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언어

도서정보 : 공공인문학포럼 | 2018-09-1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쉽고 재밌게 이야기로 다가오는 인문학 클래식
책장 속에 숨겨진 원석, 고전이 세공되어 세상에 나왔다
「노자언어」에서 삶을 위한 최고의 지혜를 만난다!

삶에 지친 현대인들은 정신적인 안정과 치유를 원한다. 삶의 진리를 일깨우고 사색하게 하는 깊은 철학이 고전의 힘일 것이다. 그 중 동양 고전은 서양의 고전과는 다른 ‘여백의 미’를 가진다. 끊임없이 채우기에 급급한 현대인에게 노자의 세계관, 자연관은 비움을 강조한다. 순리를 따르라고 말하고 억지로 행하는 것들, 인위적인 것들을 부정한다. 노자가 말하는 참된 것은 텅 비고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노자는 인간성을 속박하는 시비(是非)나 미추(美醜) 등의 대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원초적인 본성을 찾아야 하고 자연의 도에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노자의 사상은 실질적으로 적용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여유를 잃은 현대인에게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가르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인에게 쉴 ‘틈’을 주는 노자의 사상
“배움으로 보태고, 도를 행하므로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이 책은 『노자언어』에 나오는 핵심 구절을 소개하고 주석을 통해 노자가 말하고자 하는 도와 덕이 무엇인지를 얘기하고자 했다. 또 노자의 사상이 후대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정성들여 소개했다. 단순히 알려진 것처럼 도가 철학, 도교뿐만 아니라 중국의 철학과 사상 전반에 걸쳐 노자의 사상이 있던 시대와 없던 시대는 그 차이가 크다. 따라서 중국의 철학을 각 시기 ? 분야별로 나누어 노자의 사상에서 받은 영향과 당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담았다. 노자의 철학은 물론 다른 철학과 사상들도 알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노자 사상은 도가 바탕을 이루며 기본이다. 그러나 노자의 도는 모호하면서 동시에 무한하기 때문에 인간의 유한한 언어로는 설명해도 도가 될 수 없다. 분명한 것은 노자의 도는 인위적이고 가식적인 것들을 부정한다. 노자 사상은 자연을 추구하며 ‘자연’은 인위적이지 않고 순리를 따르며 ‘저절로 그러한 것’을 뜻한다.

순리를 따르고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다
노자는 정치에 있어서도 백성에게 간섭하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무위이치’를 주장했다. 비폭력을 강조하고 물처럼 흐르고 아이처럼 순수하고 여성처럼 부드러운 것을 최고로 쳤다. 노자의 이러한 사상은 당시에는 유가의 인위성을 폭로했고 도교의 형성을 비롯해 후대에 사상가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 욕망이 극대화된 현대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미래에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그것은 소박한 것에서 멀어진 것을 반성하고 순리를 따르라는 가르침이다. 노자의 가르침은 단순하지만 심오하고 실행하기 어렵다. 버림으로써 얻고 비움으로써 채움이 가능하다고 역설하여 현대인에게 막연함을 느끼게 한다. 단순해 보이지만 심오하고 낡은 것 같지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자언어』는 더욱 가치 있는 고전으로 빛을 발할 것이다.

구매가격 : 7,200 원

공자언어

도서정보 : 공공인문학포럼 | 2018-09-1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쉽고 재밌게 이야기로 다가오는 인문학 클래식
책장 속에 숨겨진 원석, 고전이 세공되어 세상에 나왔다
「공자언어」 속 최고의 명언들이 인생을 바꾼다!

차이코프스키는 작곡의 영감을 받았던 순간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작곡은 어느 날 갑자기 예기치 못한 순간에 폭발한다.”
차이코프스키처럼 훌륭한 예술가라 해서 매순간마다 악상이 떠오른 것은 아니다. 어쩌면 스쳐 지나가는 생각 속에서 멋진 작품이 나올 수도 있다. 그래서 가장 훌륭한 성취는 대개가 순간적인 영감을 통해서 만들어진다.
경전도 마찬가지이다. 수많은 책들 중에 모든 책들이 우리에게 지혜를 주는 것은 아니다. 음악에도 클라이맥스가 있듯이 경전에도 짧지만 강한 핵심이 존재한다. 이러한 핵심을 명언이라 말하는데 이는 작품 전체의 핵심을 함축시킨 것으로서 창작의 영감이 고스란히 결집되어 있는 지혜의 결정체이다.

이러한 지혜의 결정체들은 알알이 열매가 되어 지금까지도 전해오고 있다. 더 나아가 그 과정에서 우리 인류에게 끊임없이 계시와 가르침을 전달해주고 있다. 이는 수백 수천 가지에 달하는 후세의 작품들은 도저히 흉내조차 낼 수 없는 크나큰 업적이라 말해도 과하지 않다.
그래서 우리는 독자들을 위해 가장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한 동양고전 중에서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명언만을 엄선했다. 그리하여 독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했던 명언들의 유래와 쓰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전의 새로운 장(場)을 마련했다.

돌고 도는 역사 이야기는 현대인의 공감을 자아낸다
이 책은 명언 한 문장을 중심으로 각각 ‘명언 이야기’, ‘돌고 도는 역사’ 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과 해석을 가미했다. ‘명언 이야기’에는 명언이 생겨난 배경과 이야기를 실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명언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명언은 역사의 기록이며 오랜 시간 축적된 문화의 결정체이다. 서로 다른 시공간 속의 위대한 사람들의 경험과 지혜를 융합하여 자연, 사회, 역사, 인생 등에 대한 생각과 가치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방대한 역사물 속에서 가장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들만을 선별하여 명언을 재해석했다.

공자언어에서 공감하는 ‘배우고 실천하면 삶이 즐겁다’
따라서 이 책은, 실용적인 가치를 구비한 ‘명언 사전’으로 독자들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고전 명작의 정수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자료의 정확성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책 공자언어를 읽는 독자들은 명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동시에 재미와 뿌듯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구매가격 : 7,200 원

장자언어

도서정보 : 공공인문학포럼 | 2018-09-1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쉽고 재밌게 이야기로 다가오는 인문학 클래식
책장 속에 숨겨진 원석, 고전이 세공되어 세상에 나왔다
「장자언어」 속 최고의 명언들이 인생을 바꾼다!

