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치원 한시집

최치원 | 도서출판DRM연구원 | 2021년 03월 27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8,700원

판매가 8,700원

도서소개

이 책은 한국 한문학과 유학의 시조라고 알려진 고운 최치원 선생이 쓴 한시 총 147편을 수집해서 한시 원문과 우리말 한역을 같이 수록했다. 최치원의 저작인 [계원필경집]과 [고운집]을 주로 참조했으며, 그 외에 [동문선]과 [천재가구], [국조시선] 등을 참조했다. 이제까지 간행된 고운 최치원의 시집 가운데 수록 작품이 가장 많은 최치원 한시의 집대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최치원(崔致遠; 857년 신라 문성왕 19년·헌안왕 1년 생~사망 연도 미상)은 신라 하대 학자·문신·문장가이다. 한림학사·부성군태수·아찬을 역임했고, 신라 3최의 한 사람이다. 경주 최 씨 시조이며, 신라 6두품 대표 지식인이다. 유학(儒學)의 선구자였으며, 도교 경전 「천부경」의 저자이기도 하다. 한국 최초의 고대 소설가이고, 한국 최초의 서사 문학집 『신라수이전』의 중편자이다. 한국 최초의 개인 문집 『계원필경』의 저자이며, 신라 향가 이후, 대구 형식 4·6변려문의 대가이기도 하다.

편역자 나종혁(羅鍾赫)은 충남 아산 생으로, 서강대 대학원 박사를 수료하고, 서강대?배화여대?덕성여대 평생교육원?한신대 강사, 서남대 전임 교수를 역임했다. 현 디지털컨설팅 대표, 도서출판 DRM연구원 대표, 진로학습상담연구소 소장이다. 대표 저서는 『최치원전』, 『최치원 서첩(흑백본)』, 『한국 고대시 선집』 I~II, 『신라 향가집』, 『고려 가요집』, 『한국시론』 외 다수가 있다.

목차소개

<원작자 약력연표>
5
서문
57
최치원 한시 147편
91
I. 『고운집』(孤雲集) 권1 32편
93

95
흥겨움(寓興)
97
접시꽃(蜀蔡花)
101
강남의 여인(江南女)
105
옛 생각(古意)
110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114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118
길에서(途中作)
121
요주 파양정에서(饒州?陽亭)
124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127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130
봄날(春日邀知友不至)
133
유별(留別?京金少尹)
136
금천사(贈金川寺主)
139
재곡의 난야(贈梓?蘭若獨居僧)?「증독거승」(贈獨居僧)
142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145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둔세시」(遁世詩)
148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與于愼徵長官接隣)
151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155
운봉사(題雲峯寺)
159
당성에서(旅遊唐城贈先王樂官)
163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167
가을날(秋日再經旴?縣寄李長官)
172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歸江南)
176
봄날 새벽(春曉偶書)
180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184
장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村居病中?寄)
189
바다에 뜨다(泛海)
194
여지도(題輿地圖)
198
고소대(姑蘇臺)
201
벽송정(碧松亭)
204
희랑화상에게(贈希郞和尙)?6수
207
호원상인에게(寄顥源上人)
216
II. 『고운집』 권2 2편
221
사산비명(四山碑銘)
223
낭혜화상 비명(朗慧和尙碑銘)
225
진감선사 비명(眞鑑禪師碑銘)
232
III. 『고운집』 권3 6편
239
사산비명(四山碑銘)
241
숭복사 비명(崇福寺碑銘)
243
지증대사 비명(智證大師碑銘)
249

257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佛國寺釋迦如來像幡贊)
259
불국사 아미타불상 찬(佛國寺阿彌陀佛像讚)
264
순응화상 찬(順應和尙贊)
269
이정화상 찬(利貞和尙贊)
275
IV. 『계원필경집』(桂苑筆耕集) 권17 31편
279

281
재헌계(再獻啓)
283
칠언기덕시(??記德詩) 30편
289
병기(兵機)
291
필법(筆法)
295
성잠(性暫)
299
설영(雪詠)
303
사조(謝?)
307
안화(安化)
311
연병(練兵)
315
반계(磻溪)
319
사호(射虎)
323
진성(秦城)
327
생사(生祠)
331
사편(射鞭)
335
안남(安南)
339
천위경(天威徑)
343
작구경(??徑)
347
수성비(收城碑)
351
집금오(執金吾)
356
천평(天平)
360
조어정(釣魚亭)
365
상인(相印)
370
서천(?川)
375
평만(平蠻)
380
축성(築城)
384
형남(荊南)
388
조운(漕運)
393
절서(浙?)
397
항구(降寇)
401
회남(淮南)
405
조상청(朝上淸)
410
진정(陳情)
414
V. 『계원필경집』 권20 27편
419

