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과 국제정치, 승자의 역사 기록, 태조 이성계의 역성혁명

조선왕조실록(탁양현 엮음) | e퍼플 | 2018년 09월 21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歷史的 史實과 實際的 事實



고려왕조 이후 조선왕조를 거치는 동안, 아주 오래도록 중국은, 우리 민족은 물론 동아시아의 先進的 未來像이었다. 그러다가 조선왕조 末期에 이르러 그러한 paradigm이 전복된다. 中國文明이 지닌 儒家式 통치이데올로기적 체제이론이, 더 이상 人類史의 방향성과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게
다가 중국이 社會主義的 Maoism을 체제이론으로 채택하면서, 중국은 한국이나 일본에게 전반적으로 뒤처지게 되었고, 동아시아의 미래를 제시할 수 없는 형편이 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런 국제정치적 상황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한 탓에, 우리 민족은 日帝强占이나 韓國戰爭이라는 뼈아픈 체험을 해야만 했다.
그러다가 러시아를 爲始한 세계의 共産主義 진영이 몰락하면서, 중국은 改革開放을 시도하게 되고, 그 결과 자의반타의반으로 경제적으로 급속히 발전하게 된다. 그래서 이제는 一帶一路式 中國夢으로써, 과거의 榮華를 되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런데 과연 중국이 과거의 영화를 재현할 수 있을까. 아무래도 그 전망은 어둡다. 아주 단순하게 살핀다면, 우선 美國이라는 세계 제1의 覇權國이 중국의 浮上을 결코 坐視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無法律의 국제사회에서 공정한 경쟁이란 애당초 실현된 적도 없으며, 실현될 수도 없다. 물론 다양한 형태의 國際法들이 常存한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전쟁이라는 국제정치 방식이 작동하기 이전의 상태에서 가능한 것이다. 어쨌거나 국제사회에서 어떤 尖銳한 事態가 발생하면, 결국 그것을 해결하는 국제정치적 방법론이 전쟁이었음은, 역사적 사례로써 검증된다.
그러므로 미국은 어떠한 방편으로든, 과거 러시아나 일본의 경우처럼, 중국의 몰락을 실현해 낼 것이다. 그러다가 여의치 않으면, 결국 가장 효율적인 전쟁이라는 방편을 활용할 것임은 明若觀火다. 물론 영국, 러시아, 독일, 일본 등 지난날의 패권국들이 虎視眈眈 패권국의 지위를 노리고 있음으로, 미국 역시도 과거의 페르시아나 로마처럼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지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다만, 현재로서는 여러 측면을 감안할 때, 미국의 패권국으로서의 위상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21세기 지금 여기에서 우리 민족은, 마치 조선왕조 말기처럼, 국가의 생존을 위해 부득이하므로, 또 한번의 선택을 해야만 한다.

