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심과 화쟁 그리고 무애행과 원융회통의 불교철학, 원효 철학

탁양현 | e퍼플 | 2018년 09월 28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화쟁적 회통이론과 저항적 비판이론
그리고 부드러움의 철학



시나브로 지난 삶의 여정을 회상할 즈음이면, 죽음의 그림자가 이미 삶의 언저리를 서성인다. 그런데 그 그림자를 두려워하게 되면, 이제 남겨진 삶의 여정은, 너무도 고통스런 ‘고난의 행군’이 되어버린다. 누구라도 그러하겠지만, 지난 시절을 회상하면, 온갖 회한만이 찾아들기 십상이다.
그저 살아내는 동안, ‘오늘도 무사히’ 하면서 하루하루를 겨우겨우 견뎌냈는데, 수십 년을 살아냈는데도, 삶의 상황은 여전히 별반 나아진 게 없다. 그런 것이 인생인 모양이다. 요행히 아주 대단한 행운을 움켜쥐었다면 모르겠으나, 현실세계의 절대 다수는, 고만고만한 욕망의 충족에 만족하며, 그저 그렇고 그런 삶을 살아낼 따름이다.
그러니 그런 극소수의 엄청난 행운을 天運이라고 하는 것이다. 천운은 그야말로 ‘하늘이 내려준 운수’라는 의미다. 그러니 그 확률이 천문학적인 수준을 넘어서서, 인간존재의 인식 차원을 넘어서는 天數學的인 차원으로 접어들어버린다. 그런 천운의 주인공이 아니라면, 나머지 절대 다수 인간존재의 삶이란, 죄다 ‘도토리 키재기’ 식의, 오십보 백보일 따름이다.
그래서 먼저 살아낸 이들이면 죄다, 삶의 고통과 삶의 허무를 논변했던 모양이다. 하지만 청춘의 시절에는, 그런 얘기들이 당최 납득되지 않는다. 필자의 아둔한 체험에 의하더라도, 인간은 직접 체험하지 않는 한, 결코 깨달을 수 없는 존재임이 자명하다. 그러다보니 ‘지금 아는 것을, 좀 더 일찍 알았다면’ 하며 안타까워 하지만, 인생의 수레바퀴는 결코 되돌릴 수 없다.
그렇다면 후회와 회한 속에서 늙어가며 죽음을 맞이하면 되는 것인가. 이미 지나버린 상황을 후회하는 일은, 실상 삶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차피 인생이란, 進退兩難이며 四面楚歌일 따름이다. 실로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는 채로, 시나브로 늙어가고 죽어가는 것이 인생이다. 그렇다면 이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현실세계의 절대적 다수는 弱者이며 被支配者이다. 애당초 지구별 안에서, 强者이며 支配者가 될 수 있는 자는 극소수일 따름이다. 예컨대, 한 가족 안에서도 강자는 단 한 사람이며, 그 외의 구성원은 그를 추종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는, 확장된 집단공동체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지구별에서 가장 거대한 집단인 국가의 경우에도 그러하다. 수백여 개의 국가공동체가 있지만, 覇權國은 단 하나일 따름이다. 그 외의 국가들은 좋든 싫든 패권국을 추종해야 한다. 그런 것이 생존의 방식이다. 다만 간혹 역사 안에는, 그러한 원리에 저항하는 자들이 있다. 결국 그런 자들의 삶은 고통과 고난으로 점철된다.
그런데 아주 기괴하게도, 절대적 다수의 약자들은 그런 고통과 고난을 감내하는 자들을 숭앙한다. 그것은, 자기도 그런 강자가 되고 싶지만, 애당초 그러한 역량을 지니지 못한 탓에, 어쨌거나 부드러운 다수로서 근근이 생존해야 하는 상황에 대한 反動이다.
그러한 인간존재의 二律背反的 삶의 방식을, 지극히 논리적으로 간파한 최초의 철학자가 老子다. 노자의 철학사상은 본래 帝王學으로서의 성향이 강하지만, 그 이면에서 작동하는 원리는, 약자로서 절대 다수의 인간존재를 목적하므로, 원효의 철학사상에 대해 시기적으로 先導的인 양상을 보여준다.

