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한문학사

김태준 | 스토리클래스 | 2016년 12월 16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6,000원

판매가 6,000원

도서소개

김태준이 저술한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학사 책이다. 1931년 조선어문학회를 통하여 출간된 책을 본으로 하여 제작한 책으로 본문에 있는 오탈자 수정 한글 독음 병기 가로쓰기로 변환 을 하여 조금 더 수월하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상대편 고려편 이조편 등으로 시대별로 각 장을 나눈 후 각 시대별 주요 학자 문풍 중국과의 관계 등을 서술하여 근세 조선시대까지의 문학사를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동 저자가 서술한 조선소설사와 내용적인 면에서 서로 상보적인 관계 이루고 있는 책이다.

저자소개

김태준(1905~1950.6) 호는 천태산인(天台山人)이며 평안북도 출생이다. 1926년 공립이리농림학교를 졸업하고 같은해 경성제국대학에 입학하였으며 1931년 경성제국대학교 법문학부 문과를 졸업하였다. 김재철 조윤제 등과 조선어문학회를 결성하였으며 ‘조선한문학사’ ‘조선소설사‘ ‘증보조선소설사‘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등 다수의 책을 저술하였다. 광복 후 조선공산당 재건 준비위원회에서 주요 직책으로 활동을 하다가 1950년 서울 수색으로 잡혀 사형을 당하였다.

목차소개

표지
목차
서(序)
Ⅰ. 서론(緖論)
제1장 과거의 문학관과 금일의 견해
제2장 조선한문학사의 범위
제3장 조선한문학 개관
Ⅱ. 상대편(上代篇)
제1장 고대문학의 감상
제2장 삼교수입과 삼국문학
제3장 삼국통일 이전의 문장가
제4장 문장 강수선생
제5장 통삼후의 문학과 학제
제6장 국어해경의 선각자 설총
(1) 설총의 일생
(2) 이두언해와 설총
제7장 김대문과 녹진
제8장 나말의 빈공제자
제9장 동방 한문학의 비조 최치원
(1) 의금동귀(衣錦同歸)한 최치원의 생애(857~?)
(2) 고운과 그의 저술
(3) 고운과 반불반유의 사상
Ⅲ. 고려편(高麗篇)
제1장 고려한문학 개론
제2장 고려초엽의 문예(태종~정종)
(1) 나말(羅末) 문인의 내조(來朝)
(2) 학제의 제정
(3) 과거제도와 쌍기 왕융
(4) 성종간의 열성
제3장 사학의 발흥과 문운 융성기
(1) 문헌공도와 기타
(2) 경적의 번각과 태후의 영향
(3) 삼대문벌
(4) 박인량과 김인존
(5) 예종 인종의 호학과 당시의 풍류사객
(6) 김부식과 정지상
(가) 문부겸전한 김부식
(나) 시화로 원사한 정지상
제4장 문인수난기
(1) 무사의 발호와 문인의 도피사조
(2) 해좌칠현의 풍류운사
(3) 외우내환이 중첩한 고종시대의 문학적 위관
(4) 시인 진화와 김극기
(가) 진화와 이규보의 시풍비교
(나) 진화의 시
(다) 김극기와 그의 시
(5) 남양시집(南陽詩集)
제5장 이규보와 그의 후진
(1) 백운거사 이규보의 열력(1168~1241)
(2) 그의 저술
(3) 백운거사의 문조
(4) 최자와 김구
(5) 이수, 이장용, 김지대 등
제6장 익제 이제현과 그의 시대
(1) 주자학의 전래와 경술, 문장 양도의 분기
(2) 침체에 빠진 당시의 사단
(3) 이익재의 문학
(가) 간관기구한 그의 일생(1287~1367)
(나) 그의 저술
(다) 그의 시문 악부
(4) 최해, 이곡, 정보의 삼가(三家)
제 7장 고려 말엽의 유관 문인
A. 삼은의 사조
(1) 목은 이색의 학문
(2) 도은과 포은
B. 려말(麗末)의 제사(諸士)
(1) 삼은(三隱)을 중심(中心)으로 한 려말(麗末)의 다사(多士)
(2) 현재 잔존한 여말의 시문집
Ⅳ. 이조편
제1장 이조 한문학 개관
제2장 초창기의 문예
(1) 정도전과 척불
(2) 권근(權近), 하륜(河崙), 이첨(李詹)
(3) 행시와 변춘정(1369~1430)
(4) 한글의 창정(創定)과 그의 한문학상 영향
(5) 서사가(徐四佳)와 동인시화(東人詩話), 동문선(東文選)
(6) 생육신(生六臣)과 사육신(死六臣)의 사조(詞藻)
제3장 성종(成宗)?명종(明宗) 간의 시풍
(1) 해동의 강서파
(2) 점필의 문장과 그의 학도
(3) 시중(詩中) 사걸(四傑)
(4) 사대문에 심력을 다한 김모재(金慕齋, 1478?1543)
제4장 목릉성세의 문운
(1) 혼란한 사상계와 유가의 음영
(2) 삼당(三唐)의 시(詩)
(3) 수응(酬應)이 신속한 오산(五山, 1556~1615) 어우(於于, 1558~1628)
(4) 오봉(五峯)의 시(詩)와 간이문(簡易文)
(5) 석주시화(石洲詩禍)와 동악(東岳)
(6) 소위 팔문장(八文章)의 옥석동가(玉石同架)
(7) 수필, 야담, 유서(類書)의 홍수출(洪水出)
(8) 획기적(劃期的) 소설가(小說家)의 발흥
제5장 월상계택(月象谿澤)의 사대가(四大家)
제6장 인숙(仁肅) 간의 거성(巨星)
(1) 역대의 문벌
(2) 허난설헌(許蘭雪軒)과 여류문학(女流文學)
(3) 농암(農巖), 삼연(三淵), 식암(息菴)의 문(文)
(4) 서포(西浦), 북헌(北軒)의 연문학(軟文學)
(5) 해유록(海游錄)으로 유명한 신유한(申維翰)
(6) 지방색(地方色)을 타파(打破)한 이시항(李時恒)
(7) 흐리멍텅 김백곡(金柏谷)의 자연시(自然詩)
(8) 시학대가(詩學大家) 홍세태(洪世泰)의 여항시(閭巷詩) 채집(採集)
제7장 근세(近世)의 한문학(漢文學)
A. 전기(前期)
(1) 강한뇌연(江漢雷淵)의 제공(諸公)
(2) 문호(文豪) 박지원(朴址源)의 생애(生涯)와 그의 저작(著作)
(3) 사가(四家)와 청조(淸朝) 시풍(詩風)
B. 후기(後期)
(1) 혼지쇠멸(混池衰滅)의 상태에 빠진 문운(文運)
(2) 천재시인(天才詩人) 신자하(申紫霞, 1769~1845)
(3) 연천(淵泉), 매산(臺山)으로부터 운양(雲養), 영재(寧齋)의 문(文)
(4) 방랑시인(放浪詩人) 김삿갓
(5) 추금(秋琴), 매천(梅泉), 창강(滄江) 삼가(三家)의 시(詩)
Ⅴ. 결론(結論)
판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