歷史에 대한 대표적인 誤解 중 하나가, 역사는 분명한 사실의 기록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나름대로 公證되었다는 歷史書에 기록된 것이라면, 眞實(truth)로서 결정되어진다. 그런데 역사는 史實(historical fact)의 기록이며, 事實(fact)의 기록인 것은 아니다.
實狀, 事實을 기록한다는 일은 物理的으로 불가능하다. 21세기 첨단의 시대라고 해도 그러하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온갖 기록매체가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記錄者의 樣相도 아주 다양하다. 이제 역사 기록은 전문적인 歷史家들만의 專有物이 아닌 것이다. 그런데도 발생한 역사적 事件 全部를 기록한다는 것은 不可하다.
예컨대, 한 개인의 日常이나 日記를 살피더라도, 하루 중 자기에게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 인상적인 사실만이 기억되거나 기록될 따름이다. 더욱이 하루 중 대부분의 상황은, 아주 인상적인 사건을 제외한 日常事들은 며칠만 지나더라도 망각되어버린다. 그저 取捨選擇된 것이 기록될 따름인 것이다.
集團의 역사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史實은 기본적으로 역사적으로 기록될 만한 의미나 가치를 지닌 것이어야 한다. 그런 것이 史實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역사는 勝子와 强者에 의해 기록되기 마련이다. 그러니 대부분의 역사 기록자는 승자 혹은 강자이다. 물론 패배한 敗子로서, 패배의 痛恨을 기록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역사서들은, 자칫 歪曲되거나 逸失되어버리기 십상이다.
예컨대, 필자의 경우에도, 지난날 철학과 대학원에서 십수 년을 지냈지만, 그 세월동안에 딱히 기억되는 일은, 집단적 下剋上에 의해, 하릴없이 벼랑 끝으로 내몰리던, 필자의 씁쓸한 상황 뿐이다. 당시 필자에게 집단적으로 폭력적 비난을 쏟아붓던 자들은, 당시의 사태가 이미 의미없이 망각되어버렸거나, 失笑를 날리며 지난날 지극히 稚氣어린 짓거리였다고 회상될 것이다.
하지만 필자로서는, 인생의 방향성을 바꾸어버린 侮辱이었으며 羞恥였다. 물론 당시에 필자가, 다소 집단의 구미에 맞지 않는 言行을 하여, 빌미를 제공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自稱 他稱 대한민국 最高의 지식집단이라는 곳에서, 그처럼 천박하고 유치한 체험을 해야만 했던 필자로서는, 당최 당시의 기억이 망각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시 유독 앞장서서 온갖 천박한 말을 지껄여대던 자들은, 이후 대학이나 연구소에 임용된 것 같지도 않고, 지금은 어디에서도 소식을 알 길 없다. 그저 우둔하여 교수나 동료들의 부추김으로 앞세워졌지만, 결국 부질없는 소모품으로 전락해버린 듯하다. 흔히 裏面의 진실을 알지 못하는 대중들을 개돼지라고 卑下하는데, 그들의 꼴이야말로, 한순간 이용된 후 兎死狗烹되어버린, 개돼지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인상적인 사건은, 이제 필자에게는 하나의 歷史的 史實이 되었다. 혹여, 그런 집단적 상황을 체험해보지 않았다면, 설마 그럴까 하며 의아해 할는지 모른다. 그런데 ‘가방끈 길이’가 제아무리 길더라도, 인간존재의 행태는 별다르지 않다. 汝矣島 國會議事堂에 모인 자들이, 가방끈이 짧아서, 三尺童子도 하지 않을 그런 천박하고 유치한 짓거리를 恣行하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그래서인지 우연찮게 잔뜩 먹물 들어버린 필자의 신세가, 자꾸만 조선왕조의 雜多한 黨爭의 상황 따위에 오버랩되었던 것도, 결코 우연이 아닌 듯하다. 역사는 진실된 것도 아니고, 선한 것도 아니며, 아름다운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떻게든 역사를 美化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는 매우 그릇된 것이다.
이 글을 읽는 그대의 삶은 어떠한가. 아주 진실되고 선하며 아름다운가. 살다본면 온갖 거짓과 악함과 추함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대의 삶이 행복만 가득한 천국과 같은 것이던가. 그래서 인생이란 派瀾苦海를 표류하는 일이라고 하지 않던가. 역사는 어떠한 경우에도 왜곡되어서는 안 된다. 그런데 나쁜 의도에서 역사를 일그러뜨리는 일도 왜곡이지만, 좋은 의도라면서 역사를 꾸며대는 일 역시 왜곡임을 유념해야 한다.

‘太祖 李成桂’의 族譜와 성장과정은, 太宗實錄의 總序에 잘 기술되어 있다. 여기서 특히 인상적인 점은, 이성계의 성장과정에 관한 묘사에 있다. 이성계는 22세에 관직에 진출한다. 그러는 동안, 이성계의 생활을 代辯하는 일은, 활 쏘는 일, 말 타는 일, 사냥하는 일 등이다. 그의 성장과정 중에, 당최 文明的인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다음은 태조실록 총서 편에 記述된, 이성계의 활 솜씨와 사냥 솜씨에 관한 내용의 기사 4편이다.

