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안 엔드게임 4 : 주몽과 제우스

강성운 | e퍼플 | 2024년 02월 23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4,900원

판매가 14,900원

도서소개

세계는 시시각각 변화하며 뛰고 있습니다. 약육강식의 국제정치는 안주하는 자를 기다리지 않습니다. 자고로 자력으로는 어찌할 도리가 없는 외부의 화(禍)가 커질 때는 가능한 내부의 화(禍)를 최소화하는 노력을 기울여 국가자원 소모를 최소화하고 체질을 효율화시켜야 합니다. 분산된 힘을 한군데로 모아야 할 시기입니다. 대한민국은 민족 내부의 화(禍)를 내재한 분단국가이기 때문입니다.

거듭 예견한 바와 같이 2022년 이후 평양의 사정은 굉장히 어려워질 것입니다. 이를 기점으로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생산수단의 기계화가 진전되지 않아 생산력 대부분을 인민의 노동력에 의존하므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시작으로 인해 받는 타격은 여타 극동 주요국보다 훨씬 큽니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65세 이상 노령인구 증가 또한 동시에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기존에 알던 시대는 2018년을 기점으로 끝났습니다. 기존에는 겪지 못했던 전혀 다른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머지않아 2030년대부터 인도에서 본격적으로 중산층이 등장할 것입니다. 중국에 비해 막강한 민간 소비 비율과 저조한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을 따져볼 때 질적으로 전혀 다른 의미의 중산층입니다. 새로운 거대 소비 및 생산 세력의 등장을 의미합니다.

이른바 남방계 인도유럽어족, 즉 인도·아리안계(Indo-Aryan peoples)의 부상입니다.

중동 역시 사우디아라비아 독주의 시대는 저물고, 계통도 상 인도·아리안계가 갈라져 나온 인도·이란어파의 이란이 점차 지역적 강국(regional power)으로 부상할 것입니다. 세계를 주도하는 북방계 인도유럽어족, 그리고 머지않아 부상할 남방계 인도유럽어족을 아우를 지정전략적(geo-strategic) 접점을 찾아나설 때입니다.

그 열쇠는 원초적 도구인 언어, 즉 음운 기호에 있습니다. 음운은 개개인의 두뇌 속에 자체 장착된 프로그래밍 코드입니다. 원초적 의미부는 대개 자음에 코딩되고, 공간 관념은 모음에 코딩되어 활용됩니다. 단일 음소를 두고 동일 계열 의미에서 다양한 공간 개념과 파생 의미로 확대됩니다.

언어의 확산 역시 이 원칙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습니다.

요컨대 /가르(-다)/를 음소 형태로 단순화(Occam's Razor)하여 나타낼 때 /kVr(V)/와 같이 나타내는 이유입니다. 이는 전편에서 효과를 검증했듯 어족의 경계를 넘어선 유효 데이터 식별을 위한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불필요한 데이터는 과감히 버리거나 축소함으로써 뜻이 입력된 음운 기호인 음소(phoneme)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부각하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인류가 음운 기호 형태로 두뇌 속에 축적한 데이터 가운데 추출이 필요하거나 식별 가능한 정보에 대한 우선적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유라시아 서쪽과 남북의 인도유럽어에 걸쳐 동쪽 끝 일본어에 이르기까지모든 어원을 명쾌히 설명할 수 있는 언어는 그 상위에 존재할 것으로 여겨지는 고 유라시아어 (Trans-Eurasian Language) 뿐입니다.

만약 그 언어와 부족이 아직도 생존해 있다면 그 언어와 해당 집단은 살아있는 화석이자 인류의 보물이라 이를 것입니다. 당연히 유네스코 인류 유산으로 지정되어도 손색이 없습니다. 그 언어집단을 특정 정치집단이 무력으로 공격하거나 강권으로 핍박한다면 이는 인류 공통의 이익에 반하는 반인류적 행태가 됩니다.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가치를 기치로 인도유럽어족과 더불어 인류 공통의 이익을 위해 협력하고 선도하는 국가로 나아갈 때입니다. 고대 한국어족이 현재까지 국가 공동체를 이어온 대한민국은 언어적·문화인류학적으로도 극서(Far West)는 물론 중간지대(Plains) 국가들을 매개하고 선도할 자격과 의무가 있습니다.

