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미술, 젠더Gender로 읽다

한중일 여성을 생각하는 11개의 시선

유미나, 고연희, 지민경, 유순영, 유재빈, 이정은, 조인수, 서윤정, 김수진, 김소연, 김지혜 | 혜화1117 | 2023년 05월 0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40,000원

전자책 정가 28,000원

판매가 28,000원

도서소개

젠더Gender 라는 화두를 들고
21세기에서 출발, 예술의 시대와 지역, 매체를 타임슬립!
거침없이 자유롭게 전복적으로!


『동아시아 미술, 젠더Gender로 읽다』는 타임슬립(time slip)이다. 오늘날 가장 핫한 키워드 가운데 하나인 ‘젠더’Gender를 들고 지역과 시대를 넘나든다. 오늘의 시선으로 옛날을 돌아보는 시도가 새로울 것 없다고 여길 수 있으나, 이 책은 그런 인식조차 아랑곳하지 않고 자유롭게 대상을 바라보고 거침없이 직진한다. 조선 시대로부터 명청으로 거슬러 올라가는가 하면 훌쩍 일본 에도 시대로 건너가더니 다시 또 근대로 넘어와 역동적으로 보고 읽는 재미를 극대화한다.


넘나드는 것은 시간과 공간만이 아니다. 이 책이 바라보는 대상은 참으로 다종다양하여 그 자체로 총천연색 빛을 발한다. 오래전 예술이라고 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림이겠으나, 이 책이 바라보는 대상은 그림은 물론이요, 글씨이며, 책의 삽화이기도 하고, 자수이기도 하며 심지어 금강산이고, 소녀라는 개념의 등장이기도 하다. 이로써 예술이 어디 그림만이겠는가, 하는 지극히 당연한 답을 독자들로 하여금 자연스럽게 깨닫게 한다.


종횡을 무진으로 넘나드는 것은 또한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기존에 알려진 문헌의 이면, 익숙하게 보아오던 그림의 해석은 물론이요, 해외 미술관, 박물관의 수장고에 머물러 있던 문헌과 그림들을 샅샅이 드러내 책 안에 펼쳐 보임으로써 이 책은 구석구석 기꺼이 최초라는 수식어를 받아들인다.


이처럼 하나로 꿰기 어려운 이 총천연색 구슬을 젠더라는 하나의 매듭으로 이어붙여 이전에 보지 못한 맥락을 구현해냄으로써 이 책은 예술은 시대를 어떻게 반영하는가, 고정된 과거의 산물을 오늘, 여기에서 우리는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하는 예술의 새로운 독법을 독자들에게 들이민다. 현대적인 관점으로, 시대의 한계에 갇히지 않고 거침없이 들여다보는 시선을 통해 독자들을 기존에 접하지 못한 일종의 해방구로 선뜻 안내한다.