“1. 태조가 일찍이 한더위에, 냇물에 목욕을 하고 난 후에, 냇가 근방의 큰 숲에 앉아 있는데, 한 마리의 담비가 달려 나오므로, 태조는 급히 화살 하나를 뽑아 쏘니, 맞아서 쓰러졌다. 또 한마리의 담비가 달려 나오므로, 쇠 화살을 뽑아 쏘니, 이에 잇달아 나왔다. 무릇 20번 쏘아, 모두 이를 죽였으므로 도망하는 놈이 없었으니, 그 활쏘는 것의 신묘함이, 대개 이와 같았다.
2. 태조가 어릴 적에, 산기슭에서 사냥을 하다가, 멧돼지 한 마리를 쫓아, 화살을 시위에 대어 쏘려고 했으나, 갑자기 백 길의 낭떠러지에 다다르니, 그 사이가 능히 한 자도 되지 않았다. 태조는 말 뒤로 몸을 빼어 섰고, 멧돼지와 말은 모두 낭떠러지 밑으로 떨어졌다.
…태조가 갑자기 보니, 호랑이가 자기 곁에 있는데 매우 가까운지라, 즉시 말을 달려서 피하였다. 호랑이가 태조를 쫓아와서, 말 궁둥이에 올라 움켜채려고 하므로, 태조가 오른손으로 휘둘러 이를 치니, 호랑이는 고개를 쳐들고 거꾸러져 일어나지 못하는지라, 태조가 말을 돌이켜서, 이를 쏘아 죽였다.
3. 젊었을 때 환조를 따라 사냥을 하는데, 환조가 화살을 뽑아서 보고 말하기를, 사람의 쓸 것이 못된다고 하면서, 이를 땅에 던지니, 태조가 이를 주워 화살통에 꽂고 앞에 섰는데, 노루 한 마리가 나오므로, 태조가 달려가서 쏘니, 화살 한 개에 죽었다. 또 노루 한 마리가 나오므로, 또한 그와 같이 하였다. 이같이 한 것이 일곱 번이나 되니, 환조가 크게 기뻐하면서 웃었다.
4. 태조가 환조를 따라 나가서 사냥을 하다가, 짐승을 보고 빙판의 비탈길에 말을 달려서 쏘면, 번번이 맞히어 한 마리도 빠져 도망가지 못하였다. 백성들이 놀라 탄식하기를, 도련님께서는 세상에서 대적할 사람이 없겠습니다. 라고 하였다.”

위에 인용된 4편 이외에도, 태조실록 총서 편에는, 이성계의 활 솜씨, 말 타는 솜씨에 대한 묘사가 다수 등장한다. 어찌보면, 이성계라는 인물은 활 솜씨와 말 타는 솜씨 외에는, 별반 내세울 능력이 없는 인물로 여겨질 정도다. 어쨌거나 이성계는, 당시 그 지역의 최고권력자 집안의 소속이었다. 그런데도 문화나 교양에 관련된 교육은 전혀 받지 못한 것이다.
자랑스레 왕조실록의 첫 페이지에 기술한다는 내용이, 고작 활 쏘며 사냥하고, 그런 것을 사람들이 칭송한다는 내용일 뿐이다. 그러니 고려왕조 말기에, 북방지역의 교육 상황이 어떠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실상 북방지역에서 권력을 찬탈하고 유지할 수 있는 방편은, 엘리트주의적 지식이라기보다는 실제적인 폭력적 武力이었다.
또한 이성계는 애당초 王族이 아니므로, 帝王學 따위를 교육받을 리 없다. 따라서 다소 이해되는 측면이 없지 않다. 여하튼 조선왕조의 첫 임금이, 청년기에 이르도록 다소 무식한 상태에 있었음을, 이처럼 역사적 사실로써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조선왕조가 유독 儒家的 文化國家의 定立에 목을 맸는지 모른다. 왕조의 開祖가 아주 무식한 사냥꾼이었다는 사실이, 핸디캡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성계는 분명 관직에 진출하였으니, 文盲일 리 없고, 나름대로 기본적인 교육은 받았을 것이다. 아무리 변방의 명문 귀족으로서 ‘금수저’라고 해도, 문맹인 자를 관리로 등용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니 이성계는, 적어도 書信을 해독하거나, 戰鬪報告書를 기술할 수 있는 수준이었을 것이며, 관직에 있으면서 大學衍義를 즐겨 읽었다고 하지만, 각종 經典에 대해 심오한 연구를 하지는 않았다. 그래서 아래의 태종실록 총서 편의 기술처럼, 자기의 자식들에게는 아주 강한 교육열을 지니게 된다. 이성계의 시대이든, 현대사회이든, 當代의 통치이데올로기에 부합하는 지적 능력을 배양함은, 생존을 지속하는 방편임은 자명하다.

