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폭발

도서정보 : 스티브 테일러 | 2024-03-0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 이동진 추천도서!
* [인디펜던트] 올해의 책!
* 20년 연속 아마존 베스트셀러!

“과도하게 발달된 자아가 인류를 퇴보시켰다!”
전쟁, 가부장제, 사회적 불평등…
인류 역사 속 폭력과 광기의 궤적을 대담하게 파헤친 압도적 서사!

현대 인류는 왜 정신이상에 가까울 정도로 서로를 죽이고, 남성이 여성을 억압하고, 소수가 엄청난 권력을 행사하며, 사회적 불평등이 넘쳐나는 삶을 살게 된 걸까? 어째서 우리는 항상 행복을 추구하면서도 근심, 걱정, 불안이 끊이지 않고, 아무리 많은 권력과 부를 손에 쥐어도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걸까? 인간의 삶은 왜 이토록 끔찍하며, 고통과 박탈감, 비통함으로 가득 차게 되었는가? 이 모든 광기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자아폭발’이다!

스티브 테일러는 이 책에서 고고학·인류학·심리학·생물학 등 각 분야를 넘나들며 7년여간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원시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6,000년의 인류 역사의 흐름을 ‘자아폭발’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인류는 자아폭발을 계기로 퇴보해왔다”고 주장하며, 왜 현대 인류가 평온했던 선사시대의 삶에서 벗어나 정신병에 가까울 정도로 전쟁과 남성 지배, 사회적 불평등이 넘쳐나는 삶 속으로 들어왔는지 현대사회 병리 현상의 근원을 과감하게 파헤친다.

걷잡을 수 없이 빠져든다!
자아의 기원과 인류의 집단 광기에 관한 가장 충격적이고도 매혹적인 책!
_에크하르트 톨레

구매가격 : 15,400 원

상위 1%의 가르침

도서정보 : 김현태 | 2024-02-2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희망을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힘이 되어주는 글들

청소년 시기는 우리 인생에서 가장 흥미로운, 동시에 어려운 시기다. 우정, 꿈, 성취, 실패, 절망, 슬럼프, 인간관계 등 모든 게 서툴고 제각기 걸어가는 속도도 다르지만, 자신만의 행복을 찾아가는 여정에 들어섰기 때문이다. 어린 나이에 하고 싶은 일을 찾는 건 쉽지 않고, 설령 찾았다고 해도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게 인생이다. 이 책은 눈앞의 절망에 속지 않도록, 스스로를 믿으며 성장하고 싶은 이들을 위한 단단한 위로와 충고를 담고 있다. 인생의 고비마다 한 뼘씩 자라는 청소년 시기를 무사히 지나갈 수 있도록 옳은 길을 찾는 방향타가 되어줄 것이다.

구매가격 : 11,760 원

생태시민을 위한 동물지리와 환경 이야기

도서정보 : 한준호, 배동하, 이건, 서태동, 김하나, 이태우 | 2024-02-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인류세 시대 생태시민을 위한 지속가능한 지리 교양서
인간과 동물의 올바른 관계를 찾고 내일의 지구환경을 그려본다

2022년에 출간하여 청소년 교양서의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은 『세계시민을 위한 없는 나라 지리 이야기』를 쓴 ‘최지선’(최선을 다하는 지리 선생님 모임)의 선생님들이 2년 만에 내놓은 책으로, 최근 세계적 관심의 대상이 된 동물과 환경을 주제로 다루었다. 인간과 함께 지구에서 살아가는 또 다른 존재인 동물은 어떻게 현재에 이르게 됐으며, 기후변화로 인해 하루하루 바뀌어가는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고 있을까? 현장에서 지리를 가르치고 있는 여섯 명의 지리 교사들이 기후변화 시대에 주목해야 할 동물 18종을 골라, 지리적 시선을 통해 동물들의 역사와 생태, 현재의 모습을 살펴보고, 환경을 보호하면서 생태계 안에서 인간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본다.

구매가격 : 12,300 원

10대를 위한 쇼펜하우어

도서정보 : 김현태 | 2024-02-2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흔들리는 길 위에서 나만의 목적지를 찾게 해주는 10대를 위한 쇼펜하우어 입문서

인간은 지향이 있는 한 방황한다. 그래서 흔들리는 배의 방향을 똑바로 잡아줄 선장의 키가 필요하다. 아르투어 쇼펜하우어(1788~1860)는 그가 살았던 200년 전보다 지금 더 깨우침을 주는 철학자이다. 그래서 많은 사람이 그에게서 삶에 꼭 필요한 힌트를 얻고 위로를 받는다. 생애 가장 두렵고 고민이 많으며 과거 세대보다 오히려 더 힘든 시대를 살아가는 10대에게 과연 쇼펜하우어는 어떤 조언을 해줄까?

『10대를 위한 쇼펜하우어』는 광고회사 제일기획에서 카피라이터로 일했으며, 학교와 도서관에서 아이들에게 꿈과 용기를 주는 강연가로도 활동하고 있는 저자가 10대들을 위해 쉽게 풀어 쓴 쇼펜하우어 입문서이다. 속도와 방향의 시기를 살아가는 10대가 앞으로의 인생을 계획하고 행동하고 성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인생이라는 명제 앞에서 깊이 사유했던 쇼펜하우어를 비롯하여 톨스토이, 파스칼, 발타자르 그라시안, 아우렐리우스 등의 철학자들의 생각을 흡수하고 조합하고 비틀어 10대의 눈높이에 맞게 새 틀에 담았다.

