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이사차기 4

조익 | 소명출판 | 2009년 06월 30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26,000원

전자책 정가 15,600원

판매가 15,600원

도서소개

여기에 전문성과 대중성을 함께 갖춘 하나의 명저가 있다. 바로 청(淸)나라의 초기 대학자 조익(趙翼)이 저술한 ‘이십이사차기(二十二史箚記)’가 그것이다. 이 책은 높은 학문적 수준과 함께 중국사(先秦時代에서 明代까지)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대중성도 아울러 갖춘 보기 드문 저작이라 할 것이다. 이 책은 그 이름대로 ‘이십이사’라는 각 정사(正史)의 잘?잘못을 검토함과 동시에 재미있고 유익한 역사적 사실을 다양하게 소개하고 있다. 역사학에 접근할 때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료의 정확한 해독이다. 역사 특히 중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역대 학자들이 가장 관심과 정력을 쏟았던 것은, 어떻게 하면 그 많은 사료를 섭렵하고 그것을 정확히 해석해내느냐 하는 일이었다. 이를 위해서는 한 글자 한 글자의 뜻풀이에서부터 글자의 탈루, 오자의 발견과 판본에 따라 나타나는 표현의 차이 등을 정확히 고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작업이다. 이 작업은 전통적인 훈고학(訓?學)이나 고증학(考證學) 등의 학문을 생성시켰다. 고증사학자인 조익이 지은 ‘이십이사차기’는 우선 이런 역사학 연구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에서부터 시작하고 있다. 중국사의 연구 자료로서 가장 기본적인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이 각 왕조의 정사(正史)일 것이다. 중국 왕조의 정사에는 1920년대 가소민(柯??)이 새롭게 수찬(修撰)한 ‘신원사(新元史)’를 포함하여 모두 ‘25사’가 있다. 그러나 대개 중국 역대 정사를 일컬을 때 흔히 ‘24사’라 한다. ‘사기(史記)’를 비롯하여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진서(晉書)’ ‘송서(宋書)’ ‘남제서(南齊書)’ ‘양서(梁書)’ ‘진서(陳書)’ ‘남사(南史)’ ‘위서(魏書)’ ‘북제서(北齊書)’ ‘주서(周書)’ ‘수서(隋書)’ ‘북사(北史)’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구오대사(舊五代史)’ ‘신오대사(新五代史)’ ‘송사(宋史)’ ‘요사(遼史)’ ‘금사(金史)’ ‘원사(元史)’, 그리고 ‘명사(明史)’가 바로 그것이다. 조익의 ‘이십이사차기’는 ‘22사’라 하였지만, 사실은 ‘신당서’와 ‘구당서’, 그리고 ‘신오대사’와 ‘구오대사’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실제 다룬 정사는 24개사이다. 그러니 그 서명을 오히려 ‘이십사사차기’라고 해도 잘못이 없다. ‘이십이사차기’는 조익의 생존 당시까지 전해진 모든 정사를 바탕으로 쓴 중국통사이다. ‘24사’는 청을 제외한 중국 역대왕조의 가장 기본적인 사서로 총 3,243권으로 되어 있다. 중국사를 연구하면서 반드시 갖추어야 할 책이지만, 그 방대한 양의 책을 모두 통독하기란 중국사 전공자들에게 쉽지 않은 일이다. 