장자는 생사와 시비, 권세와 부귀 등 세속적인 욕망으로부터 완전히 벗어난 달관적 인생관의 소유자였다. 그는 특히 유가 사상을 비판하는 대신, 노자의 입장을 택했다. 사물 간의 차이점만을 따지는 모든 지혜들을 타파했으며, 스스로 자유분방함을 실천하며 천지일체의 묘리를 몸소 체험했다. 그렇다고 장자가 끝까지 이 세속을 혐오한 것은 아니었으며, 인간세계에 돌아와 현실의 가치를 다시 한 번 긍정했다.
장자는 이 세상을 완전히 벗어나고자 하기보다는 여유 있게 살아가고자 했다. 어쩌면 그는 우리 인간이 세상일에 몰두하기보다는 차라리 한 걸음 떨어져 관조하며 사는 것이 도리어 인생을 잘 살아갈 수 있다고 믿었을지도 모른다.

돌고 도는 역사 이야기는 현대에도 생생하게 살아있다
이 책은 명언 한 문장을 중심으로 각각 ‘명언 이야기’, ‘돌고 도는 역사’ 이 두 가지 관점에서 분석과 해석을 가미했다. ‘명언 이야기’에는 명언이 생겨난 배경과 이야기를 실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이 명언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명언은 역사의 기록이며 오랜 시간 축적된 문화의 결정체이다. 서로 다른 시공간 속의 위대한 사람들의 경험과 지혜를 융합하여 자연, 사회, 역사, 인생 등에 대한 생각과 가치관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우리는 방대한 역사물 속에서 가장 생동감 넘치는 이야기들만을 선별하여 명언을 재해석했다.

장자의 꿈속에서 나비의 세상이나 한번 여행해 볼까?
따라서 이 책은, 실용적인 가치를 구비한 ‘명언 사전’으로 독자들이 비교적 짧은 시간에 고전 명작의 정수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우리는 이 책을 편성하는 과정에서 자료의 정확성에 중점을 두었다. 이 책 장자언어를 읽는 독자들은 명언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동시에 재미와 뿌듯한 감동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구매가격 : 7,200 원

사기언어

도서정보 : 공공인문학포럼 | 2018-09-1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쉽고 재밌게 이야기로 다가오는 인문학 클래식
책장 속에 숨겨진 원석, 고전이 세공되어 세상에 나왔다
「사기언어」 속 역사 이야기가 지혜를 말한다

인생의 지혜를 주는 비밀의 책을 만나다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 중 누구도, 시간과 공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21세기를 만들어 가며 그 이전의 시간에 영향을 받고 있다. 초등학생 때부터 스무 살 대학생이 될 때까지 선택권도 없이 역사를 배우고 또 공부해야 하는 것은 모두, 나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이 무엇인지 알게 하려는 인생 선배들의 조언인 셈이다. 그리고 역사 공부를 하다 보면 깨닫게 되는 바가 있으니, ‘역사는 돌고 돈다’라는 것이다.
명칭은 바뀌고 구체적인 양상은 조금 달라졌을지 몰라도 3천 년 전에도 지금과 같은 위정자는 있고, 민초들도 존재하며 전쟁 또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었다. 난세가 과거에는 한 나라 내부에서의 전란이나 분열이었다면 현대의 난세는 전 세계를 하나의 나라로 보고 그 안에서 수십, 수백의 무리들이 각각의 국기를 들고 대립·화합하는 판국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다시 태어난 『사기』와 역사를 함께 한다
역사가 답습되면서도 약간씩 형태를 바꾸듯이 그를 다룬 역사서의 모습에도 변화는 필요하다. 『사기』의 원서 그대로를 탐독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겠으나 처음부터 끝까지 52만자가 넘는 한자로 이루어진 책을 읽는다는 것은 사실 엄두가 잘 나지 않는 일이다. 그리하여 번역된 사기가 존재하고 그에 대한 해설서라는 것도 존재한다. 보다 쉽고, 현재에 적합한 모습으로 다시 태어난 사기를 만나는 것이다.
‘사기 언어’는 한 권의 역사서를 내면화하는 데 매우 적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책은 독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도록, 중요하고 널리 알려진 명언들은 엄격하게 심사하고 선정하여 원저의 흐름대로 배치하고 그 명언의 유래와 배경을 소개했다. 또한 명언이 가지고 있는 사연을 소개하여 역사를 딱딱하지 않은 하나의 이야기로 다가가게 하였으며, 사기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의도에 맞는 또 다른 역사적 사례를 제시해 명언의 핵심을 주지하게 하였다. 이는 내용의 내면화를 돕는다는 의미다. 그러고 나면 내면화된 명언을 자신의 삶과 결부시키는 것만이 남는데 이는 독자의 몫으로 남겨 의미를 되새기도록 하였다.

역사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역사가 된다 
역사가 있기 전의 세상을 우리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수많은 역사서에서 일어난 것과 유사한 일들이 아주 오랜 과거에도 일어났을 것이다. 역사의 주체인 인간이 존재했기 때문이고, 앞으로도 여전히 인간은 존재할 것이다. 이는 역사가 우리에게 가르쳐주는 타산지석(他山之石) 이고 온고지신(溫故知新)이다. 사마천이 『사기』를 누구를 위해 썼건 간에, 누구라도 사기를 배울 수 있다. 돌고 도는 역사를 통해서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보다 행복하고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분명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사기는 그런 책이다

구매가격 : 7,200 원

노자언어

도서정보 : 공공인문학포럼 | 2018-09-1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쉽고 재밌게 이야기로 다가오는 인문학 클래식
책장 속에 숨겨진 원석, 고전이 세공되어 세상에 나왔다
「노자언어」에서 삶을 위한 최고의 지혜를 만난다!

