 개념을 시도하고 형성하는 것이 목적에 더 부합할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그것이 생산된 정치적, 사회적 조건에 대한 간략한 검토를 제공할 필요가 있습니다.

▶ INTRODUCTION-II. In speaking of the religion of the Homeric Greeks we have to draw a distinction between the Iliad and the Odyssey. In the Iliad the gods play a much livelier and more human part than in the latter poem, and it is highly remarkable that the only comic scenes in the first and greatest of epics are those in which the gods are the chief actors?as when the lame Hephæstus takes upon him the office of cupbearer at the Olympian banquet, or when Artemis gets her ears boxed by the angry Hera. It would almost seem as if there were a vein of deliberate satire running through these descriptions, so daring is the treatment of the divine personages.

▷ 서론-II. 호메로스식 그리스인의 종교에 대해 말할 때 우리는 일리아드와 오디세이를 구별해야 합니다. 일리아드에서 신들은 후자의 시보다 훨씬 더 활기차고 인간적인 역할을 하며, 최초이자 가장 위대한 서사시의 유일한 희극적 장면은 신들이 주연을 맡은 장면뿐이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합니다. 절름발이 헤파이스토스는 올림픽 연회에서 또는 아르테미스가 화난 헤라에게 귀를 막았을 때 술 맡은 관원을 맡게 됩니다. 이러한 묘사를 통해 고의적인 풍자가 흐르는 것처럼 보일 것이므로 대담하게 신성한 인물을 대하는 것입니다.

▶ INTRODUCTION-VI. Space does not allow us to give a detailed criticism of the Odyssey as a poem, and determine its relation to the Iliad. We must content ourselves with quoting the words of the most eloquent of ancient critics, which sum up the subject with admirable brevity and insight: "Homer in his Odyssey may be compared to the setting sun: he is still as great as ever, but he has lost his fervent heat……. Like the sea when it retires upon itself and leaves its shores waste and bare, henceforth the tide of sublimity begins to ebb, and draws us away into the dim region of myth and legend.“

▷ 서론-VI. 공간은 우리로 하여금 시로서의 오디세이에 대한 상세한 비평을 하도록 허용하지 않으며, 일리아드와의 관계를 결정짓습니다. 우리는 가장 유창한 고대 비평가들의 말을 인용하는 것으로 만족해야 합니다. 이 말은 주제를 훌륭하고 간결하고 통찰력 있게 요약하고 있습니다. "호메로스의 오디세이는 석양에 비유될 수 있습니다. 뜨거운 열기를 잃었습니다……. 바다가 스스로 물러나서 해안을 황폐하고 벌거벗은 채로 남겨두는 것처럼, 이제부터 숭고의 조수가 썰물을 시작하고 우리를 신화와 전설의 희미한 영역으로 끌어들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7 윌리엄 듀보이스의 인종의 보존 1897(English Classics897 The Conservation of Races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인종의 보존(The Conservation of Races by W. E. B. Du Bois)(1897)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 회의를 위해 작성한 원고입니다. 작가는 짧은 원고를 통해 ‘미국의 흑인(American Negro)’이란 인종(人種)이 미국인으로써의 정체성과 아프리카계로써의 주체성을 동시에 갖춰야 하며, 이를 위해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가 주도적으로 미국의 800만 명에 달하는 흑인들의 고등 교육과 문화의 혜택을 추구해야 한다는 장대한 비전을 주장하였습니다. 원고의 말미에 첨부한 7조문으로 이루어진 아카데미 신조(Academy Creed)는 오늘날에도 유효할 것입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Announcement. The American Negro Academy believes that upon those of the race who have had the advantages of higher education and culture, rests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oncerted steps for the employment of these agencies to uplift the race to higher planes of thought and action. Two great obstacles to this consummation are apparent: (a) The lack of unity, want of harmony, absence of a self-sacrificing spirit, and no well-defined line of policy seeking definite aims; and (b) The persistent, relentless, at times covert opposition employed to thwart the Negro at every step of his upward struggles to establish the justness of his claim to the highest physical, intellectual and moral possibilities. The Academy will, therefore, from time to time, publish such papers as in their judgment aid, by their broad and scholarly treatment of the topics discussed the dissemination of principles tending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Negro along right lines, and the vindication of that race against vicious assaults.