“태조의, 활달하여 세상을 구제하는 度量과, 仁厚하여 생명을 아끼는 德은, 天性에서 나왔으므로, 功勳이 크게 빛났으나, 더욱더 겸손하고 공손하였다.
또 본디부터 儒術을 존중했으므로, 일찍이 家門에서 儒學을 業으로 삼는 사람이 없음을 불만히 여겨, 殿下(李芳遠)로 하여금, 스승에게 나아가서 학문을 배우게 하니, 전하께서도 날마다 부지런하여 글읽기를 게을리하지 아니하였다.
태조가 일찍이 이르기를, 내 뜻을 성취할 사람은 반드시 너일 것이다. 하였다.
妃 康氏가 매양 전하의 글읽는 소리를 듣고 탄식하며 말하기를, 어찌 내가 낳은 아들이 되지 않았는가? 하였다.
이 해에 전하가 科擧에 급제하니, 태조가 대궐 뜰[闕庭]에 절하고는 매우 감격하여 눈물을 흘렸다.
후에 제학(提學)에 임명되니, 태조가 매우 기뻐하여, 사람을 시켜 官敎를 읽기를 두세 번에 이르렀다.
태조가 매양 賓客과 연회할 적에, 전하로 하여금 聯句를 하게 하고 문득 이르기를, 내가 손님과 함께 즐김에는, 네 힘이 많이 있었다. 하였다.
전하께서 聖德을 成就한 것은, 비록 天性에서 출발하였지만, 실은 태조께서 학문을 권장함이 부지런하였기 때문이었다.”

