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백이 참 희망적이네 (문학동네시인선 113)

유강희 | 문학동네 | 2018년 12월 1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8,000원

전자책 정가 5,600원

판매가 5,600원

도서소개

"별들의 반짝임이 실은 아프디아픈 별의 속엣생피라고…"
―문학인생 31년, 발생적으로 자연에 가까운 유강희의 시세계

1987년 스무 살 나이에 등단해 1996년 첫 시집 『불태운 시집』, 2005년 두번째 시집 『오리막』을 펴낸 유강희 시인. 13년이 지나 66편을 담은 세번째 시집 『고백이 참 희망적이네』를 펴낸다. "삶이 자꾸 시를 속이려 들거나/ 혹은 시가 삶을 속이려 들 때마다/ 나는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본다"라는 이번 시집의 "시인의 말"에서 추측해보자면, 자주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보기 때문일까. 문학인생 31년, 10년에 한 번꼴로 시집을 묶을 만큼 과작이다. 그를 두고 시인 안도현은 "시인 중에도 자신의 속된 욕망을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애써 가리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나는 유강희한테서 그런 모습을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그는 무한히 착하고, 매사에 지극하고,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일 줄 아는 사람이다"라 말한 바 있다. 시인의 시 역시 그러하다.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보다가 "별들의 반짝임이 실은 아프디/ 아픈 별의 속엣생피라고" "겨우/ 귀엣말"(「시인의 말」)하는 시. "겨우"에 방점을 찍어야 할 것이다.

저자소개

1968년 전북 완주에서 태어났다. 198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 『불태운 시집』 『오리막』, 동시집 『오리 발에 불났다』 『지렁이 일기 예보』 『뒤로 가는 개미』 『손바닥 동시』를 펴냈다.

목차소개

시인의 말

1부 영원의 반짝이는 개울 하나


하늘을 걷는 사람?봄비
사슴반
부처꽃
도토리 두 알을 위한 노래
까마귀를 비벼 먹다
뱀 집
식탁 위를 달리는 달
나는 산불감시초소를 작업실로 쓰고 싶다
동물 열전?손바닥 시를 위한 습작
내가 아는 별들
나무의 만삭?손바닥 시를 위한 습작
돌아
버섯을 따러 갔다
제단
으름꽃


2부 잊힌 기억이 날개를 만든다

잊힌 사람
일요일에 어머니는 아무데도 안 가고
한 아이가 사마귀 알을 가져왔다
봄의 기억
쇠박새
토끼 사전
생일
손바닥을 키우는 파랑새
푸른 기적
태백 서커스단 소녀
감자 심는 여자
매미의 임종
우울의 방문
기러기의 최후
생채
달빛 한 줄
새?파블로 카살스의 <새들의 노래>를 듣고


3부 당신과 나 사이 너무 섭섭해

목련
고라니
살구 한 알
장례식장
돌이 돌과 붙어먹고
현대시
낮술
밤의 시창작 교실
아스팔트에 망치질하는 메뚜기
구름 만년필
잣과 돌
11월은 모두가 혼자 있기 좋은 달
새와 꽃
여치 겨드랑이에 관한 연구
현덕의 동화
세탁소
남천에서 화살나무까지


4부 꽃을 흔들어주고 싶었지만

스무 살 라일락
배꼽
팔복동
도시의 암소 카퍼레이드
거미 수선집
성묘
통안
옛집의 어느 하루
옛날 문둥이 처녀가 살았다는 구성산 박달시암
눈이 오는 날엔 이렇게 하도록 하자
기형 눈사람
겨울 물오리
『강냉이』 그림책?화가 김환영 선생님께
아버지가 깎은 건 밤이 아니야
토끼탕 속에 들어앉은 사람들


해설 | 둘이면서 하나, 하나이면서 둘 | 고봉준(문학평론가)

