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 전쟁(The War of Women by Alexandre Dumas)(1845)은 17세기 중반 프랑스 내전에 휘말린 카놀 남작(Baron des Canolles)이 등장하는 알렉상드르 뒤마(Alexandre Dumas)의 역사소설(historical novel)입니다. 카놀 남작(Baron des Canolles)은 눈앞에 닥친 내전에도 불구하고, 이면의 정치에는 큰 관심이 없는 순진한 개스콘 출신의 군인(Gascon soldier)입니다. 그러나 루이 14세(Louis XIV)(1638~1715)의 모후 안 도트리슈(Anne d'Autriche)(1601~1666)를 지지하는 나농 드 라티그(Nanon de Lartigues)와 이에 대항하는 콩데 공주(Claire Cl?mence de Maill?, Princess de Cond?)(1628~1694)의 지지자 캉브 후작부인(Victomtesse de Cambes)에 대한 알 수 없는 감정으로 제목 그대로 여성 전쟁(The War of Women)에 휘말리고야 마는데……. 과연 거대한 해일과 같은 여성 전쟁(The War of Women by Alexandre Dumas)(1845)에 빠져든 그의 행보는 어디를 향할 것인가?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귀족의 최후의 저항, 프론드의 난(the Fronde)(1648~1653) : 프랑스 부르봉 왕조에 대항해 귀족 세력이 일으킨 내란으로 1648년과 1649년 두 차례 발발하였습니다. 루이 14세(Louis XIV)(1638~1715)가 불과 5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자 모후 안 도트리슈(Anne d'Autriche)(1601~1666)가 섭정을 하였습니다. 그녀는 로마가톨릭교회 추기경 쥘 마자랭(Jules Mazarin)(1602~1661)을 재상으로 임용하였으나, 이에 반발한 봉기세력에 의해 왕가가 파리 외곽으로 피난하는 수모를 겪습니다.
부르봉 왕조 위기의 순간! 루이 2세 드 콩데 친왕(Louis II de Bourbon, prince de Cond?)(1621~1686)이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는데 성공합니다만, 그가 마자랭의 퇴진을 요구하는 등 ‘선’을 넘자, 이를 못마땅하게 생각한 모후와 마자랭이 역으로 그를 체포합니다. 이에 분노한 콩데 친왕은 반왕당파 귀족과 함께 다시 한 번 봉기하였으나, 이 또한 진압되면서 ‘프롱드의 난’은 완전히 평정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프랑스의 귀족세력이 실권을 잃고, 부르봉 절대왕정이 지배력을 확보한 중요한 분기점으로 프론드(Fronde)는 투석기, 새총이란 의미입니다. 왕가를 지킨 공로에도 불구하고, 스페인으로 망명한 콩데 공의 운명은 과연 어떻게?!
▶ INTRODUCTORY NOTE. In "Twenty Years After" Dumas dealt with the earlier stages of the War of the Fronde,?the arrest of the three counsellors of the Parliament of Paris, Charton, Blancmesnil, and Broussel, the "day of barricades," of which the Abb? de Gondy, coadjutor to the Archbishop of Paris, afterwards Cardinal de Retz, claims to have been the author, and the flight of the queen regent, with the cardinal and the young king, to Saint-Germain. In the present volumes he reverts to the same extraordinary conflict at a later period, after several turns of the political kaleidoscope had taken place, and nearly all the prominent personages in the kingdom had changed sides again and again.
▷ 소개(INTRODUCTORY NOTE). "20년 후"에서 뒤마는 프론드의 난 초기 단계, 즉 파리 의회의 세 참모인 샤르통(Charton), 블랑메닐(Blancmesnil), 브루셀(Broussel)의 체포를 다룬 "바리케이드의 날(day of barricades)"을 다루었습니다. 파리 대주교의 부보좌관이자 후에 드 레츠 추기경(Cardinal de Retz)이 된 드 공디(Abb? de Gondy)는 저자이며 추기경과 어린 왕과 함께 여왕 섭정이 생제르맹으로 도주했다고 주장합니다. 현재 책에서 그는 정치적인 만화경이 여러 번 바뀌고 왕국의 거의 모든 저명한 인물이 계속해서 편을 바꾼 후의 같은 이례적인 갈등으로 되돌아갑니다.
▶ THE VICOMTESSE DE CAMBES. I. Madame de Tourville knew her arch antagonist so well that she had persistently opposed his admission to the council, upon the ground that the war was a war of women, in which men were to be used only to do the fighting. But Madame la Princesse declared that as Lenet was saddled upon her by her husband, she could not exclude him from the deliberative chamber, where, after all, his presence would amount to nothing, as it was agreed beforehand that he might talk all he chose, but that they would not listen to him.
▷ 캄베의 자작(VICOMTESSE DE CAMBES). 제1장. 마담 드 투르빌(Madame de Tourville)은 자신의 적대자를 너무나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전쟁은 여성의 전쟁이며 남성은 전투에만 사용되어야 한다는 이유로 그의 의회 입회를 끈질기게 반대했습니다. 그러나 마담 라 프린세스는 르네가 남편에 의해 그녀에게 안장되어 있기 때문에 그를 심의실에서 배제할 수 없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러나 그들은 그의 말을 듣지 않을 것입니다.
▶ THE ABBEY OF PEYSSAC. I. A word of explanation becomes necessary at this point, after which we will resume the thread of our narrative. Indeed, it is high time for us to return to Nanon de Lartigues, who, at the sight of poor ill-fated Richon expiring on the market-place at Libourne, uttered a shriek and fell in a swoon.
▷ 페이삭(PEYSAC) 수도원. 제1장. 이 시점에서 한 마디의 설명이 필요하게 되며, 그 후에 우리 서사의 스레드를 재개할 것입니다. 참으로, 우리가 나농 드 라티그(Nanon de Lartigues)에게 돌아가야 할 때입니다. 그는 불운한 리숑(Richon)이 리본(Libourne)의 시장에서 만료되는 것을 보고 비명을 지르며 기절했습니다.
▶ EPILOGUE. I. THE ABBESS OF SAINTE-RADEGONDE DE PEYSSAC. A month had passed away since the events we have described. One Sunday evening, after vespers, the Abbess of Sainte-Radegonde de Peyssac came forth last from the church at the end of the convent garden, now and then turning her tear-reddened eyes toward a dark thicket of yews and fir-trees, with such an expression of longing and regret that one would have said that her heart was in that spot and seeking to detain her there.
▷ 에필로그. 제1장. 생트 라드공드 드 페이삭(SAINTE-RADEGONDE DE PEYSSAC) 수도원. 우리가 설명한 사건 이후 한 달이 지났습니다. 어느 일요일 저녁 예배 후에 생트 라데공드 드 페이삭(Sainte-Radegonde de Peyssac) 수녀님은 수녀원 정원 끝에 있는 교회에서 마지막으로 나오셨습니다. 그녀의 마음이 그 자리에 있다고 말하고 그녀를 거기에 가두려 했을 것 같은 그리움과 후회의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