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떤 사람인가

심경호 | 이가서 | 2010년 04월 25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28,000원

전자책 정가 19,600원

판매가 19,600원

도서소개

심경호 교수가 2009년에 펴낸 그 두번째 이야기. 이번에는 자서전적 시문만을 모아 엮었다. 특히 근대 이전에 한국에서 이루어진 자서전적 글쓰기 양식을 모두 망라하고 주요 작품을 처음으로 소개·번역하여, 한국고전문학의 영역과 우리 선조들의 정신세계에 대한 탐구 영역을 확장하였다. 이 책은 선비는 물론, 중인과 예술가, 승려, 그리고 심지어 영조대왕의 자서전적 글쓰기를 대상으로 삼아, 쉽게 접하기 어려운 자료를 소개하고 현대어로 번역하였으며, 이미 익숙히 알고 있는 인물에 대해서도 그의 자서전적 글쓰기에 담겨 있는 정신지향을 깊이 있게 분석했다.

저자소개

소개 : 1955년 충북 음성 출생,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일본 교토(京都)대학 문학연구과 박사과정(중국문학) 수료, 1989년 1월에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으로 교토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 취득.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 강원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 2010년 4월부터 2011년 3월까지 일본 메이지(明治)대학 객원교수 겸임. 2002년도 성산학술상 수상, 2006년도 일본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선생 기념 제1회 동양문자문화상 수상, 한국학술진흥재단 선정 제1회 인문사회과학 분야 우수학자, 2010년 11월우호인문학 학술상 수상. 저서 : 《강화학파의 문학과 사상》(전4권), 《다산과 춘천》, 《한문산문의 미학》, 《조선시대 한문학과 시경론》, 《한국 한시의 이해》, 《한문산문의 내면풍경》, 《국문학연구와 문헌학》, 《김시습 평전》, 《한시기행》, 《한시의 세계》, 《한시기행》, 《산문기행》,《간찰, 선비의 마음을 읽다》, 《한학입문》, 《자기 책 몰래 고치는 사람》, 《내면기행 ─ 선인들 묘지명을 스스로 쓰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 ─ 선인들의 자서전》, 《책, 그 무시무시한 주술》, 《한시의 서정과 시인의 마음》 역서 : 《주역철학사》, 《불교와 유교》, 《일본한문학사》, 《금오신화》, 《당시 읽기》, 《한자학》, 《중국자전문학》, 《역주 원중랑집》, 《한자, 백 가지 이야기》, 《중국 고전시, 계보의 시학》, 《선생, 세상의 그물을 조심하시오》, 《일본서기의 비밀》, 《문자강화》,《증보역주 지천선생집》(공역), 《서포만필》