-하략-

저자소개

이후, 조선왕조는 儒家哲學을 獨尊儒術의 통치이데올로기로 삼는다. 이성계 당시에 북방지역의 상황은, 현대사회에서 북방 유목민의 생활을 기록한 다큐멘터리에 묘사된 모습쯤으로 연상하면 될 듯하다. 더욱이 고려왕조 말기에 북방지역은 掠奪과 戰鬪가 橫行하는, 흡사 戰國時代의 政局이었고, 그 틈바구니에서 자기 편의 세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것은, 두말할 나위 없이 戰爭能力이었다. 활을 쏘거나, 말을 타거나, 사냥하는 일 따위가 죄다 그러하다.
이러한 상황은, 현대사회라고 해도 별다르지 않다. 현대사회는 문명사회이므로 폭력적 무력은 배척되고, 사회가 온통 윤리나 법률에 의해 작동하는 것으로 착각할 수 있다. 물론 이성계 시대에 비한다면, 아주 문명화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21세기에도 여전히, 葛藤과 衝突의 상황을 해결하는 결정적인 방편은 전쟁이다.
게다가 그 전쟁의 양상이, 이제는 아주 복잡화되고 다양해지기까지 했다. 과거의 收奪이나 征服만이 아니라, 金融이나 energy 혹은 情報 등을 목적하는 전쟁형태가 추가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더욱 복잡하고 교묘한 전쟁이 恣行되고 있는 것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기술된 이성계의 易姓革命 과정은,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대표적인 勝者의 기록이다. 승자가 역사를 기록하는 경우, 敗者는 철저히 惡의 편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것은 역사 기록자의 正統性이나 正當性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이를 사회적 安定의 圖謀라고 표현할 수도 있다. 만약 역성혁명으로써 王權을 簒奪하였지만, 정통적이지도 않고, 정당하지도 않다면, 이내 새로운 혁명세력에 의해 顚覆되기 십상인 탓이다.
그러다보니 예컨대, 壬辰倭亂 과정에서 李舜臣이나 郭再祐의 이야기가 역사에 회자된다. 朝鮮王朝實錄의 기록을 보면, 이순신이나 곽재우에 대해 별다른 내용이 없다. 그저 전쟁에서의 勝敗나, 그에 따른 功過쯤을 기술할 따름이다. 만약 이순신이나 곽재우가 역성혁명을 도모했다면, 역사는 바뀌었을지 모른다.
그러니 宣祖를 위시한 기득권세력들이, 백성들의 민심을 얻어 인기가 급상승하는 그들을 내버려 둘리 만무하다. 그랬다가는 조선왕조의 시작이 武臣의 역성혁명이었던 것처럼, 武臣 이순신이나 義兵將 곽재우의 武力的 역성혁명을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이성계는, 고려왕조 말기에 崔瑩과 더불어, 倭敵의 침략을 방어하는 데 奕奕한 戰功을 세우고서, 민족의 영웅으로서 浮上한다.
그러한 역사를 너무도 잘 아는 宣祖의 입장에서, 동일하게 왜적과의 전쟁에서 승리를 한 이순신이나 곽재우가 기묘한 不安感을 유발했을 것이다. 더욱이 선조는 전쟁 勃發 당시 播遷해버림으로써 君王으로서의 권위나 신뢰를 상실해버린 상태였다. 그러한 상황에서 이순신, 곽재우 등이 민족의 救國英雄으로서 부상하는 사태는 엄청난 위기의식을 초래하였을 것이다.
나아가 고려왕조 말기에, 이성계가 민족영웅으로서 부각되었을 때, 禹王이나 恭讓王이 이성계 세력을 굴복시키지 못한 역사적 사례에 집중하였을 것이다. 만약 고려왕조 말기에 북방민족이나 왜적을 물리치고서, 나라가 안정되었을 때, 王權에 우호적인 최영 세력이, 이성계 세력을 확실히 제압하였다면, 위화도 회군과 같은 사건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고려왕조에서 그러한 政勢分析과 이성계 세력을 제압하려는 움직임이 없었을 리 없다. 그래서 이성계 역시, 이를 알고서, 여러 차례 病을 핑계로 사임하려고 한다. 그러다가 鄭道傳 등의 세력과 遭遇하면서, 상황은 급변하게 된다. 그러니 이러한 역사적 과정을 착실히 교육받은 宣祖로서는, 왕권의 안정을 위해, 결코 이순신이나 곽재우의 浮上을 반길 수 없는 것이다.
다만, 이순신이나 곽재우는 애당초 역성혁명에 뜻을 두지 않았다. 그래서 나름대로 의사표현을 하였지만, 선조의 입장에서는 이순신이나 곽재우가 살아 있는 한, 결코 불안을 떨쳐버릴 수 없을 것임은 明若觀火다. 그러한 정치적 매커니즘이, 결국 이순신은 마지막 전투에서 자살에 가까운 戰死을 맞도록 하고, 곽재우는 精神異常이 되어버린 흉내를 내며 자살에 가까운 隱遁을 선택토록 했던 것이다.
이러한 事例는 현대사회에서도 여전히 進行中이다. 예컨대, 北韓에 대한 판단의 경우가 그러하다. 제3자인 외국인들의 견해는 대체로 大同小異하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북한을 인식하므로 특별히 偏重될 까닭이 없는 것이다. 그런데 南韓에서 바라보는 북한은 아주 극단적이다. 북한에 敵對的인 관점을 지녔는가, 友好的인 관점을 지녔는가에 따라 극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까닭은, 북한이 남한과 하나의 역사를 지닌 한 민족인 탓이다. 애당초 하나이므로, 오히려 好不好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것이다. 대체로 保守라고 분별되는 세력은 反共主義을 追從하므로, 북한에 대해 적대적이다. 그리고 進步라고 분별되는 세력은 從北主義를 추종하므로, 북한에 대해 우호적이다. 自己의 利得과 직접 연관을 가지므로, 당최 객관적인 관점을 갖기 어렵다.
나아가 거대한 변화가 到來할 경우, 권력을 잃거나 심지어는 목숨의 與奪까지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레 극단적인 차이를 엿보이는 것이다. 현대사회는 保守와 進步라는 세력이 對蹠的으로 배치되곤 한다. 그래서 보수가 집권하면 진보가 비판하고, 진보가 집권하면 보수가 비판한다. 이런 상황에서 필자는 비판하는 측의 주장에 좀 더 귀를 기울이게 된다. 그래야만 보다 사실에 근접한 사실을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사적 기록이 그러하듯이, 집권하는 측의 주장은 아무래도 현실을 美化하려고 하는 것이 人之常情이다. 어느 누구라도 자기에게 불리한 측면을 부각하려고 하지 않으며, 나아가 되도록 약점은 숨기고 강점은 내세우려고 한다. 그러다보니 실제 사실에 대해 진실을 알고자 한다면, 아무래도 비판하는 측의 주장에 관심을 갖는 것이 타당하다.

