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차 노트

김선오 | 문학동네 | 2023년 11월 30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4,500원

전자책 정가 10,200원

판매가 10,200원

도서소개

두 단어 사이를 오가거나
그것을 발판삼아 더 멀리 가는 글쓰기

시인 김선오의 두번째 산문집 『시차 노트』를 펴낸다. “사랑이 끝났다고 집요하게 말함으로써 오히려 사랑의 불가능을 파괴하려는 것 같다”(시인 황인찬)는 추천사와 함께 첫 시집 『나이트 사커』(아침달, 2020)를 펴낸 뒤, 두번째 시집 『세트장』(문학과지성사, 2022), 첫 산문집 『미지를 위한 루바토』(아침달, 2022) 등을 통해 언어로써 가능해지는 새로운 세계를 담담하고 성실하게 탐색해온 그가, 이번에는 두 개의 단어 사이를 오가거나 그것을 발판삼아 더 멀리 가는 글쓰기를 시도한다. 봄과 터널, 피아노와 비유, 집과 픽션, 도서관과 꿈 등 얼핏 성분도 다르고 연결점도 없어 보이는 두 단어 사이의 영향 관계를 가늠하거나 혹은 그 과정에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며 쓰인 산문이다.

보이고 들리는 것을, 단어에서 느껴지는 것을 믿으려고 했다. 그리고 연결하려 했다. 연결 지점은 공간이라기보다 속도를 가늠할 수 없는 이동 그 자체에 가까웠다. 어지럽고 자유롭다, 그런 느낌이었다.
_서문에서

첫번째 꼭지는 ‘비─소리’로, “비가 온다”는 문장으로 시작한다. 화자가 있는 곳에 실제로 비가 내리지 않지만 이처럼 작가는 “씀으로써 발생시키”는 사람이다. “단지 비가 온다는 문장 때문에 (…) 빗소리가 들”리고, “비가 온다는 말을 흔들 때 내가 조금 흔들린다는 사실”과 “내가 흔들릴 때마다 말이 나를 붙잡는다는 사실”, 그러는 와중에도 “비는 그저 오고 있다는 사실”을 글이 진행됨에 따라 작가와 독자는 점차 느낄 수 있다. “어디로? 여기로.” ‘여기’라고 쓰인 두 음절의 활자에, ‘여기’라는 단어가 박힌 지면에, ‘여기’라는 단어가 불러일으키는 저마다의 공간에 비가 온다.
한편 ‘비’라는 글자를 읽는 소리와 빗소리를 흉내내보는 소리로 ‘비’와 ‘소리’는 이어진다. 전자는 수많은 동음이의어들과 함께 쏟아지는 비를 넘어선 의미를 품으며, 후자는 빗소리를 딴 언어를 가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의 전혀 다른 세계로 확장된다. 이처럼 “비가 온다”라는 얼핏 심상한 문장을 쓰고 그 안에 들어앉아 골몰한 시인은 “하나의 언어가 탄생하고 서서히 소멸하는 시간을 상상”하기에 이른다.

내리는 비를 위해 비, 라고 발음할 때 우리의 상상은 물기와 빗소리와 어두운 하늘 같은 비의 요소들을 불러오지만 상상의 이면에서, 음성의 역사적 차원에서 우리가 발음했던 모든 비, 아닐 비나 슬플 비나 꿀벌 비 등이 비라는 말 속에 잠재되어 있고, 그렇기에 비는 아닌 것, 슬픈 것, 꿀벌과 뒤섞이며 내리는 비를 넘어서게 될 수도 있다.
_「비─소리」

나는 문장으로 비를 해체하고 싶지도 않고 비로 문장을 해체하고 싶지도 않다. 비를 대체할 만한 어떤 문장을 쓰고 싶지도 않다. 비와는 그저 사이좋게 지내고 싶다. 그래서 비가 나에게 오고, 비가 나로부터 가고. 앞으로도 영원히 비가 내리는 시를 쓰고. 그런 시들이 꿈이 되고. 그런 것들을 내내 반복하고 싶다.
_「비─소리」