▷ 안내(Announcement). 미국 흑인 아카데미(The American Negro Academy)는 고등교육과 문화의 이점을 가진 인종에게 인종을 더 높은 수준의 생각과 행동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이러한 기관의 고용을 위한 일치된 조치를 취할 책임이 있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성취에 대한 두 가지 큰 장애물은 명백합니다: (a) 통합의 부족, 조화의 부족, 자기희생 정신의 부재, 명확한 목표를 추구하는 명확한 정책 라인의 부재. 그리고 (b) 그의 상승의 모든 단계에서 흑인을 좌절시키기 위해 고용된 끈질기고 무자비하며 때로는 은밀한 반대. 육체적, 지적, 도덕적 최고 가능성에 대한 그의 주장입니다. 따라서 아카데미는 올바른 노선을 따라 흑인의 성장과 발전에 도움이 되는 원칙의 보급과 악랄한 공격에 대한 인종 정당성을 논의한 주제에 대한 광범위하고 학술적인 처리를 통해 심판 지원에서 그러한 논문을 발표할 것입니다.

▶ If this be true, then the history of the world is the history, not of individuals, but of groups, not of nations, but of races, and he who ignores or seeks to override the race idea in human history ignores and overrides the central thought of all history. What, then, is a race? It is a vast family of human beings, generally of common blood and language, always of common history, traditions and impulses, who are both voluntarily and involuntarily striving together for the accomplishment of certain more or less vividly conceived ideals of life.

▷ 이것이 사실이라면 세계의 역사는 개인의 역사가 아니라 집단의 역사이며 민족의 역사가 아니라 인종의 역사이며, 인류 역사에서 인종 사상을 무시하거나 무시하려는 자는 중심 사상을 무시하고 무시합니다. 모든 역사를 생각했습니다. 그렇다면 경주란 무엇인가? 그것은 일반적으로 공통의 혈통과 언어를 사용하고 항상 공통의 역사, 전통 및 충동을 갖고 있으며, 어느 정도 생생하게 구상된 삶의 이상을 성취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그리고 비자발적으로 함께 노력하는 인간의 대가족입니다.

▶ Turning to real history, there can be no doubt, first, as to the widespread, nay, universal, prevalence of the race idea, the race spirit, the race ideal, and as to its efficiency as the vastest and most ingenious invention for human progress. We, who have been reared and trained under the individualistic philosophy of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laisser-faire philosophy of Adam Smith, are loath to see and loath to acknowledge this patent fact of human history.

▷ 실제 역사로 눈을 돌리면, 첫째, 인종 사상, 인종 정신, 인종 이상, 그리고 인간의 진보를 위한 가장 방대하고 기발한 발명으로서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독립선언서(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라는 개인주의 철학과 애덤 스미스의 자유주의 철학 아래 길러지고 훈련받은 우리는 인류 역사의 이런 특허적 사실을 인정하기가 싫고 싫습니다.

▶ We see the Pharaohs, Caesars, Toussaints and Napoleons of history and forget the vast races of which they were but epitomized expressions. We are apt to think in our American impatience, that while it may have been true in the past that closed race groups made history, that here in conglomerate America nous avons changer tout cela?we have changed all that, and have no need of this ancient instrument of progress. This assumption of which the Negro people are especially fond, can not be established by a careful consideration of history.

▷ 우리는 역사의 파라오(Pharaohs), 시저스(Caesars), 투생트(Toussaints), 나폴레옹(Napoleons)을 보고 그들이 단지 전형적으로 표현되었던 광대한 인종을 잊어버립니다. 우리는 폐쇄적인 인종 집단이 역사를 만들었다는 것이 과거에는 사실일 수도 있지만, 여기 대기업에서는 셀라(cela)를 내세우는 것이 사실일 수도 있다고 미국의 조바심 속에서 생각하기 쉽습니다. 우리는 그 모든 것을 바꾸었고, 이러한 오래된 진보의 도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흑인들이 특히 좋아하는 이 가정은 역사에 대한 신중한 고려로는 확립될 수 없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0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English Classics910 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호메로스와 알프레드 존 처치의 오디세이아 이야기(The Story of the Odyssey by Alfred John Church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영국 고전학자 알프레드 존 처치(Alfred John Church)(1829~1912)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으로 트로이의 몰락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기 까지 10년간의 율리시스의 모험담을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소개(Introduction)란에 작가 본인이 직접 호메로스의 시대에 대한 배경과 주요 작품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으며, 원작과 비교하면, 19세기 영국독자의 취향과 입맛에 맞췄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INTRODUCTION. While they were still a rude people, they had noble ideals of beauty and bravery, of duty and justice. Even before they had a written language, their singers had made songs about their heroes and their great deeds; and later these songs, which fathers had taught to children, and these children to their children, were brought together into two long and wonderful poems, which have ever since been the delight of the world, the Iliad and the Odyssey.