저자소개

저 : 유미나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을 전공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사학을 공부하여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원광대학교 역사문화학부에 재직하고 있으며, 전라북도 문화재위원회 위원, 한국민화학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조선 후기 서화합벽첩(書畵合璧帖)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조선 중·후기의 고사인물화와 채색화에 관심을 두고 있으며, 근대기에 대중적으로 향유되었던 이른바 민화 분야로 연구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최근 연구로는 「채색선인도(彩色仙人圖), 복·록·수를 기원하는 세화」(2019), 「겸재정선미술관의 《산정일장도》 조선 후기에 전래된 구영(仇英) 화풍의 산거도」(2020) 등이 있다.
저 : 고연희
이화여자대학교 국문과에서 겸재 정선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쓴 뒤, 같은 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영모화초화의 정치적 성격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썼다. 한국문학과 회화를 함께 연구하고 강의하면서, 민족문화연구원(고려대), 한국문화연구원(이화여대),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서울대) 연구교수, 시카고대학교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지금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산수화』 『그림, 문학에 취하다』 『화상찬으로 읽는 사대부의 초상화』 등이 있고, 공저로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 등이 있다.
저 : 지민경
홍익대 예술학과·미술사학과 교수. 미술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으로 미술사에 관심을 갖기 시작, 미술이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민하며 다양한 미술 매체를 대상으로 그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저 : 유순영
문화재청 문화재 감정위원. 목원대학교 강사. 주요 논저로 『조선시대 회화의 교류와 소통』(공저), 「유경용 소장 『장백운선명공선보』와 조선 후기 회화」, 「청 궁정의 양국도(洋菊圖)와 조선 말기 회화」, 「명 말기 화훼, 사군자, 소과 화보의 시각 이미지 연구」 등이 있다. 한중 회화 교류와 명청대 출판물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저 : 유재빈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정조대 궁중회화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8세기 도산서원의 회화적 구현과 그 의미」, 「정조대 왕위계승의 상징적 재현」, 「건륭제의 다보격과 궁중회화」 등이 있고, 공저로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 등이 있다.
저 : 이정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사학과 미술사를 전공하고,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미술 및 건축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세인즈베리 일본예술연구소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와 홍익대학교에서 초빙교수로 동아시아 미술을 가르치고 있다. 국가와 매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각과 물질문화 현상 전반에 관심이 많으며, 현재 미술과 건축의 관계 속에서 실내공간과 그 장식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18세기의 방』(공저)과 「일본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나리(御成)와 무가 저택의 실내치장」 「아시카가의 문화적 권위와 『군다이칸소초키』 제작의 경제적 의미」 등이 있다.
저 : 조인수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 캔사스대학에서 미술사학으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교수로 재직 중이면서,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한국미술사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조선시대 회화사 및 명대 회화사에 대해 연구하고 있으며, 도교 미술, 유교 미술을 시각문화와 물질문화의 관점에서 폭넓게 살펴보는 중이다. 저서로는 '위대한 얼굴'(공저), '그림에게 물은 사대부의 생활과 풍류'(공저) 등이 있다.
저: 서윤정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미술사를 전공했으며,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UCLA)에서 조선시대 궁중회화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동대학교 및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와 미술사를 가르쳤다. 현재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조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선 후기 궁중회화와 동아시아 관점에서 본 한국회화와 물질문화에 관해 연구를 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조선에 전래된 구영의 작품과 구영 화풍의 의의」(2020), “MemorialSceneryandtheArt of Commemoration: Chinese Landscapes and Gardens in Korean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2020) 등이 있으며 공저로는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2021), A Companion to Korean Art(2020) 등이 있다.
저 : 김수진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서울대, 충남대, 서울시립대, 덕성여대 등에서 강의했으며, 미국 하버드옌칭연구소(Harvard-Yenching Institute), 보스턴미술관(Museum of Fine Arts, Boston),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연구를 해왔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초빙교수로 있으면서 외국인 학생들에게 동아시아의 문화와 예술을 가르치고 있다. 저서에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공저), 『한국학, 그림을 그리다』(공저), 『역사와 사상이 담긴 조선시대 인물화』(공저) 등이 있다. 현재 ‘해외의 민화컬렉션’을 『월간 민화』에 연재 중이다.
저 : 김소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학예연구사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로 한국회화사와 한국근대미술사를 지도하고 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근대문화재 분과)으로 있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공저), 「한국 근대기 미술 유학을 통한 ‘동양화’의 추구: 채색화단을 중심으로」, 「한국 근대 여성의 서화교육과 작가활동 연구」, 「해강 김규진 묵죽화와 『해강죽보(海岡竹譜)』 연구」 등이 있으며, 한국 근대미술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저 : 김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미술연구소 연구원, 종로구립 고희동 미술자료관 학예사로 근무했으며, 현재 건국대학교에서 문화예술사와 한국미술사를 강의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근대 시각 이미지에 관심을 갖고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한국 근대 미인 담론과 이미지」, 「미스 조선, 근대기 미인 대회와 미인 이미지」, 「근대 광고 이미지에 나타난 주부의 표상」, 『모던 경성의 시각문화와 일상』(공저), 『명화의 탄생 대가의 발견』(공저) 등이 있다.

