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족, 수난의 역사에서 길을 묻다

조동환 | 좋은땅 | 2017년 10월 13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9,000원

판매가 9,000원

도서소개

왜 우리 한민족은 수난당해야 했던가? 수난 중에서 쓰러질 듯하면서도 쓰러지지 아니하고 오뚜기처럼 민족을 지켜온 저력은 어디에서 나왔을까?

이 두 가지 명제를 긍정과 부정의 측면에서 검토 연구하고 어떻게 하면 민족을 보존하고 과거 우리가 지녔던 웅혼한 기상과, 말달리며 중원과 한반도, 만주를 호령하던 그 기상을 되찾아서 민족의 미래를 찬란하게 복원할 수는 없을까 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던지고 있다.

저자소개

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졸업
 민주화 운동으로 위 대학에서 제적
 경찰청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고문기술자 이근안에게 40일간 고문당함
 백범 김구 선생 암살범 안두희 처단 박기서 의사 석방대책위원장
 일본 역사교과서 바로잡기 운동본부 상임위원
 과잉주차단속시정 대책위원장(MBC 시사매거진 출연)
 외국인범죄추방 국민연대 대표
 박정희 기념관 건립 반대, 친일 반역자 청산 운동 등 주로 민족정기 확립을 위한 시민활동을 함

목차소개

제1편 韓民族은 왜 수난당해야 했던가•23

제1장 기존의 한민족 수난 이유에 대한 비판 •27

제1절 반도국의 지리적 숙명론•27
1. 반도적 숙명론의 배경•27
1) 침략의 유형
2) 일본 제국주의 침략의 양상(樣相)
3) 반도적 숙명론의 논지
2. 반도적 숙명론•31
1) 자연환경의 역사적 의미
2) 세계의 반도국은 모두 수난만을 당하고 살아왔는가
3) 지리적 숙명론이 창출해낸 인간 부재의 역사는 일본 열도와 일본 역사를 팔아먹는 이론이다
4) 지리적 숙명론이 만든 한국사의 주변성(周邊性), 부수성(附隨性), 사대성(事大性)은 일본사의 특징

제2절 부정적인 민족성론•37
1. 민족성의 고찰•38
2. 당파성, 의뢰성, 뇌동성, 사대성의 문제와 그 본질•40
1) 당파성의 문제와 그 본질
2) 의뢰성의 문제와 그 본질
3) 뇌동성(雷同性)의 문제와 그 본질
4) 사대성의 문제와 그 본질


제2장 한민족사의 조명(照明) •47

제1절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歷史觀)•47

제2절 한민족사의 개관(槪觀)•56
1. 삼국통일 이전의 한민족 웅비의 역사•59
1) 중국의 수문제(隋文帝)와 고구려의 투쟁
2) 고구려와 수양제(隋陽帝)의 113만 대군의 결전(決戰)
3) 수양제의 2차 침입과 패전
4) 수양제의 3차 침입과 수의 멸망
5) 당태종의 침략과 고구려의 승리
2.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한민족 수난의 역사•84


제3장 국력론(國力論) •121

제1절 국력이란 무엇인가•121
1. 국력이란 무엇인가•121
1) 국력평가의 상대성(相對性)
2) 국력의 신축성(伸縮性)및 과학성
3) 4대력(정신력, 경제력, 군사력, 외교력)의 상호유기적 연관성