▷ 소개. 그들은 여전히 ??무례한 사람들이었지만 아름다움과 용감함, 의무와 정의의 고귀한 이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이 글을 쓰기도 전에 그들의 가수들은 그들의 영웅과 그들의 위업에 대해 노래를 불렀습니다. 그리고 나중에 아버지들이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과 이 아이들이 그들의 아이들에게 가르쳤던 이 노래들은 그 이후로 세상의 기쁨이 된 두 편의 길고 멋진 시인 일리아드(the Iliad)와 오디세이아(the Odyssey)로 합쳐졌습니다.

▶ The Iliad is the story of the siege of Ilium, or Troy, on the western coast of Asia Minor. Paris, son of the king of Troy, had enticed Helen, the most beautiful of Grecian women, and the wife of a Grecian king, to leave her husband's home with him; and the kings and princes of the Greeks had gathered an army and a fleet and sailed across the Aegean Sea to rescue her. For ten years they strove to capture the city. According to the fine old legends, the gods themselves took a part in the war, some siding with the Greeks, and some with the Trojans. It was finally through Ulysses, a famous Greek warrior, brave and fierce as well as wise and crafty, that the Greeks captured the city.

▷ 일리아드(Iliad)는 소아시아의 서쪽 해안에 있는 일리움(트로이) 또는 일리움 포위 공격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트로이 왕의 아들 파리스는 그리스의 가장 아름다운 여인이자 그리스 왕의 아내인 헬레네를 유혹하여 남편의 집을 떠나게 했습니다. 그리스의 왕들과 방백들이 군대와 함대를 모아 에게 해를 건너 그녀를 구출했습니다. 10년 동안 그들은 도시를 점령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훌륭한 옛 전설에 따르면, 신들 자신이 전쟁에 참여했으며 일부는 그리스 편에, 일부는 트로이 목마 편에 가담했습니다. 마침내 그리스인들이 도시를 점령한 것은 용감하고 사나우며 현명하고 교활한 유명한 그리스 전사인 율리시스(Ulysses)를 통해서였습니다.

▶ The second poem, the Odyssey, tells what befell Ulysses, or Odysseus, as the Greeks called him, on his homeward way. Sailing from Troy with his little fleet of ships, which were so small that they used oars as well as sails, he was destined to wander for ten years longer before he could return to his rocky island of Ithaca, on the west shore of Greece, and to his faithful wife, Penelope.

▷ 두 번째 시인 오디세이(Odyssey)는 율리시스(Ulysses) 또는 그리스인이 부르는 오디세우스(Odysseus)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에 당한 일을 알려줍니다. 노와 돛을 모두 사용할 정도로 매우 작은 작은 함대를 이끌고 트로이에서 항해한 그는 그리스 서쪽 해안에 있는 바위투성이의 이타카 섬과 그의 충실한 아내 페넬로페에게 돌아갈 수 있기까지 10년을 더 방황할 운명이었습니다.

▶ As you read these ancient tales, you must forget what knowledge you have of the world, and think of it as the Greeks did. It was only a little part of the world that they knew at all,?the eastern end of the Mediterranean,?but even that seemed to them a great and marvellous region. Beyond its borders were strange and mysterious lands, in which wonders of all kinds were found, and round all ran the great world-river, the encircling stream of Ocean.

▷ 이 고대 이야기를 읽으면서 자신이 세상에 대해 어떤 지식을 갖고 있는지 잊어버리고 그리스인처럼 생각해야 합니다. 그들이 전혀 알고 있는 것은 세계의 아주 작은 부분, 즉 지중해의 동쪽 끝이었지만, 그들에게는 그마저도 위대하고 놀라운 지역으로 보였습니다. 그 경계 너머에는 모든 종류의 경이로움이 발견되는 기이하고 신비한 땅이 있었고, 그 둘레에는 거대한 세계 강이 흐르고 있었고, 대양의 흐름이 에워싸고 있었습니다.

