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을 읽다

정인경 | 여문책 | 2016년 12월 07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2,460원

판매가 12,460원

도서소개

역사, 철학, 우주, 인간, 마음의 ‘앎’을 통해
공생의 지혜로 나아가는 과학 지식의 향연!

이 땅에서 우리의 시각으로 ‘과학기술하기’를 표방해온 정인경 박사가 전작 『뉴턴의 무정한 세계』 이후 독자들과 더 가깝게 소통하기 위해 ‘과학책 읽어주는 여자’로 변신했다. 누구나 이름을 대면 알 만한 다수의 과학책들, 예컨대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나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등은 오랜 세월 한국 독자들에게도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지만 완독을 한 사람이 얼마나 될까 싶은 책들이기도 하다. 평소 독자들의 이런 아쉬움을 해소해줄 수 있는 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으로 정 박사는 독자와 좋은 과학책을 이어주는 징검다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책 『과학을 읽다』를 구상했다. 이 책은 워낙 유명해서 일단 사두기는 하지만 쉽게 읽어나가기는 쉽지 않은 이런 과학책들을 인문학의 시선으로 들려주며 과학적 통찰에 이르게 하는 길을 안내한다. 더불어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올바른 ‘가치판단’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우리의 과학 공부 자체가 잘못되었음을, 과학이 지식으로서 가치가 있으려면 삶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쳐야 함을 강조한다. 한마디로 과학기술은 도구가 아니며 그 어느 때보다 과학의 윤리적·철학적 성찰이 필요한 시대임을 역설한다. 과학에서 통찰을 얻기 위해서는 인간의 삶과 철학을 폭넓게 살펴볼 필요가 있기에 역사와 철학의 문제로 이야기를 시작해서 우주, 인간, 마음(뇌과학)의 세계로 점차 확장해가는 방식을 취한다. 뉴턴, 갈릴레오, 다윈, 재레드 다이아몬드, 칼 세이건, 스티븐 호킹, 리처드 도킨스, 프랜시스 크릭, 샘 해리스 같은 과학자들의 대표 저서는 물론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비트겐슈타인 같은 철학자들의 대표작과 롤랑 바르트, 이탈로 칼비노, 조지 오웰, 프리모 레비 등의 문학작품까지 두루 소개하는 인문학적 글쓰기에 풍부한 도판을 곁들여 독자들이 좀더 쉽고 친근하게 드넓은 과학의 세계로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핵심을 흥미롭게 들려준다.

문과와 이과를 두루 섭렵한 저자는 이제 인문학과 과학은 반드시 융합 학문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하는데, 그런 만큼 이 책은 문과와 이과를 놓고 선택의 고민을 하는 학생은 물론 평소 과학을 어렵고 멀게만 느껴온 성인 독자와 이공계라는 전문영역에 갇혀 인문학적 감수성을 도외시한 과학 분야 종사자들까지를 모두 아우르는 통합적 사고의 미학을 보여준다.

저자소개

시작하며 | 코끼리와 시인

01 역사, 절박한 삶의 현장

롤랑 바르트의 『애도일기』: 나는 그 사람이 아프다
도널드 조핸슨의 『루시, 최초의 인류』: 인간에게 에덴동산은 없었다
스티븐 미슨의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사랑에 빠진 네안데르탈인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과학자가 쓴 역사책, 인간의 거대 서사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문명의 붕괴』: 세계는 불평등하고 지속 불가능하다!

02 철학, 앎을 향한 치열한 열망

카렌 암스트롱의 『축의 시대』: 종교, 인간의 문명을 만들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모든 인간은 본성적으로 앎을 원한다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뉴턴은 형이상학을 어떻게 극복했는가
이마누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 앎이란 무엇인가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 철학에 대한 새로운 정의, 철학은 학문이 아니다

03 우주, 모든 존재의 시작

이탈로 칼비노의 『우주만화』: 우리가 듣고 싶은 우주 이야기
갈릴레오의 『갈릴레오가 들려주는 별 이야기-시데레우스 눈치우스』: 실재를 탐구한다는 것의 의미
EBS 다큐프라임의 『빛의 물리학』: 만물의 근원, 빛을 이해하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누가 과학을 두려워하는가
스티븐 호킹의 『위대한 설계』: 철학은 죽었다!

04 인간, 생각하는 기계의 출현

조지 오웰의 「교수형」: 인간 본성에 대한 고발
에른스트 마이어의 『진화란 무엇인가』: 진화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어나는 개체군의 특성변화
찰스 다윈의 『인간의 유래』: 아, 너는 유물론자구나!
리처드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 생명이란 무엇인가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 우리는 무엇을 원하는가

05 마음, 뇌의 활동

프리모 레비의 『이것이 인간인가』: 기억의 고통을 넘어서
로돌포 이나스의 『꿈꾸는 기계의 진화』: 생각, 진화적으로 내면화된 운동
프랜시스 크릭의 『놀라운 가설』: 인간은 한 다발의 뉴런이다!
폴 새가드의 『뇌와 삶의 의미』: 도덕적 직관을 타고났으므로
샘 해리스의 『신이 절대로 말할 수 없는 몇 가지』: 가치 없는 사실은 없다

끝마치며 | 한국에서 ‘과학기술하기’
미주

목차소개

저 : 정인경

1963년 인천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수학과에서 공부했다. 한국의 많은 80년대 학번이 그러하듯 타는 목마름으로 민주주의를 외치며 20대를 보냈다.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한국과학사를 전공했고 이과에서 문과로 전향해 일제 식민지기의 연구자로 30대를 보냈다. 40대에 들어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어느덧 한국의 문화적 토양에서 ‘과학기술하기’가 연구 주제이면서 삶이 되었다. 글쓰기가 한국 사회를 바꾸는 사회참여 활동이라고 생각하며 좋은 과학책을 쓰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뉴턴의 무정한 세계』, 『보스포루스 과학사』, 『청소년을 위한 한국과학사』 등이 있고, 현재는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 협동과정에서 강의를 하며 젊은이들과 삶과 과학에 대해 즐겁게 소통하고 있다.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