구매가격 : 11,900 원

경계를 넘는 공동체

도서정보 : 샹뱌오 | 2024-02-0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베이징 한복판에 형성된 원저우 상인 집거지 ‘저장촌浙江村’
한 줌의 불법 매대에 불과했던 장소가
10만 명의 공동체로 탄생하기까지
그 사회학·인류학적 생활사는 어떤 과정을 거쳤을까

6년간 저장촌에서 직접 생활하고 20년을 추적 관찰한 끝에 탄생한
도시사회의 변화 동학을 통찰해낸 사회학·인류학 명저

2022년 대담집 『주변의 상실』로 한국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된 샹뱌오 막스플랑크연구소 사회인류학연구소장의 주저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跨越邊界的社區:北京“浙江村”的生活史』가 번역·출간되었다. 이 책은 원저우 출신 농민들의 동향촌이 1990년대 베이징에서 가장 큰 저가 의류 생산·판매 기지로 변모하는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지ethnography로, 이후 출간돼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국가와 사회, 중앙과 지방, 도시와 농촌, 통치와 저항의 역동적 관계를 살피는 고전이 됐다. 애초에 베이징대학 석사논문이었던 이 논고로 그는 옥스퍼드대학 박사과정에 진학할 수 있었으며 나중엔 이 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 책은 1998년 단행본을 위한 원고로 완성되어 2000년 중국어판이 나왔고, 2005년 영문판이 나왔으며, 2017년 중국어 개정판이 출간되었는데 번역에는 2017년 개정판을 저본으로 사용했다.

저장촌의 형성, 확장, 굴절, 재도약

베이징 저장촌은 저장성 원저우 출신 농민들이 구성한 국내 이주민 집거지다. 이 책은 현장 연구 및 생활사 연구 방법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저장촌의 형성, 확장, 굴절 그리고 재도약의 과정을 설명한다. 의류 산업이 책을 관통하는 실마리다. 저자는 의류 산업으로 연결된 사람 간의 관계가 이 산업의 분업과 함께 어떻게 재설정을 거듭하면서 지역 공동체로 발전했는지에 대해 답하고자 한다. 일종의 경제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탐구서이기도 하다.
이 책은 국내 독자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중국 정부의 정책, 개혁 개방의 이론, 공산당의 이념 등은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등장한다고 해도 저장촌 사람들의 생활에 부차적인 것에 불과하다. 사회의 힘들이 구조 변동의 추동력이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이 중국 사회의 사소한 내용을 토대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한국 독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저자는 중국 사회의 가장 근저의 문화에 근거하여 남부 중국의 전통적이고 뿌리 깊은 농촌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베이징이라는 체제 전환의 대도시에서 또 다른 뿌리를 내리는 이 과정을 설명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일상의 말투, 대화의 구조, 삶의 관습 등은 심지어 중국 내에서도 보편화된 익숙한 내용이 아니다.

평범한 이들의 대인관계, 삶의 철학으로 개혁개방 시기를 이해하다

『경계를 넘는 공동체』는 많은 사소한 내용을 통해 1980~1990년대 개인의 삶의 경험을 포함하여 사회생활 수준의 변화를 자세하게 설명한다. 1980~1990년대의 중국, 특히 중국에 대한 국내외의 서술은 주로 국가 정책과 주요 사건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이러한 사소한 일들은 종종 간과되었다.
이 책에 묘사된 사소한 것들, 즉 평범한 사람들이 삶을 이해하는 방식, 대인 관계를 다루는 방식 등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프랑스의 역사학자 페르낭 브로델이 말한 대로, 사람들은 종종 밤의 장막에서 꺼져가는 불빛밖에 보지 못하지만 진정한 역사는 바로 그 장막 안에서 벌어진다고 했다. 사소한 것들의 기본 논리는 사회적 삶을 영속케 하는 핏줄이자 지속적인 사회 변혁의 씨앗이 될 수도 있다. 이 층위를 봐야만 우리는 ‘중국’과 그 14억 인구를 단순히 최고 지도자의 틀에 갇힌 존재로 상상하지 않을 것이고, 그들의 삶이 바다에 띄워져 있는 작은 배에 불과해서 불어오는 바람과 밀려오는 파도에 즉시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평범한 사람들의 자율성과 삶의 본질적인 동기를 외면하지 않을 것이다.

10년 만에 6가구에서 10만 명 거주 공동체로 성장

저장촌은 1980년대 후반 중국 동남부 저장성의 농촌 지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형성한 베이징의 한 집거지다. 초창기에는 베이징의 여러 정부 부처에서 강제 퇴거 조치를 취했지만 10년이 채 되지 않아 6가구에 불과했던 저장촌이 10만 명이 거주하는 공동체로 성장했다. 가족공방과 소규모 무역에 의존하던 저장촌은 중국 북부와 동북부 전역에 중저가 의류를 공급하는 중심지가 되었다.
저장촌은 어떻게 이런 발전을 이룰 수 있었을까? 1990년대 중반 이전까지 그들은 주로 번화가의 노점에서 옷을 판매했다. 당시에는 불법이었다. 주변이 그들에게 매우 중요했다. 그들은 옷을 팔기 쉬운 곳을 알아가야 했고, 공중화장실이 어디에 있는지 기억해야 했으며(당시에는 공중화장실을 찾기 매우 어려웠다), 무엇보다도 도시 경찰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야 했다. 그들은 차츰 동네에 있는 국영상점 직원들과 친해지고 심지어 친구가 되었다. 이를 통해 나중에 이 상점들과 협력하고 나아가 상점의 매대를 임대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도시를 변화시킨 평범한 사람들의 힘