주체와 객체의 위계를 지울 때 새로이 누릴 수 있는 감각은 김선오 시인이 특별히 잘 감지하는 것 중 하나다. 이번 산문에서도 그는 섬세하게 ‘나/너’ ‘주체/타자’ ‘안/밖’의 위치를 뒤바꾸어 독자로 하여금 전과 다른 눈으로 세계를 인식하게 한다. “봄볕은 개나리와 우리에게 공평하게 쏟아진다. 개나리와 우리는 공평하게 서로 마주본다. 우리의 눈동자가 노랗게 차오른다. 개나리에게 눈동자가 있다면 그 속에 우리가 차오를 것”(「봄—터널」)이라거나 “터널의 안쪽을 세계의 바깥쪽이라 불러도 될까. 세계를 주체의 자리에 놓아보아도 될까. 터널의 안이 세계의 밖이라면 이곳은 아주 작은 밖, 드물게 안보다 작은 밖이다. 안과 밖이 뒤바뀔 때 출구는 입구가 입구는 출구가 될 것”(「봄—터널」)이라는 대목, “글의 입장에서 나의 삶은 글의 숱한 직업 중 하나일지도 모르겠다. 글은 평생에 걸쳐 나를 하고 있는 것이다. (…) 만약 그렇다면, 글에게 그런 입장이 있다면, 어쩐지 조금 좋다. 내가 글을 장악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이”(「비—소리」)와 같은 대목은 단단하게 굳은 인식론에 구멍을 내고, 그 안으로 상쾌한 바람이 불어든다.
이렇듯 ‘시차 노트’라는 제목의 ‘시차’란 이 책에서 다양한 층위의 차이를 아울러 쓰인다. 물론 사전적 의미에 가까운 ‘시차’ 또한 아름답게 수놓여 있는데, 가령 이런 대목. 행위 이후에는 그 이전의 시간이 기록처럼, 기억처럼 새겨져 있다는.

접혀 있던 종이를 손이 펼칠 때 종이학, 종이꽃, 종이상자는 사라지고 투명한 직선들만이 형상의 흔적이자 기호로서 종이 위에 남는다. 종이라는 불투명을 가르는 투명, 불투명과 불투명을 구분하는 투명이다. 종이 옆에 놓여 있는 손의 이미지를 통해 우리는 종이 안에 잠재되어 있는 형상들을 본다. 손의 움직임이라는 과정 속에 놓일 때 복원과 파괴의 개념은 같은 얼굴의 다른 표정처럼 쉽게 뒤척인다.
_「눈─손」

오늘은 선물받은 양말을 신자. 발목 부분에 손바느질로 돌고래 무늬를 수놓은 네이비 양말. 그러니까 선물한 이의 손이 앞뒤로 움직이는 모습이 이 양말에 새겨져 있는 셈이다. 손의 진자운동을 상상하며 양말을 신으면 두 발이 커진 것처럼 밟고 있는 땅이 좀더 안전하게 느껴진다. (…) 도에서 레를 끄집어내며 연습을 시작한다. 나의 몸에 반복이 새겨진다. 시간이 새겨지고 울림이 새겨지고 근육이 새겨진다. 바느질하는 손놀림이 양말에 새겨져 돌고래 모양이 되듯 반복은 내 몸의 무늬가 된다.
_「피아노─비유」

이처럼 단어와 단어 사이는 규정하거나 가늠할 수 있는 것들로 메워져 있지 않고, 시인은 그 안에서 자유롭다. 한정된 시공간에 잠시 머무르다 가는 유한한 존재에게 언어란 단순히 도구에 그칠 수 없음을, 그것은 우리를 아주 멀리까지 데려가고, 흔들고, 우리가 우리 아닌 것이 되도록 하는 신비로운 무언가임을 시인은 즐거이 탐색한다. “단어와 단어 사이, 무엇과 무엇 사이의 ‘인력’이 아니라 ‘척력’에 집중하는 것만으로도 넘쳐흐르는 아름다움들. (…) 척력이 깃든 세계의 아름다움, 그걸 이미 이해해버린 시인”(김소연 시인, 추천사에서) 김선오의 ‘시차 노트’는 이제 독자에게 건네어졌다. 우리 두 손에 쥐인 ‘시차 노트’에 어떤 멀고도 가까운 두 단어가 가장 먼저 쓰일지 궁금해진다.

저자소개

지은이: 김선오
1992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시집 『나이트 사커』 『세트장』, 산문집 『미지를 위한 루바토』가 있다.

목차소개

서문 | 연결하기

비—소리
피아노—비유
봄—터널
바다—리듬
집—픽션
돌—글
기억—(기억)
잠—이동
개—얼음
도서관—꿈
유령—얼굴
시—향
눈—손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