▶ If you let yourselves be beguiled into this old, simple way of regarding earth and heaven, you will not only love these ancient tales yourself, but you will see why, for century after century, they have been the longest loved and the best loved of all tales? beloved by old and young, by men and women and children. For they are hero-tales,?tales of war and adventure, tales of bravery and nobility, tales of the heroes that mankind, almost since the beginning of time, have looked to as ideals of wisdom and strength and beauty.

▷ 만약 당신이 땅과 하늘에 관한 이 오래되고 단순한 방식에 속아 넘어가게 된다면, 당신은 이 고대 이야기를 스스로 사랑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백 세기 동안 그들이 가장 오래 사랑받고 가장 사랑받는 이유를 알게 될 것입니다. 모든 이야기 - 노인과 젊은이, 남자와 여자와 어린이에게 사랑받는. 전쟁과 모험의 이야기, 용감함과 귀족의 이야기, 태초부터 인류가 지혜와 힘과 아름다움의 이상으로 여겼던 영웅 이야기이기 때문입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896 윌리엄 듀보이스의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Ⅱ 1894(English Classics896 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

도서정보 :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미국에 대한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억압(The Suppress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to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by W. E. B. Du Bois)(1894)은 윌리엄 듀보이스(W. E. B. Du Bois)(1868~1963)가 윌버포스 대학교(Wilberforce University)에서 학생을 가르치며, 집필한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 박사 학위 논문(Ph.D)입니다. 이 논문은 그에게 ‘하버드대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박사’(the first African-American to earn a Ph.D from Harvard)란 타이틀을 얻게 한 성취이자, 당대의 수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희망을 선사한 기념비적인 작품입니다. 소설이나 연설문과 달리 12장과 96개의 절로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록(Appendices)과 인덱스(Index)까지 충실하게 담겨 있습니다. 분량만 무려 73만자에 달하는 논문을 쉽게 펼치기는 쉽지 않겠습니다만, 미국의 역사에서도, 노예제 폐지론자의 시각에서도, 그리고 흑인으로 태어난 작가 개인의 삶에 있어서도 중요한 작품이기에 일독을 권합니다. 그나저나 2등은 누구일지 문득 궁금해지네요. 세상은 1등만 기억하니까…….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Preface. This monograph was begun during my residence as Rogers Memorial Fellow at Harvard University, and is based mainly upon a study of the sources, i.e., national, State, and colonial statutes, Congressional documents, reports of societies, personal narratives, etc. The collection of laws available for this research was, I think, nearly complete; on the other hand, facts and statistics bearing on the economic side of the stud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nd my conclusions are consequently liable to modification from this source.

▷ 서문. 이 모노그래프는 제가 하버드 대학교(Harvard University)에서 로저스 메모리얼 펠로우(Rogers Memorial Fellow)로 재직하는 동안 시작되었으며, 주로 국가, 주 및 식민지 법령, 의회 문서, 사회 보고서, 개인 서사 등의 출처에 대한 연구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 사용할 수 있는 법률의 수집은 거의 완료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연구의 경제적 측면에 관련된 사실과 통계는 찾기 어려웠고, 결과적으로 제 결론은 이 출처에서 수정될 수 있습니다.

▶ The question of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is so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questions as to its rise, the system of American slavery, and the whole colonial policy of the eighteenth century, that it is difficult to isolate it, and at the same time to avoid superficiality on the one hand, and unscientific narrowness of view on the other. While I could not hope entirely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I nevertheless trust that I have succeeded in rendering this monograph a small contribution to the scientific study of slavery and the American Negro.

▷ 노예무역의 억압에 대한 질문은 그것의 부상, 미국의 노예 제도, 그리고 18세기의 전체 식민지 정책에 대한 질문과 너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그것을 고립시키는 것은 어렵고, 동시에 피상적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비과학적인 시야의 편협함을 피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저는 그러한 어려움을 완전히 극복하기를 바랄 수는 없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노그래프를 노예제와 미국 흑인에 대한 과학적 연구에 작은 기여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믿습니다.

▶ I desire to express my obligation to Dr. Albert Bushnell Hart, of Harvard University, at whose suggestion I began this work and by whose kind aid and encouragement I have brought it to a close; also I have to thank the trustees of the John F. Slater Fund, whose appointment made it possible to te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y the general principles laid down in German universities. W.E. BURGHARDT Du BOIS. Wilberforce University, March, 1896.