동시에 저장촌의 유동인구도 저장촌 주변의 복잡성을 의도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베이징 남쪽에 위치한 저장촌의 토지와 주택은 중앙정부 부처, 베이징의 시, 구, 가도, 향진, 주민위원
회, 군부 등 여러 기관에 속해 있었다. 이러한 기관은 서로 다른 이해관계가 있었고, 서로 다른 지침을 따랐다. 예를 들어, 저장촌이 위치한 구정부가 이주민을 추방하고자 할 때 구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부처(예를 들어 베이징시의 회사들)는 이주민에게 건물을 계속 임대해줬다. 수도의 특히 복잡한 행정 관계는 유동인구가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유동인구는 주변의 다양한 빈틈을 발견하고 촌민위원회와 성공적으로 합작하여 주택 단지와 간이 공장을 건설했으며, 파산한 국유기업과 의류 및 직물시장을 건설하는 데 합의했다. 행위자들이 자신을 주변의 깊숙한 곳까지 들이밀수록 새로운 활동 공간이 더 크게 열렸다. 『경계를 넘는 공동체』에서 묘사한 것처럼 저장촌이 베이징성 바로 남쪽이라는 이 주변에 자리하여 전국적인 의류 생산 및 무역 연결망을 구축한 것이다. 『경계를 넘는 공동체』는 평범한 사람이 어떻게 주변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켰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보잘것없는 작은 인물도 큰 힘을 가질 수 있었다. 평범한 사람들이 세상을 보기 위해, 그리고 역사를 만들기 위해 의지하는 것이 바로 주변이다.

각 부와 장의 구성

이 책의 역자는 박우 한성대 교수로 “서울의 가리봉동-대림동 중국 동포 집거지”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은 이 분야 전문가다. 역자는 후기에서 “논문을 작성할 때 참고한 책 두 권이 있었다. 한 권은 화이트의 『길모퉁이 사회Street Corner Society』이고 다른 한 권은 샹뱌오의 이 책이다”라고 밝혔다. 이 분야 전공자들에겐 하나의 전범을 제시해주는 책인 것이다.
역자는 국내 독자들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책을 크게 네 개의 부분으로 재분류했다. 첫 번째 부분은 책의 제1장과 제2장이다. 저자의 연구 배경과 문제의식을 엿볼 수 있다. 저자는 일상 행위에 대한 관찰을 시작으로 저장촌이 중국 사회의 체제 전환이라는 시대 배경 아래에서 어떤 조건들에 의해 출현했는지, 이 집거지는 국내외 다른 집거지와 어떻게 다른지, 나아가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관계는 어떻게 서로 중첩되어 하나의 지역 공동체를 형성하게 되었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계’를 모르고 중국 사회를 논하지 말라

이런 문제의식 아래 저자는 지역 공동체 연구의 이론들을 차용했다. 저자가 비중 있게 다룬 두 연구는 남부 중국의 농촌 공동체를 다룬 페이샤오퉁의 연구와 내가 위에서 언급한 미국의 이탈리아 이주민 공동체에 대한 화이트의 연구다. 저자는 자신이 관찰한 저장촌이 기존 연구에서 보여준 것과 차이가 있다고 보았다. 저자는 이 차이가 공동체를 구성한 사람들의 연결망적 특징에서 비롯되었다면서 ‘계’라는 개념을 제안했다. 저자가 사람간의 복잡한 관계를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은 논문을 준비하는 학생, 정부 기관의 인턴, 사회 사업자, 기업 고문이라는 네 가지 역할을 수행한 덕분이었다. 다양한 역할은 일반적인 사회 조사자보다 더 깊고 넓게 사람들의 관계를 관찰할 수 있게 했고 직접 찾아다니지 않아도 누군가 먼저 이야기해줌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해줬다.
두 번째 부분은 제3장으로서, 저자는 저장촌을 관찰하기 위한 첫 관문 또는 연구의 시작으로서 ‘저우가周家’의 하루를 설명한다. 저우가 구성원의 일상생활, 가족 구성원 관계의 변화가 주요 내용이다. 저우가는 두 자매의 가족과 그들이 공동으로 고용한 노동자를 포함한 ‘가족’이다. 두 가족은 처음에는 함께 살았지만 이후 분가했다. 분가한 뒤 두 가족은 각자 자신의 새로운 연결망을 형성하여 사업을 이어나갔다. 저우가에는 동네의 다양한 사람이 드나들면서 정보를 교환했다. 물건을 사고파는 일련의 절차들이 또한 저우가의 일과에 녹아 있다. 저우가는 저장촌 경제 활동의 압축판이기도 했다.
세 번째 부분은 제4장부터 제8장까지다. 책의 부제에 언급된 생활사의 구체적인 내용이다. 저자는 시기별 개인의 연보를 중심으로 이들의 종적이고 횡적인 삶의 관계들을 그림으로써 저
장촌의 발생과 변화의 연결성 및 그 논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저자는 1984년을 시점으로, 누가 처음 베이징 저장촌에 왔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했다. 농민들의 이동은 문화대혁명 후반과 직후, 그리고 개혁 개방 초기에 모두 있었다. 사람마다 자신의 경험과 기억에 따라 저장촌 초기의 흔적에 대해 말했다. 하지만 저자는 누가 먼저 왔는가보다 어떤 사람들(가족 또는 집단)이 먼저 저장촌에서 의류 산업을 시작했는지에 더 주목했다.