삶에 지친 현대인들은 정신적인 안정과 치유를 원한다. 삶의 진리를 일깨우고 사색하게 하는 깊은 철학이 고전의 힘일 것이다. 그 중 동양 고전은 서양의 고전과는 다른 ‘여백의 미’를 가진다. 끊임없이 채우기에 급급한 현대인에게 노자의 세계관, 자연관은 비움을 강조한다. 순리를 따르라고 말하고 억지로 행하는 것들, 인위적인 것들을 부정한다. 노자가 말하는 참된 것은 텅 비고 아무것도 없는 것이다. 노자는 인간성을 속박하는 시비(是非)나 미추(美醜) 등의 대립에서 벗어나기 위해 원초적인 본성을 찾아야 하고 자연의 도에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노자의 사상은 실질적으로 적용시키기 어렵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여유를 잃은 현대인에게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가르침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인에게 쉴 ‘틈’을 주는 노자의 사상
“배움으로 보태고, 도를 행하므로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이 책은 『노자언어』에 나오는 핵심 구절을 소개하고 주석을 통해 노자가 말하고자 하는 도와 덕이 무엇인지를 얘기하고자 했다. 또 노자의 사상이 후대에 어떤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정성들여 소개했다. 단순히 알려진 것처럼 도가 철학, 도교뿐만 아니라 중국의 철학과 사상 전반에 걸쳐 노자의 사상이 있던 시대와 없던 시대는 그 차이가 크다. 따라서 중국의 철학을 각 시기 ? 분야별로 나누어 노자의 사상에서 받은 영향과 당시 어떤 역할을 했는지 담았다. 노자의 철학은 물론 다른 철학과 사상들도 알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다.
노자 사상은 도가 바탕을 이루며 기본이다. 그러나 노자의 도는 모호하면서 동시에 무한하기 때문에 인간의 유한한 언어로는 설명해도 도가 될 수 없다. 분명한 것은 노자의 도는 인위적이고 가식적인 것들을 부정한다. 노자 사상은 자연을 추구하며 ‘자연’은 인위적이지 않고 순리를 따르며 ‘저절로 그러한 것’을 뜻한다.

순리를 따르고 인위적인 것을 거부하다
노자는 정치에 있어서도 백성에게 간섭하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저절로 다스려지는 ‘무위이치’를 주장했다. 비폭력을 강조하고 물처럼 흐르고 아이처럼 순수하고 여성처럼 부드러운 것을 최고로 쳤다. 노자의 이러한 사상은 당시에는 유가의 인위성을 폭로했고 도교의 형성을 비롯해 후대에 사상가에게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 욕망이 극대화된 현대의 문제점들을 비판하고 미래에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한다. 그것은 소박한 것에서 멀어진 것을 반성하고 순리를 따르라는 가르침이다. 노자의 가르침은 단순하지만 심오하고 실행하기 어렵다. 버림으로써 얻고 비움으로써 채움이 가능하다고 역설하여 현대인에게 막연함을 느끼게 한다. 단순해 보이지만 심오하고 낡은 것 같지만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노자언어』는 더욱 가치 있는 고전으로 빛을 발할 것이다.

구매가격 : 7,200 원

경력개발! 인문학에 길을 묻다!

도서정보 : 친구들 | 2018-09-0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딱히 경력을 개발할 것도 없고 그럴 필요도 없는 듯 하다. 그래도 다변화 되어가는 현대 사회를 보면 그냥 손 놓고 있기에는 허전한 느낌이다. 그러다가도 어느 날 문득 뭔가 하고 싶은 일이 떠오를 때가 있다.
막상 그때 일을 시작하려면 본인 생각에 요즘 흔한 말로 딱 2% 부족함을 느낀다. 그 부족함 때문에 이리저리 궁리하다가 포기하는 경우가 있다. 지나고 보면 2% 부족한 것이 아니라 매우 많이 부족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경력개발이란 미래를 대비하는 것이고 현재의 직무와 연계하여 더 효율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더불어 다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멀티플레이어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조직에서는 필요한 요구조건을 Job Description(직무기술서, 職務記述書), Job Specification(직무명세서, 職務明細書)에 제시하기도 한다. 구직을 하는 경우는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기 위한 경력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기반으로 Job Enrichment(직무충실화, 職務充實化)를 통해서 전문가가 되기도 하고, Job Enlargement (직무확대, 職務擴大)를 통해서 멀티플레이어가 되기도 한다.
현재의 일 또는 하고 싶은 일을 중심으로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면 향후 나의 미래 비전이 되기도 한다. 현실적으로 현업에 쫓기다 보면 장기적인 목표를 세우기 어렵다.
10년 후에도 “이 일을 할 수 있을까? 또는 열정적으로 하고 싶은 일인가?”를 자문해 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는 그렇게 살아 오지 못했다. 이미 주어진 틀만 따라 가도 큰 문제가 없었다. 아니 그래야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 사회 통념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편안히 살아 왔다. 그것을 벗어나려면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인지 1년이나 한달 계획도 세워 보지 않았고, 세웠던들 실천해 본적이 없었다. 그런 마당에 10년을 준비한다는 것은 너무 무리인 듯하다. 또 누구에게는 경력개발이 새삼스러울 수 있다. 삶 자체가 경력이기 때문이다. 일상의 삶이 경력이기는 해도 어느 분야의 전문가로는 디테일이 부족할 수 있다.
결국 경력개발은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고 일종의 습관일 것이다. 현재의 나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에 따라 자기의 입지(Positioning)와 진로가 결정될 것이다. 나를 표현하고 찾아가는 것은 현재를 살아 가는 일을 정리하면서 발견하는 과정이다. 결국 인문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과거의 경력이 기술쟁이이든 문사철이든 우리의 미래 비전은 인문학에서 찾아야 한다.

