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에게 들려주는 커피 이야기 1
도서정보 : 이태완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전자책은 커피 시음권 쿠폰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모험이 없다면 기적도 일어나지 않아’
우린 한때 두려움과 낯섦에 서로 모른 척할 수도 있었지만 새벽에 내리는 작은 이슬만큼의 용기만으로 친구가 되었지.
어쩌면 우리의 삶 속에서 진정 필요한 건 큰 용기가 아닌 그렇게 작은 용기일지도 몰라.
우린 대부분 그 작은 용기를 내지 못해 소중한 것들을 떠나보내니까!
- 사막 여우와의 대화 중에서
구매가격 : 10,800 원
넌 비행기 타고 왔잖아!
도서정보 : 강태호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폐가 같은 곳에서 살고 있는
필리핀 친구가 자신의 집을 소개하며 나한테 말했다.
“이게 우리 집이야. 네 돈이면 이 집 열 채는 살 수 있어.”
허름한 집 앞에서 대가족을 소개해 주는
필리핀 친구의 모습에서 나는 내 스스로에게
그리고 여러분들에게 묻고 싶다.
“우리가 이 집 열 채를 구매하면
이들보다 열 배는 행복해질까?”
구매가격 : 7,500 원
반점
도서정보 : 채만식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깊으련 하다가 채 못 깊고 새는 게 첫여름의 가냘픈 새벽이다.
밤은 대전역(大田驛) 그 근처서부터 벌써 동이 트더니, 호남선으로 선로가 갈려들어, 촌 정거장을 세넷 지나 K역을 거진 바라볼 무렵에는 연변의 농가에서 마침 연기가 겨루듯 솟아오르고, 두어 장 구름이 잠자던 동녘 수평선 위로 불그레 햇살이 퍼지기 시작한다.
차는 유축 없이 그대로 세차게 달리고……
경희는 차창 앞으로 바투 다가앉아 눈에 들어오는 대로 바깥 풍경을 바라보기에 한동안 무심하다.
끝없이 퍼져나간 넓은 들이 창밖에서 커다랗게 회전을 한다. 들바닥에는 오늘도 날은 좋으려는지 엷은 안개가 조용히 잦아졌다.
잘 갈아서 잘 태운 마른갈이 논이 자꾸자꾸 잇대어 있는 사이사이로, 바다 가운데 작은 섬 같은 못자리판이 물을 그득 싣고, 모는 이쁘게 푸르다.
논도 못자리판도 모내기를 앞에 두고서 마침 서로 대기를 하고 있는 체세다.
조그마한 야산(野山) 산발을 타고 모퉁이를 돌아 나서면, 얕은 언덕을 의지 삼고 다섯 채 열 채 농가가 들어앉은 촌락이 으레껀 기다리고 있다. 울타리도 앞뒤 언덕도 모두 푸르다. 그중에 보리밭만 보리가 익어서 누렇게 고스러졌다.
언덕과 촌락이 다하면 다시 들판이 넓고, 들판을 한동안 잊고 달리느라면 어느새 또 비슷 같은 언덕과 촌락이 나오고……
평범하다 할지언정 별반 탐탁스럽게 아름다운 경치는 아니다. 그러나 그만해도 벌써 육칠 년 전, 그때까지는 일 년 두고도 몇 차례씩 고향을 오고가고 하면서 자주자주 대하던 연변의 풍경이요, 그러한 만큼 어쩌면 모두가 낯에 익은 듯, 또 어쩌면 생소한 듯한 것이 모처럼 반가와서 좋고 겸하여 비록 교외에서 거처는 했다지만 그와는 정취가 달라, 아낌없이 개방적인 첫여름 전야(田野)의 아침이 신선해서 또한 좋았다.
차안의 자리는 이제는 차라리 적적할 만큼 성글어, 경희가 앉았는 좌석에도 아까 어디께선가 타던 촌 영감이 마주 편안히 혼자 앉았을 뿐이다.