따라서 ‘24사’에 기록된 역사적 흐름의 대강을 파악하는 데는 이만큼 유익한 책도 없다. 청말의 장지동(張之洞)도 “‘이십이사차기’를 읽는 것으로 정사 통독을 대신할 수 있다”고 하였다. 즉 이 책을 읽는다면 실제 ‘24사’를 거의 섭렵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24사’의 찬자가 저지른 실수나 의도적인 왜곡까지도 교감하고 바로잡았으니, 24사를 읽을 적에 반드시 옆에 두고 참조해야 할 책이 바로 이 ‘이십이사차기’인 것이다. 조익의 ‘이십이사차기’는 왕명성의 ‘십칠사상각(十七史商?)’, 전대흔의 ‘이십이사고이(二十二史考異)’와 함께 청 건륭(乾隆)?가경(嘉慶)시대 고증사학의 3대 명저라고 칭해지고 있다. ‘이십이사차기’는 여러 정사에 보이는 기록들을 비교하여 사실의 진위(眞僞)를 고증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먼저 정사의 작자, 편찬 경과, 책의 성립 연대를 소개하고 사료의 내원과 그 진위, 사료가치 등을 충실하게 설명하였다. 또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깊은 논의와 고찰을 가하고, 여기다 역사를 관통하는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자서에도 나타나 있듯이 “고금의 풍상이 점차 변하고 정사가 자주 바뀜 등에 대해서는 잘 다스려짐과 어지러움, 흥기함과 쇠퇴함의 원인”에 대한 자신의 의사를 개진하고 있는 것이 조익의 책의 특징이다. ‘이십이사차기’에 수록된 578편의 글은 모두 다채로우면서도 수미일관한 하나의 논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것들은 사료의 정확한 읽기를 바탕으로 하면서 역사를 바라보는 방법까지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십이사차기’를 통해서 그 자체만으로도 ‘22사’를 거의 섭렵하고 중국사학사를 통람하는 지식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중국사를 분석하는 시각까지도 배우게 된다. ‘이십이사차기’는 세계 어디에도 아직 제대로 된 번역이 없는 상태이다. 1945년 이전 일본에서 ‘국역한문대성(國譯漢文大成)’ 제7권 `속경자사부(續經子史部)` 제3집에 ‘이십이사차기’에 대한 세천종랑(笹川種郞)과 공전연태랑(公田連太郞)의 역병주(譯幷注)본이 출판되었다. 일본의 것은 번역이라 하나 토와 약간의 주를 단 것에 불과하다. 그 외에는 중국 대륙에서조차 번역본 내지 역주본이 나와 있지 않다. ‘이십이사차기’의 역주로 중국사 연구자들에게 청대 고증학자의 중국 정사에 대한 독해와 이해를 우리글로써 전달함으로써 연구 진작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십이사차기’는 단지 중국사의 전문 연구자만이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유용한 책임에 틀림없다. ‘이십이사차기’는 중국사학사(中國史學史)와 중국통사(中國通史)의 두 가지 특징을 아우르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 간행된 저명한 중국사학사나 중국통사 관련 교양서를 뛰어넘는 수준을 확보하고 있다. ‘이십이사차기’를 통해서 중국사의 흐름과 중국인의 역사인식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자소개

