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발(始發) 헬조선~ 조선왕조에 묻다

김신우 | 흥미로운 미디어 | 2020년 01월 15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9,000원

판매가 9,000원

도서소개

잘되면 내탓, 안되면 조상탓

이씨조선의 잘못된 출발과 현격하게 줄어든 국력 및 편향된 사상에 이르기까지 지금에 이르러서야 이를 탓하는 것도 내로남불인가. 그럴지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탓하고자 한다. 작금의 현실이 자꾸만 과거의 역사를 되돌아보게 하기 때문이다. 그때 조금만 더 위정자들이 자신들의 안위와 이익에만 치우치지 아니하고 좀 더 백성을 위하는 정치, 현명한 선택을 했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안타까움의 발로에서이다. 되돌릴 수 없는 역사임에도 굳이 그때의 선택을 탓하는 것이 무에 그리 중요하겠냐마는 되돌아봄으로 인해 그때의 과오를 그때의 무지함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함이라는 위안과 각오를 다짐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역사는 반드시 되풀이된다. 이것은 변함없는 진실이자 진리이기도 하다. 유수히 흘러흘러 지나온 역사의 발자취가 이를 증명한다. 작금의 현실을 일깨우는 명언이기도 하다. 이념의 차이를 빌미로 진보니 보수니 하며 상대를 찢어죽일 듯 비방하고 적대시하는 정치권과 극심한 사회의 불신기조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 모든 것들이 지도자들의 무능과 부패로 인한 결과라고 비판하고 지적한다면 지나친 비약일까? 물은 아래에서 위로 흐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일개 백성의 언어와 행동이 특정 지도자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 모이고 모여 여론으로 형성된다면 모를까. 반면 정치 지도자나 인지도 있는 사회 각 영역의 지도층의 한 마디는 커다란 이슈가 되고 반향을 일으키며 사회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지도자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 반증하는 대목이다.

이 책을 빌어 안타까움을 표현하고자 한다. 우리 민족 역사에서의 이씨조선의 수많은 과오와 역사선택의 불가피함을 회피했더라면 하는 바람 말이다.
“조선왕조에 묻다“ 집필을 마치며
2019.8월 행정학박사 김신우

저자소개

시발(始發) 헬조선 ~ 조선왕조에 묻다
역사와 조선의 잘못된 만남

著者(저자) 소개





김 신 우
현 서울디지털대학교 교수
현 (주) BP기술거래 이사
현 국립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총동문회장

1982 : 고입 검정고시
1984 : 대입 검정고시
2007 ~ 2010 서울디지털대학교 행정학 학사
2010 ~ 2013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 석사
논문 : 효과적 부패방지를 위한 양형기준의 합리화 방안
2013 ~ 2015 숭실대학교 행정학 박사
논문 : 고령시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한 역모기지 가입의사
결정요인 연구
2017.3 : 연결고리 없는 한국의 산업 4.0 저자(著者)
2018.1 : 지식재산권의 이해 개정판 저자(著者)
2018.1 : 재미진(眞) 고사성어 편저자(編著者)
2019.2 : 아베의 민족주의(파시즘) 저자(著者)
2019.8 : 시발(始發) 헬조선, 조선왕조에 묻다 저자(著者) 외 다수

^흥미로운 미디어^
주소 : 경기도 부천시 부일로 642. 1층 흥미로운 미디어
전화 : HP : 010-8364-7999 Fax : 0303-3130-4638
이메일 : staryle@naver.com
블로그 : https://blog.naver.com/staryle 또는 네이버에 용수령

목차소개

시발(始發) 헬조선 ~ 조선왕조에 묻다
역사와 조선의 잘못된 만남

< 목차 >

Prologue

조선왕조 失期(실기)의 역사 3대요인

첫째, 요동정벌론(북벌론, 쌍성총관부 고토 회복) 좌절 10

고려의 마지막 무신 崔瑩(최영, 1316 ~ 1388) 10


둘째, 고려 멸망의 단초 威化島 回軍(위화도 회군) 16

1. 출정(出征) 16
2. 과정(過程) 17
3. 회군(回軍) 18
功罪論(공죄론) 19
4. 조선왕조 연대표 26
1) 태조 이성계(太祖) 27
2) 정종 이방과(定宗) 38
3) 태종 이방원(太宗) 41
4) 세종 이도(世宗) 46
5) 문종 이향(文宗) 54
6) 단종 이홍위(端宗) 57
7) 세조 이유(世祖) 61
8) 예종 이황(睿宗) 65
9) 성종 이철(成宗) 67
10) 연산군 이융(燕山君) 70
11) 중종 이역(中宗) 74
12) 인종 이호(仁宗) 77
13) 명종 이환(明宗) 79
14) 선조 이연(宣祖) 81
15) 광해군 이혼(光海君) 87
16) 인조 이종(仁祖) 90
17) 효종 이호(孝宗) 94
18) 현종 이연(顯宗) 97
19) 숙종 이순(肅宗) 99
20) 경종 이윤(景宗) 103
21) 영조 이금(英祖) 105
22) 정조 이산(正祖) 111
23) 순조 이공(純祖) 114
24) 헌종 이환(憲宗) 116
25) 철종 이원범(哲宗) 118
26) 고종 이명복(高宗) 120
27) 순종 이척(純宗) 124


셋째, 事大主義(사대주의)와 崇儒抑佛(숭유억불) 정책 127

사대주의(事大主義) 131

숭유억불(崇儒抑佛) 135
1. 유교(儒敎)란? 135
1) 유교의 근본이념 135
(1) 사랑의 철학 135
(2) 변화의 철학 136
2) 유교의 윤리사상 137
3) 유교의 정치사상 140
4) 유교의 현실관 142
5) 유교의 종교성 143
6) 주자의 성리학 145
2. 억불 사례 146
억불정책의 방법과 영향 149

3. 崇儒의 실행 (주자 性理學) 152
1) 개요 152
2) 조선 이전부터의 유교 152
3) 여말선초 156
4) 조선 초기 158
5) 조선 중기 168
6) 조선 후기 176

< 맺음말 > 189

< 참고 자료 > 192

(重言復言, 더 하고픈 말) 195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