밤새도록 눈도 제대로 붙이지 못한 경희는 비로소 좌석이며 주위가 단출하고 한 김에 문득 잠을 청해보느라고, 고개를 반듯이 뒤로 기대고 조용히 눈을 내려감는다. 그러나……
구매가격 : 500 원
케이트 쇼팽의 각성외 단편들.The Awakening and Selected Short Stories, by Kate Chopin
도서정보 : Kate Chopin | 2020-12-18 | PDF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소설 > 영미소설 > 영미소설일반
케이트 쇼팽의 각성외 단편들.The Awakening and Selected Short Stories, by Kate Chopin
케이트쇼팽의 이책의 단편들은 ;
각성,THE AWAKENING
DESIREE'S BABY
A RESPECTABLE WOMAN
THE KISS
A PAIR OF SILK STOCKINGS
THE LOCKET
A REFLECTION
미국여성 단편 작가. 미국의 남부의 루이지아나의 여성 단편작가.
THE AWAKENING
AND SELECTED SHORT
STORIES
by Kate Chopin
With an Introduction by Marilynne
Robinson
Kate Chopin born Katherine O'Flaherty; February 8, 1850 ? August 22, 1904) was an American author of short stories and novels based in Louisiana. She is considered by scholars to have been a forerunner of American 20th-century feminist authors of Southern or Catholic background.
구매가격 : 16,000 원
명예의 거리
도서정보 : 이한옥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지구가 사라져야 없어질 아픔들
그들은 인간의 생명을 얼마나 하찮게 여겼는지를 무지한 욕망으로
보였다. 생명의 양육을 자식농사라 했다. 농사를 지었으니 값을 매
겨 팔 수도 있다는 말 아닌가. 그래서 어린 씨종자까지 팔아서 기
근을 메웠단 말인가? - 본문 중에서
버려진 아이들과 사랑으로부터 버림받은 사람들에게 무관심했던
마음이 조금이라도 흔들렸다면, 자신의 생명과 삶이 무수한 은인
들의 헌신에 의해 빛나고 있음을 기억한다면, 누군가 한 사람이라
도 자신을 사랑으로 품어주고 있음에 감사한다면, 그것으로 이 책
을 쓴 보람이겠다. - 작가의 말 중에서
함께한다는 것은
구속이 아닌 생명의 성숙이고
누구와의 단절은
해방이 아닌 죽음의 표류다.
사랑으로부터 버림받은 사람들의 아픔과
은밀하게 축적되어 있을 상실의 슬픔들,
무심히 지나쳤던 이웃들의 영혼 속 이야
기다. 시간의 잎새에 담긴 나의 얼룩일 수
도 있다. 연작으로 엮은 세 편의 이야기를
통해 저자는 버림받은 사람들의 간절한
염원을 전한다.
지금 당신 곁에 있어요.
당신의 초대를
기다리고 있어요.
구매가격 : 9,000 원
황제를 위하여 2권
도서정보 : 이문열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황제는 진정 제왕인가, 한낱 돈키호테인가!
아아, 제왕인 내가 천민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천민인 내가 제왕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이문열의 가장 중요한, 그리고 가장 좋은 소설이다.”
?김현(문학평론가)
이문열의『황제를 위하여』는 1982년 1쇄 발행을 시작으로 거의 40여 년 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대표 장편소설이다. 출간 초창기에만도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그 후 출판사가 두어 번 바뀌면서도 40여 쇄 이상 발행해왔다.
이번에 알에이치코리아에서 표지를 새롭게 바꾸고, 내용 중 일부를 손봐 개정 신판으로 출간하였다. 이문열은 40여 년 전『황제를 위하여』를 집필했던 당시를 회상하며, “그때 참으로 고단하고 막막하던 서생[文靑]이 하나 있었군.”이라며 감회를 밝혔다.
문학평론가 김현은 『황제를 위하여』가 이문열의 가장 중요한, 그리고 가장 좋은 소설이라며, 전통적 문화에 대한 회귀 욕망과 거부 의지 사이의 섬세하지만 치열한 싸움의 무의식적 결과라고 평했다.
황제는 진정 제왕인가, 한낱 돈키호테인가!