“천하에서 물만큼 柔弱한 것은 없다. 그러나 堅强한 것을 극복하는 데는, 물보다 강한 것이 없다. 유약은 물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노자철학의 중요한 특징이다. 노자가 볼 때, 유약한 물의 본성은, 곧 道의 속성이기도 하다.
예컨대, 사람이 살아 있을 때는 유약하지만, 죽으면 견강해지기 때문이다. 초목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상적인 삶의 방향은, 표면적으로 볼 때, 견강한 것이 아니라, 이면에 유연함과 유연함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약하면서도 견강하고, 견강하면서도 유연할 때, 비로소 이것을 진정한 천하의 至柔라고 할 수 있다.
노자가 유연한 물의 성질과 이미지를 자연현상에서 체득하여, 인간존재의 이상적인 본보기로 삼은 것은, 충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때문에 노자는, 虛에 오히려 창조적 활동이 있음을 강조한다. 허의 지극함에 이르고, 고요함을 돈독히 하면, 만물이 더불어 지어진다는 표현처럼, 노자는, 참된 존재와 인식에 도달하면, 모든 대립이 용해되어, 진정한 평화에 이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렇게 볼 때, 노자의 허와 靜은, 단순히 삶의 소극적 태도를 존중하는 의미 이상의 무엇을 지시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즉, 참된 존재는 한정된 형상이 아니며, 무형상적 허가 모든 형상을 형상이게끔 해주는 근원적인 존재임을 말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감각적으로 지각되는 운동이나 변화의 현상은, 본래 그대로인 정적인 본성 그대로의 자기표현일 뿐이며, 또 필경 본성으로 복귀될 수밖에 없는 것들임을 말하려고 하는 것이다.
-하략-