AI 코딩의 열쇠 역시 프로그래밍 코드인 언어, 즉 음운에 있습니다. 만약 상고대 어느 시점에 언어가 유라시아 대륙 위 어딘가에서 발생했다면 분명 그 시초가 된 언어가 있었을 것이고, 이로부터 분산 및 파생되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세계가 우리를 부릅니다. 시야를 먼 곳에 둘 때입니다. 그곳은 유라시아입니다.

저자소개

강성운(姜盛運). 1975년생.

온 세상을 은은하게 비추는 한 줄기 빛이 되고자 합니다.

목차소개

개괄

본문
#01 /새(-다)/와 /세(-다)/ 개념의 발생과 구분
#02 서울의 어원은 /새(-다)/인가 /세(-다)/인가
#03 읍(?)과 그룹(group)은 어원이 같다
#04 기호 상(商)에 코딩된 고대인의 공간 관념
#05 상나라가 스스로 의(?)라 칭한 이유
#06 천공신 제우스의 어원은 /뜨(-다)/
#07 뚜껑과 가마의 조합
#08 기호 방(方)의 뜻은 방향타(rudder)
#09 한턱 쓰다의 /턱/과 /德/은 원래 같은 말
#10 아기를 낳다 vs 배가 부르다
#11 주몽은 왜 칠각 모난 기둥 밑에 칼을 숨겼나
#12 치우(蚩尤)와 투쿠시(築紫)
#13 초나라와 신라
#14 탁리국 위치 비정이 가능한 이유
#15 북(?)과 북(book)의 어원이 같은 이유
#16 만파식적과 소머리의 정체
#17 프랑스어 /코티지/와 아이누어 /코탄/
#18 귀뚜라미 어원 속에 깃든 비밀
#19 인도유럽어의 탄생과 고대 한국어
#20 낫과 낮의 상관관계
#21 주몽과 도마뱀
#22 /더(-하다)/와 /덜(-다)/의 구분


