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은 어디에서 누구에게 어떻게 가르치셨나

도서정보 : 일아 스님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문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방대한 초기경전을
통계로 시각화한 획기적인 경전 연구서!

이 책은 맛지마 · 디가 · 상윳따 · 앙굿따라, 네 니까야를 분석, 관련 사항을 통계 내고 도표로 만든 연구 자료이다. 원과 막대그림표, 사진 등 다양한 시각화 자료를 통해 개별 경전을 꿰뚫어볼 수 있음은 물론, 네 개 니까야를 동시에 비교하여 각 경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네 개의 니까야 각각에 나타난 설법 장소에 관해 자세히 설명했으며 설법 장소로 가장 중요한, 부처님 법을 전파하는 최초의 산실인 기원정사를 따로 다루었다. 그 외의 승원과 각 니까야에 나오는 장소들까지 정밀하게 살폈다. 이를 바탕으로 네 개의 니까야에서 파악된 각각의 통계자료에 따라 지도에 설법 장소를 표기, 이로써 부처님이 열반에 드시기 전까지 얼마나 많은 장소에서 머무시며 전법을 하셨는지 지도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설법 장소로 가장 빈도수가 높은 승원 10개를 조사하여, 부처님 당시 각 승원의 지리적인 배경과 역사적인 배경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게 했다.
그 밖에 초기경전에 등장하는 인물들도 세세히 검토했다. 네 개 니까야 속 ‘중요인물 빈도수 도표’를 작성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존자 6명을 선별, 여기에 가장 중요한 비구니 2명을 추가하여 그들의 면모를 자세히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한국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초기경전 내용을 통계화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이 연구서는 불교 시각자료로 가치가 높으며, 불교 전승 과정을 유추하는 데 한 걸음 다가서게 하는 최고의 안내서이다.


막연한 종교 이야기가 아닌
데이터로 말하는 초기경전 분석 자료!

이 획기적인 초기경전 통계 연구서는 총 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편마다 맛지마 · 디가 · 상윳따 · 앙굿따라, 네 니까야에서 나오는 모든 관련 내용을 도출해 통계를 냈다. 제1편은 배경에 관한 내용이다. 각각의 경전에 나타난 ① 장소, ② 중요인물, ③ 대화상대자, ④ 설법형태 네 가지를 빈도수에 따라 통계표를 작성하였다. 이를 통해 부처님 가르침의 배경을 더욱 뚜렷하게 드러내고 니까야마다 가지고 있는 설법 배경의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각각의 니까야가 가진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낸다면 빠알리 니까야만의 설법 배경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설법 자체의 의도 또한 명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제2편의 특징은 네 개의 니까야 각각에 나타난 설법 장소에 관한 설명이다. 설법 장소로 가장 중요한 기원정사를 자세하게 다루었으며, 그 외의 승원과 각 니까야에 나오는 장소들도 모두 설명하였다. 또한, 경전 자료뿐만 아니라 고고학적으로 검증된 안내판 자료나 그 외 동원 가능한 모든 자료를 통하여 폭넓게 조망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장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는 경전에 언급된 내용에서부터 바르후뜨 탑과 산찌 탑의 각문 자료, 각 주석서에 언급된 자료, 알렉산더 커닝햄의 고고학적 발굴 자료, 법현의 불국기와 현장의 대당서역기 등에 이르기까지 가능한 모든 자료를 기반으로 빠알리 니까야의 특성을 도출하려 하였다.

제3편은 네 개 니까야에서 파악된 각각의 통계 자료에 따라 지도에 설법 장소를 표기하였다. 얼마나 다른 장소에서 부처님이 머무셨는가에 관한 통계이다. 제1편과 2편에서 살펴본 네 개 니까야의 장소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윳따니까야에는 총 77개의 장소가, 맛지마니까야에는 총 46개, 디가니까야에는 총 24개, 앙굿따라니까야에는 총 60개의 장소가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니까야의 장소들은 번호를 매겨서 도표로 만들고 지도에는 이 번호를 넣었다.