우리의 스산한 역사를 재미있게 빗대어 엮다
『황제를 위하여』는 <정감록>에 예견된 “이씨가 망하고 정씨가 흥할 것이다”라는 표현을 신앙처럼 믿으며, 자신을 황제로 여기며 산 한 인물의 이야기이다. 실제로 황제는 남조선이라는 왕국을 계룡산 기슭에 세운다. 그는 조선시대 을미사변이 일어난 1895년에 태어나 1972년에 생을 마감했다. 경술국치, 중국의 신해혁명, 청일전쟁, 일제 강점기, 삼일운동, 한국전쟁의 격전지 등 역사적 순간에 황제가 등장하고 황제로서 행동한다. 그가 황제인지 알아보는 이는 없었지만 그 자신은 누가 뭐라 해도 황제였고, 또 그런 황제를 옆에서 충심으로 보필하는 신하들로 마숙아, 우발산, 방량, 신기죽, 두충, 변약유가 있었다. 남조선 창건주인 황제의 일생은 <백제실록>으로 기록되어 보관되었고, 이를 취재차 나선 한 잡지 기자의 눈에 발견되면서 <백제실록>의 이야기를 연희 형식으로 다시 풀어낸다. 책 속 에피소드로 황제가 난생처음으로 기차를 봤을 때의 그의 반응, 주막에서 돈을 털릴 때의 황제의 유장함, 그리고 일본 순사를 만났던 바카야로 사건 등 황당무계하지만 웃어넘길 수만은 없는 우리나라의 스산한 역사적 사건들을 이문열 특유의 시각과 문체로 풀어냈다.
이문열은 이 소설을 낄낄거리며 썼다고 한다. “맑시즘인지 말오줌인지 내 알 바 아니지만” “지금 들리는 저 음(音)은 자지(재즈)라던가”라며 의뭉스럽게 말하는 등『황제를 위하여』는 드라마로 만들어질 만큼 희극적인 즐거움이 담겨있다.
허상 위에 세워진 이상(理想)의 나라에서 황제는 어느 날 중얼거리면서 말한다. “아아, 제왕인 내가 천민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천민인 내가 제왕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문학평론가 김현의 평문에 따르면,『황제를 위하여』는 제왕의 도와 장자의 무위를 이상으로 제시하는 척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비판하고 있는 모순의 소설이며, 그것은 이문열이 지금까지 쓴 것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로, 한국소설이 오래 기억할 만한 소설이다.
『황제를 위하여』의 집필 동기 2가지를 알아야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문열은 당시 초판 서문을 통해 『황제를 위하여』를 집필하게 된 동기 두 가지를 소개한 바 있다. 그 하나는 금세기의 한국 역사가 보여주는 의식 과잉 내지 이념에 대한 과민 반응을 역설적으로나마 지워보려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나날이 희미해지고 멀어져가는 동양적인 것에 대한 향수를 일깨우는 것이었다.
그는 “가만히 돌이켜보면 멀개는 개화파와 수구파의 투쟁에서, 가깝게는 민주?공산의 대립에 이르기까지 근세사에 있어서 가장 격렬하고 비극적인 사건들은 모두 이념의 부재에서가 아니라 과잉에서 왔고, 옛것 또는 동양적인 것에 대한 집착보다는 새것 또는 서구적인 것에 대한 지나친 민감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그 모든 것들 ? 과학과 합리주의, 갖가지 종교적 이념, 그리고 금세기를 피로 얼룩지게 한 몇몇 정치 사상 등등 ? 이제는 거의 아무도 그 유용성이나 정당함을 의심하려 들지 않는 것까지도 순전히 동양적인 논리로 지워보려 애썼다”라고 말한다.
이문열은 덧붙여 말한다. “오늘날의 젊은 세대는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는 읽으면서도 사서삼경은 낡았다고 읽지 않고, 보들레르에게는 감탄하면서도 이하(李賀)를 아는 이 드물다. 니체에게는 심취하면서도 장자를 이해하려 들지는 않고, 로버트 오웬은 알아도 허자(許子)는 낯설어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우리가 세워야 할 문화의 유형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동양적인 것과 새롭고 활기찬 서구적인 것의 조화에 있지, 어느 한편에 대한 일방적인 배척과 다른 편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이나 몰입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문화적인 사대주의의 부활이라는 비난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나는 지나치리만치 자주 중국의 고전들을 인용하였다.”
『황제를 위하여』는 중국 고전들의 인용이 다수 담겼다. 국어사전을 옆에 두고서 재미있게 읽었다, 라는 독자 평이 있을 만큼 생경한 단어와 한자가 다수 있지만, 그 속에 담겨진 이문열의 해학과 비판적 시각을 읽어내다 보면 40여 년간 이 책이 독자의 손을 떠나지 않고 사랑받아온 그 진가를 알 수 있게 한다.