구매가격 : 10,000 원

플라톤 철학, 서양철학은 플라톤 철학의 다양한 각주다

도서정보 : 탁양현 | 2018-09-0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西洋哲學의 開祖, 플라톤의 哲學思想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은 ‘구라’다.
그러니 Romeo들이여. 누군가의 첫 인상은, 되도록 신뢰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Juliet들이여. 누군가의 첫 마디는, 되도록 신뢰하지 말아야 한다.
사이 혹은 중간으로만 뒤섞이는 이념의 문턱에서, 그리고 어떤 충만(이득) 속에서, 오로지 시장 한편의 으슥한 곳으로만, 꼬여 드는 자들이 있다. 이념적인 로미오들처럼. 경제적인 줄리엣들처럼.
미국을 role model로 삼든, 부탄을 롤 모델로 삼든, 그저 그러려니 한다. 그림자권력적인 법칙에, 보다 잘 복종한다는 사실 말고는, 달리 설명될 수 없는 현상인 탓이다.
무수한 잡종의 genre 안에서, 수도원마다의 독특한 전통이 있는 법이다. 그래서 그림자권력이 엄밀히 규정해 둔 진리에 저항하는, 眞理不定者로서 살아낸다는 것은, 살아내는 동안 여러 가지 온갖 疾病的 徵候로써 고통스러워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래서 부탄식으로 살고 싶은 자에게, 미국식 삶은 고통스럽다. 그리고 미국식으로 살고 싶은 자에게, 부탄식 삶은 고통스럽다. 독일식, 프랑스식, 이탈리아식…. 죄 그러하다.
동일한 상황의 持難한 반복이다. 동일한 언어의 지난한 반복이다. 그리고 오로지 고유한 법칙성만을 탐색하는 건조한 사유형식들이 있다.
그래서 일까.
되풀이할수록 어쩐지 마귀와 같은 명제들은, 절로 단단해지기만 한다. 개는 사랑하고, 돼지는 먹고, 소는 신는다고들 한다. 그러니 나는 황혼의 기타 소리를 듣는다.
아무래도 평화는, ‘전쟁적 지배’보다는, ‘계약적 복종’을 선호하는 상태다. ‘최후의 전쟁’에 의한, 노예적 정치(통치)의 종말이라고 해도 그러하다. 억압이나 압제를, 그림자권력의 대표적 속성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유치한 가설에 불과하니까. 자못 거침없는 marbling의 현혹처럼.
어떤 존재자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분석)할 수 있다고, 착각(망상)하는 자들이 있다. 인간존재를 넘어서는, 도약의 가능성을 지닌 유일한 존재자로서, 스스로·저절로 춤추며 노래하는 자들이 있다.
그림자권력에 의해, 봉인되어enveloppé버린다. 거듭 함축되어impliqué버린다. 그렇게 각인되어impressé버린다. 그런 ‘것’들에게 현실세계는, 스스로 춤추며, 저절로 노래하는 황제처럼, 각별한 의미나 가치를 결코 지닐 순 없다.
Matador의 마지막 칼질에, 거대한 황소가 맥없이 나자빠진다. 흥분한 군중들은 거세게 환호한다. 군중들 틈에서, 나는 어쨌거나 스스로 非正常人(범죄자, 불순분자, 정신질환자 따위)임을 시인해야만 했다.
무슨 까닭인지, 鬪牛士보다는 황소의 편이고 싶었기 때문이다. 결국 그날 밤, 투우장의 황소가 되어서, 칼에 찔리는 꿈을 꾸었고, 다음날 실제로 황소가 되어버린 스스로를 발견해야만 했다.
막장을 향해 갈 데까지 간다. 그래서 길이 끝나는 곳, 그리고 다시 길이 시작되는 곳. 그곳으로 간다. 그러니 죽어간다는 것이야말로, 살아간다는 것이다.
그래서 항상 질서ordre와 명령ordre 그 사이에나 머문다. 그렇다. 진리는 선언되는 것이 아니라 體得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시나브로 그곳이 싫어졌을까.
이미 서툰 결핍으로나 간주되는 갖은 욕망 속에서도, 나는 나일 따름인 탓이다. 그곳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단 한 치도 나아갈 수 없는 탓이다.
물론 아울러 어느 순간부터, 갖은 말장난이 지겨워지기도 했다. 말장난은 아주 재미나고, 누구보다 잘 할 자신도 있지만, 참으로 허망할 따름이니까. 말장난에 길들여져서 자못 익숙해질수록, 삶은 더없이 공허해질 따름이니까.
시답잖은 인연일랑은 죄 악연이 되어버렸다. 그땐 알지 못 했다고 한들, 추레한 변명마저도 될 수 없겠지. 그래서 고립된 기호는, 삼류 호러영화의 스토리와 유사하다.
명백히 드러나지 않는 무의미와 명백히 드러나는 무의미.
직접 죽음을 경험해 보지 않아도, 이미 죽음을 아는 건, 단지 훈육 때문이다. 그러니 이제 그대는, 속이 풀릴 때까지 한껏 짓뭉개다가, 세월이 한참 지난 후에나 쓴웃음 짓겠지.
지금껏 망상 속에서 살았다. 대부분의 인간존재들이 꺼리는 이야기를 언급하는 양, 무작정 쏘다니는 바람과 구름을 굳이 분별치 않는다. 참으로 어이없게 살아내는 가련한 인간존재들에게 부여된, 가혹한 계절의 흔적처럼 고유의 감각에나 덧붙여지는 고유명사들.
고작 그림자권력의 소모품(예견된 쓰레기)에 불과함을, 어떻든지 시인하지 않으려는, 가련한 군중들의 노력이라는 허망함처럼, 모든 것을 울음으로써 해결하려는, 미신적 치료(굿판)만큼이나, 모든 것 웃음으로써 무마하려는, 심리학적 시도(웃음치료) 역시, 당최 허망하기는 매한가지다.
그래서 여전히 착각 속에서 산다. 삶을 활짝 꽃피웠다면 幸運이다. 삶이 그저 그랬다면 多幸이다. 아무래도 여행자의 삶은, 다행스러운 행운이다.
누구나 그 길을 안다. 가장 아름다운 그 길을 안다. 가장 행복한 그 길을 안다. 가장 기쁜 그 길을 안다. 그런데 그 길은, 아름답고 행복하고 기쁜 만큼의 고통을 반드시 요구한다. 그래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적당히 추하고 불행하며 슬프더라도, 고통이 덜한 우회로를 택한다.
여행자의 가슴 속에는 항상 등불 하나가 있다. 그 등불을 좇으며, 한없는 여행길을 떠돈다. 아주 느린 여정이다. 그런데 아주 느린 길은, 정작 빠른 길인지 모른다.
떠나지 않고서는 결코 지금 이 순간을 발견할 수 없다. 떠나 보면 정작 소중한 것은 늘 우리의 곁에 있었음을 알게 된다. 하늘, 땅, 바람, 물, 별, 불…. 행복의 파랑새처럼, 항상 우리의 가장 곁에 있었음을 깨닫게 된다.
그런데 소중한 것들이 늘 곁에 있지만, 우리는 잘 알지 못 한다. 아니 다른 것들이 소중한 줄 안다. 명품, 보석, 주식, 아파트, 자동차, 예금통장…. 물론 이런 것들도 중요하다. 그런데 이것들은 유용한 것이지, 소중한 것은 아니다.
network 속에서, 대체로 일정한 네트워크로부터 일탈한 자들은, 늘 말과 문자를 혼동한다. 아니 일부러 뒤섞는다. 그래서 불현듯 해체될 네트워크를 목적한다.
다만 언어적 사실과 언어적 본질을 자못 엄격히 분리하는 한, 언어는 결국 보편일 순 없다. 자연의 본성 안에서, 지금 이 순간 굳이 좋을 것도 굳이 나쁠 것도 없다.
자꾸 흐려져 가는 흐릿한 꿈속.
저주의 본능 안에서, 늘 흡혈의 욕망에 시달리는 vampire처럼, 시인과 철학자들 역시 환상 속에서 늘 어떤 결핍엔가 시달린다. 그렇게 잘 놀고들 있다. 잘 노는 자들은, 즐겨 노는 자들은 일삼아 욕을 먹는다.
자기보다 가진 것이 적은데도, 무심히 놀 수 있는, 그들의 놀이가 부러워서 배가 아픈 것이다. 설령 그렇더라도 결코 노래하는 법을 잊어선 안 된다. 춤추는 법을 잊어선 안 된다.
消盡과 喪失의 보유Verspätung, 혹은 연기Nachträglichkeit. 누군가를 잔혹하도록 욕하고 싶다면, 정작 거울을 봐야 한다. 그럴 때 거울은 가장 거울다우니까. 그럴 때 비로소 철학함은 시작되니까.
수확을 앞둔 농부의 논이, 고라니 탓에 황폐해졌다. 인간존재의 삶은, 자기가 아는 만큼의 상황 속 체험이다. 그래서 아무런 의미도 없는 무의미한 호흡(헛소리, 소문)들만 난무한다.
정작 자기 자신을, 자기의 세계에서 텅 비우지 않으며, 그저 삭제(제거)해버린다면, 이제 남겨질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수확을 앞둔 농부와 고라니의 결코 해소될 수 없는 관계처럼.
-하략-