▷ 저는 하버드 대학의 앨버트 부슈넬 하트(Dr. Albert Bushnell Hart) 박사님께 제 의무를 표현하고 싶습니다. 제가 이 일을 시작한 것은 누군가의 제안이었고, 누군가의 친절한 원조와 격려로 마무리되었습니다. 또한 존 F. 슬레이터 신탁(John F. Slater Fund) 관리인들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슬레이터 펀드의 임명은 독일 대학에서 정해진 일반 원칙에 따라 이 연구의 결론을 실험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윌리엄 듀보이스. 윌버포스 대학, 1896년 3월.

▶ 55. The Act of 1807. The first great goal of anti-slavery effort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since the Revolution, the suppression of the slave-trade by national law. It would hardly be too much to say that the Haytian revolution, in addition to its influence in the years from 1791 to 1806, was one of the main causes that rendered the accomplishment of this aim possible at the earliest constitutional moment. To the great influence of the fears of the South was added the failure of the French designs on Louisiana, of which Toussaint L'Ouverture was the most probable cause.

▷ 55. 1807년 법(The Act of 1807). 미국에서 노예제도 반대 운동의 첫 번째 큰 목표는 혁명 이후 국내법에 의한 노예무역의 억압이었습니다. 헤이티 혁명(the Haytian revolution)은 1791년부터 1806년까지의 영향력에 더하여 가장 이른 헌법적 순간에 이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한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남부에 대한 두려움의 큰 영향에 루이지애나에 대한 프랑스 설계의 실패가 추가되었으며, 그 중 투생 루베르튀르(Toussaint L'Ouverture)가 가장 유력한 원인이었습니다.

▶ The cession of Louisiana in 1803 challenged and aroused the North on the slavery question again; put the Carolina and Georgia slave-traders in the saddle, to the dismay of the Border States; and brought the whole slave-trade question vividly before the public conscience. Another scarcely less potent influence was, naturally, the great anti-slavery movement in England, which after a mighty struggle of eighteen years was about to gain its first victory in the British Act of 1807.

▷ 1803년 루이지애나의 양도는 노예제 문제에 대해 다시 도전하고 북을 일으켰다. 캐롤라이나와 조지아의 노예 무역상을 안장에 앉혀 국경 국가를 경악하게 합니다. 그리고 노예무역 문제 전체를 대중의 양심 앞에 생생하게 제기했습니다. 그다지 강력하지 않은 또 다른 영향력은 당연히 18년간의 치열한 투쟁 끝에 1807년 영국 법에서 첫 번째 승리를 얻으려던 영국의 거대한 노예제 반대 운동이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11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이타카의 율리시스(English Classics911 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호메로스와 칼 프리드리히 베커의 이타카의 율리시스(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는 호메로스(Homer)의 원작을 바탕으로 독일 역사가이자 교육가 칼 프리드리히 베커(Karl Friedrich Becker)(1777~1806)가 자신만의 스타일로 고쳐 쓴 작품으로 트로이의 몰락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오기 까지 10년간의 율리시스의 모험담을 간결하면서도 역동적으로 풀어냈습니다. 칼 프리드리히 베커는 교육자로써 독일 소년 소녀들을 위한 고대 세계의 로망스 시리즈(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를 집필하였으며, 18세기 독일의 청소년에게 고대 그리스의 문학을 보다 친근하게 소개하기 위해 호메로스의 오디세이아(Ulysses of Ithaca by Karl Friedrich Becker and Homer)와 아킬레스(Achilles by Karl Friedrich Becker)를 선택하였습니다. 작품에는 4개의 흑백 삽화가 수록되었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원작에서는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 Translator’s Preface. Many years ago Karl Friedrich Becker wrote 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 of which “Ulysses” and “Achilles” in the present series of “Life Stories for Young People” form an important part. They became great favorites in their day and still preserve their interest, so that in a sense they may be called classics. The masterly manner in which the author has presented the old gods and heroes from the human point of view and the atmosphere of the old days of mythology, as well as the thrill of the adventurous narrative and the deep human interest of the story, should commend them also to American boys and girls.