구매가격 : 11,200 원
황제를 위하여 1권
도서정보 : 이문열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황제는 진정 제왕인가, 한낱 돈키호테인가!
아아, 제왕인 내가 천민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천민인 내가 제왕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이문열의 가장 중요한, 그리고 가장 좋은 소설이다.”
?김현(문학평론가)
이문열의『황제를 위하여』는 1982년 1쇄 발행을 시작으로 거의 40여 년 동안 독자들의 사랑을 받아온 대표 장편소설이다. 출간 초창기에만도 100만 부 이상 판매되었고, 그 후 출판사가 두어 번 바뀌면서도 40여 쇄 이상 발행해왔다.
이번에 알에이치코리아에서 표지를 새롭게 바꾸고, 내용 중 일부를 손봐 개정 신판으로 출간하였다. 이문열은 40여 년 전『황제를 위하여』를 집필했던 당시를 회상하며, “그때 참으로 고단하고 막막하던 서생[文靑]이 하나 있었군.”이라며 감회를 밝혔다.
문학평론가 김현은 『황제를 위하여』가 이문열의 가장 중요한, 그리고 가장 좋은 소설이라며, 전통적 문화에 대한 회귀 욕망과 거부 의지 사이의 섬세하지만 치열한 싸움의 무의식적 결과라고 평했다.
황제는 진정 제왕인가, 한낱 돈키호테인가!
우리의 스산한 역사를 재미있게 빗대어 엮다
『황제를 위하여』는 <정감록>에 예견된 “이씨가 망하고 정씨가 흥할 것이다”라는 표현을 신앙처럼 믿으며, 자신을 황제로 여기며 산 한 인물의 이야기이다. 실제로 황제는 남조선이라는 왕국을 계룡산 기슭에 세운다. 그는 조선시대 을미사변이 일어난 1895년에 태어나 1972년에 생을 마감했다. 경술국치, 중국의 신해혁명, 청일전쟁, 일제 강점기, 삼일운동, 한국전쟁의 격전지 등 역사적 순간에 황제가 등장하고 황제로서 행동한다. 그가 황제인지 알아보는 이는 없었지만 그 자신은 누가 뭐라 해도 황제였고, 또 그런 황제를 옆에서 충심으로 보필하는 신하들로 마숙아, 우발산, 방량, 신기죽, 두충, 변약유가 있었다. 남조선 창건주인 황제의 일생은 <백제실록>으로 기록되어 보관되었고, 이를 취재차 나선 한 잡지 기자의 눈에 발견되면서 <백제실록>의 이야기를 연희 형식으로 다시 풀어낸다. 책 속 에피소드로 황제가 난생처음으로 기차를 봤을 때의 그의 반응, 주막에서 돈을 털릴 때의 황제의 유장함, 그리고 일본 순사를 만났던 바카야로 사건 등 황당무계하지만 웃어넘길 수만은 없는 우리나라의 스산한 역사적 사건들을 이문열 특유의 시각과 문체로 풀어냈다.
이문열은 이 소설을 낄낄거리며 썼다고 한다. “맑시즘인지 말오줌인지 내 알 바 아니지만” “지금 들리는 저 음(音)은 자지(재즈)라던가”라며 의뭉스럽게 말하는 등『황제를 위하여』는 드라마로 만들어질 만큼 희극적인 즐거움이 담겨있다.
허상 위에 세워진 이상(理想)의 나라에서 황제는 어느 날 중얼거리면서 말한다. “아아, 제왕인 내가 천민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천민인 내가 제왕의 꿈을 꾸고 있는 것이냐?” 문학평론가 김현의 평문에 따르면,『황제를 위하여』는 제왕의 도와 장자의 무위를 이상으로 제시하는 척하면서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비판하고 있는 모순의 소설이며, 그것은 이문열이 지금까지 쓴 것 중에서 가장 뛰어난 소설로, 한국소설이 오래 기억할 만한 소설이다.
『황제를 위하여』의 집필 동기 2가지를 알아야
이 책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이문열은 당시 초판 서문을 통해 『황제를 위하여』를 집필하게 된 동기 두 가지를 소개한 바 있다. 그 하나는 금세기의 한국 역사가 보여주는 의식 과잉 내지 이념에 대한 과민 반응을 역설적으로나마 지워보려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나날이 희미해지고 멀어져가는 동양적인 것에 대한 향수를 일깨우는 것이었다.