다툼을 중재하는 ‘거물’이라는 존재

1986~1988년으로 이어지는 설명에서는 사람들이 어떻게 베이징에서 자리를 잡았는지에 대해 답했다. 구체적으로 저장촌에서 만든 옷이 어떻게 베이징의 주류 시장에 진출할 수 있었는지, 옷을 만드는 사람과 옷을 파는 사람 간에는 어떤 사업적 관계가 형성되었는지, 이곳에서 발을 붙이려면 어떤 사람과 많이 어울려야 하는지 등에 관한 이야기다. 이 시기에 저장촌에서 만든 제품들이 베이징의 상가에 진출했다면, 1988~1992년 저장촌의 확장 과정에 대한 설명은 저장촌의 상품이 중국의 다른 지역 그리고 해외까지 수출됨으로써 생산과 판매의 연결망이 더욱 길고 복잡하게 변화한 양상을 다룬다. 이 시기 저장촌에는 의류 생산과 관련된 부대 산업이 확장되고 인구도 더욱 많이 유입되면서 급격하게 성장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은 저장촌 내부의 상황을 매우 복잡하게 만들었다. 사람 간의 분쟁이 증가하고 가족 내의 갈등도 증가했다. 저장촌과 출신지 사이의 관계도 재편되었다. 1992~1995년에 대한 설명에서 저자는 저장촌이 극도로 혼잡한 공동체가 되었다고 했다. 왜냐하면 저장촌 내부, 저장촌과 베이징의 시장, 저장촌과 전국 시장, 저장촌과 외국 시장의 관계가 고도로 중첩되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저장촌 내부의 주택 단지 건설이라는 부동산업까지 추가되면서 저장촌 사람들의 관계는 더욱 복잡한 수준으로 교착되었다.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치안 문제도 심각해졌고, 이를 이용하는 사람과 근절하려는 사람 사이의 경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1995년, 저장촌은 중앙 정부 및 베이징시 당국에 의해 강제 철거되었다. 하지만 이 공동체는 잠깐 위축되었을 뿐, 얼마 지나지 않아 본래의 모습을 되찾았고 동시에 새로운 모습을 창출했다. 그 비결은 역시 저장촌 사람들이 형성한 연결망의 특징에 있었다.
네 번째 부분은 제9장과 제10장이다. 저자는 계와 계의 중첩, 또는 관계의 관계로서 관계총 개념을 제안한다. 중국 사회의 복잡한 관계망에 대한 저자의 통찰이 부각되는 부분이다. 관계총은 개인과 집단의 발전을 촉진하는 매개로 작용하는 동시에 관계를 통한 개인의 행위를 제약하는 제도로 작용하기도 한다. 저자는 관계총이 일종의 신사회공간으로서 체제 전환기의 사회 문
제의 완충지대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았다. 개혁의 심화는 신사회공간의 출현을 동반할 것이고 이러한 신사회공간은 개혁의 성패를 평가하는 하나의 시금석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이 자신과 저장촌 사람 간, 자신과 독자 간 이중 대화라고 말한다. 한국어로 번역되어 국내 독자의 앞에 놓이는 순간 한국 독자와의 대화까지 중첩된 삼중 대화가 된다.

구매가격 : 29,300 원

AI와 살아가기 위한 기초 지식

도서정보 : 타비타 골드스타우브 | 2024-02-0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유튜브 추천 영상을 끊기 어려운 이유는 뭘까? AI 무기가 만들어지면 위험하지 않을까? AI 시대에 코딩을 꼭 배워야 할까? 우리는 일상 속에서 AI를 즐겁고 편리하게 이용하지만 동시에 현실 사회에 나쁜 영향을 끼치지 않을까 우려한다. 그러면서도 질병 진단, 맞춤형 교육, 기후 변화 대처 등 AI의 무한한 활용 가능성에 대해서도 기대감을 품는다. 결국 AI는 우리가 어떻게 감시하고 사용하느냐에 따라 우리를 무너뜨릴 수도 있고, 우리를 희망찬 미래로 이끌어줄 수도 있다.

『AI와 살아가기 위한 기초 지식』은 AI 개념부터 간략한 역사, 작동 원리, 위험성과 잠재력, 실천 사항까지 핵심 주제들을 다룬 AI 입문서다. 코딩을 배우면 좋겠지만, 그런 기술이 없다고 해도 기술을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기술을 다루는 능력이다. 영국의 기술 지식 네트워크 코그니션X(CognitionX)의 공동창립자 저자 타비타 골드스타우브는 기업가로서 AI의 미래를 내다보고 AI와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전문가들을 인터뷰하며 AI 지식을 쉬운 언어로 풀어냈다. 청소년은 물론 평범한 일반인까지 AI 세상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

구매가격 : 12,000 원

HALLYU(K홀릭 영문판)

도서정보 : 장대환 | 2024-02-01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K팝부터 K바이오까지, 한류는 어떻게 세계를 홀렸을까?”
외국인이 깜짝 놀라는 대한민국을 조명하다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나라, 대한민국에 대한 흥미롭고 의미 있는 통찰로 가득한 책,『K홀릭』이 출간됐다. “세계는 왜 대한민국에 열광할까?” 한국을 선도하는 매경미디어그룹을 이끌고 있는 저자는 언론인으로서 오랜 시간 경험하고 수집한 각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러한 물음에 답한다. 저자는 탄탄한 한국의 인적 자원과 이로부터 파생하는 다양한 K문화, K기업을 소개하면서 자신만의 통찰을 던진다. 대한민국은 심각한 자원 부족 국가이지만, 인적 자원 하나만큼은 다른 나라에 뒤지지 않는다. 『K홀릭』은 한국인의 문화와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면서, 대한민국의 저력을 파헤쳐 소개한다. 이 책을 통해 대한민국 최고의 언론인이 제시하는 대한민국의 눈부신 현재와 미래를 만나보기 바란다.