▷ 번역가의 서문. 수년 전 칼 프리드리히 베커(Karl Friedrich Becker)는 독일 소년 소녀들을 위한 고대 세계의 로망스 시리즈(a series of romances of the ancient world for German boys and girls)를 썼는데, 그 중 현재 시리즈 "청소년을 위한 삶의 이야기(Life Stories for Young People)"에서 "율리시스(Ulysses)"와 "아킬레스(Achilles)"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그들은 그 시대에 큰 인기를 얻었고 여전히 그들의 관심을 보존하므로 어떤 의미에서는 고전이라고 불릴 수 있습니다. 저자가 인간의 관점에서 고대 신과 영웅을 제시하는 솜씨와 신화의 고대 분위기, 모험적인 서사의 스릴과 이야기의 깊은 인간적 관심은 칭찬할 만하며, 또한 미국 소년과 소녀들에게도 추천할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 None of the ancient stories is more entrancing than that of Ulysses and the vicissitudes he had to endure in his effort to return to Ithaca after the Trojan war, and of the patience, sweetness, and faithfulness of Penelope, as she waited year after year for the return of her lord, while her life was made wretched by the unwelcome and often brutal solicitations of her numerous suitors, as well as of her final happiness when Ulysses returned and wreaked deserved vengeance upon her persecutors. Incidentally also the reader will enjoy the charming descriptions of his adventures with Calypso and the beautiful Nausicaa, his escape from the monstrous Cyclops, the fascinating Circe, and his thrilling experiences in passing Scylla and Charybdis. It is a story replete with interest, delightfully told. G. P. U. Chicago, July, 1912.

▷ 율리시스와 그가 트로이 전쟁 후 이타카로 돌아가기 위해 견뎌야 했던 우여곡절, 그리고 페넬로페가 해마다 기다려온 인내, 달콤함, 충실함에 대한 이야기보다 더 황홀한 고대 이야기는 없습니다. 수많은 구혼자들의 환영받지 못하고 종종 잔혹한 간청으로 인해 그녀의 삶은 비참한 삶을 살았지만, 율리시스가 돌아와 그녀의 박해자들에게 합당한 복수를 했을 때 그녀의 마지막 행복은 그녀의 주인이 돌아왔습니다. 덧붙여서 독자는 칼립소와 아름다운 나우시카와의 모험, 괴물 같은 사이클롭스로부터의 탈출, 매혹적인 키르케, 스킬라와 카리브디스를 지나치는 스릴 넘치는 경험에 대한 매력적인 설명을 즐길 것입니다. 흥미진진하고 유쾌한 이야기입니다. G. P. U. 시카고, 1912년 7월.

▶ Chapter XVII. I have surmounted many difficulties and often barely escaped with my life, always trusting in a fortunate outcome. And now, ye gracious gods, I can look back gratefully upon my past. Often will I renew this offering, for one should remember the dead gladly, nor ever shun the goddess of death and fate. But wherever destiny may lead me, oh grant that I may rule the people gloriously and in peace, and that the name of the illustrious Ulysses may live among future generations of men.”

▷ 제17장. 나는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종종 간신히 인생을 탈출했으며 항상 운이 좋은 결과를 믿었습니다. 그리고 이제 은혜로운 신이시여, 감사하게도 제 과거를 되돌아볼 수 있습니다. 나는 종종 이 제물을 새롭게 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죽은 자를 기쁘게 기억해야 하고 죽음과 운명의 여신을 결코 피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운명이 나를 이끄는 곳이면 어디든지 내가 백성을 영광스럽게 평화롭게 다스리게 하시고, 저명한 율리시스의 이름이 후대에 살게 하소서.”

구매가격 : 9,900 원

영어고전908 호메로스의 이타카의 영웅 오디세우스(English Classics908 Odysseus, the Hero of Ithaca by Homer)