저자소개

元曉의 哲學思想이 지향하는 바는 圓融會通이다. 원융회통이란 ‘원만히 융합하여, 모두 통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원융회통을 실현한다면, 원융회통의 과정에 있는 모든 대립과 갈등은 해소되고 해결된다. 그러한 해방의 시공간이, 원효에게는 淨土이며 極樂으로서, 자연스레 無碍行을 실현하여, 스스로/저절로 無碍舞를 추게 되는 美學的 場이다.
이러한 會通主義的 思惟方式은, 老子 이후, 원효의 시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도록, 여전히 유효하며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반면에, 아주 재미나게도 근대사회에서 현대사회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西歐世界에서는 원효의 원융회통이론과 對蹠的인 지점에 배치될 만한 이론이 등장하여, 전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게다가 그 반향의 慣性은,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하며, 현재까지도 유지되어 진행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는, 2천여 년의 시공간적 간극을 넘어서는, 아주 재미난 비교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요새 膾炙되는 표현을 빌리자면, ‘보수와 진보’, ‘좌파와 우파’, ‘친미와 친중’, ‘반미와 반중’, ‘친중과 친일’, ‘반공과 종북’ 등, 아주 다양한 세력 대립의 樣相에 비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원효의 원융회통이론과 대척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은 바로, 흔히 위대한 거부를 목적하는 사유방식으로서 지칭되는 批判理論이다. 비판이론의 대표적 사상가로서, ‘도구적 이성으로의 전락’을 주장하는 ‘호르크하이머’, ‘부정적 사유’를 주장하는 ‘아도르노’, ‘마르크스’와 ‘마오쩌둥’과 더불어 3M으로 불리는 ‘마르쿠제’, 학생 집단에 주목하는 ‘하버마스’ 등을 거론할 수 있다.
그렇다면 비판이론의 주제는 무엇일까? 그것은 현대의 산업자본주의 아래에서, 民主主義라는 미명으로 교묘하게 숨어 있는, 全體主義的 요소를 벗겨내어 고발하고, 인간과 理性을 회복하자는 것이다. 그 어원은, 칸트의 ‘순수이성비판’과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비판’에서 따온 것이다. 흔히 비판이론가들은, ‘비판이 마비된 사회, 반대가 없는 사회는, 파쇼(fascio)的 權威主義의 정치 지배가 파놓은, 현대 문명의 함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끊임없는 체제에 대한 도전, 이른바 ‘프랑크푸르트학파’가 말한 ‘위대한 거부’는, 인간 회복 선언이자, 현재의 권위주의적 지배에 대한 학문적 저항이라 할 수 있다. 비판이론의 온상이 된 ‘프랑크푸르트학파’는,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의 ‘사회연구소’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이 연구소는 1923년에 창설되어, 나치 정권이 수립된 이듬해인 1934년에, 스위스와 프랑스를 거쳐 미국 뉴욕으로 옮겨 갔다.
그리고 미국 콜롬비아대학의 부설기관으로 있다가, 전쟁이 끝난 다음, 다시 프랑크푸르트로 옮겨 왔다. 여기에서 비판이론이 나오게 된 데에는, 다음과 같은 역사적 배경이 있다. 먼저 1920년대 말, 유럽은 어떤 상태였는가? 자유기업 경제체제가 무너지고, 자유민주주의는 아무런 힘도 발휘하지 못했으며, 사회민주주의 역시 그 허약성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새롭게 공산주의와 국가사회주의가 등장했지만, 독일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은, 어느 때보다도 긴박한 위기에 몰려 있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철학에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심리학 등 여러 분야를 받아들여, 일종의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했다. 말하자면, 인간을 그 전체적인 모습으로 파악하려고 했던 것이다.
특히 비판이론은, 현대 資本主義社會의 경제생활과 각 개인들의 심리적 발달, 문화적 산물이 서로 연관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즉, 학문, 종교, 예술, 법률, 관습, 여론, 오락, 스포츠와 같은 문화적 산물이, 자본주의 경제구조로 하여금, 인간의 심리를 조종해서, 기존의 질서에 순응하게 하고, 이에 상응하는 현실 긍정의 문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비판이론의 대표적인 사상가들을 누구인가.
먼저, ‘Max Horkheimer(1895~1973)’는, 독일 슈투트가르트 근교의 주펜하우젠에서, 유대계로서 태어난다. 호르크하이머는 그의 저서 ‘도구적 이성 비판’에서,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며, 철저히 시대적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정치적, 경제적 수단을 중앙집권화하고, 자동화하는 기술이, 인간 생활을 조직하고 조작하는 데 주역을 담당하고 있다.
예컨대, 이 시대의 기술은, 인간에게 인간답게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동적인 기술에 봉사하도록 만든다.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면서, 인간은 사회나 자연에 대해 한층 힘이 없어지고 말았다. 인간은 그의 개성, 인격, 명예로써 평가되지 않고, 상품성과 자동화된 기능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현대의 대중문화는 문화의 특수성을 잃어버린 문화이며, 대중사회 역시 ‘나’라고 하는 인간성이 빠져버린 조작적 사회다. 말하자면, 현대사회 전체가 방향을 잃어버린 셈이다. 본래 근대 유럽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도모하기 위해서, 합리적인 시민사회와 자유주의 경제체제를 마련했으며, 더욱이 과학과 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미래를 한층 더 밝게 보이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거대한 생산구조는 인간을 장악했고, 어느새 각 개인은, 자신의 안락한 생활을 위해, 자본주의의 질서에 순응하고 말았다. 그 결과, 개인의 자유는 오히려 위축되고, 이제 자유경쟁 대신에, 능률적인 통치 기구로서 국가가 바람직하게 여겨지게 되고 말았다.
고도의 생산성은 국가의 관리가 필요했고, 이에 따라 ‘국가 자본주의’가 탄생했던 것이다. 그래서 개인은 국가의 통치 대상, 자본주의 질서의 예속자, 생산 기계의 부품으로 전락해 버렸다. 비판이론은, 바로 이러한 개인의 예속 상태를 거부하며, 또한 “경제사회적 존재가 의식을 결정한다”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주장도 거절한다.
비판이론은, 개개인이 자신의 삶을 회복할 때, 비로소 인간의 어두운 운명이 밝게 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호르크하이머는, 아도르노와 공동으로 저술한 ‘계몽의 변증법’에서, 17~18세기에 나타난 ‘계몽적 이성’이 인간을 자유스럽게 했으나, 오늘날에는 반대로 인간을 부자유스럽게 억압한다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한때 주체적이고 자주적이었던 이성이, 어느새 인간의 자기보존이라는 이기적인 관심의 도구, 즉 ‘도구적 이성’으로 전락해 버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계몽적 이성의 자본주의는, 그 합리화를 통해, 계속해서 인간을 체제에 종속시킨다고 한다. 이렇게 볼 때, 이성은 비록 과학을 발달시키기는 했으나, 인간의 삶에 진정한 자유와 행복을 가져다주지는 못했다. 또 ‘계몽적 이성’이 ‘도구적 이성’으로 전락하면서, 비판이론가들은 합리주의에 등을 돌리고 말았다. 그들은 합리주의가 도리어 나치즘과 같은 전체주의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결국 아도르노는, 이성의 부정적 본질을 강조하면서, 전체주의적 성격의 자본주의를 극복하고자 한다.
-하략-

