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례준칙과 그 해설

조선총독부 제정

조선총독부 | 온이퍼브 | 2018년 04월 28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0,000원

판매가 10,000원

도서소개

《의례준칙과 그 해설(조선총독부 제정)》은 1934년 11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우리나라 혼례(婚禮), 장례(葬禮), 제례(祭禮)의 의식적 풍속, 절차, 현황을 통해 잘못된 의례를 간소화하고 자세히 개선책을 마련 반포한 ‘가정의례규정집’이라고 할 수 있다.

당시 조선 총독 인 우가키 가즈시게(宇垣一成)는 서두에서 구두로 하는 훈계 중 ‘각종 의례 중 번거롭고 까다로운 규칙과 번잡함이 있고 인습적으로 폐단이 많으니, 위 세 가지 가운데 우선 긴급한 개혁이 필요한 것을 이 준칙으로 하여 지방 직무에 가장 관내 실정에 맞추고, 다시 이를 지방화에 노력하도록 하여 여러 해 적폐를 없애려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국민들은 시대적 변화에 따라 협심 진력하여 서로 힘을 모아 단호히 전부터 내려오는 폐단을 배척하고, 새로운 예절에 생활을 합리화하고 풍속의 기운이나 정신을 일으키도록 민중의 복리 증진, 사회의 향상, 국가의 융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권고하였다.
이것은 식민정책기 동안 이루어진 의례준칙은 일제 식민정책의 정착과 아울러 가례에 관한 식민경영의 일환으로 제정한 것으로 보이며, 지금 행해지는 관혼상제의 가정의례에 비교하여 그 핵심의 근간이 어디에 있었는지는 깊이 있게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 책 《의례준칙과 그 해설(조선총독부 제정)》은 원문 그대로 해제하였고 되도록 현재 맞춤법을 따랐으며 각각 까다로운 용어들은 각주 설명을 들어 풀이하였다.

저자소개

조선총독부

역자소개

편집부

목차소개

• 총독 유고(諭告)
• 학무국장 훈화
• 의례준칙과 그 해설
※ 용어 해설

제①장 예의 원리
1. 예의 본질
2. 예의 요건

제②장 예의 연혁
제③장 혼례
1. 연령
2. 약혼
3. 연길(涓吉)
4. 납폐(納幣)
5. 초례(醮禮)
6. 기타 주의사항

제④장 상례(喪禮)
1. 임종
2. 상주
3. 호상(護喪)
4. 부고
5. 습(襲)과 감(歛)
6. 영좌(靈座)
7. 명정(銘旌)
8. 상복과 상장(喪章)
9. 장일(葬日)
10. 영결(永訣)
11. 발인(發引)
12. 천광(穿壙)과 회격(灰隔)
13. 하관(下棺)과 성분(成墳)
14. 위안제(慰安祭)
15. 우제(虞祭)
16. 상식(上食)
17. 삭망전배(朔望展拜)
18. 소상제(小祥祭)와 대상제(大祥祭)
19. 조위(弔慰)
20. 상기(喪期)와 복상기(服喪期)
21. 종래의 상복 입는 기간(도표)
22. 기타 주의사항

제⑤장 제례(祭禮)
1. 제사(祭祀)
2. 제전(祭奠)과 공물(供物)
3. 기타 주의사항
제⑥장 결언
<부록>
경학원(經學院)의 혼례식도(圖)
참고문헌(이미지)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