제2절 정신력이란 무엇인가•125
1. 정신력이란 무엇인가•126



제2편 한민족을 무엇이 지켜왔던가•155

제1장 건국 이념에 어린 한민족의 뿌리 •156

제1절 건국 신화에 대한 바른 이해•158
제2절 건국 신화를 대하는 기본 태도•162
제3절 건국 이념에 어린 인간주의•165

제2장 무엇이 고구려를 강하게 만들었던가 •171

제1절 고구려 강성의 원인•171
제2절 선인집단에 대한 고찰•175
제3절 무엇이 선인정신인가•178

제3장 무엇이 삼국통일을 가져오게 하였는가 •181

제1절 화랑집단의 연원•181
제2절 화랑집단에 대한 고찰•183
제3절 삼국통일의 정신적 기초•186

제4장 고려의 항몽정신 •194

제1절 항몽전쟁의 역사적 배경•194
제2절 항몽전쟁의 정신적 근거•199

제5장 임진왜란 의병운동 •203

제1절 임진왜란 발발의 역사적 배경•203
제2절 의병의 봉기•213
제3절 의병정신의 근거•217

제6장 동학농민혁명 •221

제1절 동학혁명의 역사적 배경•221
제2절 동학혁명군의 봉기•225
제3절 동학혁명의 사상적 근거•231

제7장 한말 의병정신 •236

제1절 한말 의병봉기의 역사적 배경 •236
제2절 한말 의병의 봉기•238
1. 을미의병•238
2. 병오의병•242
3. 정미의병•245
제3절 한말 의병정신의 근거•252




제3편 한민족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261

제1장 정신력과 민족 사상 •263

제1절 민족 사상과 민족 운명•264
제2절 한민족사와 정신혁명 •267
1. 사상면에서의 정신혁명•269
2. 정신혁명에 수반되는 제도상의 혁명•276
3. 의식혁명(意識革命)•277
4. 문화면에서의 영속성(永續性) 보장•278
5. 정신혁명의 실천으로서의 민족운동•280

제2장 한민족 문화상의 문제점 •283

제1절 창조적 문화발전의 저해(沮害)•284
제2절 민족 단결매체(團結媒體)의 빈곤•290

제3장 왜 일본은 저토록 강성한가 •297

제1절 일본에 대한 기본인식•298
제2절 신도(神道)와 천황제•306
제3절 무사도(武士道)•313
1. 하가꾸레(葉隱)의 일화(逸話)•314
2. 가무기(歌舞伎:고전연극) 충신장(忠臣藏,쭈우신구라)•314

제4장 한민족 사상 정립에 요하는 기본 구상 •323

제1절 인생 안에서의 보장•323
1. 이순신 장군•329
2. 안중근 의사•330
3. 윤봉길 의사•331
4. 최익현 선생•332
5. 백범 김구 선생•333
제2절 현세주의의 극복•335
제3절 세계적 보편성과 민족적 특수성•337
제4절 사상의 논리, 보급, 신화•340
제5절 목적의식의 배제와 사실적 근거•344



제4편 한민족 웅비의 철학•347

제1장 한민족 웅비의 기초로서의 인생 철학 •349

제1절 무엇이 인간 존재인가•349
제2절 무엇이 산 것이며 무엇이 죽은 것인가•352
1. 살아있다는 증거가 있는가•352
2. 삶과 죽음의 정체•353
1) 생사의 시한성(時限性)
2) 생사의 상대성(相對性)
3) 생사의 자연성(自然性)
제3절 생사의 유형•357
1. 죽음 속의 삶(死中生)•360
1) 소크라테스
2) 안중근 의사
3) 이봉창 의사, 면암 최익현, 단재 신채호
2. 죽음 속의 죽음(死中死)•365
3. 삶 속의 삶(生中生)•366
4. 삶 속의 죽음(生中死)•367
제4절 어떠한 인생이 있는가(인생의 유형)•368
1. 허겁지겁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369
2. 이럭저럭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373
3. 오락가락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375
4. 오로지 인생(정신의 생명 > 육신의 생명)•377
제5절 왜 나는 한민족인가(韓民族의 民族觀)•380
1. “나” 의 육신의 정체•381
2. “나”의 정신의 정체•383
제6절 왜 나는 한국인인가(韓民族의 國家觀)•385

제2장 한민족 존재의 좌표(인생의 길=민족의 길=세계에의 길) •388

제1절 왜 나는 존립하고 있는가(自我存立의 根據)•388
제2절 무엇 때문에 사는가(存在理由)•389
제3절 무엇 위해 살 것인가(存在目的)•392
제4절 어떻게 살 것인가(存在方式)•399
1. 한민족 개아(個我)의 존재 방식•399
1) 직업을 통한 정신의 생명
2) 능력과 소질을 통한 정신의 생명
3) 생명과 재산을 다 바친 정신의 생명
2. 한민족 전아(全我)의 존재 방식•406
제5절 무슨 보람에 살 것인가(存在價値)•407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