끝으로 제4편은 네 개 니까야에서 검토한 ‘중요인물 빈도수 도표’에 의하여 가장 빈도수가 높은 존자들 6명을 선별하였고, 여기에 가장 중요한 비구니 2명을 추가하여 그들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네 개 니까야에 나오는 대화상대자는 특별히 많은 빈도수를 가진 사람 2명을 합하여 모두 6명을 선별하였으며 이들의 개인적인 면모를 살피는 작업 또한 빠뜨리지 않았다.
중요인물은 6명은 사리뿟따 존자, 아난다 존자, 마하목갈라나 존자, 마하깟짜나 존자, 마하깟사빠 존자, 아누룻다 존자이다. 그리고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구니 2명은 마하빠자빠띠 고따미 비구니, 케마 비구니이다.

이 밖에 다양한 사진, 지도, 그림과 산찌 탑 조각, 바르후뜨 탑 조각 등이 활용되었고, 알렉산더 커닝햄의 고고학 발굴 보고서와 그에 따른 그림과 사진들, 인도 고고학 발굴팀에 의해 발굴된 승원 유적지와 안내판 등의 자료에도 도움을 받았다.
이 연구서는 이처럼 배경, 장소, 인물을 종합하고 통계를 냄으로써 불교 최초기의 상황을 현실감 있게 추측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

구매가격 : 33,600 원

왕생요집

도서정보 : 겐신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염리예토 흔구정토(厭離穢土 欣求?土)
더러운 세상을 멀리하고 기꺼이 정토를 찾는다

『왕생요집(往生要集)』은 일본 승려 겐신(942~1017)이 마흔셋 되던 해인 984년(혹은 985년) 저술한 책이다.
저자는 스스로 “지혜가 뛰어나고 정진하는 사람이라면 어려움이 없겠지만, 나처럼 완고하고 둔한 사람이라면 어찌 엄두가 나겠는가”라며 “염불의 법문 한 가지에 의지하여 경론의 요체를 설하는 문장을 모은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저자의 이런 ‘겸손’과 달리 이 책 『왕생요집』은 세상에 나온 후 일본 사회는 물론 당시 송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에 사상사에 엄청난 변화를 불러온다.
일본 불교계는 이 책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호넨(法然, 1133~1212) 스님에 의해 정토종(淨土宗)이 열렸다. 이후 호넨 스님의 제자인 신란(親鸞, 1173~1262)은 정토진종을 창종했고, 정토진종은 현재까지도 영향력은 물론 규모 면에서도 일본 불교 최대 종파로 자리 잡고 있다.
사상은 물론 문학이나 미술에 미친 영향도 막대하다. 2017년 일본 나라국립박물관에서 열렸던 ‘겐신전’에는 『왕생요집』의 영향을 받은 그림과 불상을 모아 전시회를 열었는데 헤이안시대(794년~1185년)와 가마쿠라시대(1185년~1333년)의 지옥도, 아미타내영도 등 일본에 산재한 수많은 국보가 쏟아져 나왔다. 일본 문학의 최고 걸작이라는 11세기 『겐지이야기』 역시 『왕생요집』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정치?경제에 끼친 영향도 대단했다. 심지어 도쿠가와 이에야스(1543~1616)는 자신이 이끄는 군대의 우마지루시(신분 및 무위를 과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한 깃발)에 이 책의 첫 번째 장과 두 번째 장의 대문(大文)인 “염리예토(厭離穢土) 흔구정토(欣求?土)”를 새겨 넣고 다녔다.
일본뿐 아니라 중국에 미친 영향도 크다. 찬술한 이듬해, 이 책이 송나라 천태산 국청사에 수장된 것만 봐도 이 책의 영향력을 짐작하고도 남는다.

『왕생요집』은 어떤 책인가?