구매가격 : 2,000 원

다산 정약용의 주체적 철학비판, 동양철학은 무엇인가

도서정보 : 정약용 지음(탁양현 엮음) | 2018-09-0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幽靈과 旅行者



幽靈이 떠돌고 있다.
온 세상에, 유령이 떠돌고 있다. 어느 理想主義者의 强辯처럼, 세상을 온통 집어삼키는 괴물로서, 너무도 거대한 유령이 떠돌고 있다.
그것은 마지막 유령이다.
하지만 새삼스러운 일은 아니다. 이미 너무도 많은 유령이 떠돌았기 때문이다.
一見, 온갖 유령의 갖은 떠돎이, 우리가 흔히 아는 인류의 역사다.
쉼 없이 얼음이 녹아 흐른다. 백파이프 소리가 아련히 들려온다. 마치 향피리 소리처럼, 끊어질 듯 이어진다.
여전히 비는 그치지 않는다.
實相, 유령은 고독한 피에로다. 아니 고독과 비탄으로 가득한, 피에로의 흔적이다.
대부분의 피에로에게, 슬픔 이외의 감정은 허락되지 않는다. 만약 슬퍼하지 않는 피에로가 실재한다면, 가장 먼저 그의 피에로로서의 자격은 剝奪될 것이다.
그래서 지친 기색이 역력한 피에로의 흔적은, 이미 유령을 닮는다.
그대. 여전히 고뇌하는 자여!
이제 그대는 피에로다.
그렇다. 흔적뿐인 피에로의 유령이다.
아는 얼굴 하나 없는 거대 도시.
지친 고래의 영혼은, 그 거리의 표면을 유령처럼 떠돈다. 어두워지면 알 만한 얼굴들마저도, 금세 어둠 속으로 숨어버린다.
수십 년 전부터 여행자는, 거대 도시에서 그런 유령들을 만났다.
최초의 낯섦이나 놀람과 달리, 수십 년 동안 지속되고 있는 유령과의 만남은, 이제 지극히 권태로운 일상이 되었다.
여행자는, 아주 흔해빠진 유령의 일원으로서, 숱한 유령들을 만난 것이다. 흔히 유령은, 거친 짐승처럼 본연의 모습으로 되돌아간 상태의 사람을 닮았다.
다만, 그런 유령에게는 미래가 없다. 더구나 과거는 이미 그림자가 되어버렸다. 그러니 이제 남은 것은, 유령으로서의 狀態的 持續뿐이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하늘 위의 God들은, 인간의 형상을 지닌 유령들의, 지독히도 어두운 코미디를 아주 재미나게 즐기고 있다.
만약 ‘人間 幽靈’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신들은 천국에서의 무료한 일상을, 결코 견딜 수 없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전지전능하다는 신들이 보기에, ‘인간 유령’들의 삶은, 참으로 유치하고 천박할 따름이다. 그런데 그래서 아주 재미가 있다.
아득한 전설처럼, ‘인간 유령’의 소문이 떠돈다.
결국은 떠돌아야만 하는 ‘바람 같은 소문[風聞]’처럼, 현실세계 여기저기에서 ‘인간 유령’이, 다시 떠돌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여행자는, 왜 자꾸 거대 도시를 찾아오는 것일까.
거대 도시에서 여행자는 철저히 고립된다. 저토록 무수한 얼굴 가운데서, 아는 얼굴이 단 하나도 없다는 사실이, 극심한 고립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여행자는, 그야말로 철저한 유령이다. 더욱 치열하게 유령으로서 선다. 누구도 지각할 수 없는 흐릿함으로서, 세상에 선다.
과연 이 여행을 마칠 수 있을까.
여행자는 모든 상황이 막막하기만 하다. 곧 장마가 시작된다고 한다. 장마와 함께, 현재를 마무리할 준비도 서둘러야 한다. 대인기피증은 말할 것 없으며, 소음공포증 역시 악화되고만 있기 때문이다.
과연 얼마나 견딜 수 있을까.
유령을 관념화시키는 것은, 아주 위험스런 일이다. 관념적 추상은, 곧잘 불가능을 넘어서버리기 때문이다.
물론, 불가능을 넘어서는 현상 자체는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런데 그 넘어섬은, 지극히 형이상학적이라는 데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근대 이후, 지속적으로 형이상학을 해체하려는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다.
하지만 결국 여행자들의 여행은, 지극히 형이상학적이며 관념적일 수밖에 없다. 그것이 여행자들의 본성이며, 숙명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니체’는, 이렇게 뇌까렸던 것이다.
“인간이여, 피하라! 가혹한 검은 개가, 너의 곁에서 어슬렁거리고 있다. 저 무지한 자들은, 여전히 온갖 욕망의 흔적만을 쫓고 있다.”
욕망의 흔적은 좇는 자들은 유령 자체이며, 그런 유령의 곁을 어슬렁거리는 ‘검은 개’는, 유령의 흔적이다. 사는 동안 ‘니체’는, 시나브로 그러한 실상을 보았던 것이다.