그는 “가만히 돌이켜보면 멀개는 개화파와 수구파의 투쟁에서, 가깝게는 민주?공산의 대립에 이르기까지 근세사에 있어서 가장 격렬하고 비극적인 사건들은 모두 이념의 부재에서가 아니라 과잉에서 왔고, 옛것 또는 동양적인 것에 대한 집착보다는 새것 또는 서구적인 것에 대한 지나친 민감에서 온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나는 그 모든 것들 ? 과학과 합리주의, 갖가지 종교적 이념, 그리고 금세기를 피로 얼룩지게 한 몇몇 정치 사상 등등 ? 이제는 거의 아무도 그 유용성이나 정당함을 의심하려 들지 않는 것까지도 순전히 동양적인 논리로 지워보려 애썼다”라고 말한다.
이문열은 덧붙여 말한다. “오늘날의 젊은 세대는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는 읽으면서도 사서삼경은 낡았다고 읽지 않고, 보들레르에게는 감탄하면서도 이하(李賀)를 아는 이 드물다. 니체에게는 심취하면서도 장자를 이해하려 들지는 않고, 로버트 오웬은 알아도 허자(許子)는 낯설어한다. 그러나 진정으로 우리가 세워야 할 문화의 유형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의 전통에 깊이 뿌리내린 동양적인 것과 새롭고 활기찬 서구적인 것의 조화에 있지, 어느 한편에 대한 일방적인 배척과 다른 편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종이나 몰입에 있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문화적인 사대주의의 부활이라는 비난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나는 지나치리만치 자주 중국의 고전들을 인용하였다.”
『황제를 위하여』는 중국 고전들의 인용이 다수 담겼다. 국어사전을 옆에 두고서 재미있게 읽었다, 라는 독자 평이 있을 만큼 생경한 단어와 한자가 다수 있지만, 그 속에 담겨진 이문열의 해학과 비판적 시각을 읽어내다 보면 40여 년간 이 책이 독자의 손을 떠나지 않고 사랑받아온 그 진가를 알 수 있게 한다.
구매가격 : 10,500 원
좀비 더 비기닝1
도서정보 : 아서 레오 저갯 | 2020-12-18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러브크래프트의 색감에 B급 감성을 듬뿍 버무린 클래식 좀비 스토리. 1937년 펄프 잡지 《테러 테일즈 Terror Tales》에 발표된 중편 분량에 가까운 단편으로 다소 정적인 고전 좀비 소설에서 보기 힘든 활력을 특징으로 한다. 린다는 행복한 결혼을 꿈꾸며 약혼자를 만나러 오지만 그녀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기상천외한 결혼식이다. 린다가 허름한 호텔에 묵으면서 꼬이기 시작한 상황은 예상치 못한 공포로 빠르게 전환된다. 작품 곳곳에 러브크래프트의 자취가 배어 있다. 린다 로레이가 들어선 어딘지 음침하고 허름한 호텔에는 「인스머스의 그림자」가 감돌고 무덤을 열고 나온 시체들의 진격은 「허버트-웨스트 리애니메이터」의 패러디와 오마주처럼 느껴진다. 무엇보다 작가 저갯은 펄프 잡지 전성기의 분위기를 고스란히 가져가면서 B급 감성을 유감없이 발휘한다. MSG처럼 첨가한 B급 감성으로 충만한 이 작품은 범상치 않은 제목만큼은 음란하지 않지만 작가의 이름(저갯Zagat은 작가와는 무관하지만 꽤 유서 깊은 맛집 안내서의 이름이기도 하다)처럼 독특한 풍미를 지닌 글맛으로 안내한다. 러브크래프트의 좀비를 역시 차고 넘치는 B급 감성으로 재탄생시킨 (컬트 호러의 거장으로 올해 타계한) 스튜어트 고든의 영화 「좀비오」를 떠올리게 하는 작품이다. 