이 책은 순수한 창작이라기보다는 불교 경전과 중국, 한국, 일본의 논서 등에서 정토와 관련된 문헌을 취합한 것이다. 여기에 저자 스스로 묻고 답하며 염불 신앙의 당위성은 물론 수행의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 인용한 불경이나 논서는 모두 112부 617문(文)이다. 경전이 제일 많이 인용되어 있고 중국의 도작(道綽)·선도(善導)·회감(懷感) 스님의 주석서, 그리고 원효, 의적, 경흥 스님 등 신라 출신 스님들의 논서도 인용되어 있다.
책은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천인 등 육도(六道)를 설명한 ① 염리예토(厭離穢土), 극락정토의 십락(十樂)을 설명한 ② 흔구정토(欣求淨土), 극락왕생의 증거를 설명한 ③ 극락증거(極樂證據), 정토왕생의 길을 밝힌 ④ 정수염불(正修念佛), 염불수행의 방법을 설명한 ⑤ 조념방법(助念方法), 임종시 염불을 설명한 ⑥ 별시염불(別時念佛), 염불의 공덕을 설명한 ⑦ 염불이익(念佛利益), 염불의 선업을 설명한 ⑧ 염불증거(念佛證據), 염불의 포용성을 설명한 ⑨ 왕생제업(往生諸業), 의심나는 부분을 문답 형식으로 다시 설명한 ⑩ 문답요간(問答料簡)의 열 개의 대문(大文)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중 ①∼③은 수행의 방편을 밝힌 것이고, ④∼⑨는 왕생의 업인(業因)을 설명한 부분으로 이 책의 중심을 이룬다. ⑩은 의심을 풀어주기 위해 대개 문답으로 진행한다.
염불 수행이 흥했던 대부분의 시기가 그랬지만 당시 일본은 사회적으로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부처님이 경전에서 말한 말세도 곧 가까워 왔다고 믿었다. 저자 겐신은 이런 상황에서는 극락에 왕생하기 위해 누구나 염불을 해야 한다고 이 책에서 강조했다.

국내 최초 완역

『왕생요집』은 동아시아 정토신앙의 원점(原點)이다. 일본 정토교의 기초가 이 책으로 완성되었다는 평가가 많다. 하지만 그 지대한 영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한 번도 완역된 적이 없다. 초기불교나 선(禪)의 입장에서 보자면 정토 신앙 그리고 염불 수행은 하열한 것으로 취급되는 일이 종종 있다. 하지만 사회가 혼란스럽고 불교가 현학적으로 흐를 때마다 어김없이 정토신앙이 전면에 등장했다. 부처님께 지극한 마음으로 귀의하여 한 마음으로 염불하는 사람은 누구든 극락왕생할 수 있다는 어려운 시절의 범부들에게 그리고 불교가 현학적으로만 흘러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말이라고 여길 때, 세상을 사는 방편 그리고 불교를 지키는 기둥이었다.
특히나 이 책 『왕생요집』은 현대에까지 사상사 그리고 미술사 등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역작이라는 점에서 반드시 번역되었어야 하고 또 읽혀져야 할 명저이다.

구매가격 : 17,500 원

정선 디가 니까야

도서정보 : 이중표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불교 최초기의 생생한 원음이 담긴
『니까야』의 정수를 담은 결정판!