인간이 행복해지기 위해, 아주 많은 것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외려 ‘지금 여기’에서 요구되는 것들로부터 자유로워질 때, 행복은 좀 더 가까워진다.
그래서 ‘지금 여기’로부터 한 발짝 물러나본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렇게 말한다.
“이렇게 작은 것만으로도 행복해질 수 있다니.”
여행을 외면하는 많은 ‘인간 유령’은, 실로 불행한 존재다. 그런데 그 불행은, 그가 유령인 탓에 발생한 것이 아니다. 외려 지금 그가 지나치게 행복하려고만 애쓰는 탓에, 불행해져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이미 심장이 늙어버린 청춘들은, 자기의 그림자에게 화풀이를 한다. 어쨌거나 그들의 심장은, 너무 일찍 취해버렸다.
어느 곳에서든, 유령은 다만 관찰한다. 굳이 참여하지 않는다. 그래서 유령인 것이다.
그래서인지 자기가 이미 유령이 되어버린 줄도 알지 못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유령은 또 다른 유령을 만나서, 새로운 유령을 생산하고서는 아주 기뻐한다. 이제 자기만큼 고통스러워할 새로운 대상적 존재가 실현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령들은, 새로운 유령의 생성을 가장 위대한 작업으로 인식한다. 실상, 사는 동안 각 유령들의 유일한 단 한 번의 공동작업이, 섹스를 통한 새로운 유령의 생산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새로운 유령이 탄생하는 순간, 유령들의 공동의 관계는 동시적으로 마감된다.
고통의 끈질긴 대물림.
이것이야말로 유령들의 삶을 규정하는, 가장 적절하며 가장 근접한 규정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유령으로서 살아내는 자여.
그리고 그대, 또 하나의 유령이여.
애써 누군가로부터 이해받고자 하지 말라. 그대가 누군가를 결코 이해할 수 없는 것처럼, 그들 역시 결코 그대를 이해할 수는 없다.
만약 누군가를 이해하고 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거짓말이거나 착각일 따름이다.
-하략-

구매가격 : 3,000 원

잊혀진 제국의 역사, 대한제국실록 1권, 고종황제와 명성황후

도서정보 : 조선왕조실록(탁양현 엮음) | 2018-09-0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잊혀진 帝國의 歷史, 大韓帝國



大韓帝國은 이미 잊혀진 帝國이다.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제국을 일군 것은, 檀君과 高句麗 외에는 없는 듯하다. 비록 대한제국은 虛名에 불과하며, 당시의 상황을 어떻게든 견뎌보려는 苦肉之計였다. 그런 탓에 현대인들은 자의반타의반으로 그 역사를 忘却코자 한다. 그러나 역사라는 것은, 짐짓 모르는 체 뭉개버린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다음은, 고종 34년 10월 13일(1897)의 기록이다.

“奉天承運皇帝는, 다음과 같이 詔令을 내린다.
짐은 생각건대, 檀君과 箕子 이후로 강토가 분리되어, 각각 한 지역을 차지하고는, 서로 패권을 다투어 오다가, 高麗 때에 이르러서, 馬韓, 辰韓, 弁韓을 통합하였으니, 이것이 ‘三韓’을 통합한 것이다.
우리 太祖가 왕위에 오른 초기에, 국토 밖으로 영토를 더욱 넓혀, 북쪽으로는 靺鞨의 지경까지 이르러, 상아, 가죽, 비단을 얻게 되었고, 남쪽으로는 耽羅國을 차지하여 귤, 유자, 해산물을 貢納으로 받게 되었다.
사천 리 강토에, 하나의 통일된 王業을 세웠으니, 禮樂과 법도는 唐堯와 虞舜을 이어받았고, 국토는 공고히 다져져, 우리 자손들에게 만대토록 길이 전할 반석같은 터전을 남겨 주었다.
짐이 덕이 없다 보니, 어려운 시기를 만났으나, 上帝가 돌봐주신 덕택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안정되었으며, 독립의 터전을 세우고, 자주의 권리를 행사하게 되었다.
이에 여러 신하들과 백성들, 군사들과 장사꾼들이 한목소리로 대궐에 호소하면서, 수십 차례나 상소를 올려, 반드시 황제의 칭호를 올리려고 하였는데, 짐이 누차 사양하다가, 끝내 사양할 수 없어서, 올해 9월 17일, 白嶽山의 남쪽에서, 天地에 告由祭를 지내고,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
국호를 ‘大韓’으로 정하고, 이해를 光武 元年으로 삼으며, 宗廟와 社稷의 神位版을, 太社와 太稷으로 고쳐 썼다.
王后 閔氏를 皇后로 책봉하고, 王太子를 皇太子로 책봉하였다.”