“How Korea Captivate the World?”
The Korean Wave from K-pop to K-bio

HALLYU, a book filled with interesting and meaningful insights about Korea, the world’s most dynamic country, has been published.
‘Why is the world so enthusiastic about Korea?’ Authored by the head of Korea’s leading Maekyung Media Group, this book presents answers to this intriguing question, drawing upon vast data and experiences accumulated over a long career in journalism. The author shares his unique insights while highlighting Korea’s robust human resources and the diverse K-cultures and K-companies that have emerged from them. Despite its limited natural resources, Korea’s human capital is unmatched compared to other nations. HALLYU offers a thorough analysis of Korea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revealing the underlying strength of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this book, readers can gain insights into Korea’s vibrant present and future, as depicted by one of the country’s most renowned journalists.

구매가격 : 22,400 원

우주에서 본 한반도

도서정보 : 임철희 | 2024-01-26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한반도를 보는 또 하나의 눈, 인공위성 원격탐사



◎ 도서 소개

지구를 향한 우주기술,
군사 정찰을 넘어 한반도의 일상으로

한반도를 보는 또 하나의 눈, 인공위성 원격탐사

통일부 국립통일교육원과 21세기북스가 공동 기획·제작한 본 시리즈는 기존의 주입식 통일 교육을 탈피하고, 통일과 평화 문제를 독자 스스로 숙고하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기획된 문고 시리즈이다. 전문적인 내용을 친숙한 도서 형태로 담아 국민들 누구나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인공위성으로 본 북한의 모습을 말해준다. 우리가 가볼 수 없거나 눈으로 확인하기 힘든 남과 북의 모습을, 첨단 시설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재미있게 설명한다. “북녘을 향한 물음에 인공위성이 답하다”라는 부제에서 보듯, 북녘의 속사정을 낱낱이 드러내어 알려주고 있다.

한반도의 모습을 담는 데는 우리나라의 아리랑위성(KOMSPAT)을 비롯해 미항공우주국(NASA), 유럽항공우주국(ESA) 그리고 다양한 기업에서 운용하는 인공위성들이 사용되었으며, 그 범위가 자연과 인문 환경을 가리지 않는다. 백두산 천지부터 정치범수용소, 주요 탄광, 산과 강물의 선명한 사진을 통해 북한의 지형지물뿐 아니라 인민들의 생활까지 설명한다. 수십 년간 시간을 두고 촬영한 자료를 함께 비교하며 북한 사회와 환경의 변화, 군사·정치적 변화까지도 보여준다.

◎ 책 속으로

2023년 1월부터 5월까지 전 세계에서 우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만 1,200개가 넘는다. 1950년대 소련의 스푸트니크 위성이 처음으로 우주 시대를 연 후, 60년 이상이 지난 현재 수만 개의 인공위성이 우주에 존재한다. 모두 알겠지만, 그래도 다시 한번 기억하자. 지구의 비 인공Non-artificial위성은 달Moon 하나뿐이다. 아무튼 인류가 쏘아 올린 인공위성은 지구의 진짜 위성인 달보다 가까이, 밤하늘에 보이는 별보다 많이, 지구를 둘러싸고 있다.

[Ⅰ.-1 한반도를 보는 또 하나의 눈 | 18쪽]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운용하는 MODIS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북한의 지표온도 변화로 지난 20여 년 간 북한에서 나타난 기후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매년 온도의 차이가 있지만 20여 년 동안 각 격자Grid별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니 증가세가 명확히 드러났다. 특히 개마고원을 비롯한 북부지역의 증가가 더욱 두드러졌다. 보통 도시의 확장이 지표면의 인공 열을 증가시켜 지표온도 변화의 원인이 되지만, 북한의 경우엔 도시확장이 많지 않았다. 북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북쪽이면서(고위도) 고도가 높아 온도가 낮은 지역의 온도가 높아진 것은 명확한 기후변화의 시그널Signal이다.

