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세기 중국인 서긍의 고려 여행기, 선화봉사 고려도경 1~15권

서긍 지음(탁양현 엮음) | e퍼플 | 2018년 09월 07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徐兢과 ‘위안 스카이’와 ‘이토 히로부미’



무슨 까닭에선지, 필자는 熱河日記를 대하는 느낌으로 高麗圖經에 접근했다. 12세기 중국인 徐兢의, 다소 낭만적인 旅程을 상상한 것이다. 그런데 고려도경을 살피면서, 중국인 서긍의 관점이, 조선인 朴趾源의 것과는 전혀 연관을 갖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서긍의 시선에서, 마치 조선왕조 말기 청나라의 ‘위안 스카이’나, 일제강점기의 ‘이토 히로부미’의 시선이 교차됨은 실로 기괴하였다.
송나라 사신 서긍의 고려 여행기는 결코 낭만적이지 않다. 황제의 명령에 의해, 어쩔 수 없이 고려를 여행할 따름하기 때문이다. 고려도경을 살핀다면, 서긍에게 고려는, 그저 별반 가보고 싶지 않은 여행지일 뿐이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유년시절에 교육받은 대로 상상하는, 국제 지향적 고려의 화려한 先進文化를 견문하는 내용일 것이라는, 상상된 고려도경의 내용과는 전혀 일치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은 현대사회라고 해서 별다르지 않다. 우리는 현대의 대한민국이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루어, 세계적인 문명국가가 되었다고 자부한다. 그런데도 여전히 유럽인들은, 한국인들이 未開人처럼 ‘개고기를 먹는다’며 딴지를 건다. 어쨌거나 개고기를 먹으면, 왜 미개인으로 분별되는 것인지, 실로 의문이다.
나아가 유럽이나 미국의 대다수는, 아예 대한민국을 알지 못하거나, 북한과 뭉뚱그리기도 한다. 어느 시대라도, 서긍의 경우처럼, 부득이 어떤 빌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强大國의 입장에서 弱小國에 대해 굳이 관심을 가질 까닭이 없다. 이는 人之常情이다. 無法律의 國際政治의 場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弱肉强食의 원리가 작동할 따름이다.

“현실세계에서, 인간존재는 아무래도, 늘 온갖 사이에만 머문다.
하늘과 땅 사이, 시작과 끝 사이, 시간과 공간 사이, 신과 악마 사이, 사람과 짐승 사이, 나와 너 사이, 개인과 집단 사이, 아이와 어른 사이, 젊은이와 늙은이 사이, 삶과 죽음 사이, 부자와 가난뱅이 사이, 지배자와 피지배자 사이, 존재와 존재자 사이, 의식과 무의식 사이, 이성과 감성 사이, 정상과 비정상 사이, 진실과 거짓 사이, 죄와 벌 사이, 선과 악 사이, 아름다움과 추함 사이, 사랑과 증오 사이, 만남과 이별 사이 등, 온갖 변화와 순환의 사이에만 머문다.
그래서 결국, ‘사이의 사람[人間]’이다.
이러한 온갖 사이에서, 나 바깥의 어떤 대상에게 좀 더 많은 의미와 가치를 부여할수록, 나 자신의 본래적인 의미와 가치는 더욱 감소하며, 상실되어 갈 수밖에 없다는 체험적인 사실은, 아무래도 부득이하게, 현실세계의 온갖 사이에만 세워지게 되는 사람들에게는, 너무도 절박한 현실 그 자체다.
그래서인지, 그러한 사실을 좀 더 명확하게 인식할수록, 집단대중은 적어도 시작이 있었다면 반드시 끝이 있어야 한다는 낡은 전제처럼, 온갖 사이에서 부유하는 불안보다는, 어딘가에 소속되는 안정 속에 머물고 싶어 한다.
집단대중의 이러한 안정 지향을, 너무도 잘 파악하고 있는 그림자권력은, 어느 집단공동체에도 당최 소속되지 않으려고 하거나, 도무지 소속될 수 없는 채로 온갖 사이만을 떠돌며, 다만 예술가적인 자기만족과 자기완성의 일탈과 탈주를 모색하는 자라면, 대체로 反집단적인 이방인이나 방랑자인 것으로 판정하고서, 미래의 생존을 빌미로 지속적인 소외와 제거를 명령한다.
부득이했지만, 출생 이후 지속적인 훈육으로써, 이러한 명령에 이미 충분히 길들여진 탓에, 집단대중은 더욱 사이의 시공간은 아무래도 잠시 떠도는 곳이지, 결코 오래 머물만한 곳은 되지 못 한다는 판단을, 스스로 맹신하게 된다. 하지만 결국 인간은, 온갖 사이에서, 떠돎의 삶으로부터 되돎의 죽음으로 나아가는 존재일 따름이다.
그런데 현실세계의 그러한 떠돎과 되돎의 뒤엉킴 속에서, 인간존재의 유한한 일회성의 삶과 죽음보다도 오래도록, 온갖 사이에만 머무르는 것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눈과 빛’ 사이에서 생성되는 그림이다.”(탁양현: 단편소설 ‘여행담’)