물론 영화만큼 성공적인지는 오롯이 독자의 판단에 달렸지만... 이 작품을 선택할 것인지(유독 제목에 시선을 고정하고서) 고민하는 분이 있다면 이렇게 조언하겠다. 제목에 혹해서 선택한다면 조금 실망할 것이고 극한의 공포감을 원한다면 당혹감을 먼저 느낄 것이다. 본문 중에서 금방이라도 린다의 입 밖으로 비명이 터질 듯 했지만 팽창한 목구멍이 호흡을 막아버리는 바람에 씨근거리는 소리 정도만 간신히 새어나왔다. 그 앙상한 모습에서 너덜너덜한 옷자락이 나부꼈고 그 옷자락 사이로 해골의 갈비뼈에 불과한 희끄무레한 것이 스쳐갔다. 머리는 비틀린 어깨위로 비스듬하게 떨어져 있어서 기괴했다. 그리고 얼굴은... 얼굴이 없었다! 입이 있어야 할 자리에 톱니모양의 희뜩한 틈이 나 있었고 눈이 있어야할 자리엔 커다란 지옥 구덩이 두 개가 열려 있었다. 섬뜩한 몰골은 흙투성이었고 허옇게 꺼진 한쪽 뺨에 뭔가가 썩어문드러진 귀처럼 펄럭거렸다. 주위에 린다 외에 숨탄것들이 더 있었다. 뭔지 모를 소음들이 린다에게 그렇게 말하고 있었다. 한숨 굼뜬 움직임 두 개의 물체가 서로 비비는 소리. 그리고 이런 소리의 공허한 울림 같은 것은 이 장소가 상당히 넓고 출입구는 닫혀 있음을 알려주었다. 그러나 린다의 신경을 잡아끄는 것은 그녀의 운명을 예언하는 듯한 흐느낌 그러니까 반인반수의 울음소리였다. 휘둥그레져서 파르르 떨리는 눈동자 앞에 초록색의 유령 불빛이 뛰 놀았다. 린다가 바라보고 있던 한쪽 벽에 사람의 넓적다리뼈로 만든 삼각대가 있었다. 그 위에 관상톱(두개골 절개용 톱)으로 깎고 구멍을 낸 수술 자국이 있는 두개골이 놓여 있었는데 불빛은 거기서 빠져나와 너울거리고 있었다. 두개골의 눈구멍에 초록색 불빛이 가득했다. 불빛은 까끌까끌한 삼각형 모양의 콧구멍을 지나 히죽 웃고 있는 입 밖으로 번뜩였다. 이 섬뜩한 빛은 이 넓은 공간의 눅눅하고 거무스름한 돌바닥을 가로질렀다. 불빛은 엇지붕처럼 위로 굽어있는 거대한 아치 기둥에 드리워졌고 여기서 다시 톱니모양의 종유석을 따라 돌고드름이 반짝이듯이 떨어졌다. 줄느런한 기둥 사이의 어둠을 누비고 간 불빛은 녹슨 쇠창살까지 닿음으로써 린다가 처음에 움직인다고 생각한 흐느낀다고 생각한 것이 무엇인지를 보여주었다.
구매가격 : 1,400 원
영혼 분리기
도서정보 : 김형준 | 2020-12-17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이십 년 전에 지구로 망명한 외계인들로 인해 세상은 완전히 바뀌었다. 그들은 자신들이 피지배 계급으로서 노예보다 못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구로 도망쳐 왔음을 알렸고 각 나라의 정부는 그들과 모종의 계약을 맺는 조건으로 망명을 받아주었다. 그로부터 십일 년쯤 지난 어느 날 세계 곳곳에 운석으로 가장한 미사일이 날아왔다. 저쪽 태양계에 있는 지배 계급 외계인들은 이미 오래 전부터 지구 침공을 꿈꾸고 있었던 것이다. 지구의 미래를 걱정한 인간들은 각자 다른 방법으로 전쟁을 대비하기 시작했다. 그중에서 한 나라는 기존에 있던 징병제를 고쳐서 전 국민을 예비군화시키려는 계획을 실행했다. 남녀 구분 없이 십팔 세가 되면 입대하여 일 년 간 군 생활을 한 뒤 십구 세에 제대하는 식으로 고친 것이었다. 미르 병장은 만기 제대를 한 달 앞둔 상황에서 인간과 외계인의 혼혈인 곰솔 병장을 만나게 되고 두 사람은 곧 전투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진짜로 외계인의 공습이 벌어진 것일까? 진실을 알아내기 위한 모험이 시작된다.