대부분의 歷史書들은, ‘상’나라 말기에 ‘紂王’은 연못을 술로 채우고 고기를 숲처럼 매달아 놓고 즐긴다는 ‘酒池肉林’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사치스럽고 방탕하게 생활했고, ‘鹿臺’라는 궁궐을 짓느라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여 백성들의 원성도 높아졌다고 기술하며, ‘상’나라의 ‘末期的 狀況’이 죄다 ‘주왕’의 失政 때문인 것으로 규정한다.
하지만 한 왕조가 멸망에 이를 때에는, 마지막 왕 혼자만의 과실에 의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대목은, 마치 ‘고려왕조’ 말기에 토지제도가 문란해져서 富益富貧益貧이 극심해지고, 외적의 침입 또한 빈번해지는 ‘말기적 상황’과 별다르지 않다.

-하략-

목차소개

▣ 목차





제1장. ‘태조 이성계’ 가문의 족보
1. ‘목조 이안사’가, 삼척과 의주를 거쳐 ‘알동’에 정착하다
2. ‘목조 이안사’가, ‘알동’ ‘천호소’의 ‘다루가치’가 되다
3. ‘목조’가, ‘알동’ 부근 섬에 석성을 쌓아, 소와 말을 방목하다
4. ‘목조’가, 8개 가문을 관할하며, ‘흘찰 백호’의 직무를 겸하다
5. 원나라 ‘상서성’에서 구리 도장을 보내오다
6. ‘목조’가 죽자, 공주에서 함흥으로 옮겨 ‘덕릉’이라고 하다
7. ‘익조 이행리’가 ‘목조’의 관직을 이어받다
8. ‘익조’가 원나라 군대와 함께 일본 정벌에 참여하다.
9. ‘익조’가, ‘여진 천호’의 협공을 피해, 의주에 정착하다
10. ‘익조’의 ‘손 부인’이 죽자, 최기열의 딸과 재혼하다
11. 의주에서 ‘도조 이선래’를 낳다
12. ‘익조’가, 쌍성 주변 고려인을 다스리는 ‘다루가치’에 임명되다
13. ‘익조’가 죽자, ‘봉룡역’에서 장사지내고 ‘지릉’이라고 하다
14. ‘도조 이춘’이 ‘익조’의 관직을 이어받다
15. ‘도조’가, ‘박광’의 딸과 혼인하다
16. ‘익조’와 ‘도조’가 남쪽의 ‘함주’로 이주하다
17. ‘도조’가, ‘충숙왕’에게 조회하니 물품을 하사하다
18. ‘도조’가, 조선왕조 개창을 암시하는 꿈을 꾸다
19. 상서로운 일이 일어나자, ‘도조’를 칭송하다
20. ‘도조’가, 관직을 아들에게 물려주려고 하다
21. ‘도조’가 죽자, 임시로 ‘환조 이자춘’이 관직을 계승하다
22. ‘환조’가 ‘교주’에게 관직을 돌려주고자 했으나 받지 않다
23. ‘환조’가 ‘공민왕’을 만나다
24. ‘공민왕’이 ‘환조’에게 쌍성의 백성을 달래도록 하다
25. ‘환조’가, ‘기철’ 등의 무리를 물리치고 쌍성을 수복하다
26. 왜구가 출몰하다
27. ‘환조’가 죽자, 함흥부에서 장사지내고 ‘정릉’이라고 하다

제2장. ‘태조 이성계’의 신묘한 궁술과 사냥술
1. ‘환조’가 ‘최한기’의 딸과 혼인하여, ‘태조 이성계’를 낳다
2. ‘태조’의 신묘한 활 솜씨에 대해 발설치 못하도록 하다
3. ‘태조’가 20마리의 담비를 쇠살로 명중시키다
4. ‘태조’가 용맹스럽게 멧돼지와 범 등을 사냥하다
5. ‘이달충’이, ‘태조’가 비범한 인물이라고 말하다
6. ‘태조’가 노루 7마리를 모두 명중시키다
7. ‘태조’의 사냥 솜씨를 야인들이 칭송하다