도서정보 : 호메로스(Homer)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현존하는 고대 그리스문학의 가장 오래된 서사시’ 일리아스(The Iliad)는 로 트로이의 왕성 ‘일리온의 노래(Iliad)’란 뜻입니다. 이름 그대로 현재의 터키 서부 트로이(Troia)에서 펼쳐진 그리스와 트로이간의 전쟁, 즉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전쟁 서사시입니다. 6각운(Hexametre)으로 작곡된 24편의 시는 각 장마다 알파벳으로 시작할 정도로 정교하게 구조화되어 있으며, 10년간 지속된 트로이 전쟁의 ‘마지막 51일’을 드라마틱하게 노래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를 근거지로 하는 아카이오이족(?χαι??)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무적의 아킬레우스(Achilles) 간의 대립을 시작으로, 헥토르(Hector)를 죽인 아킬레우스(Achilles)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과 함께 트로이가 함락되는 장면까지 숨 쉴 틈 없는 활극이 펼쳐집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이 누구인가? 파리스의 선택(Judgement of Paris) : 불화의 여신 에리스가 던진 황금사과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신’을 차지하기 위한 세 여신의 자존심 싸움으로 번집니다. 제우스는 자신의 아내 헤라(?ρα, H?ra), 자신의 딸 아테나(Αθην?)와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φροδ?τη , Venus) 중 누구의 편도 들어줄 수가 없어 결국 일개 양치기에 불과한 파리스(Paris)에세 선택권을 떠넘깁니다. 어떤 선택을 하든 결과가 끔찍할 수밖에 없는 선택을 말이죠. 잘 아시다시피 파리스(Paris)는 권력을 내건 헤라와 승리를 약속한 아테나 대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여인’을 아내로 맞이할 수 있게 해준다는 아프로디테를 선택하였으며, 이는 곧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으로 이어집니다. 인간의 전쟁이 한갓 신들의 유희(?)에서 시작되었음을 보여주는 효과적인 도입부지요!

▶ CHAPTER I. ABOUT TROY AND THE JOURNEY OF PARIS TO GREECE. Hera, the queen of Heaven and consort of Zeus?Athena, the goddess of wisdom, and Zeus's favorite daughter?and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and beauty, had a dispute among themselves. Each thought herself the most beautiful of the three, and they would have come to high words about it had not Athena proposed that they should ask the handsomest man in the world to settle the question. This happened to be the young royal shepherd, Paris. So the three goddesses floated down to the slope of Mount Ida on a snowy cloud and placed the question before him, each promising to reward him royally if he gave his verdict in her favor.

▷ 제1장. 트로이와 파리의 그리스 여행에 대하여. 하늘의 여왕이자 제우스의 배우자인 지혜의 여신 아테나와 제우스의 최애 딸인 헤라와 사랑과 미의 여신 아프로디테는 서로 논쟁을 벌였습니다. 그들은 자신이 세 사람 중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했고, 아테나가 세상에서 가장 잘생긴 남자에게 질문을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지 않았다면 그것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았을 것입니다. 어린 양치기 파리스에게 일어난 일입니다. 그래서 세 여신은 눈 덮인 구름을 타고 이다 산비탈로 내려와 그에게 질문을 던졌습니다. 각각의 여신은 그가 그녀에게 유리한 판결을 내리면 왕에게 보상을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 : 현대인에게는 바이러스의 이름으로 더욱 친숙한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는 10년간의 처절한 트로이 전쟁(Trojan War)(BC1250)을 아카이오이족(?χαι??)의 승리로 이끈 작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는 트로이 전쟁(Τρωικ?? Π?λεμο?, Trojan War)(BC1194~1184)을 배경으로 하는 작품입니다만, 원작을 기준으로 할 때 작품 내에는 트로이의 목마(Δο?ρειο? ?ππο?, Trojan Horse)가 등장하지 않습니다.

▶ CHAPTER IV. THE FALL OF TROY. The war lasted nine years, and in the tenth the Greeks conquered Troy, not in battle, but by means of a trick which had come into the mind of Odysseus. He told a skilful carpenter to build a wooden horse of gigantic size, and in it he hid the bravest Greek warriors. When he had done this he advised all the other Greeks to depart without leaving anything behind them, and so lead the Trojans to believe that they had given up the fight and gone home.

▷ 제4장 트로이의 몰락. 전쟁은 9년 동안 지속되었고, 10년 만에 그리스는 전투가 아니라 오디세우스의 마음에 떠오른 속임수로 트로이를 정복했습니다. 그는 숙련된 목수에게 거대한 크기의 목마를 만들라고 말했고 그 안에 가장 용감한 그리스 전사를 숨겼습니다. 그가 이것을 하고 나서 그는 다른 모든 그리스인들에게 그들에게 아무것도 남기지 않고 떠나라고 조언했고, 그래서 트로이 사람들은 그들이 싸움을 포기하고 집으로 갔다고 믿게 만들었습니다.