불교는 방대한 경전 문헌을 갖추고 있고, 현대어 번역서 또한 셀 수 없을 만큼 많다. 하지만 정작 누구나 보고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 번역서는 드물다. 내용이 길기도 하지만 고어(古語)의 벽에 가로막혀 그 진의를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평생을 불교 연구와 경전 번역에 바쳐온 이중표 명예교수는 이러한 고민 속에서 30여 년 전부터 핵심 경전만을 정선(精選)하여 체계적으로 불교를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집필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경전의 선정 기준과 방대한 양이 어려운 문제였다. 고심 끝에 불경의 범위를 초기경전으로 한정했다. 불교 최초기의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으면서도, 대승불교와 상좌부불교 모두를 아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니까야』를 중심으로 번역하되, 한역 초기경전인 『아함경(阿含經)』의 내용을 보충하여 집필을 시작했고, 그 첫 책이 『정선(精選) 디가 니까야』이다. 저자는 『니까야』의 방대한 내용 가운데 중첩 · 반복되는 부분은 덜어내고, 『니까야』 속 중요한 경전만을 엄선하여 현대인들이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세련된 현대어로 옮기는 데 주력했다. 자세한 주석과 해설은 불교의 핵심과 붓다의 진의를 담아내려 한 저자의 고심이 담겨 있다.
불교의 원천이라고도 할 수 있는 『니까야』 초기경전을 통해 생생한 불교를 느끼고 싶은 이들에게는 더없는 책이다.

불교를 공부하고 싶은 이들이 반드시 읽어야 할
「대인연경」 · 「대반열반경」 · 「대념처경」

『디가 니까야』는 내용이 긴 34개의 경전을 엮은 경전 모음집이다. 붓다가 제자에게 가르침을 전하는 내용뿐만 아니라 외도(外道)와의 토론 내용도 자세히 수록되어 있어, 당시 인도 사상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헌이기도 하다. 또한 모순 대립하는 관념적 사유의 틀에서 벗어나 체험적으로 진실에 접근하는 중도(中道)의 입장을 드러내는 특징을 보여준다.
『정선(精選) 디가 니까야』는 이 34개의 경 가운데 12개의 경을 엄선했다. 이 중에서도 저자가 독자들에게 꼭 읽기를 바라는 세 개의 경이 바로 「대인연경(大因緣經)」,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대념처경(大念處經)」이다.

「대인연경」은 붓다가 깨달은 연기(緣起)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중생의 생사와 윤회는 중생의 자아(自我)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 자아라는 것은 실재하는 존재가 아니라 언어적으로, 개념적으로 주어진 명칭에 지나지 않다. 그런데 중생은 자아를 다양하게 개념화하여 실재시(實在視)한다. 중생이 자아를 개념화하여 실재시하기 때문에 생기는 괴로움이 생사윤회의 괴로움이다. 이런 사실을 명백하게 앎으로써 생사윤회의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이 경의 요지이다.

「대반열반경」은 열반에 즈음한 붓다의 여정(旅程)과 최후의 모습을 담은 경전이다. 대승경전인 『열반경(涅槃經)』은 이 경을 대승적으로 각색한 것이다. 이 경에서 그려지는 붓다는 초능력을 지닌 신적 존재가 아니라 늙은 몸을 이끌고 육신의 고통을 참으며 중생에게 다가가는 모습이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인간 붓다의 모습에서 그 위대함이 드러난다.
붓다는 이 경에서 진리를 깨달았다는 사실이 다른 사람을 지배하는 권력이 될 수 없으며, 되어서도 안 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이야기한다. 붓다는 열반에 이르는 길을 깨달아 알려주는 안내자일 뿐이며, 불교는 지도자를 추종하는 종교가 아니라, 먼저 깨달은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각자 스스로 그 가르침을 실천하여 열반을 성취하는 종교라는 것을 이 경은 잘 보여준다.

「대념처경」은 불교 수행의 핵심인 4념처(四念處) 수행을 어떻게 하는지 가장 상세하게 설명한다. 4념처 수행은 붓다가 열반을 성취하는 유일한 수행법이라고 강조했듯이, 불교 수행의 시작과 끝이다. 초기불교의 수행법을 망라하여 37조도품(助道品)이라고 하는데, 37조도품은 4념처(四念處), 4정근(四正勤), 4신족(四神足). 5근(五根), 5력(五力), 7각지(七覺支), 8정도(八正道)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겉으로만 보면 4념처는 불교 수행의 출발점이고, 8정도는 종착점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을 통해서 보면, 4념처는 37조도품을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붓다가 가르친 열반을 성취하는 유일한 수행법은 4념처이다. 불교를 수행하여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는 사람들은 이 경에서 그 길을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정선 디가 니까야』 속에는 불교의 핵심인 연기(緣起), 수행 그리고 붓다의 삶을 이해할 수 있는 생생한 내용이 담겨 있다.

