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정치를 이야기하다 - 《맹자》 2

맹자 | 이펍코리아 | 2012년 08월 17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500원

판매가 3,500원

도서소개

맹자는 유학(儒學)에서 아성(亞聖)으로 불린다. 공자를 성인(聖人)으로 부르는 맥락에서 맹자는 그에 ‘버금’가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공ㆍ맹’이라는 병칭이나 ‘공자왈 맹자왈’ 같은 표현에서 나타나듯이 그의 ‘넘버 투’ 위치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한서(漢書)》에서 제자(諸子) 즉 여러 사상가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던 그는 유학의 중흥기인 송대에 특히 주자(朱子)에 의해 공자에 버금가는 중요 인물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
그의 사상이 집약된 《맹자》가 유학의 기본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로 존중된 것도 주자로부터 시작된 것이었다.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록인 《논어(論語)》의 바로 다음 자리다. 《맹자》 역시 맹자의 언행록이다.
당시의 학자들이란 군주들에게 통치의 이론을 제시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지면 그를 바탕으로 자신의 뜻을 펼쳐나가는 사람들이었는데, 요즘 말로 하면 ‘폴리페서’였던 셈이다. 그렇게 자신의 학문을 군주들에게 ‘세일즈’하는 활동이 바로 ‘유세(遊說)’였다. 맹자 역시 마찬가지여서, 여러 나라를 돌며 그런 세일즈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그 세일즈가 그리 성공적이었던 것 같지는 않고, 그나마 가장 오래 머물렀던 곳이 제(齊)나라였던 듯하다. 만년에는 고향인 추(鄒)나라로 돌아와 제자들을 기르는 데 전념했다.
《맹자》는 서술 형식상 맹자의 제자들 또는 그 제자의 제자들의 편집물이다. 7편으로 나뉜 것을 한나라 때 학자 조기(趙岐)가 각 편을 다시 상ㆍ하로 나누었는데, 여기서는 이를 채용해 전체를 14편으로 나누었다.

저자소개

맹자(孟子)(기원전 372~289)는 중국 전국시대 추(鄒)나라 출신의 사상가다. 성이 맹(孟)이고 이름은 가(軻)이다.
맹자는 기원전 4세기, 공자보다 80년쯤 뒤에 태어나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또는 자사의 문인)를 통해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70년쯤 후배인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대비되는 성선설(性善說)의 주창자로 유명하다. 같은 유학의 뿌리에서 인간의 본성이 선하냐 악하냐에 대해 정반대의 주장을 편 것이다. 맹자는 같은 맥락에서 인(仁)을 핵심 주장으로 내세웠고, 이를 정치사상에 적용해 왕도(王道)정치를 주장했다.

역자소개

이재황은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공부한 뒤 주로 언론계에서 일했다. 한국방송(KBS) 기자와 출판사 편집장을 지낸 뒤 내외경제신문과 중앙일보 기자로 있었다. 동양문화와 한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다루는 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이미 번역된 《조선왕조실록》의 오역을 바로잡고 주요 사건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한 《태조/정종본기》를 시작으로 《태종본기 1~3》(이상 청간미디어)을 출간했고, 온라인 신문 ‘프레시안’에 한자의 기원에 관한 글을 연재했다. 저서로 《한자의 재발견》, 《가장 빨리 외워지는 한자책》(이상 뉴런) 등이 있으며, ‘100분 고전’의 《악한 인간과 착한 시회인》을 번역했다. 그 밖에 《달러》와 《엘도라도, 혹은 사라진 신의 왕국들》(이상 AK) 등도 번역했다.

목차소개

제6편 등문공[?文公] 하
1. 한 자를 굽혀 여덟 자를 바르게 만든다 (枉尺直尋)
2. 공손연과 장의 (公孫衍張儀)
3. 석 달 동안 섬길 임금을 만나지 못하면 (孔子三月無君)
4. 동기와 성과 (食志乎食功乎)
5. 소국 송나라에 필요한 전략 (宋小國也)
6. 송나라 집정자 대불승에게 한 충고 (戴不勝)
7. 제후를 만나러 가지 않는 까닭 (不見諸侯何義)
8. 한 달에 한 마리만 훔친다? (月攘一?)
9. 내가 논쟁을 좋아한다고? (夫子好辯)
10. 진중자의 청렴이란 (陳仲子)