[Ⅲ.-2 북한에도 기후변화가 오고 있을까? | 124~125쪽]

보통강의 일부 수질개선 상황에 정화시설의 현대화나 확충 작업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대부분의 수질오염이 하수도 처리 시설 부족으로 인한 오·폐수 및 생활하수 유입으로 발생하는데, 북한은 그동안 정수시설이나 오·폐수 처리 시설이 노후화돼 생활하수를 제대로 정화하지 않은 채 그대로 강으로 방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상황에서 몇 차례 수질정화 사업을 하거나 쓰레기 유입만 단속해서는 눈에 띄는 변화를 끌어내기 어렵다. 이에, 북한이 오염방지법을 통해 보통강 주변 기관과 기업에 현대적인 오·폐수 정화시설을 설치하게 유도한 것이 수질개선에 더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Ⅲ.-4 북한의 강물은 깨끗할까? | 158쪽]

청진 정치범수용소는 함경북도 청진시에 위치한 수용소로, 약 5,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한다. 자전거 제작 노동을 시킨다는 점이 청진만의 특징(?)이다. 2010년대에 확장공사 이후 면적은 약 1000m^2이며 울타리를 따라 17개의 감시초소가 추가로 세워지기도 했다. 규모 자체는 큰 편이 아니지만 1급 정치범 수용을 위한 공간이라는 차별성이 있다. (중략) 청진에는 보안등급이 특별히 더 높은 감옥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164의 붉은 원이 해당 시설로, 2010년에 증축된 시설물이다. 역시나 특별한 분들이 많이 모셔둔 수용소임이 분명하다.

[Ⅳ.-2 그 많던 정치범들은 어디에 있을까? | 199~200쪽]

통일 한반도가 되면 북한을 보고 있는 인공위성들은 어떻게 될까. 2023년 우주로 간 우리나라의 정찰위성과 앞으로 운용될 다양한 군사 정찰위성들을 포함해서 말이다. 한 가지 장담하건대, 통일이 오거나 군사적 긴장감이 줄어든다고 한반도에서 인공위성의 역할이 사라지거나 줄어들진 않을 것이다. 군사적 이용과 주민을 위한 활용은 한 끗 차이에서 발생한다. 동일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똑같은 정보는 조금의 시각만 달리하면 군사에서 민간으로 그 활용도가 바뀌게 된다. 그 일이 이미 정착되고 있음은 이 책에서 다양한 사례로 확인되었다. 인공위성의 역할은 통일 한반도에서 여전히 유효할 뿐 아니라, 넓어진 우리의 국토를 스마트하게 가꾸고 활용하는 가장 기초가 되어줄 것이다.

[에필로그 | 211쪽]

구매가격 : 14,400 원

심상정, 우공의 길

도서정보 : 심상정, 구영식 | 2024-01-22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리는 권력보다 더 큰 꿈을 가지고 있다”



◎ 도서 소개

심상정, 촛불과 함께 분투한 지난 8년을 말하다
우리 사회의 진보를 고민하는 모든 시민께 전하는 이야기

우리가 지나온 발자국을 믿으며 미래를 향해 걷는다

2010년대 한국사회는 ‘혐오의 시대’라고 할 만큼 성별, 세대, 소득 등에 따른 갈등이 깊어졌다. 공론장이 나와 다른 집단에 대한 비난과 증오가 일상화된 채로 변질되어 버렸고, 타협과 조정이 필수인 정치 또한 ‘팬덤 정치’라는 신조어와 함께 인물만 남고 정책과 의제가 사라졌다. 20대 대선과 정권교체를 거치며 정당 간, 진영 간 대화의 분위기조차 찾기 힘들어졌다. 한쪽의 독식을 막고자 중간지대 없는 양당 구도가 고착화되었고, 사회적 갈등을 조율하고 정책을 제시해야 할 정치의 기능은 자연스럽게 저하됐다. 2024년 현재 결국 한국 정치가 줄 수 있는 효능감은 그 어느 때보다 낮아졌다.

지금과는 달리 2016년 말부터 2017년까지는 최근 들어 진보정치의 활약이 가장 컸던 시기였다. 탄핵 국면과 19대 대선을 거치며 전례 없이 열렬한 시민들의 성원에 힘을 얻은 정의당과 심상정은 기회를 놓치지 않고 노동, 여성, 청년, 환경 등 공론장과 여의도에 진보적 의제를 던지며 유일한 원내 진보정당으로 활약했다. 한동안 진보정치에 순풍이 부는 듯했으나, 2020년 심각한 구조적 모순에 직면했다.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답정너’ 소선거구제에 균열을 내는가 했으나, 여야 4당이 합의했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라는 미완의 개혁이 위성정당이라는 희대의 꼼수로 그나마도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정의당과 심상정은 크게 좌절했고, 심각한 타격을 입었지만 다시 일어서고자 했다. 24년 전 민주노동당을 창당할 때부터 고난의 길임을 알고 시작한 일이었다.

진보정치의 토양이 어느 곳보다 척박한 사회, 다수를 위한 의제를 제시하는 정치인의 개인적 역량과 그로부터 기대할 수 있는 유권자의 결집이라는 측면에서 심상정은 정치 입문 후 20년간 능력을 입증해왔다. 의제 중심의 문화와, 공존과 미래를 고민하는 정치 성향은 진보의 특징이다. 진보가 그 역할을 다시 보여줘야 하는 지금, 여전히 현역인 심상정의 비전을 대담으로 정리한다.



◎ 책 속으로

우리가 민주노동당을 창당할 때부터 진보정당의 전망에 대한 사회적 통념은 지극히 비관적이었다. ‘대통령 중심에 양당 체제하에서 제3의 길은 없다. 노회찬·심상정은 민주당의 왼쪽 방을 차지하라.’ 그런 조언이 쏟아졌다. 우리는 분명 진보정치의 길이 어려운 길이라는 것을 알고 시작했다.
그러나 ‘우리는 권력보다 더 큰 꿈을 가지고 있다’라고 호기롭게 선언했다. 우리의 진보정치가 변방의 비주류 시민들과 함께 주류로 나아가는 창조의 길이 될 것이라고 굳게 믿었다. 우리 사회 보통 시민들의 확고한 지지를 받아 유력정당으로 발돋움하겠다는 신념을 가졌다.