421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詩)
423
좌주 상서에게 보내는 화운시 절구삼수(奉和座主尙書避難過維陽寵示絶句三首)
427
귀연음(歸燕吟獻太尉)
432
양섬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送別)
436
감사의 시(?次山陽續蒙太尉寄賜?段令充歸覲續壽信物謹以詩謝)
440
이별(留別女道士)
444
진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進士楊贍送別)
447
사례의 시(楚州張尙書水郭相迎因以詩謝)
450
오만 수재에게 보내는 화답시 이절구(酬吳蠻秀才惜別二絶句)
453
바위 봉우리(石峯)
458
바다 물결(潮浪)
462
바닷가 모래톱(沙汀)
466
들불(野燒)
470
진달래꽃(杜鵑)
474
바다 갈매기(海鷗)
478
바윗돌(山頂危石)
482
어린 소나무(石上矮松)
486
단풍나무(紅葉樹)
490
흐르는 샘물(石上流泉)
494
벗에게 보내는 화운시(和友人除夜?寄)
498
봄바람(東風)
501
바닷가의 봄(海邊春望)
504
한가로운 봄날 새벽(春曉閒望)
507
바닷가를 거닐며(海邊閒步)
510
참산의 봄(將歸海東嶢山春望)
513
김 원외의 시에 대한 화운시(和金員外贈嶢山淸上人)
517
해문 난야의 버들(題海門蘭若柳)
520
VI. 『동문선』(東文選) 26편
523
1) 권9 4편
525
장안의 여사(長安旅舍興于愼徵長官接隣有寄)
527
운문의 난야(贈雲門蘭若智光上人)
527
운봉사(題雲峯寺)
527
당성에서(旅遊唐城有先王樂官將?歸夜吹數?戀思悲泣以詩贈之)
527
2) 권12 9편
529
자화사(登潤州慈和寺上房)
531
가을날(秋日再經旴?縣寄李長官)
531
강남의 산으로 들다(送吳進士巒歸江南)
531
봄날 새벽(春曉偶書)
513
벗 고운에게 보내는 화답시(暮春卽事和顧雲友使)
531
태위 진정서(陳情上太尉)
532
장 진사에게 보내는 화답시(和張進士喬村居病中?寄喬字松年)
532
수재 양섬에게 보내는 화답시(酬楊贍秀才)
532
들불(野燒)
532
3) 권19 12편
533
가을밤 빗속에서(秋夜雨中)
535
우정의 밤비(郵亭夜雨)
535
길에서(途中作)
535
요주 파양정(饒州?陽亭)
535
이별 이야기(山陽與鄕友話別)
535
우강역 정자(題芋江驛亭)
536
봄날(春日邀知友不至因寄絶句)
536
유별(留別?京金少尹峻)
536
금천사(贈金川寺主)
536
재곡의 난야(贈梓?蘭若獨居僧)
536
황산강 임경대(黃山江臨鏡臺)
537
가야산 독서당(題伽倻山讀書當)
537
4) 권50 1편
539

541
불국사 석가여래상 번찬(華嚴佛國寺繡釋迦如來像幡贊)(『고운집』 권3)
543
VII. 『국조시선』(國朝詩選) 2편
545
해인사(海印寺)
547
야증악관(夜贈樂官)
548
VIII. 『지리산 시첩』(智異山詩帖) 9편
553
지리산?제1수(智異山第一首)
555
지리산?제2수(智異山第二首)
556
지리산?제3수(智異山第三首)
556
지리산?제4수(智異山第四首)
556
지리산?제5수(智異山第五首)
557
지리산?제6수(智異山第六首)
557
지리산?제7수(智異山第?首)
558
지리산?제8수(智異山第八首)
558
지리산?제9수(智異山第九首)
565
IX. 『천재가구』(千載佳句) 연구(聯句) 9편
569
연주에서 이원외에게 보내는 헌시(?州留獻李員外)
571
자화산에 오르다(登慈和山)
575
장안의 버드나무(長安柳)
579
낙양에서 벗에게 보내는 증시(留贈洛中友人)
583
동생 엄부를 집으로 보내며(送舍第嚴府)
587
봄날(春日)
591
진사 전인의에게(成名後酬進士田仁義?贈)
595
강물 위에서 봄을 생각하며(江上春懷)
599
X. 「향악잡영」(鄕樂雜詠) 5편
603
향악잡영―제1수(鄕樂雜詠第一首) 금환(金丸)
605
향악잡영―제2수(鄕樂雜詠第二首) 월전(月顚)
610
향악잡영―제3수(鄕樂雜詠第三首) 대면(大面)
614
향악잡영―제4수(鄕樂雜詠第四首) 속독(?毒)
618
향악잡영―제5수(鄕樂雜詠第五首) 산예(?猊)
622
XI. 기타(其他)
627
해인사 운양대 길상탑기(海印寺雲陽臺?祥塔記)
629
해인사 선안주원 벽기 절구삼수(海印寺善安住院壁記)
636
공산성(公山城)
641
산승에게(贈山僧)
645
변하의 옛 생각(?河懷古)
649
신축년 진사 오첨에게 보내다(?丑年寄進士吳瞻)
653
율수 최소부에게 보내는 증시(贈?水崔少府)
657
이전 장관의 겨울날 산사 방문 화답시(和李展長官冬日遊山寺)
661
새벽의 노래(詠曉)
665
천부경(天符經)
676
여행에서 만난 벗(亂後旅中遇友人)
685
천학(天鶴)
689
구룡폭포(九龍瀑布)
693
계림요(鷄林謠)
696
환동국(還東國)
699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