온갖 사이[間]를 떠도는 자로서 여행자는, 늘 마지막 到着地를 豫備하며 당최 마감될 것 같지 않은 여행을 지속한다. 물론 죽음이라는 마지막 도착지는, 이미 예정되어 있다. 그런데 실상 죽음이라는 현상 자체는 실재하지 않는다. 그저 출생 이후, ‘삶과 죽음’ 사이에서의 ‘나’가 체험될 수 있을 따름이다.
현대사회는 과거에 비해 너무도 풍족한 시대이다. 혹자는 ‘Hell朝鮮’을 외치지만, 과연 대한민국이 그렇게 地獄과 같은 상태에 있는지 의문이다. 필자는 ‘헬조선’의 상태를 체험하지 않은 세대이다. 그래서 兩班士大夫, 奴婢, 일본순사, 부산 피난민, 라이 따이한, 보릿고개 등의 개념들은, 그저 역사 속의 片鱗으로서 인식될 따름이다.
기껏 필자의 실제적 기억을 소급해봐야, 새마을운동 쯤이 아련한 기억으로 무의식 저편에 배치되어 있다. 어쨌거나 필자는 군부독재에 대한 민주화운동이 결실을 맺을 즈음의 기억이 선명한, 그야말로 現代人이다. 그런 필자가 어떤 계기에서 저 먼 古代로부터의 여행을 시작하게 된 것인지, 이제는 명료히 分別되지 않는다.
이미 적잖은 삶의 여정을 걸어왔고, 이제 죽음이라는 終着地가 그다지 멀지 않은 상태이다. 한때 필자는 실제적인 여행자가 되어, 동아시아 이곳저곳을 10여 년 넘도록 표류하듯 헤매돌던 시절이 있다. 이제 그런 시절도 기억 저편으로 잠겨버렸다. 물론 별다른 의미는 있지 않으며, 다만 그저 그러하다는 이야기다.
-하략-

저자소개

徐兢은 중국 宋나라의 문신이다. 1123년에, 使臣으로 高麗에 와서, 한달 동안 머물면서, 보고 듣고 한 사실들을 기록한 宣和奉使高麗圖經 40권을 편찬하여, 고려의 實情을 중국에 소개하였다. 高麗圖經에는 12세기 고려의 情況이 여실히 드러나 있다.
다음은 高麗圖經 제1권의 기록이다.

“夷狄의 君長 등은, 거개 속임수와 폭력으로 스스로를 높이되, 이름을 별나고 괴상하게 하여, ‘單于’니 ‘可汗’이니 하나, 족히 말할 만한 것이 없다.
오직 高麗는, 箕子가 封해졌을 때부터 德으로 侯가 되었는데, 후대에 점점 쇠약했으며, 他姓 역시 漢나라 官爵을 써서, 갈음하여 그 자리를 차지하였으니, 위에는 일정한 높음이 있고, 아래로는 차등이 있다.
그러므로 나라를 이어받고, 대를 전하여 감에 있어, 자못 기록할 만한 것이 있다. 이제 모든 사적을 고찰하고, 그 역대의 왕을 序次하여, 이 建國記를 짓는다.”

徐兢은 12세기 인물이다. 그의 認識 속에서, 高麗는 宋나라를 事大하며 朝貢하는 國家로서 배치되어 있다. 더욱이 箕子朝鮮에 대해 아주 확고한 판단을 가지며, 그러하므로 고려가 중국의 諸侯國임을 확신하고 있다. 비단 朝鮮王朝만이 아니라, 이미 高麗王朝에서도 중국에 대한 事大主義는 실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은 고려도경 제3권의 기록이다.