[3-3 노회찬의 물구나무 | 85쪽]

내 정치 인생에서 가장 쓰라린 시간이었다. 위성정당 사태는 거대한 좌절감을 안겨주었다.
언젠가 우리 형부가 한 말이 떠오른다. “처제가 하려는 당은 ‘맹지(盲地)’처럼 보이네. 아름답지만 슬프네.” 사방이 사유지로 막혀 길이 없는 땅을 맹지라 한다. 맹지까지 길을 내려면 결국 길목에 있는 다른 땅 주인들의 허락과 협조가 필요하다. 진보정당이 교섭단체가 되려면 양당의 허락을 받아야 하는 상황과 정확히 맞아떨어지는 비유였다.
내가 답했다. “그 아름다운 맹지에 정치적으로 소외된 수많은 시민들이 살고 있습니다. 그분들과 함께 반드시 길을 낼 겁니다.” 선거법 개정으로 아름다운 맹지에 도로를 내는 것이 우리 진보정치 20년의 숙원과제였다. 바로 그것이 좌절된 것이다.
나는 위성정당이 없었다면 15%의 지지로 최대 25석까지 가능할 것이라 봤다. 준연동형제가 제대로 적용되는 선거였다면, 국민께서 “이번에 내가 표를 주면 정의당이 교섭단체가 되겠네”라며 망설임 없이 기쁜 마음으로 지지했을 거라고 본다.

[3-3 노회찬의 물구나무 | 87~88쪽]

혼미한 상황에서 장례 절차 회의를 마친 새벽 1시, 내 심경을 페이스북에 남겼다. “나의 영원한 동지, 노회찬. 그가 홀로 길을 떠났습니다. 억장이 무너져 내린 하루가 그렇게 갔습니다.” 이 말 외에는 아무것도 생각나지 않았다.
(중략) 거의 열병처럼 장례를 치르며 노회찬을 보내고 나서도 난 현실감이 없었다. 그냥 노회찬이 어디 먼 데 출장 간 것만 같은 느낌이었다. “저런 선택을 하기까지 그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얼마나 고독한 시간을 보냈을까?” 이런 생각에 이르면 그냥 넋이 나간 사람처럼 눈물만 나오고 그랬다.
(중략) 진보정치의 영원한 동지가 홀로 떠났다. 우리가 함께하자고 약속하고 걸어왔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스쳤다. 나는 그저 막막하기만 했다.

[3-3 노회찬의 물구나무 | 89~91쪽]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승자독식 선거제도 개선 없이 제3의 정치세력의 성장은 가능하지 않습니다. 또 ‘정치적 내전 상태’라고 까지 불리는 사생결단의 정치로는 극심한 불평등, 지역소멸, 인구절벽, 기후위기 등 국가적 명운이 달린 문제를 조금도 해결할 수 없습니다. 정치인들의 착한 선언만으로는 불가능합니다. 대화와 타협의 민주주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제도 개혁이 필수적입니다. 시민의 더 나은 삶을 위해서, 정의로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서, 사력을 다해 정치를 바꿀 수 있도록, 국민 여러분께서 제도 개혁에 큰 힘을 실어주실 것을 간절하게 요청합니다.
승자독식 소선거구제는 36년 양당 체제의 철옹성이었습니다. 단 한 표가 당락을 가르기 때문에 선거 때마다 절반에 가까운 표심이 버려졌습니다. 국민을 닮아야 할 국회가 처음부터 유권자 절반을 배제하고 구성됐던 것입니다. 이런 낮은 비례성을 보완하기 위한 제도가 바로 비례대표제입니다. 그 비율은 고작 15.7%에 불과해서 보완 기능이 매우 취약했습니다. 10% 정당 지지율로 2% 의석만 차지하는가 하면은, 특정 지역에서는 50%대 지지율로 90% 의석을 독점하기도 합니다. 가장 공정해야 할 선거제도가 가장 불공정한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이를 방치하고도 1인 1표의 등가성을 원칙으로 삼는 국민주권주의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습니까?

[부록 2023년 선거제 개편 전원위원회 연설문 | 275~276쪽]

구매가격 : 16,000 원

해결사 윤준병의 해결하는 정치

도서정보 : 윤준병 | 2024-01-12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해결하는 정치가 좋은 정치입니다!”



◎ 도서 소개

지역과 주민들의 문제를 해결해온 공직자로서의 업적과 다짐
‘정치인 윤준병’이 아닌 ‘해결사 윤준병’

말과 구호가 앞서는 정치인을 주민과 유권자들은 신뢰하지 않는다. 공직에서 36년간 정책을 통해 지역 문제를 해결해온 윤준병은 말이 아니라 실력으로 인정받아 지역구 국회의원까지 지냈다. 다시금 해결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야 하는 지금, 주민 앞에서 행동하는 정치인이 될 것을 약속한다.

유년 시절에는 이웃과 마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언제나 앞장서온 부모님의 모습을 되새기며 혼자만 잘사는 어른이 되지 않겠다는 다짐을 했다. 사회 진출 후 행정가로 활약해온 그의 경력은 국회의원이 되어 빛을 발했다. 고향이자 소외되기 쉬운 지방 지역구 국회의원으로서 해묵은 농어촌 문제를 줄줄이 해결했고, 초선임에도 두 차례나 국회 의정대상을 받았다.

