즙산학과 송명유학

신현승 | 솔과학 | 2023년 08월 2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37,000원

전자책 정가 29,600원

판매가 29,600원

도서소개

송명유학의 비판적 수용을 통해 즙산학을 체계화한 유종주, 명대의 주자학과 양명학의 실상, 즙산학의 실상을 파헤치다!

중국 명대 말기 유종주의 고향땅 절동 지역의 학술 풍경은 왕기를 비롯하여 주여등·도망령·도석령 등으로 계승되는 양명학 좌파가 불교 선종의 유행과 함께 일정의 세력을 가지고 크게 유행하였다. 그 대극에는 유종주를 중심으로 한 즙산학파 및 강소 지역을 거점으로 한 동림학파의 존재가 있었다. 특히 이들 세 유파 가운데 즙산학파와 동림학파는 학술적으로 상호 소통했지만, 또 다른 유파인 양명학 좌파와는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형국이었다. 다만 우리가 주의해야 할 점은 절동 양명학 좌파 인사의 거의 대부분이 유종주의 문인집단인 즙산학파에도 참여한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또 지역의 현안 문제 해결과 지역 사회활동에 있어서는 학파적 견해를 제쳐두고 공통의 인식 하에 적극적으로 상호 협력했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들은 모두 학파를 불문하고 지역 사대부를 자임하였다.

이 책의 목표는 명대 말기의 사회상과 학술 풍경을 시야에 넣으면서 즙산학(유종주의 학문)과 송명유학의 관계를 추적하는 작업이다. 덧붙이면 이 책에서는 명대 말기라는 시대상과 신유학의 학술 풍경, 종족과 지역 문제, 즙산학의 내면적 실상 등등을 주요 논제로 삼으면서 유종주가 구상한 즙산학의 학문체계에 접근하였다.

저자소개

저 : 신현승 (辛炫承)
현재 중국 정강산井岡山대학 외국어학원 일본어과교수. 일본 동경대학 동아시아사상문화 전공 석사 및박사, 중국 천진사범대학 정치사상 전공 석사, 강원대 철학과 학사. 10년 간의 중국, 일본 유학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뒤 고려대 HK연구교수, 상지대 조교수 및 여러 대학 등에서 강의와 연구 활동에 매진하였다. 그러던 와중에 운명의 힘에 이끌려 중국으로 다시 건너가 지금은 동아시아 유교사상사 가운데, 강서 유학과 여릉문화(강서성 길안시)에 흥미를 갖고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제국 지식인의패러독스와 역사철학』(2015), 『한국을 다시 묻다』(2016, 공저) 등, 옮긴 책으로『잔향의 중국철학:언어와 정치』(2015), 『삼국지의 세계』(2011, 공역), 『송학의 형성과 전개』(2004), 『사대부의 시대』(2004), 『동아시아 역사와 일본』(2005, 공역), 『청년 모택동』(2005) 등이 있다. 그 외 수십 편의동아시아 사상문화 및 유교철학 관련 논문이 있다.

목차소개

■ 이 책을 펴내며 _04

■ 들어가는 말 _09

제1부 송명유학과 학문의 양상

제1장 유종주와 송명대의 유자들 _22
1. 송유에 대한 인식과 평가 _24
1) 송유오자에 대한 현창 _25
2) 윤돈에 대한 현창 _33
2. 명유 인식과 사상사의 흐름 _42
1) 명대 초기의 사조와 평가 _42
2) 명대 중기 이후의 사조와 평가 _54

제2장 유종주 학문사상의 기본구조 _63
1. 두 가지 핵심 개념 _63
1) 신독론 _63
(1) 유교사상 속의 신독론 _65
(2) 유종주의 신독 _71
2) 성의론 _77
2. 학문이 세 번 변하다 _87

제3장 주자학과 양명학의 경계 _102
1. 학문의 출발점―주자학관 _102
2. 또 하나의 삼변설―양명학관 _114

제4장
"인보"의 사상 구조 _128
1. "인보"의 탄생과 구성 _128
1) "인보"의 저술과 의의 _128
2) "인보"의 구성 체계 _134
2. 기과격과 송과법 _148
1) 과악의 분석과 자기인식 _148
2) 송과법과 자기반성 _156
3. 성인의 길과 개과천선 _161
1) 보편적 인간되기-성인 _162
2) 개과천선과 성인되기 _171

제2부 종족과 지역 및 학파

제1장 가족
·종족론의 실상 _184
1. 송
·명대와 종족의 재인식 _184
2. 가족
·종족 관념의 한 양상 _197

제2장 지역사회와 질서 의식 _217
1. 유교사회의 질서 의식과 실천 _217
1) 명대 말기의 사회질서와 실천책 _218
2) 향약보갑제와 지역사회 _227
2. 지역사회와 유종주 _242
1) 사창의 시행과 지역사회 _244
2) 소흥 지역과 수리개혁 _246
3) 수리개혁의 제안 _253

제3장 강소 지역의 동림학파 _262
1. 동림학파와 유교사상적 양상 _26
1) 동림학파의 위상과 실상 _264
2) 고헌성과 동림학파의 사상적 양상 _271
2. 학술적 교유 양상과 평론 _279
1) 고반룡과 유종주의 교유 _279
2) 비판적 평론과 동림당쟁 _287

제3부 저술 활동과 사상의 내면

제1장 저작 활동과 절동학파의 형성 _298
1. 저작 활동과 학술의 실상 _298
1) 50세 이후의 저작 활동 _303
2) 사후의 저작집 간행 _313
2. 절동학술과 절동사학 _319
1) 절동학술과의 관계성 _320
2) 절동사학의 개산인가 _327

제2장 정치사상과 역사관 _335
1. 학문정치론 _335
2 사서 편찬과 역사관 _348
1) 사서 편찬의 의미와 기록정신 _349
2) "중흥금감록"의 구성과 내용 _356

제3장 퇴계와 유종주의 성학론 비교 _364
1. "성학십도"와 "성학종요" _366
1) "성학십도"의 저술과 구조적 특징 _366
2) "성학종요"의 편찬과 구조적 특징 _372
2. 성학의 의미에 관하여 _382
1) 성학의 주자학적 의미 _382
2) 성학의 주왕 절충학적 의미 _389

제4장 도통론과 유교사상사 _396
1. 유교 도통론과 명대 말기 _399
1) 도통론의 경위 _399
2) 명말청초의 도통론 구상 _409
2. 유종주의 도통론 구상 _418
1) "성학종요"의 도통론_419
2) "황명도통록"의 도통론 _424
3) 평가의 양면 _426

제5장 수기치인과 "중용" 및 "대학" _433
1. 수기치인과 "중용"의 도 _433
1) 유교의 핵심 가치로서 수기치인 _434
2) 수기치인의 이념과 현실세계 _440
3) "중용"의 이념과 신독 _448
2. "대학" 해석사로서 송명유학 _454
1) 사서와 송명대의 학술 풍경 _455
2) 주희와 왕수인의 해석 _461
3) "대학" 개정과 그 이념 _467

제6장 최만년의 행적과 그 죽음 _480
1. 명나라 멸망과 최만년의 행적 _480
2. 죽음과 그 생사관 _493
1) 생사의 갈림길에서 _493
2) 유종주의 생사관 _504

■ 나오는 말 _511
■ 참고문헌 _519
■ 찾아보기(인명·지명) _525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