목차소개

· 책을 펴내며
01. 미인도 감상을 둘러싼 조선 문인들의 딜레마_유미나
아름다운 용모의 여성을 그린 그림 9점 | 그들은 왜 미인도를 감상했을까 | 송나라의 그림처럼 고전적 미인도이기에 *글을 마치며
02. 그림 속 책 읽는 여인을 향한 두 개의 시선_고연희
그림 한 점으로 시작하는 이야기 | 조선 시대 여성에게 독서란? | 조선 후기 남성들 눈에 비친 중국의 그림 속 책 읽는 여인들 | 다시, 그림 속 책 읽는 여인을 살피다 | 이 그림을 향한 이중의 시선 *글을 마치며
03. 그림 속 박제된 여성들, 다시 보는 명·청대 여성 초상화_지민경
그 옛날, 왜 여성의 초상화는 그려지지 않았을까? | 여성 초상화를 위해 만들어진 맥락 | 여성 초상화를 위한 시각적 장치 | 그림 속 여성, 신이 되었으나 정체성은 사라진 *글을 마치며
04. 꽃에 빗대 품평받은 명나라 말기, 그림 속 기녀들_유순영
명말 기녀들의 등급표, 『오희백미』와 『금릉백미』 | 소주 기녀 54명, 남경 기녀 55명의 등급을 매기다 | 지적 소양, 예술적 재능을 갖춘 그녀들 | 그림에 담긴 그녀들의 사랑과 이별 그리고 그리움 | 에로틱, 관음, 춘정, 신체 접촉… 그녀들을 향한 남성들의 성적 욕망 | 남성의 욕망, 발견된 여성성 *글을 마치며
05. 조선의 열녀, 폭력과 관음의 이중 굴레_유재빈
『오륜행실도』의 열녀들, 어떻게 보아야 할까 | 『삼강행실도』와 『이륜행실도』를 합하다, 원문은 살리되 언해와 그림은 새롭게 | 중국의 전기에서 조선의 교화서로, 조선 왕실의 행실도 편찬 | 『오륜행실도』의 절개, 명대 『열녀전』의 사랑 | 연극적 제스처, 화려한 배경, 미인도에 가려진, 그림이 진짜 전하려는 이야기 | 자의인가, 타의인가! 여성의 몸에 가해진 그 모호한 폭력의 실체 | 그림에 가득한, 여성의 몸을 향한 가학과 관음 | 여성 이미지에 담긴 폭력과 관음의 이중 굴레 *글을 마치며
06. 일본 경직도 속 여성의 노동, 드러나는 젠더_이정은
경직도, 나라와 시대를 거치다, 다양한 함의를 품다 | 일본에 가장 먼저 들어온 경직도, 무로마치 시대 쇼군 가家 수장품으로 | 에도 시대, 중국과는 다른 경직도를 제작하다 | 봄, 여름, 가을, 겨울 풍경과 경작이 어우러진 병풍의 등장 | 양잠과 직조, 우키요에의 주제로 | 양잠과 직조의 과정에 내포한 여성 관련 의미, 세 가지 | 검열을 넘나드는 수단으로, 여성의 노동을 둘러싼 현실 풍자의 도구로 | 일본의 경직도 수용과 변용 과정에 나타난 젠더 구조 *글을 마치며
07. 조선 여성, 글씨 쓰기_조인수
여성, 그리고 한글……이중으로 소외된 질문 | 여성 화가도 드물진대, 하물며 여성 서예가라는 존재 | 공부는 금지, 잘 따르는 여성에게는 칭찬을 | 여성, 한글을 통해 기록자가 되다 | 한글 편지, 양반가 여성 가족의 소통 수단 | 왕실 여성의 한글 편지 | 서사상궁, 보이지 않는 손 | 궁녀도 상류층 여성들도 한글 소설 필사 대유행 | 궁녀가 쓴 글씨? 궁체를 둘러싼 오해 | 누구의 글씨인가, 한글 글씨체 성별 논란 | ‘서예’에서 ‘글씨’로, 한문 중심에서 벗어나 한글 그 자체로 *글을 마치며
08. 서화, 불화, 책, 자수에 쓰인 한글 텍스트_서윤정
조선 시대 시각문화 속, 한글 텍스트의 출현과 사용을 둘러싼 젠더적 관점 | 남성 문인들의 세계, 서화 속 여성의 존재 | 종교화에 담긴 여성의 말하기, 그들의 목소리 | 여성의 교화를 위해 만들어진 책, 한글 텍스트의 등장 | 여성의 고유한 노동의 세계, 자수에 한글을 수놓다
*글을 마치며
09. 남성에 의한, 남성을 위한, 남성의 자수_김수진
자수, 여성에 의한, 여성의 전유물? | 왕실 자수의 전통, 궁수宮繡는 여성의 손으로 | 대한제국 황실, 궁 바깥 평안도 안주로 자수를 주문하다 | 남성 자수가의 활약, 철도가 확산시킨 안주 자수 | 안주 자수, 근대 군주의 표상이 되다 | 안주 자수의 재발견, 식산흥업을 위하여 | 전국으로 퍼져나간 안주 자수와 남성 수사繡師들 | 자수에 드러난 젠더의 의미 *글을 마치며
10. 금강산을 향한 근대 이후의 젠더적 시선_김소연
하나의 금강산, 그러나 ‘남성적’인 외금강과 ‘여성적’인 내금강 | 일제강점기, 금강산 관광 인프라의 본격 개발! 접근성의 획기적 개선! | “내금강은 분 바른 미인, 외금강은 대장부의 낯빛” | ‘외금강은 남성’, ‘내금강은 여성’이 표상하는 것, 근대와 전근대 그리고 문명과 비문명 | 남성적인 외금강, 금강산 대표 이미지로 급부상 | 다시 금강산을 이야기하는 이유에 관하여 *글을 마치며
11. 근대, 소녀의 탄생_김지혜
지금은 소녀시대 | 소녀 이전의 소녀들 | 근대 교육의 시작, 소년에 이어 등장한 소녀들 | 가족 풍경에서 소외되던 딸들, 근대 가족의 구성원이자 국가의 일원으로 | 소비문화 확산, 또 다른 ‘걸’, ‘못된껄’, ‘모던걸’을 부르다 | 조선의 향토적 장면의 모델, 아기 업은 가난한 소녀들 | 그림, 광고, 잡지 등의 인기 모델, 엄마와 아들 대신 엄마와 딸 | 여학생, 이상적인 연애의 대상 | 타락하고 못된, 순진하고 순결한, 그 경계에 세워진 소녀들 | 근대의 구상품, 소녀의 시대는 지금도 현재진행 *글을 마치며
· 부록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