구매가격 : 19,600 원

산스크리트 원전 완역 팔천송반야경

도서정보 : 전순환 | 2019-09-0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공(空)을 알려면 반야바라밀다를 알아야 한다!”
산스크리트 언어학자가 풀이한
‘반야바라밀다’의 진의

반야부경전의 첫 번째 경전이자 대승불교 최초기 경전 중 하나인 『팔천송반야경』은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인 보살과 공(空)사상의 개념이 담겨 있다. 사상사적인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2,000여 년 전에 성립한 문헌이라는 점에서 언어학의 보고(寶庫)이기도 하다.

독일에서 언어학으로 산스크리트를 전공한 전순환 박사는 이 경전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10년이 넘는 기간에 걸쳐 정밀한 번역과 연구를 해왔다. 이 과정에서 언어학자답게 『팔천송반야경』의 산스크리트 원전 텍스트 전부를 음절 단위로 쪼개어 어원을 분석하는 방대한 작업을 마쳤다. 여기에는 미트라(Mitra)본, 오기하라(荻原)본, 바이댜(Vaidya)본 등, 현존하는 『팔천송반야경』의 산스크리트 사본 3종을 모두를 비교 대조한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어원 분석만으로 어휘 사전 한 권이 나올 분량이다. 또한 에드워드 콘즈(Edward Conze)의 영어 번역(1978)과 가지야마 유이치(梶山雄一)의 일본어 번역(1974)도 모두 검토한 후 오류를 찾아내어 수정 보완했다. 뿐만 아니라 1999년 간다라 지역(현 파키스탄 북서부에 위치한 바자우르)의 옛 불교사원 터에서 새롭게 발굴된 『팔천송반야경』 사본 일부분도 연구 번역하여 추가시켰다. 이처럼 지난하고 방대한 연구 과정을 거쳐 탄생한 책이 『산스크리트 원전 완역 팔천송반야경』이다.
대승불교가 발아하는 시기와 맞물려 탄생한 『팔천송반야경』에는 이타적 인간상의 표본인 보살의 의의, 그리고 공성(空性)의 담론이 펼쳐진다. 하지만 전순환 박사는 그동안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점을 꼬집는다. 바로 ‘반야바라밀다’의 진정한 의미이다. 『팔천송반야경』에서 수없이 반복되는 ‘반야바라밀다’라는 말은 보살과 공, 그 밖의 어떤 단어보다 많이 언급된다. 즉 『팔천송반야경』의 핵심 내용은 ‘반야바라밀다’에 있다는 뜻이다.

전순환 박사는 반야에 해당하는 산스크리트어 쁘라즈냐(Prajn?)를 설명할 때 이렇게 말한다. “팔천송반야경에서 반야를 말할 때는 앞에 단어가 더 붙습니다. 바로 야타부탐(yath?bh?tam)입니다. 쁘라즈냐와 결합해서 해석하면 ‘사실 그대로 바라보는 것, 아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이 반야의 뜻이고 다른 말로는 진여지(眞如智)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라밀다는 흔히 완성(perfection)이라고 번역하지만, 제가 생각하는 개념은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경지, 상태’를 가리킵니다. 경전에서는 ‘극도(極度)’라고 표현합니다. 반야와 극도를 서로 맞물리면 극도의 진여지, 즉 ‘범접할 수 없는 경지에 오른 상태에서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는 것’이 되고, 이것이 반야바라밀다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공사상도, 보살의 개념도 이 반야바라밀다를 기반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는 같은 반야부경전에 속하는 『금강경』, 『반야심경』을 이해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이 경전들의 출발점이 『팔천송반야경』이기 때문에 반야바라밀다와 공의 진의를 알려면 이 책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를 통해 대승불교 이해에 깊이를 더하고, ‘범접할 수 없는 극도의 경지’로 한 걸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금강경』과 『반야심경』의 뿌리,
『팔천송반야경』의 역사적 의의와 가치