출판사 서평

“별들의 반짝임이 실은 아프디아픈 별의 속엣생피라고…”
―문학인생 31년, 발생적으로 자연에 가까운 유강희의 시세계

1987년 스무 살 나이에 등단해 1996년 첫 시집 『불태운 시집』, 2005년 두번째 시집 『오리막』을 펴낸 유강희 시인. 13년이 지나 66편을 담은 세번째 시집 『고백이 참 희망적이네』를 펴낸다. “삶이 자꾸 시를 속이려 들거나/ 혹은 시가 삶을 속이려 들 때마다/ 나는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본다”라는 이번 시집의 ‘시인의 말’에서 추측해보자면, 자주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보기 때문일까. 문학인생 31년, 10년에 한 번꼴로 시집을 묶을 만큼 과작이다. 그를 두고 시인 안도현은 “시인 중에도 자신의 속된 욕망을 시인이라는 이름으로 애써 가리려고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나는 유강희한테서 그런 모습을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그는 무한히 착하고, 매사에 지극하고, 자신을 낮춤으로써 상대를 높일 줄 아는 사람이다”라 말한 바 있다. 시인의 시 역시 그러하다. 우두커니 먼 데를 바라보다가 “별들의 반짝임이 실은 아프디/ 아픈 별의 속엣생피라고” “겨우/ 귀엣말”(「시인의 말」)하는 시. ‘겨우’에 방점을 찍어야 할 것이다.

아직 던져지지 않은 돌

아직 부서지지 않은 돌

아직 정을 맞지 않은 돌

아직 푸른 이끼를 천사의 옷처럼 두르고 있는 돌

아직 말하여지지 않은 돌

아직 침묵을 수업중인 돌

아직 이슬을 어머니로 생각하는 돌

그리고 잠시 손에 쥐었다 내려놓은 돌

아직 조금 빛을 품고 있는 돌

―「돌」 전문

시집의 문을 여는 시 「돌」의 방점은 일곱 번 반복되는 ‘아직’과 한 번의 ‘그리고’, 또다시 이어지는 ‘아직’에 찍어야 하지 않을까.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저절로 된 그대로의 현상’이라는 ‘자연’의 사전적 정의를 일곱 번의 ‘아직’ 속에 시인은 그렸다. 무한한 가능성과 잠재태로서의 ‘돌’. 그것을 바라보던 화자는 그 돌을 ‘잠시 손에 쥐었다 내려놓’는다. 그리고 그 돌에서 ‘빛’을 발견하는 것. 이는 이 시집 전체의 방향과 대상에 대한 시인의 태도를 분명하게 드러낸다.

이번 시집의 해설을 맡은 문학평론가 고봉준의 진단처럼, 유강희 시인에게 시적 순간은 “‘빛’을 통해 도래한다. 물론 여기서의 ‘빛’은 광학적(optical) 현상과 무관하게 사물-대상에서 “제 몸안에 오래 가두어두었던”(「기러기의 최후」) 어떤 것이 흘러나오는 존재의 ‘발음’이다. (…) ‘빛=시’가 ‘문명’보다는 그것에 대한 성찰로서의 ‘자연’에 가깝다는 시론(詩論)으로 읽을 수도 있다”. 상기한 서시에서처럼 무심코 집었다가 내려놓은 돌에서 빛을 발견할 때, 가을 아침 나무 아래에서 발견된 매미 사체에서 빛을 발견할 때(「매미의 임종」), 개의 날카로운 이빨에 목덜미를 물려 죽어가는 기러기의 눈에서 반짝이는 것을 발견할 때(「기러기의 최후」), 겨울 산골짜기에서 잣 한 송이와 돌 한 개를 발견하고 마음이 반짝거림을 느낄 때(「잣과 돌」), 늦은 밤 시창작 교실에 모인 사람들에게서 빛이 느껴질 때(「밤의 시창작 교실」), 그리고 밤을 치는 아버지의 모습에서 “빛나는 밤의 종교”(「아버지가 깎은 건 밤이 아니야」)를 발견할 때. 지극히 일상적인 장면들이 시적인 장면으로 전환되며, 인간 삶의 생래적 비애를 넘어서는 ‘먼 데’로 우리를 잠시 데려간다.

돌의 팔은
얼마나 굵은가

바닥에
저를
내려놓기 위해
―「돌」 전문

잠시 쥐었다 내려놓았다던 그 돌은 사실 화자가 내려놓은 것이 아니었던 걸까. 시집의 첫머리와 마찬가지로 마지막에 배치된 시의 제목 역시 「돌」이다. 결국 유강희 시인의 지난 13년은, 돌 하나를 화자가 쥐었다 내려놓았다는 것에서, 돌 스스로 저를 내려놓았다는 깨달음으로 갈무리되는 것일지 모른다. 이렇듯 욕심 없고 사심 없이 써내려간 시들, 그 뭉근함이 시린 겨울을 맞는 이들로 하여금 ‘저절로 된 그대로의 현상’과 유기적으로 호흡하며 따스하게 섞일 수 있는 서정성을 선사하리라.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