제3장. ‘태조 이성계’의 관직생활과 전투활동
1. ‘태조’가, 22살에 관직에 진출하다
2. ‘태조’가 친위대를 거느리고서, 반란군 독로강 만호 등을 죽이다
3. ‘태조’가 ‘홍건적’ 무리를 격퇴시키다
4. ‘공민왕’이 남쪽으로 피난하고, 적이 서울을 점령하다
5. ‘안우’ 등이 군사 20만을 거느리고서, 서울을 탈환하다
6. ‘태조’가 동북면 병마사가 되어, ‘나하추’와 대적하다
7. ‘태조’와 ‘나하추’의 전투
8. ‘공민왕’을 폐위키 위해, ‘최유’가 쳐들어 오다
9. 여진족이 함주를 함락시키니, 관군들이 ‘태조’가 오기를 고대하다
10. ‘태조’가, 여진족 ‘삼선’과 ‘삼개’를 격퇴하여 승진하다
11. ‘태조’가 원나라 맹장 ‘조무’를 감복시켜 귀순케 하다
12. ‘태조’가 동북면 원수가 되어, 동녕부를 회복코자 하다
13. ‘태조’가 군대를 거느리고서, 동북면의 영토를 확장하다
14. ‘태조’와 서북면 원수 ‘지용수’ 등이 동녕부를 공격하다
15. 동북면을 공격하고, ‘나하추’ 등이 있는 곳에 방을 붙이다
16. ‘태조’를 ‘지문하부사’에, ‘이색’을 ‘정당문학’에 임명하다
17. ‘태조’가 서모의 노비문서를 불사르다
18. ‘태조’가 동북면에 출몰한 왜구를 방어하다
19. ‘태조’가 화살 한 개로 노루 두 마리를 사냥하다
20. ‘태조’가, 화살로 쏴 떨어뜨린 배를 가지고 손님을 대접하다
21. ‘태조’가 잡기 어려운 상황에서 사슴을 잡다
22. ‘태조’가 활을 쏜 것이 백발 백중하니, 모두가 감탄하다
23. ‘태조’와 ‘최영’이 왜적을 방비하다
24. ‘태’조가 사냥한 호랑이를 ‘우왕’에게 바치다
25. ‘태조’가 ‘환조’의 적장손 ‘이천계’를 극진히 대우하다
26. 왜적이 강화부에 침입하니, ‘태조’와 ‘황상’ 등이 시위하다
27. ‘태조’가 지리산에서 왜적을 섬멸하다
28. ‘태조’가 왜적을 ‘해주’에서 격퇴하다
29. ‘태조’가 문도리 위의 쥐 3마리를 활로 쏘아 떨어뜨리다
30. ‘최영’과 ‘태조’가 ‘해풍군’에서 왜적과 싸우다
31. ‘태조’가, 서울에서 많은 인명을 해친 호랑이를 쏴 죽이다
32. ‘태조’가 ‘아기발도’를 격퇴하자, ‘이색’ 등이 시를 지어 치하하다
33. 많은 군사가 ‘태조’의 군영에 모여들다
34. ‘태조’가 임지로 떠나자, ‘이색’이 시를 지어 전송하다
35. ‘태조’가, 변방을 평안히 할 계책을 올리다

제4장. 역성혁명의 태동
1. ‘태조’가 ‘한충’과 ‘김인찬’을 처음으로 만나다
2. ‘태조’가 자유자재로 활을 쏘다
3. ‘태조’가 ‘장단’에서 노루를 사냥하다
4. ‘태조’가 ‘최영’과의 정분을 돈독히 유지하다
5. ‘송도’에서 꿩을 사냥하다
6. 나무공을 만들어 화살로 쏴 맞추다
7. 명나라 사신이 ‘태조’와 ‘이색’의 안부를 묻다
8. ‘태조’가 ‘이인임’ 일당을 제거하고, ‘수문하시중’이 되다
9. ‘염흥방’, ‘임견미’ 등이 임용했던 사람들을 파직시키다
10. ‘태조’가 형살 중지를 요청했으나, ‘최영’이 듣지 않다
11. ‘태조’가 무인이면서도, ‘대학연의’를 즐겨 읽다
12. 명나라가 철령 이북의 땅을 요구하자, ‘요동’정벌을 논의하다
13. ‘우왕’과 ‘최영’이 ‘요동’을 공격하기로 결정하다
14. ‘요동’정벌이 결정되었으나, ‘태조’가 반대하다