저자:조익 淸 양호(陽湖:江蘇省 武進縣) 사람으로 자는 운송(耘松), 호는 견북(甄北)이다. 관은 광서(廣西) 진안(鎭安) 지부(知府)에 까지 올랐으나 그의 관력보다 시인으로서 역사가로서 이름을 날렸다. 시로서는 원목(袁牧), 장사전(蔣士銓)과 함께 건륭(乾隆) 3대가라 칭해졌다. 사학 방면에는 건가(乾嘉)시대 고증사학의 3대 명저의 하나인 본 ‘이십이사차기’ 외에 ‘해여총고(?餘叢考)’, ‘황조무공기성(皇朝武功紀盛)’ 등이 있다. ‘청사고(淸史稿)’ 권485와 ‘청사열전(淸史列傳)’ 권72에 그의 열전이 있다.

목차소개

역자 서문 권16 219.『구당서』의 편찬 시말 220.『신당서』 221. 당나라의 실록, 국사는 모두 두 차례 산실되었다 222.『구당서』전반부는 실록, 국사의 구본을 모두 사용했다 223.『신당서』본기의 서술방법 224.『신당서』본기에서 안사의 난에 대해 쓴 대목 225.『신당서』에서 각 열전을 개편한 것 권17 226.『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대목 227.『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것 가운데 중요한 대목 228.『신당서』에서『구당서』를 증보한 것 가운데 잡다한 내용 229.『신당서』열전을 만들면서 유독 상세하게 쓴 대목 230.『신당서』에서『구당서』내용을 삭제한 대목 권18 231.『신당서』에서『구당서』문장의 뜻을 고친 대목 하간왕 이효공전 장손순덕전 허경종전 위척전 원재전 최광원전 당검전 왕웅탄전 위징이 태종에게 올린「충신·양신지론」 부혁의 불교를 없애기를 청한 상소 이광필전 노여필전 감로의 변란 232.『신당서』에서 변려체로 된『구당서』문장을 모두 삭제했다 233.『신당서』에서는 한(유)·유(종원)의 문장을 쓰는 것을 좋아했다 234.『신당서』에서는 상소문을 상세하게 수록했다 235.『신당서』와『구당서』가 서로 다른 대목 236.『신당서』와『구당서』는 각각 본기와 열전이 서로 다른 대목이 있다 237.『신당서』와『구당서』가 틀린 대목 노경전 곽자의전 주도와 주차 238.『신당서』와『구당서』판각본에는 각각 빠지거나 틀린 대목이 있다 권19 239. 정관 연간에 올바르게 간언한 사람은 위징만이 아니었다 240. 시정기 241. 천자는 기거주를 보지 않았다 242. 당나라 황제들은 단약을 먹은 사람이 많았다 243. 현종은 오대가 한 집안에 살았다 244. 당나라에는 두 차례 `상원`이라는 연호가 있었다 245. 덕종은 시 짓는 것을 좋아했다 246. 이전 시대 충신과 간신에 대한 포폄 247. 시호에는 좋은 것과 안 좋은 것이 모두 있었다 248. 당나라 때 태자 호칭 추증의 지나침 249. 황제의 칭호로 황후의 시호를 표기했다 250. 황후 애책문의 존칭 251. 합장은 예법을 변통한 것이다 252. 종묘에서 황후의 시호를 울렸다 253. 두 태후를 나란히 칭한 경우 254. 황태후로서 합장하지 않은 경우 255. 이건성과 이원길의 아들은 주살되었다 256. 액정궁에 잡아들이는 경우 257. 당나라의 여화 258. 무후의 잔인함 259. 무후는 간언을 받아들이고 사람을 볼 줄 알았다 260. 미워하는 사람의 이름을 고친 경우 261. 조회에서 하례를 올릴 때 가까이 모시는 신하들이 먼저 예를 향했다 262. 대신에 대한 몸수색 263. 도첩 권20 264. 당나라 때 환관의 폐해 265. 환관이 (지방으로) 사신으로 나가고 군대를 감독함으로써 생긴 폐단 266. 당나라 환관에는 복건과 광동 출신이 많았다 267. 당나라 절도사의 폐해 268. 방진의 군대가 자기 영역을 나서기만 하면 탁지부에서 물자를 공급해 주기를 바랐다 269. 방진의 교만한 병사들 270. 도적이 재상을 살해한 두 사건이 있었다 271. 여섯 등급으로 죄를 정하고 사흘 만에 상복을 벗는 것에 관한 논의 272. 간가, 제맥, 궁시, 오방소사가 백성을 괴롭힌 예 273. 호사스러운 연회 274. 이름난 아버지의 자식 중에 도리에 어긋난 사람이 많았다 275. 이적의 자손 276. 안록산이 체포되어 서울로 보내진 일 277. 수양에서 순절한 사람으로 또한 요은이 있다 278. 당나라 초기 삼례,『한서』『문선』에 관한 학문 279. 당나라 때 고문은 한유와 유종원에서 시작하지 않았다 280. 당나라 전후기에 쌀갑이 오르내린 액수 281. 장안의 땅기운 282. 황소와 이자성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