36년간의 공무원 생활 이후 성공적인 초선 국회의원으로 활동해온 윤준병은 이루고자 하는 지역의 비전과, 스스로 되고자 하는 ‘정치인 상’이 무엇인지를 말이 아니라 본인의 지난 이력을 통해 설득력 있게 설명하고 있다.

◎ 책 속으로

“엄니는 말이다. 우리 준병이가 이다음에 이 곡우 같은 사람이 됐으면 헌다. 꼭 필요할 때 내려서 사람덜을 이롭게 하는 이 곡우처럼. 어려운 사람들 도와주는 그런 큰 사람이 되믄 참말로 좋겄다.”
어머니의 말씀은 그날 내리던 봄비처럼 내 마음에 스며들었다. 입암면 산골 소년에게 꿈이 생긴 날이었다.

[곡우 같은 사람 | 22~23쪽]

나는 아버지의 말이 이해가 안 돼 아버지께 되물었다.
“아부지 일이 아니잖아요.”
“왜 내 일이 아니냐, 우리 마을 일인데.”
아버지는 내 머리를 쓰다듬으며 말씀하셨다.
“준병아. 나만 잘사는 것은 다 소용없는 것이다. 다 같이 잘살아야지. 우리 가족은 물론이고 옆집 아저씨부터 준병이네 친구들까지. 아부지가 그 조금 도와줘서 모두가 다 같이 잘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으냐.”

[해결사 윤선생 | 28쪽]

갑작스러운 나의 말에 장내가 어수선해졌다. 민원인을 앞세워 현장으로 향하자, 문제가 확실히 들어왔다. 역시 백 번 듣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것이 좋았다. 현장을 보니 민원인이 말했던 문제가 한눈에 들어왔다. 현장을 둘러보고 면사무소로 돌아가는 길, 내 손을 뿌리쳤던 어르신께서 내게 다가와 말했다.
“얼굴이나 비출라고 온 줄 알았드만! 일할라고 온 것이었고만?”
“일도 하고 어르신도 뵈러 온 것이지요.”
“거 사람 참!

[찾아가는 정치의 시작 ‘토방청담(土訪請談)’ | 44~45쪽]

드디어 해제가 확정되었다. 20년 묵은 숙원과제를 당선 20개월 만에 해결한 것이다. 무엇이든 ‘최초’는 어렵다. 내장저수지의 국립공원 보호구역 해제는 환경을 지키며 지역발전을 꾀하는 좋은 선례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공을 들여야 운이 온다 | 60쪽]

동우팜투테이블의 고창 산단 유치가 불투명해지자, 일부에서는 당장 대안을 제시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대안의 제시 없는 반대는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냐’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닌 ‘불법에 대한 반대’였다. 나아가 우리 지역 옥토에 공해의 알 박기를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동우팜투테이블과의 입주 분양계약을 공식적으로 무효화 하지 않으면 앞으로 이를 대체할 혹은 더 좋은 조건의 기업을 유치할 수가 없게 된다. 국정감사 기간에는 지역의 유력한 기업인으로부터 전화를 받기도 했다. “국회의원이 지역 업체를 챙겨야 하는 것 아닙니까?”라고 이야기하시길래 “당연히 그래야지요” 하고 답변드렸다. 적법한 인허가를 받고 청정 고창에 부합하는 기업이라면 잘 될 수 있도록 두 팔 걷어 도와드릴 일이라고도 말씀드렸다.

[의로운 닭싸움 끝에 낙이 온다 | 95쪽]

국회의원에 당선이 되어 정치를 처음 시작하면서 ‘나의 첫 번째 법안’을 무엇으로 할지 고민했다. 정치인으로 첫 발걸음을 내딛는 법안으로 그 자체로 상징성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오랜 고심 끝에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제도적 보장’하는 법안을 첫 번째 대표 발의 법안으로 정했다. 우리 정읍·고창 인구의 30%가 종사하는 농어업을 발전시키지 않고서는 균형 발전이 어렵다는 판단에서였다. 농어업 발전을 위해서는 농업의 공익적 가치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첫 번째 법안 | 158~159쪽]

그 당시 여의도에서 만난 한 기자는 말했다. 정치인이 강조하고 싶은 얘기보다는 논란이 될 만한 부분만 크게 강조하는 것이 여의도라고. 아무리 사실관계를 바로잡으려 해도 이미 늦은 것이니 ‘여의도 정치 언어’에 빨리 적응하는 것이 상책이라고.

기자는 내가 바뀌어야 한다고 했지만, 나는 ‘여의도 정치 언어’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나는 ‘해결하는 정치’, ‘책임있는 정치’를 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정치를 시작했다. 진영논리를 위해 프레임에 가두는 ‘말의 정치’는 내가 추구하는 바가 아니었다.

[정치인과 정치꾼 | 196쪽]

3년 전 약속했다.
정치꾼이 아닌 정치인으로서 정읍·고창의 묵은 숙원과제 해결하고, 정부 예산신장률보다 높은 국비예산을 확보하겠노라고. 그리고 3년이 지난 지금 그 약속을 지켰다.

이제 정읍·고창 주민 여러분께 해결을 넘어 변화를 약속드리고자 한다. 지난 시간 동안 정읍·고창에 뿌려놓은 좋은 씨앗을 싹을 틔워 좋은 결실을 만들고자 한다. 이 결실을 위해서는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

[맺음말 | 284~285쪽]

구매가격 : 12,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