『팔천송반야경』은 기원 전후 100년 사이에 성립된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어떤 사본이 원형에 가깝고, 그 성립 시기가 정확히 언제인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태동하던 때와 같은 시대에 성립되었고, 최초의 반야부경전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산스크리트어로는 ‘팔천 개의 게송으로 이루어진 반야경(A??a-s?hasrik?-Prajn?-p?ramit?-s?tra)’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초기 대승경전인 만큼 이 경전을 통해 반야(般若)사상이 움트는 모습과 그 속에 잠재된 공사상을 엿볼 수 있다. 반야부경전 연구의 권위자인 가지야마 유이치와 에드워드 콘즈는 반야경의 발전 단계를 4기로 구분한 후 『팔천송반야경』을 1기에 자리매김했고, 모든 반야부경전의 원형으로 보았다. 후대 학자들도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받아들여 반야부경전을 연구하는 기본 문헌으로 『팔천송반야경』을 매우 중시하고 있다.

당시 이 경전이 쓰였을 시기의 문자는 기원전 500년 이전부터 쓰였다고 전해지는 브라흐미(Br?hm?)이고, 언어는 간다리어를 포함한 중세 인도어인 프라크리트의 여러 방언들 가운데 하나였을 것으로 추론하고 있다. 『팔천송반야경』이 반야부경전 뿐만 아니라 후대의 많은 대승경전 및 논서에 영향을 줬다는 점에서, 불교학은 물론 언어학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가치가 높은 문헌임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전에서 붓다의 제자들은 반야바라밀다가 무엇이고, 보살은 무엇인지, 그리고 오온, 공, 자성 등에 관한 질문을 쏟아낸다. 여기서 논의된 담론들이 훗날 대승불교의 핵심 개념이 된다. 공사상을 가장 잘 응축하여 표현했다는 『반야심경』 역시 이 『팔천송반야경』의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내용이 너무 짧아 반야바라밀다를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보다 긴 『금강경』이 있지만, 이 또한 반야바라밀다와 공을 설명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다.

하지만 『팔천송반야경』에서는 반야바라밀다, 보살, 공, 오온, 자성, 고통, 분별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풍부한 예시로 나타내고 있다. 『반야심경』과 『금강경』이 함축된 시집이라면, 『팔천송반야경』은 장대한 대하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중요성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는 『팔천송반야경』을 누락 없이 완역한 『산스크리트 원전 완역 팔천송반야경』은 세계 최초의 완역이라는 것, 그리고 한국불교사의 문헌학적인 측면에서 한 획을 그은 사료임이 틀림없다.

구매가격 : 24,500 원

로마서의 이해와 적용

도서정보 : 최영태 | 2019-08-30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구매가격 : 5,000 원

달라이 라마의 입보리행론 강의

도서정보 : 달라이 라마 | 2019-08-2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선한 마음을 단련시키는 완벽한 실천 수행법 《입보리행론》, 전 세계인이 감동한 달라이 라마의 《입보리행론》 핵심 강의를 담았다.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삶의 방식이며, 지혜와 내면의 평화 그리고 행복의 원천이다. 전 세계인의 정신적 스승, 달라이 라마의 불교관이다. 항상 인류의 평화와 행복을 기원하며, 이타 정신을 강조하는 그는 타인을 위할 때 더 큰 행복이 찾아온다고 말한다. 불교는 우리 안의 자애와 연민을 일깨워 살아 있는 모든 존재를 보호하라고 가르치는 종교이다. 달라이 라마는 이러한 가르침을 철저히 실천하며 평화주의자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불교에서는 달라이 라마의 이 같은 삶을 ‘보살의 삶’이라고 말한다. 보살이란, 용기와 신념을 갖고 모든 중생의 행복을 위해 깨달음을 얻으려 노력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즉, 불교가 제시하는 완전한 인격체이며, 우리 모두가 이 생에서 도달해야 할 삶의 목표이다.