제5장. 역성혁명의 실현 과정
1. ‘태조’가 ‘조민수’와 함께 ‘위화도’에서 회군하다
2. ‘최영’의 군사를 진압하고, ‘고봉현’으로 귀양보내다
3. ‘조민수’를 좌시중에, ‘태조’를 우시중에 임명하다
4. ‘우왕’이 ‘태조’와 ‘조민수’ 등을 죽이려고 했으나 실패하다
5. ‘우왕’ 대신 ‘창왕’을 세우다
6. 가족을 볼모로 삼으려하자, ‘태종’이 포천의 가족을 피신시키다
7. ‘태조’를 ‘동북면 도통사’로 삼고, ‘안사 공신’에 봉하다
8. ‘태조’가 병으로 사직했으나, 윤허하지 않다
9. ‘태조’의 공적을 치하하는 ‘창왕’의 교지
10. ‘창왕’이 ‘태조’에게 경외의 군사를 총관하도록 하다
11. ‘태조’가 ‘판상서사사’를 겸임하다
12. ‘이색’이, 반란을 방지하려고, ‘태종’을 서장관으로 데리고 가다
13. ‘사전’을 혁파하다
14. ‘왕환’에 대한 무망죄로 도망친 ‘이숭인’을 용서하다
15. ‘창왕’이 ‘태조’를 대우하다
16. ‘태조’를 제거할 모의를 꾀한 ‘김저’를 처형하다
17. ‘우왕’과 ‘창왕’을 폐위하고 ‘공양왕’을 세우다
18. ‘태조’가 사슴을 사냥하다
19. 황소들의 싸움을, ‘태조’가 두 손으로 잡고 말리다
20. ‘태조’가 말을 구하다
21. ‘태조’를 ‘수시중’으로, ‘심덕부’를 ‘시중’으로 삼다
22. ‘우왕’을 죽이다
23. ‘태조’의 공적을 기리는 ‘공양왕’의 교지
24. ‘태조’를 개국공신으로 책록하다
25. ‘태조’를 ‘영경연사’로 임명하여, 8도의 군마를 거느리게 하다
26. ‘태조’가 병으로 사직하다
27. ‘태조’의 공적을 치하하는 교서
28. ‘공양왕’의 즉위에 대해, 명나라에 무고하여 옥사가 일어나다
29. 수재가 나자, ‘윤이’ 사건과 연루된 죄인의 방면을 논의하다
30. ‘태조’를 죽이려는 사건과 연루된 ‘심덕부’ 등을 논죄하다
31. 여러 원수들의 인장을 회수하다
32. ‘태조’를 다시 ‘문하시중’에 제수하다
33. ‘태조’를 ‘도총제사’로 삼다
34. 사직을 청하는 ‘태조’의 전문과 윤허치 않는 비답이 오가다
35. 또 사직을 청하는 ‘태조’의 전문과 윤허치 않는 비답이 오가다
36. ‘공양왕’이 ‘대간’에게 ‘우현보’의 죄를 논하지 말도록 하다
37. ‘태조’를 참소하는 말이 돌자, ‘정도전’ 등과 거취를 논의하다
38. ‘공양왕’이 ‘태조’의 집에 가서 연회를 즐기다
39. ‘태조’가 ‘공양왕’과 술을 마신 후, 궁궐문을 열고 나가다
40. ‘태조’를 ‘판문하부사’로 삼다
41. ‘이색’이 유배지에서 돌아와, ‘태조’를 사저에서 만나다
42. ‘태조’에게 ‘안사공신’의 칭호를 더 내리다
43. ‘올량합’과 ‘알타리’가 조회와서 다투다가 화해하다
45. 술에 취해 ‘공양왕’에게 예절을 갖추지 않은 ‘이염’을 귀양보내다
46. ‘공양왕’과 권문세족이 ‘태조’를 꺼려하다
47. 세자가 명에서 돌아오고, ‘정몽주’가 ‘태조’를 탄핵하다

제6장. ‘태종 이방원’의 등장
1. ‘이성중’이 가보인 보검을 ‘태종’에게 바치다
2. ‘태종’이 ‘정몽주’를 죽이고 일당을 탄핵하다
3. ‘조준’ 등을 소환하고, ‘태조’를 ‘문하시중’으로 임명하다
4. ‘공양왕’이 ‘태조’의 집에 가서 위문하다
5. ‘공양왕’이 ‘태조’와의 맹약의 초안을 잡게 하다
6. ‘태조’가 백관의 추대를 받아 ‘수창궁’에서 왕위에 오르다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