▶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 : 저승의 스틱스(Στ?γα, Styx)에 몸을 담근 아킬레우스(Achilles)는 그 어떤 상처도 받지 않는 ‘무적의 몸’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지지 않는 그의 무력은 오만함으로 이어졌고, 그는 그리스 총지휘관 아가멤논과 화합하지 못합니다……. 일개 장수가 지휘관의 명에 따르지 않으니, 그리스군의 위기는 이미 예고된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유명한 아킬레스건(Achilles tendon, calcaneal tendon)은 바로 ‘아킬레우스(Achilles)의 약점’이란 뜻에서 유래한 발뒤꿈치의 힘줄입니다. 일리아스(The Iliad) 원작은 헥토르의 장례식으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아킬레스가 사망하는 장면은 결론에서 언급될 뿐입니다. Achilles fell before Troy, by the hand of Paris, by the shot of an arrow in his heel, as Hector had prophesied at his death.(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죽을 때 예언한 대로 발뒤꿈치에 화살을 맞아 파리스의 손에 트로이 앞에 쓰러졌다.)

▶ 고고학자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1822~1890) : 독일 출신의 하인리히 슐리만(Heinrich Schliemann)은 터키의 트로이(Troy)와 미케네(Mycenae), 티린스(Tiryns) 등의 유적을 발굴한 세계적인 명성의 고고학자입니다. 신화 속의 이야기이라고 여겨졌던 일리아스(The Iliad)에 심취해, 러시아에서 큰돈을 번 후 직접 탐사에 나서 트로이 유적을 발굴하는데 성공했다는 이야기는 무척이나 유명하지요! 그러나, 유적지를 두서없이 파헤치는 바람에 적지 않은 유적이 훼손되었을 뿐 아니라, 발굴한 보물을 무단으로 반출하는 등 윤리적인 문제도 적지 않은 인물이기도 합니다. 그가 반출한 트로이 유물은 현재까지도 (이를 독일에서 약탈한) 러시아에 있습니다.

구매가격 : 9,900 원

남겨진 이름들

도서정보 : 안윤 | 2022-11-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제3회 박상륭상 수상작

“한 사람의 삶이 온전히 다른 사람에게 전해질 수 있을까.
슬픔과 그리움, 기억의 빈틈은 사람의 말로 번역될 수 있을까.”


현실과 허구, 언어와 신체의 구획을 넘어
인간의 씀과 삶에 바치는 찬란하고 지극한 헌사

생의 고통과 그 속에서 피어나는 아름다움을 섬세하고 단단한 문장으로 수놓아온 소설가 안윤의 데뷔작 『남겨진 이름들』이 출간되었다. 제3회 박상륭상을 수상한 이 작품은 심사위원(강정, 김진수, 김진석, 배수아, 함성호)들로부터 “다가갈수록 자신만의 웅대한 고독 속에서 우주와 내통하는 듯한 내밀한 결기에 경외감이 들 정도”라는 찬탄을 받으며 안윤 소설세계의 시작을 알렸다. 그동안 발표한 단편소설들에서 떠난 이들을 향한 온기어린 애도로 독자들의 마음에 부드러운 진동을 일으켜온 작가는, 그 발원이 된 이 첫 장편소설에서 현실과 허구, 언어와 신체의 경계를 초월하여 삶과 사람을 향한 깊은 사랑과 신뢰를 보여준다.
『남겨진 이름들』은 언뜻 덧없어 보이지만 순간으로서 영원히 찬란한 우리의 삶을 탁월한 아포리즘과 감각적인 묘사로 포착해낸 수작이다. 작가는 치열하도록 정교한 문장으로 ‘탄생’ ‘죽음’ ‘사랑’ ‘이별’이라는 간명한 단어로 함축되곤 하는 일생의 사건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부조해낸다.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우리는 알게 된다. 소설 속의 인물들은 시간이 지나 육체를 잃고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도 사라져가지만, 이야기는 그들의 이름을 간직한 채 우리 곁에 살아남고 있음을. ‘기록하는 인간’으로서의 자각과 ‘살아가는 인간’에 대한 깨달음으로 가득한 이 장편소설은 그래서 살아 있는 모든 존재에게 바치는 찬란하고 지극한 헌사로 다가온다.

구매가격 : 9,8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