목차소개

▣ 목차





제1장. 元曉의 佛敎思想에 대한 槪括的 理解
修行, 求道, 祈福信仰, 發心, 精進, 衆生, 地獄, 阿修羅場, 無知, 無碍歌, 無碍舞, 道家,
上善若水, 自他不二, 無我, 空, 體得, 融二而不一, 圓融無碍, 金剛三昧經論, 自讚毁他,
菩薩道, 自利行, 利他行, 禪定, 智慧, 十重罪, 不淫戒, 自讚毁他戒, 智德, 修己安人, 中道,
聖俗不二, 空法修行, 修空, 國家佛敎, 護國佛敎, 本覺, 始覺, 宋高僧傳, 三國遺事,
金剛三昧經, 一味觀行, 無住禪, 眞禪, 止觀雙運, 定慧雙修, 不一不二, 順而不順, 不覺,
一心, 眞俗不二, 如來藏, 唯識學, 華嚴一心.

제2장. 元曉의 著述에 관한 考察
起信論疏ㆍ別記, 金剛三昧經論, 淨土論, 華嚴經疏, 無量空得, 圓融無碍, 十念, 無量光,
無量壽, 阿彌陀佛, 極樂淨土, 敎判觀, 華嚴觀, 淨土信仰觀, 佛身觀, 戒律觀, 實踐修行觀,
天順本, 縮刷本, 乾隆藏本, 一味觀行論, 止觀修行論,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法藏, 本覺,
解性, 地論宗, 子璿, 表員, 見登, 善株, 壽靈, 凝然, 湛睿, 高辨(明惠), 願曉, 最澄, 安然,
賴瑜, 法然, 良忠.

제3장. 元曉의 改革的 佛敎思想
起信論, 元曉, 知訥, 性徹, 大乘起信論, 施門, 戒門, 忍門, 進門, 止觀門, 上求菩提,
下化衆生, 淨土往生, 至誠心, 無量壽經宗要, 金剛三昧經論, 大乘起信論, 心眞如, 心生滅,
無量壽經, 淨土三部經, 華嚴經, 金剛經, 仁王經, 本業經, 瑜伽論, 寶性論, 大乘唯識論,
淨土, 穢土, 有漏, 無漏, 生滅門, 眞如門, 淨不淨門, 正定聚淨土, 自受用土, 審乘, 順高,
共不共門, 依報土, 南無阿彌陀佛.

제4장. 元曉의 和諍的 佛敎思想
楞伽經, 瑜伽唯識, 八識說, 生住異滅, 四相, 三細六麁, 五意, 意識, 六染心, 眞禪, 空空,
空空亦空, 所空, 俗諦, 眞諦, 本來無一物, 禪宗, 破邪顯正, 龍樹, 格義佛敎, 老莊, 三家義,
心無義, 卽色義, 本無義, 鳩摩羅什, 緣起, 中道, 假名, 三諦, 僧朗, 吉藏, 三論學派,
無[虛無], 非[否定], 相[自性, 實體], 偏見[虛妄, 惡趣空], 緣起, 無自性, 中道, 華嚴敎學,
華嚴經疏, 華嚴經宗要, 華嚴經網目, 華嚴一道章, 華嚴經文義要決問答, 中觀, 空觀, 正觀,
妙觀, 和觀, 非有非無, 無依無得.

제5장. 元曉의 會通的 佛敎思想
攝論宗, 空假中, 三諦, 三觀, 法界, 法身, 佛性, 善根, 法佛菩提, 報佛菩提, 應化佛菩提,
多聞薰習, 止觀行, 起信論疏, 起信論別記, 勝覽經疏, 中邊分別論疏, 二障義, 判比量論,
和諍論, 無量壽經宗要, 阿彌陀經疏, 法相宗, 華嚴宗, 三論宗, 楞嚴經, 攝大乘論, 天台宗,
眞言宗, 淨土宗, 判比量論, 金鼓經疏, 遊心安樂道, 永觀, 往生拾因, 珍海, 決定往生集,
四敎判, 涅槃宗要, 義天, 贊寧, 明慧, 澄觀, 宗密.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