소목차
/뚜껑/+/가마/ 조합에 코딩된 고대 공간 관념 및 음운 체계 고찰
달의 위상 변화에 대한 서수 체계 및 음운·문자 기호 코딩 고찰
서수 4, 서수 8 개념의 도시
중(中) 관념 형성에 관한 고대 한국어 어원과 인도유럽어 간 파생 관계 고찰
한국어 /끝/, 갑골문 계(季), 인도유럽어 /kVdV/ 계통 어휘 비교 고찰
최고 언어 해석 사전 <이아>에 의한 기호 정(丁), 병(丙) 논증 고찰
갑골문 상(商), 생선(魚) 간 기호적 상관관계 고찰
상고대 황하 기준 상하 개념과 음운·문자 기호 간 상관관계 고찰
한국어 /새(-다)/解 와 /세(-다)/乾 간 개념적 차이 고찰
서수 3 개념, 갑골문 석(析), 인도유럽어 /sVk/ 계통 어휘 간 상관관계 고찰
한국어 /새(-다)/解, 인도유럽어 /sVkV/析 음소 어휘 간 관계 고찰(1)
한국어 /새(-다)/解, 인도유럽어 /sVkV/析 음소 어휘 간 관계 고찰(2)
한국어 /새(-다)/解, 인도유럽어 /sV/ 음소 어휘 간 상관관계 고찰
한국어 /세(-다)/乾, 갑골문 /析/석, 인도유럽어 건조·숙성 어휘 관계 고찰
한국어 /세(-다)/乾, 인도유럽어 미각·촉각 어휘 관계 고찰
/sVk/ 음소와 고대 스키타이 부족 계열 음운 기호 간 상관관계 고찰
갑골문 절(卪) 상고음과 /sVkV/析 계통 음운 간 상관관계 고찰
곱(雙), 짝(兩) 입력 신호 디코딩 과정 비교 고찰
기호 절(卪), 주(㔿) 간 실험적 체결의 기호적 의의
융기 개념 한국어 섬(島), 기호 섬(㚒), /sVmV/ 음소 인도유럽어 간 비교 고찰
한국어 /ᄀᆞᆲ(-다)/, 갑골문 읍(?), 인도유럽어 /kVrVp/ 어휘 간 상관관계 고찰
한국어 /ᄀᆞᆲ(-다)/, 갑골문 읍(?), 음운 기호 읍(?) 간 기호적 변이 고찰
한국어 /ᄀᆞᆲ(-다)/, 인도유럽어·우랄어 /kVrV/ 어휘 간 비교 고찰
한국어 /기르(-다)/, 갑골문 란(卵), 인도유럽어 /kVrV/ 어휘 간 상관관계 고찰
한국어 /누(-다)/, 갑골문 //以, 인도유럽어 /(n)V/ 어휘 간 비교 고찰
삼국유사 가야 9간 명칭 변경 기사에 대한 함의 개념도
한국어 끌(chiesel), 갑골문 의(?), 인도유럽어 /kVrV/ 어휘 간 비교 고찰
신(?)+병(丙), 의(?,卒)+상(常,尙) 간 기호 복합의 의미 고찰
기호 ?(의)와 한국어 웃(上) 음운·개념적 연관성 입증 고찰
상나라 인의 자칭 개념이 ?(의)인 개념적 이유 도시
갑골문 신(?)+갑(甲) 간 기호 복합의 의미 고찰
국호 상(商), 항아리 호(壺) 기호적 의미 비교 고찰
한국어 /감(-다)/와 /사람/ 관련 인도유럽어 /kVmV/ 어휘 간 대응 고찰
기호 이(夷) 글꼴 조합(寅+己) 구조 및 코딩 음운 기호 고찰
기호 이(易), 인도유럽어 비교 통한 한국어 /높(-다)//녹(-다)/ 어원 입증 고찰
고대 한국어족 /단군//tV-/, 인도유럽어족 /제우스//tV-/ 동계 어원 입증 고찰
한국어 /tVn/, 인도유럽어 /tVn-/ 동계 어원 파생 관계 고찰
한국어 /두껍(-다)//뜨겁(-다)/, 인도유럽어 /tVg/ 동계 어원 파생 관계 고찰
한국어 /tV-//뜨(-다)/ 와 갑골문, 인도유럽어 간 음운론적 파생 관계 고찰
한국어 /뜨(-다)/, 갑골문 주(舟)와 결부된 조선(朝鮮) 표기 상고 음운 고찰
한국어 /두껍(-다)//뜨겁(-다)/, 인도유럽어 /tVg/ 음소 서수 10 어휘 고찰
한국어 /흐르(-다)/, 인도유럽어 /pVrV/ 음소 어휘 대응 관계 고찰
한국어 /뜨(-다)/, 갑골문 방(方) 간 의미 파생 관계 고찰
인도유럽어 어휘 비교 통한 한국어 /되(-다)/, /턱/德 어원 입증에 관한 고찰
갑골문, 인도유럽어, 우랄어 /tVg/ 음소 비교 통한 한국어 /턱/德 의미 고찰
한국어, 갑골문, 인도유럽어, 일본어 /tVg/ 어휘와 투쿠시(築紫,규슈) 어원 입증 고찰
고대 상징 체계에서의 새(燕), 생선(魚) 코딩의 상호 호환성 입증 고찰
고대 상징 체계에서 새(燕), 생선(魚) 코딩 상호 호환에 적용된 음운 기호 고찰