이러한 보살의 삶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되는 문헌이 바로 《입보리행론(入菩提行論)》이다. 《입보리행론》은 8세기 인도 승려 샨띠데바의 저술로, 보살 수행의 입문서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논서이다. 이 속에는 보살의 마음, 즉 우리 안의 선한 마음을 내면에서 끌어내는 방법과 그 마음을 물러남 없이 견고하게 지키고 실천하는 방법이 담겨 있다.

구매가격 : 10,500 원

대방광불화엄경 강설 18 명법품

도서정보 : 무비 스님 | 2019-08-2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최초 최고 최대라는 세 가지 수식어를 동시에 갖고 있는 경전 『화엄경』 『대방광불화엄경』(약칭 『화엄경』)은 불교의 수많은 경전(經典)가운데 부처님께서 최초로 설한 경전으로 알려져 있다. 『화엄경』 강설본 출판의 요구는 오래되었지만 『화엄경』을 강설할 만한 실력 그리고 이걸 책으로 엮기 위해 원고를 쓸 막대한 노력과 시간을 투자할 ‘한 사람’이 그동안 나타나지 않았었다. 사실 『화엄경』 강설은 중국불교에서도 당나라 시대 이후 청량 징관 이통현 장자 등에 의해 오직 3~4차례만 시도되었던 대역사이고 근대 이후에는 전 세계를 통틀어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을 만큼 어려운 작업이다. 만약 현재 한국불교계에서 이 작업을 할 수 있을 만한 사람을 꼽으라면 단연 무비 스님이었다. 탄허 스님의 강맥을 이은 무비 스님은 우리나라에서는 첫 손가락으로 꼽히는 현존하는 대강백이면서 경전을 이해하기 쉽게 풀 수 있는 대중성까지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동안 여러 가지 이유로 진척이 늦었던 『화엄경』 강설은 몇 년 전부터 스님과 재가불자를 대상으로 『화엄경』 법회가 몇 년째 계속되면서 서서히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 2013년부터 80권 완간을 목표로 준비했던 화엄경 강설은 2014년 4월부터 매년 8~10권씩 모두 10년에 걸쳐 완성된다.

구매가격 : 10,000 원

2,000년 만에 성서가 잠에서 깨어나다

도서정보 : 조준원 | 2019-08-23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구매가격 : 13,200 원

천도교 역사와 교리

도서정보 : 이돈화 | 2019-08-19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주는 진화하는 것이다. 진화에 진화를 거듭한다. 진화의 결과는 마침내 지금의 최후 현상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진화 현상을 종교의 과정에 따라 개론하면 이를 다신(多神)시대, 일신(一神)시대, 통일시대의 세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다신시대라고 하는 것은 태고적 백성이 물, 불, 나무, 돌을 신으로 숭배한 시대이다.
<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4,000 원

천도교 역사와 교리

도서정보 : 이돈화 | 2019-08-19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우주는 진화하는 것이다. 진화에 진화를 거듭한다. 진화의 결과는 마침내 지금의 최후 현상일 것이다.”
그런데 이런 진화 현상을 종교의 과정에 따라 개론하면 이를 다신(多神)시대, 일신(一神)시대, 통일시대의 세 가지 시기로 나눌 수 있다
다신시대라고 하는 것은 태고적 백성이 물, 불, 나무, 돌을 신으로 숭배한 시대이다.
<본문 중에서>

구매가격 : 4,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