이제 조선왕조는, 모름지기 대한제국이 되었다. 비록 대한제국이 되었을망정, 국가의 상황은 당최 겨를이 없었다. 더욱이 乙未事變(1895. 10. 8.)에 閔妃가 日本浪人 패거리에 의해 살해당한다. 민비의 행태나 조선왕조의 상황에 의한 결과이겠지만, 이는 실로 지울 수 없는 민족의 羞恥스런 汚辱이다.
현대에 이르러 민비를, 조선의 國母로서 더없이 德性있는 明成皇后로서 인식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제 역사를 되도록 보기 좋도록 潤色하려는 것은 인지상정이겠으나, 그 대상을 선택함에 있어 좀 더 신중할 필요가 있다. 민비에 대해서는 여전히 各論이 紛紛하기 때문이다.
다음은 고종 34년 11월 22일의 기록이다.

“여러 신하들이 옛날 시호법을 상고하여, 온 나라에 빛이 미쳤다 해서, ‘明’이라 하고, 예악이 밝게 갖추어졌다고 하여, ‘成’이라고 하였다.
올리는 시호는 ‘明成’이라 하였고, 陵號는 ‘洪陵’이라고 하였으며, 殿號는 ‘景孝’라고 하였다.
…황후는 여러 차례 책봉하는 글을 받았다. 계유년에는 朝臣들이 尊號를 올려 ‘孝慈’라고 하였고, 무자(1888), 경인(1890), 임진년(1892)에는 황태자가 尊號를 더 올려, ‘元聖正化合天’이라고 하였다.
정유년에는 대소 신하와 백성들이, 나라가 독립의 기초를 세우고, 자주권을 행사한 것 때문에, 明나라 이후에 천하의 禮樂이, 다 우리나라에 있으니, 마땅히 황제의 계통을 계승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민비가 살해당한 후, 조선왕조가 대한제국이 되면서, 민비 또한 명성황후로 추존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표면적으로 明成이라는 諡號의 의미는, 실상 그 기사의 전체를 감안한다면, 과거 明나라에 대한 事大主義가 완성되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니 애당초 제국으로서, 황제의 국가라는 의지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현대의 대한민국 역시 그러하다. 남북통일로써 만주라는 故土를 收復하여 동아시아를 넘어 세계의 패권국으로서 浮上코자 한다면, 그저 자기편의 政權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執權을 위하여, 附和雷同해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제국 시기의 고종실록을 살피면, 무능하고 파렴치할수록 아주 그럴듯한 美辭麗句로써 온갖 논리를 늘어놓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그러한 행위로써는, 결코 국가공동체를 살려낼 수 없음을, 우리는 역사로써 검증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그러한 역사는 되풀이되는 듯하다. 그러니 비록 별다른 권력을 지니지 못했을망정, 이 시대를 살아내고 있는 각 個人이 명료히 깨어서, 민족과 국가의 미래를 위해 참으로 부단한 苦惱를 마다하지 않아야 것이다. 세상 어디에도 공짜는 결코 없는 법이니까.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大韓帝國은 가장 비극적인 국가공동체 중 하나였던 탓에, 텅 빈 허공에 대한제국의 성립을 외침은, 한갓 喜劇的 퍼포먼스에 불과했는지 모른다. 그러나 역사에서는, 그러한 비극이야말로 진실을 드러냄을 留念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오히려 수치스럽고 고통스런 역사일수록, 微視史의 관점으로써 더욱 세밀히 살펴야 하는 까닭이다.
누구라도 자랑스레 떠들어댈 만한 역사라면, 굳이 어느 누가 針小棒大할 이유가 없다. 그러니 역사적 歪曲의 가능성은 별로 없다. 물론 상대편의 입장은, 예컨대 일본이나 중국의 역사 왜곡처럼, 그 반대일 것이다. 그러나 어쩐지 남사스런 역사라면, 어떻게든 없는 양 하는 것이 人之常情이다. 대한제국의 역사가 실로 그러하다.
기묘한 노릇이지만, 필자 개인의 삶을 회고할 때도 그러하다. 필자도 적잖은 세월을 사는 동안, 이런저런 체험 속에서 삶의 여정을 지속하고 있다. 그런데 그 삶이란 것이 마냥 좋고 행복한 일만 지속될 리 만무하다. 그러다보니 차라리 자살해버리는 게 나을 것이라고 생각할만큼, 치욕스럽고 고통스런 체험도 하게 된다.
그러나 세월이 지나고 보면, 그런 일마저도 당최 목숨을 스스로 끊을만한 일은 아님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그 아픈 체험의 기억이 망각될 리 없다. 그래서 필자의 마음은, 저절로 자기합리화로써 생존에 유익한 기억만을 보다 부각시키며, 害가 되는 기억은 저절로/스스로 무의식 저편으로 潛在시킨다. 이는 참으로 自然스런 현상이다.
예컨대 필자로서는, 지난날 철학과 대학원에서 집단에 밀려 겪었던 일들이나, 이후 여러 직업을 전전하며, 온갖 갑질을 당해야만 하던 일들이 想起되면, 지금 이 순간에도 몸서리를 칠만큼 고통스럽다. 그러나 그러한 侮辱 또한 필자의 삶의 한 부분일 따름이다. 그러한 체험을 부정할 수도 없고, 그러할 까닭도 없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그런 체험 속의 人間群像들과 再會하지 않아도 된다는 사실이다. 다만, 필자가 지속적으로 출판을 하는 탓에, 그에 대해 인터넷 따위를 통해, 지극히 천박한 대응을 해오는 짓거리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감내해야만 한다. 여하튼, 여전히 필자는 생존을 도모해야 한다. 그러니 그런 일들에 대해 참으로 잘 제어하여 처리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선지 대한제국의 역사를 살피며, 무슨 까닭인지 자꾸만 필자의 삶이 오버랩된다. 대한제국의 시절을 극복하고서,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속의 경제대국이 되었다. 하지만 21세기에 이르러, 세계 패권국의 무역전쟁과 북한 문제 등으로 인해, 금세 역사의 나락으로 떨어질는지 모른다. 필자의 삶 역시, 그런 치욕스런 체험 이후에도, 여전히 생존을 위해, 이런저런 직업군을 전전하며, 최하층의 삶이나마 감내해야만 한다.
하지만 대한제국의 역사처럼, 어떤 사실 자체를 공부하여 그 진실을 알게 될 때, 다소나마 삶의 의미를 찾는다. 가뜩이나 빈곤한 삶인데, 의식마저 비루하다면, 그 삶은 참으로 비참할 것이기 때문이다. 비록 원하는 만큼의 삶을 일구지는 못했지만, 이만큼이라도 공부하며 살아낼 수 있음은, 天地, 父母, 同胞, 法律 등 四恩의 은혜임이 자명하다.
특히 하늘땅과 부모의 은혜는, 더 이상 말할 나위 없다. 그러한 은혜가 없었다면, 어떻게 지금 필자가 지금껏 생존했으며, 이 글들을 지어낼 수 있었겠는가. 우리 민족에게 아픈 역사야말로, 우리 민족에게 그러한 의미를 갖는다. 온갖 표면의 화려함이 ‘나’를 살게 하는 양 착각하지만, 정작 내면의 소박함이 ‘나’를 살게 하는 탓이다.
-하략-