목차소개

책을 엮으며 1부 뼈는 썩어도 영원히 남는 것이 마음이다 박제가朴齊家, 〈소전小傳〉 / 뼈는 썩어도 영원히 남는 것이 마음이다(骨朽而存者心也골후이존자심야) 권익창權益昌, 〈호양자자전湖陽子自傳〉 / 내면은 바보가 아니다(不愚於內불우어내) 조임도趙任道, 〈자전自傳〉 / 내가 좋아하는 바를 따른다(從吾所好 종오소호) 유한준兪漢雋, 〈자전自傳〉 / 글을 쓰며 스스로 즐겼다(著書自娛 저서자오) 조수삼趙秀三, 〈경원선생자전經?先生自傳〉 / 조선의 미친 선비(朝鮮狂士 조선광사) 황오黃五, 〈자전自傳〉 / 동해의 물가에서 늙어간다(老於東海之濱 노어동해지빈) 연담유일蓮潭有一, 〈자보행업自譜行業〉 / 어리석음과 교활함이 반반이다(癡?相半치힐상반) 2부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영조英祖, 〈어제자성옹자서御製自醒翁自敍〉 / 이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此何人乎차하인호) 이자李?, 〈자서自敍〉 / 악을 미워할 용기가 없었다(惡惡無勇오악무용) 김정국金正國, 〈팔여거사자서八餘居士自序〉 / 즐거움이 남아돈다(樂有餘낙유여) 천만리千萬里, 〈사암자서思庵自敍〉 / 나라를 떠나 고향 그리는 마음을 드러낸다(暴我去國懷鄕之心폭아거국회향지심) 정윤해鄭允諧, 〈자서自序〉 / 스스로 자적하고 스스로 즐길 따름이다(自適自樂자적자락) 신흠申欽, 〈자서自敍〉 / 조화의 큰길을 가리라(歸之大化귀지대화) 이시발李時發, 〈자서自序〉 / 만언소를 진술했다(陳萬言疏진만언소) 신익성申翊聖, 〈낙전거사자서樂全居士自敍〉 / 뜻을 잃은 것이 나의 반생이다(失吾志 殆半生실오지 태반생) 이홍인李弘仁, 〈월호자서月湖自敍〉 / 위태로움을 보고 물러났다(見危勇退견위용퇴) 권섭權燮, 〈자술년기自述年紀〉 / 슬픈 일이 반, 웃을 일이 반이다(悲者半, 笑者半비자반, 소자반) 황윤석黃胤錫, 〈자서설自敍說〉 / 눈은 더욱 어둡고 마음은 더욱 두려워졌다(目益昏 心益懼목익혼 심익구) 정종로鄭宗魯, 〈무적공자서無適公自敍〉 / 어디든 유유자적하노라(無往不適무왕부적) 이서구李書九, 〈강산자술薑山自述〉 / 사람이 시기하고 귀신이 성낸다(人猜鬼怒인시귀노) 3부 내 삶을 웃어본다 이규보李奎報, 〈백운거사전白雲居士傳〉 / 하늘과 땅도 그를 얽매지 못하리라(天地所不?천지소불유) 최해崔瀣, 〈예산은자전猊山隱者傳〉 / 입안에 감추어둘 줄 몰랐다(口不解藏구불해장) 성간成侃, 〈용부전?夫傳〉 / 인생 백년에 마음과 몸이 모두 수고롭기만 하다니!(人生百年, 心形俱老 인생백년, 심형구로) 성현成俔, 〈부휴자전浮休子傳〉 / 나는 우활하지 않다(我則不迂아즉불우) 최충성崔忠成, 〈산당서객전山堂書客傳〉 / 여기에서 노닐고, 여기에서 즐기노라(遊於斯, 樂於斯 낙어사, 유어사) 유홍兪泓, 〈용은거사전?隱居士傳〉 / 천성이 게을러서 독서를 좋아하지 않는다(天性?懶 不喜讀書천성용라 불희독서) 이여빈李汝?, 〈취사노옹전炊沙老翁傳〉 / 고생만 하고 아무 성취가 없다(勤苦無成근고무성) 최기남崔奇男, 〈졸옹전拙翁傳〉 / 귀신도 꾸짖지 않고, 사람도 비난하지 않는다(無鬼責, 無人非무귀책, 무인비) 이시선李時善, 〈송월자전松月子傳〉 / 본성이 미쳤으니 내가 본성을 어찌 하랴(性狂也, 吾如性何 성광야, 오여성하) 양거안梁居安, 〈육화옹전六化翁傳〉 / 평생의 일 가운데 남에게 말 못 할 것은 하나도 없다(平生所爲 未嘗有不可對人言평생소위 미상유불가대인언) 강석경姜碩慶, 〈끽면거사전喫眠居士傳〉 / 밥 먹고 나면 잠을 자고, 잠 자고 나면 밥을 먹을 뿐이다(喫了眠, 眠了喫 끽료면, 면료끽) 이덕무李德懋, 〈간서치전看書痴傳〉 / 책보는 것으로 즐거움을 삼았다(看書爲樂간서위락) 이익李瀷,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 / 동방에 한 선비가 있다(東方有一士동방유일사) 정식鄭?, 〈명암전明菴傳〉 / 늘그막에 두류산으로 들어갔다(晩入頭流만입두류) 안정복安鼎福, 〈영장산객전靈長山客傳〉 / 요긴하지도 않은 저술이 분량만 많다(紛紛不緊분분불긴) 조면호趙冕鎬, 〈자지자부지선생전自知自不知先生傳〉 / 이 병은 종잡을 수가 없다(是疾 莫可測시질 막가측) 초암草?, 〈삼화전三花傳〉 / 가고 머무는 것이 고정됨이 없었다(行止無定행지무정) 4부 나의 속내를 노래로 풀어본다 이수광李?光, 〈술회오백칠십언述懷五百七十言〉 / 천지는 하나의 여관일 뿐이다(天地一旅亭천지일여정) 고경명高敬命, 〈자술自述〉 / 누가 구곡간장을 숯과 얼음 싸우듯 하게 만드나(誰令九回腸 氷炭坐交戰수령구회장 빙탄좌교전) 권필權?, 〈술회述懷〉 / 좋은 만남은 기약하기 어려워라(佳期未易得가기미이득) 이경여李敬輿, 〈합차공부술회북양정시운合次工部述懷北征兩詩韻〉 / 늘그막에는 사마광의 졸렬함을 좋아한다(晩好溫公拙만호온공졸) 이민구李敏求, 〈술회일백운述懷一百韻〉 / 하늘은 옥 관棺을 더디 내려보내네(天遲下玉棺천지하옥관) 남용익南龍翼, 〈자서시自敍詩〉 / 도성문을 나서면서 저절로 북받쳐 눈물을 흘렸다(蒼黃出都門, 自然感淚滋창황출도문, 자연감루자) 신유한申維翰, 〈야성에 객이 되어 수심이 맺혀 풀리지 않기에 내 일생을 스스로 적어 본다. 60운이다野城作客 牢愁鬱結 自敍平生 六十韻〉 / 어디 간들 유랑민이 아니랴(何往不流民하왕불유민) 조관빈趙觀彬, 〈자술 효고체自述效古體〉 / 하늘이 나를 낳으신 것은 어떤 뜻인가(天地生我亦何意천지생아역하의) 장혼張混, 〈자술自述〉 / 편안하게 쉬겠다고는 엄두도 내지 못하겠다(退宴息 意未出퇴연식 의미출) 5부 내 삶을 이런 식으로 말할 수도 있다 최치원崔致遠, 〈계원필경서桂苑筆耕序〉 / 여기서 된 죽도 먹고, 여기서 묽은 죽도 먹었습니다(於是, 粥於是전어시, 죽어시) 천책天?, 〈답운대아감민호서答芸臺亞監閔昊書〉 / 몽환의 세상에서 몽환에 젖어 살고 있다(幻生於幻世환생어환세) 휴정休靜, 〈상완산노부윤서上完山盧府尹書〉 / 문자법사가 되지 않았다(不作文字法師부작문자법사) 박인로朴仁老, 〈무하옹전無何翁傳〉 / 꽃이 붉으니 눈물이 옷깃을 적시네(花紅淚濕禁화홍루습금) 유희柳僖, 〈비옹칠가否翁七歌〉 / 내 삶의 행복과 운명은 농포에 있구나(此生福命在農圃차생복명재농포) 여적餘滴 전근대 시기의 자서전적 글쓰기 1. 자서전과 자서전적 글쓰기 2. 전근대 시기 자서전적 글쓰기의 종류 참고문헌 본서에 다룬 자서전적 시문 본서에 다룬 도판 목록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