“왕성이 비록 크기는 하나, 자갈땅이고 산등성이여서, 땅이 평탄하고 넓지 못하기 때문에, 백성들이 거주하는 형세가 고르지 못하여, 벌집과 개미 구멍 같다.
풀을 베어다 지붕을 덮어, 겨우 風雨를 막는데, 집의 크기는 서까래를 양쪽으로 잇대어 놓은 것에 불과하다.
부유한 집은 다소 기와를 덮었으나, 겨우 열에 한두 집뿐이다.”

이러한 서긍의 記述에 따른다면, 당시 고려왕조의 경제적 수준이 어떠했는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은 동아시아는 물론이며, 예컨대 유럽이라고 해서 별다를 게 없다. 당시 유럽의 변방은 先史時代의 생황방식이 유지되었으니, 그저 그러려니 한다.
다만 당시 徐兢의 시각이, 마치 植民地를 둘러보는 占領軍쯤인 듯하여, 별반 유쾌하지 않음은, 고려왕조의 이야기가 필자의 先祖에 대한 것인 탓이리라. 그러니 서긍을 보며, 어쩐지 조선왕조 말기 청나라의 ‘위안 스카이’나, 日帝强占期의 ‘이토 히로부미’를 연상케 됨은, 필자만의 지나친 상상일까.
다음은 고려도경 제4권의 기록이다.

“黃帝(중국 전설상의 제왕)와 堯ㆍ舜은, 예방하기를 숭상하여, 겹문을 설치하고, 딱따기를 쳐서, 暴客(도적)을 대비했다.
후세의 성인들은, 또 尊卑를 나누어 등급을 만들었기 때문에, 天子의 門은, 皐門ㆍ庫門ㆍ雉門ㆍ應門ㆍ路門이라 하여, 모두 다섯 문이다.
諸侯들은, 이 중 두 문을 없애고, 고문ㆍ치문ㆍ노문 뿐이었다.
그래서 魯나라는, 周公의 후손으로서도, 雉門에 새로 두 樓觀을 지었다가, 春秋의 꾸지람을 면하지 못하였거든, 더구나 그 나머지 제후들이야 말할 나위 있겠는가?
고려의 궐문 제도는, 자못 옛 제후의 禮를 따랐다. 비록 그들이 누차 상국에 빙문 다니며, 본떠다가 모방한 것이지만, 재목이 모자라고 기술이 졸렬하여, 결국 거칠고 세련되지 못했다고 한다.”

서긍은 기본적으로, 고려를 下級의 諸侯國으로서 인식한다. 그런 탓에, 오랑캐보다는 다소 낫지만, 아주 後進國인 것으로 묘사한다. 서긍의 묘사에 따른다면, 당최 고려왕조가 어떤 상황이었는지 의문스럽다. 필자의 유년시절 기억에 따른다면, 고려의 문화를 나름대로 그럴 듯했던 것으로 학습했던 것 같다. 그러나 당시 중국인의 시각에서는, 당최 졸렬하고 천박할 따름인 것이다.