구매가격 : 3,000 원

추사 김정희의 예술철학, 완당집

도서정보 : 김정희 지음(탁양현 엮음) | 2018-09-0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추사 김정희(1786~1856)는, 18세기 말에 태어나서, 19세기 外戚勢道 政治期에 활동한, 모름지기 朝鮮王朝 최고의 書藝家로서 藝術家이다. 다음은 추사 김정희의 예술세계에 관하여, 김영한, 정인보, 신석희, 남병길, 민규호, 민노행 등이 기술한 몇 편의 기록이다.
아래의 기록 중에도 기술되었지만, 김정희가 流配의 삶을 살게 되는 情況을 살피면, 조선왕조의 政權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이데올로기가 얼마나 强固한 것인지를 익히 짐작할 수 있다.
추사는 기존의 性理學的 지배 이데올로기에 비판적이었다. 性理學이란 기본적으로 명나라의 통치 이데올로기다. 반면에 추사는, 北學派 朴齊家에게서 학문을 전수받음으로 인해, 중원벌판에서 새로운 覇權으로 자리매김한 청나라의 고증학적 이념체계를 모색하였다. 그런데 설령 그렇다고 해도, 추사 역시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를 기반으로 하므로, 철저히 중국의 ‘것’을 苦心할 따름이다.
여하튼 이러한 流配的 체험이 추사의 예술세계를 더욱 심오하게 完熟시켰을 것임은 두말 할 나위 없다. 예컨대, 제주도 유배로써 秋史體가 완성되었음이 바로 그러하다. 이에 추사체는 추사 김정희의 삶 자체의 예술적 品格이 하나의 예술작품으로서 顯現되었다고 할 것이다. 그러니 비단 추사체에 의해 제작된 예술작품만이 아니라, 추사체 그 자체가 곧 예술작품이라고 해야 한다.
추사는 學術辨에서 다음과 같이 기술한다.

“학술이 天下에 있어, 수백 년을 지나면 반드시 변하게 되는데, 그것이 장차 변하려 할 적에는, 반드시 한두 사람이 그 단서를 엶에 따라, 천백 사람이 시끄럽게 그것을 공격하게 되고, 그것이 이미 변한 뒤에는, 또 한두 사람이 그 이룬 것을 한데 모음으로써, 천백 사람이 모두 그것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대체로 시끄럽게 그것을 공격할 적에는, 온 천하 사람이 학술의 서로 다른 것을 보게 되므로, 그 폐단이 드러나지 않지만, 모두가 그것을 따를 적에는, 천하 사람이 학술의 서로 다른 것을 보지 못하므로, 그 폐단이 비로소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그때를 당해서는, 반드시 한두 사람이 그 폐단을 바로잡아, 의연히 이를 견지하게 되고, 그 변한 것이 이미 오래됨에 미쳐서는, 국가를 소유한 자가 法制로 얽어매고, 利祿으로 유인하여, 아이들은 그 학설을 익히고, 늙은이들은 그것이 그른 줄을 모름으로써, 천하 사람이 서로 그것을 편히 여기게 된다.
그러다가 천하 사람이 그것을 편히 여긴 지 이미 오래되면, 또 어떤 사람이 일어나서, 그것을 변개시킬 것을 생각하게 되는 것이니, 이것이 천고 이래 학술 변천의 대략이다.
…아, 학술이 변할 때에 당해서는, 천백 사람이 시끄럽게 공격하는데, 그들은 모두 용렬한 위인들이고, 학술이 이미 변한 뒤에는, 또 천백 사람이 모두 그것을 따르는데, 그들 또한 용렬한 위인들인 것이다. 그렇다면 그 폐단을 바로잡아 꿋꿋하게 견지할 자가, 그 누구란 말인가.”

여기서 학술이라고 하는 것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다. 조선왕조야말로 학술을 통치 이데올로기로 삼은 대표적인 政體이다. 그런 학술 자체가 그릇될 것은 없지만, 그것이 어떤 權力體로서 작동하게 될 때, 부득이하게 이데올로기적 폐해가 발생케 됨을, 추사는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폐단이 될만큼 권력적이지 못하다면, 애당초 그 학술은 정립될 수 없다. 이야말로 不得已다.
추사는, 그런 학술의 기묘한 이데올로기적 權力機制를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21세기라고 해서 별다를 게 없다. 예컨대, 현대의 대한민국의 경우, 자유민주주의를 多數決의 集團쯤으로 誤解하는 事態가 그러하다. 輿論이란 것은 실상, 추사의 분석처럼, 자기의 이득을 좇아 용렬하게 작동하는 기괴한 集團的 時流일 따름이다.
變化와 衝突의 시대라면, 응당 그러한 弊端이 확연히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런데 흔히 集團의 決定이란 것은, 이데올로기적이기 십상이다. 그런 탓에, 추사 역시 유배의 삶을 살아야만 했다. 그러나 추사는 결국 자기의 길을 간다. 실상 권력으로부터 流離되어버린 상태에서, 추사가 선택할 수 있는 길은, 그것뿐이었을 것이다.
-하략-

구매가격 : 3,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