한국어 /낳(-다)/to bear, 인도유럽어 /부르(-다)/ 계통 어휘 간 연관성 고찰
한국어 /낳(-다)/to bear, 인도유럽어 /부르(-다)/to bear 개념에 관한 도시
/bVrV(k)/ 음소 한국어, 인도유럽어 증식·팽창 어휘 간 관계 고찰
한국어 /부르(-다)/to bear, 인도유럽어 /부르(-다)/to bear 개념에 관한 도시
한국어 /부르(-다)/to swell 와 /벨기에/Belgae 어원 일치 입증에 관한 고찰
한국어 /bV(rV)k/ 음소와 인도유럽어 너도밤나무·책·문자 계통 어휘 관계 고찰
<삼국사기>, <삼국유사> 졸본(卒本) 표기의 /kVrV/ 음소 어휘 입증 고찰
/bVrV/ 음소 계열 한국어 /불(-다)/와 /바람/ 관련 어휘 비교 고찰
상나라 갑골문 기호 역(伇)의 한국어 /부리(-다)/役 어원 입증 고찰
한국어·갑골문·인도유럽어 비교에 의한 풍(風)/, 봉(鳳), 용(龍) 어원 입증 고찰
상나라 계보 비교 통한 신라 미추왕(味鄒) 어원의 음운론적 입증 고찰
/(p)Vr(V)·zV/ 음소 계열 신라 김씨 시조 김알지(閼智) 어원 입증 고찰
하나의 가지 개념에서 파생한 /kVtV/ 음소 계열 어휘 고찰
/가지/ 위 /같(-다)/ 개념에 의한 한국어, 갑골문, 인도유럽어 취락 계통어 고찰
한국어 끝, 온돌 구들, 일본어 쿠도(久度), 영어 cut 어원 입증 고찰
한국어 /횃/, 인도유럽어 /h₂wes-/ 계통 어휘 간 파생 관계 고찰
감은사지 동탑+서탑 배치도 및 음운 분석에 의한 만파식적 개념 고찰
한국어 /불(-다)/, /bVrV(k)/ 계열 인도유럽어 어휘 비교 고찰
공간 관념에 따른 색상 음운 기호 구분 및 구체적 코딩 개념 고찰
한국어 /높(-다)//녹(-다)/ 개념의 /(bV)rV·k/ 음소 계통 기원 증명 고찰
<설문해자> 비(匕) 부수 기호에 의한 /tVg/, /bVrV·(k)/ 음소 간 접점 고찰
갑골문 비(匕), 음운 기호 /빌(-다)/to pray 간 상관성 제시
갑골문 비(匕), 한국어 /빌(-다)/, 인도유럽어 /pVrV/ 음소 어휘 고찰
상나라의 별 대화(大火, Antares) 세부 위치 고찰
VLT 간섭계에 의한 대화(大火, Antares) 실물 고찰
한국어 /ᄇᆞᆰ//붉/ 음운과 여타 /bVrk//pVrk/ 음소 계통 어휘 관계 고찰
음운 기호 박(parka) 파카 개념 도시
음운 기호 박(朴), 박(亳) 개념 도시
상나라 시대 기호 추(秋)·가을 개념에 코딩된 기호적 의의 고찰
한국어 귀뚜라미 음운에 코딩된 고대 한국어족과 상나라 간 연관성 입증 고찰
조선(朝鮮)=천독(天毒) 표기 시 기호 독(毒) 가차 이유 입증 고찰
/낫/으로 벤 /녈/ 기준으로 나뉘는 고대인의 /낮/, /날/ 개념 도시
한국어 /녈/, 산스크리트어 열반(涅槃·nirvana) 어원 대응 관계 고찰
한국어 /낫/, 갑골문 예(乂,艾) 고대 음운 및 어원 입증 고찰
한국어 /두(-다)/와 인도유럽조어 /dʰeh₁-/ 대응 관계 고찰
인도유럽조어 /dʰeh₁-/ 계통 /둠(둔)//두마/ 대응 어휘 대응 고찰
고구려 주몽, 다물 /tVmV/ 음소 계통 가차 표기 어휘 어원 입증 고찰
한국어 /도(-다)/ 와 인도유럽조어 /dʰeh₁(y)-/ 대응 관계 고찰
근본 조(且·fundament)이자 칼질의 대상 되는 /도마/의 양면성 도시
고대인의 /밑바닥//녈/null 코딩 기호로 쓰이는 /도마·뱀/易 개념 도시
한국어 /도마/且·fundament 계열 인도유럽어 /family/且 대응 어휘 고찰
한국어 /돔/과 인도유럽조어 /dṓm/ 계통 어휘 대응 관계 고찰
한국어 /돔/, 인도유럽조어 /dṓm/ 계통 어휘 개념 도시
한국어 /더(-으다)/to add 와 인도유럽조어 /deh₃nom/ 대응 관계 고찰
한국어 /덜(-다)/to hand 와 인도유럽조어 /deh₃rom/ 대응 관계 고찰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