구매가격 : 3,500 원
아름다운 새벽
도서정보 : 채만식 | 2020-12-16 | EPUB파일
지원기기 : PC / Android / iOS
본시 조용하진 못한 마나님인데 겸하여 역정이 난 참이고 보니 그 야단스런 품이 미상불 생철동이를 뚜드리는 만큼이나 자못 시끄럽다.
“아니 그래…… 어떡허면 그래…… 이 내 속에서 나온 자식이!……” 동네가 벌컥 뒤집하게 목소리만 큰 것이 아니다. ‘절구통마나님’이라고도 또한 별명하는 그 육중스런 몸집을 연해 휘둘러싸면서 푸짐한 넋두리가(아들 준을 두고 하는 넋두리가) 한바탕 벌어지던 것이다.
“으응? 이 내 속에서 나온 자식이 그래…… 어떡허면 그래…… 고따위루 응? 고따위루……”
마침 메주를 쑤었다. 큰 가마솥에다 큰 대시루를 걸고 푸욱신 삶은 메주콩을 바가지로 퍼억퍽 큰 대소쿠리에다 퍼담는다. 허연 김이 뭉게뭉게 피어나오고 집 안팎으로 구수한 메주콩내가 흥건히 풍긴다.
마나님 ? 강부인 ? 은 일변 메주콩을 퍼 담으면서 일변 넋두리로 입은 쉴 새 없이 바쁘면서, 이윽고 소쿠리가 수북하게 차자 불끈 집어들고는 쭈르르 마당으로 달려나온다. 거뜬거뜬한 게 뚱뚱한 체집 보아서는 딴 사람 같다. 몸도 연가벽거니와 소쿠리 밑에서 메주물이 찌르르 함부로 쏟아지건만 그 한 방울도 치마 앞자락이나 버선등에 떨어지는 법이 없다. 새색시 적부터도 일솜씨 깔끔스럽기로도 고을 일판에서 소문 있던 부인이다. 나이 오십이로되 젊었을 적 솜씨가 여전하고 가시지 않는다.
마당에는 절구와 절굿대, 안반 등속 메주 찔 채비를 마침 다 차려놓았다.
“대체 어떡허다 이 내 속에서 그런 자식이 나왔드란 말인고? 으응?…… 천하 농통허구, 근경속 없구, 잔망스럽구……”
당자 준은 고사하고 옆에서 누구 한 사람(하다못해 귀덕어멈이라도) 듣고 있는 이조차 없건만, 그러니 매양 강 건너 눈흘기기요 혼자의 푸념이건만, 그런 건 다 상관 아니었다.
들고 온 메주콩을 메 소쿠리째 절구에다 엎는다.
“제발 좀 외탁을 하겠지? 외탁을 했으면야 사람녀석이 고대두룩야 농통스렀으리 ?…… 세상 주변성 없구, 고정하기만한 즈이 으런 승미 고대루 닮어가지구는…… 그 으런은 그래두 고집이나 없었지! 고집이나……”
좌우를 휘휘 둘러본다. 당연히 등대하고 있었을 귀덕어멈이 간 곳 없고 보이지 않는다.
“아 귀덕어머엄 ?”
불러도 대답하고 나오는 싹도 없다.
“방정이 그새 어디루 또 싸아나갔담 ?”
조금 역정이 더했고, 그 길에 절굿대를 치켜들려다가 또 생각이 나서 일단 부엌으로 다시 들어가 시추뚜껑을 덮어놓는다.
“야숙한 놈! 천하에 모질구두 매정스런 놈!…… 그 놈이 비상보담두더 독한 놈이어든!…… 제가 그러구서두 복을 받을까?”
부엌을 다녀와서는 서슴지 않고 곧 절굿대를 집어들고 메주방아를 찧기 시작한다. 부자는 아니라도 오륙백 석 추수를 하여 쓰고 밀리는 성세요, 편안히 지내도 좋을 팔자이었지만,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 메주방아쯤 찧기를 주저치 않는다.
젊은 장정 못지 않게 절굿대가 기운차게 오르내린다.
“싯 싯.”
그리고 무딘 절구 소리가 그에 화할 뿐, 두리가 잠깐 끊긴다.
서향한 옆채의 처마 끝에 수정 발을 드리운 듯 주렁주렁이 매달린 고드름이 맑은 햇빛에 영롱히 번뜩인다.
구매가격 : 1,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