제7편 이루[離婁] 상
1. 한갓 선량하기만 해서는 충분치 않다 (徒善不足以爲政)
2. 성인은 인륜의 표준이다 (聖人人倫之至也)
3. 취하기 싫으면서 억지로 술 마시는 격 (惡醉强酒)
4. 돌이켜 자기 자신에게서 찾으라 (反求諸己)
5. 세상의 근본은 자기 자신에 있다 (天下之本在國)
6. 큰 가문은 온 세상의 척도다 (不得罪於巨室)
7. 소국이 대국을 섬기는 것 (小國師大國)
8. 스스로가 자신을 비하하면 남들이 자신을 모욕한다 (自侮人侮)
9. 물고기를 연못으로 몰아넣어 주는 것은 (爲淵?魚)
10. 자신을 해치고 버리는 사람 (自暴自棄)
11. 도는 가까운 데에 있다 (道在邇)
12. 아랫자리에 있을 때에는 (居下位)
13. 문왕이 늙은이를 잘 보살펴준다는데 (西伯善養老者)
14. 땅덩어리에게 사람의 고기를 먹게 하는 일 (率土地而食人肉)
15. 마음은 눈동자에 나타난다 (莫良於眸子)
16. 공손하고 검소한 사람 (恭儉)
17. 형수가 물에 빠졌다면 (嫂溺援之以手)
18. 옛날에는 서로 자식을 바꿔서 가르쳤다 (古者易子而敎)
19. 증자가 부친을 섬긴 방법 (曾子養曾晳)
20. 임금이 올바르면 나라가 안정된다 (正君而國定矣)
21. 기대하지 않았던 칭찬 (不虞之譽)
22. 사람이 말을 쉽게 하는 것은 (易其言也)
23. 사람들의 병폐는 (人之患)
24. 악정극이 꾸지람 들은 사연 (樂正子見孟子)
25. 그저 먹고 마시는 것 (徒??也)
26. 세 가지 불효 중 가장 큰 것 (不孝有三)
27. 어버이를 섬기고 형을 따르는 것 (事親從兄)
28. 고수가 기뻐하다 (??底豫)

제8편 이루[離婁] 하
1. 순임금은 동쪽 이민족 출신 (舜生於諸馮)
2. 은혜롭기는 하지만 정치는 할 줄 모른다 (惠而不知爲政)
3. 임금이 신하를 자기 손발처럼 여기면 (君之視臣如手足)
4. 죄 없는 하급 관리를 죽이면 (無罪而殺士)
5. 임금이 인자해지면 (君仁莫不仁)
6. 사이비 예와 사이비 의 (非禮之禮)
7. 갖춘 사람이 이끌어주어야 한다 (中也養不中)
8. 해서는 안 될 일을 알아야 (人有不爲)
9. 남의 결점을 말했다가 (言人之不善)
10. 지나치게 심한 일 (不爲已甚)
11. 무엇이 옳은가만 따를 뿐 (惟義所在)
12. 어린아이의 마음을 잃지 않은 사람 (不失其赤子之心)
13. 큰일로 칠 수 있는 것 (當大事)
14. 안정되면 깊이가 생긴다 (居安資深)
15. 널리 배우고 상세하게 이야기하는 것은 (博學詳說)
16. 선을 내걸고 남을 복종케 하려는 사람은 (以善服人)
17. 말 그 자체가 실제로 불길할 것은 없다 (言無實不祥)
18. 명성이 실제보다 부풀려지는 것 (聲聞過情)
19. 인과 의를 따랐을 뿐 (由仁義行)
20. 세 왕의 장점을 모두 갖춘 사람 (周公思兼三王)
21. 제왕의 흔적이 사라지자 (王者之迹熄)
22. 훌륭한 사람이 끼친 영향 (君子之澤)
23. 청렴성이 손상되는 경우 (取傷廉)
24. 방몽이 예에게서 활쏘기를 배운 뒤 (?蒙學射於?)
25. 서시가 더러운 것을 뒤집어쓰고 있으면 (西子蒙不潔)
26. 지혜로운 것의 문제점은 (所惡於智者)
27. 맹자가 왕환에게 인사하지 않은 까닭 (孟子不與右師言)
28. 지성인에겐 갑자기 생기는 근심은 없다 (無一朝之患)
29. 우ㆍ직과 안회는 같은 길을 갔다 (禹稷顔回同道)
30. 광장이 불효자가 아닌 까닭 (匡章)
31. 증자가 무성에서 겪은 일 (曾子居武城)
32. 왕이 몰래 살피게 하다 (王使人?夫子)
33. 처첩에게 들킨 비밀 (齊人有一妻一妾)

제9편 만장[萬章] 상
1. 평생 부모를 따르는 것이 효도 (大孝終身慕父母)
2. 아내를 얻는 데는 어떻게 해야 하나 (娶妻如之何)
3. 동생을 유비 땅에 봉하다 (封之有?)
4. 순은 요임금을 신하로 삼지 않았다 (舜之不臣堯)
5. 요가 온 세상을 순에게 준 것은 아니다 (堯以天下與舜)
6. 우임금 때에 도덕이 쇠미해졌다? (至於禹而德衰)
7. 이윤이 요리 때문에 등용된 것은 아니다 (伊尹以割烹要湯)
8. 공자는 의원 집에 유숙하지 않았다 (孔子主癰疽)
9. 백리해가 자진해서 팔려갔다는 이야기 (百里奚自?於秦)

제10편 만장[萬章] 하
1. 공자는 때를 잘 가린 성인 (孔子聖之時者也)
2. 주나라 왕실의 작위ㆍ봉록 서열 (周室班爵祿)
3. 벗을 사귀는 일에 대해 (敢問友)
4. 군주가 예물을 보내는 것은 (敢問交際何心也)
5. 벼슬살이는 가난 때문에 하는 것은 아니다 (仕非爲貧也)
6. 선비가 제후에게 의탁하지 않는 까닭은 (士之不託諸侯)
7. 군주를 찾아가는 것은 옳지 않다 (往見不義也)
8. 고인을 숭상하며 사귄다 (是尙友也)
9. 제 선왕이 경에 대해 묻다 (齊宣王問卿)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