목차소개

▣ 목차





선화봉사 고려도경 서문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권
1. 건국
2. 시봉: 당나라의 신하가 되다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2권
1. 세차: 왕실의 족보
2. 왕씨
3. 고려국왕 ‘왕해’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3권
1. 성읍: 중앙 행정구역
2. 봉경: 영토의 경계
3. 형세: 풍수지리설을 좇아 도읍을 정한다
4. 국성: ‘고구려의 평양성’에서 ‘고려의 평양성’으로 이동했다
5. 누관: 고려는 중국을 흉내 내어 누각을 짓기 시작했다
6. 민거: 백성들의 거주구역은 벌집이나 개미구멍 같다
7. 방시: 번화한 저자거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8. 무역: 무역은 활발하지 않다
9. 군읍: 지방 행정구역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4권
1. 문궐: 궁궐의 대문은 중국을 흉내 냈으나 기술이 졸렬하다
2. 선의문: 송나라 사신을 위해 설치한 대문
3. 외문: 일상적으로 출입하는 대문
4. 광화문: 왕궁의 곁문
5. 승평문: 왕궁의 정남문
6. 동덕문: 승평문
7. 전문: 정전의 대문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5권
1. 궁전: 신종황제가 오랑캐에 비해 고려를 예우해 주었다
2. 왕부: 정부 조직체제
3. 회경전: 각종 예식을 행하는 궁전
4. 건덕전: 연회를 행하는 궁전
5. 장화전: 왕실 창고
6. 원덕전: 전쟁용 궁전
7. 만령전: 침실용 궁전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6권
1. 장령전: 출입을 담당하는 궁전
2. 장경전: 국정을 처리하는 궁전
3. 영연전각: 전각에 대한 중국인들의 기록을 열람하다
4. 임천각: 도서관
5. 장경궁: 제사지내는 사당
6. 좌춘궁: 왕세자의 궁전
7. 별궁: 왕실의 친척들이 생활하는 궁전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7권
1. 관복: 기자조선 이후 중국의 풍속을 좇는다
2. 왕복: 고려왕의 복식
3. 영관복: 고려의 관제는 당나라를 모방했다
4. 국상복: 벼슬아치의 복식
5. 근시복: 근신들의 복식
6. 종관복: 벼슬아치의 복식
7. 경감복: 벼슬아치의 복식
8. 조관복: 벼슬아치의 복식
9. 서관복: 하급 벼슬아치의 복식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8권
1. 인물: 동남쪽 오랑캐 중에서 고려에 인재가 많다
2. 이자겸: 나라 사람들이 그를 비루하게 여겼다
3. 윤언식: 유학자의 기풍이 있다
4. 김부식: 뚱뚱한 외모지만, 학식이 풍부하다
5. 김인규: 반란을 진압했고, 외모가 수려하다
6. 이지미: 이자겸의 아들로서, 중국문화에 정통하다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9권
1. 의물: 의식용 물품
2. 반리선: 용을 수놓은 부채
3. 쌍리선: 용을 수놓은 부채
4. 수화선: 모란꽃을 수놓은 부채
5. 우선: 깃털 부채
6. 곡개: 햇빛 가리는 양산
7. 청개: 햇빛 가리는 양산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0권
1. 화개: 육각형 양산
2. 황번: 구름을 수놓은 깃발
3. 표미: 표범 꼬리를 꽂은 창
4. 금월: 도끼 모양의 장대
5. 구장: 격구할 때 쓰는 몽둥이
6. 기패: 하얀 깃을 단 깃발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1권
1. 장위: 의장대와 호위대
2. 용호좌우친위기두: 친위 기병대
3. 용호좌우친위군장: 친위대
4. 신호좌우친위군: 친위대
5. 흥위좌우친위군: 친위대
6. 상육군좌우위장군: 친위대
7. 상육군위중검랑장: 궁수부대
8. 용호중맹군: 주력부대
9. 금오장위군: 지역 방위군
10. 공학군: 보충대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2권
1. 천우좌우장위군: 창부대
2. 신기군: 깃발부대
3. 용호상초군: 비상군
4. 용호하해군: 경비대
5. 관부문위교위: 경비대
6. 육군산원기두: 사령부
7. 좌우위견롱군: 호위대
8. 영군랑장기병: 연합 기병대
9. 영병상기장군: 궁수 기병대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3권
1. 병기: 무기
2. 행고: 북
3. 궁시: 활과 화살
4. 관혁: 작은 북을 매단 창
5. 등장: 말 등자
6. 의극: 의식용 창
7. 호가: 관악기
8. 수패: 방패
9. 패검: 칼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4권
1. 기치: 깃발
2. 상기: 코끼리 깃발
3. 응준기: 새매 깃발
4. 해마기: 말 깃발
5. 봉기: 봉황 깃발
6. 태백기: 사람 깃발
7. 오방기: 다섯 색깔 깃발
8. 소기: 작은 깃발

선화봉사 고려도경 제15권
1. 거마: 말이 끄는 수레
2. 채여: 채색된 가마
3. 견여: 어깨에 매는 가마
4. 우거: 소가 끄는 수레
5. 왕마: 왕이 타는 말
6. 사절마: 사신이 타는 말
7. 기병마: 군인이 타는 말
8. 잡재: 화물 운반용 말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