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수년 동안 준비해 온 영문법의 결정체인 ‘중ㆍ고생, 수능, 토익, 공무원 시험 준비생을 위해 기초 개념부터 고급까지 아주 쉽게 풀어서 쓴’ <고급 영문법 해설>을 <고급 영문법 공식 100제>와 동시에 내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모든 단원을 품사의 개념부터 고급 영문법까지 쉽고 자세하게 풀어서 설명하였으므로, 초보에서 상급까지 누구나 독학으로도 쉽게 영문법을 마스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고급 영문법 공식>이나 <고급 영문법 공식 100제>의 내용보다 더 자세하게 영문법을 공부하고 싶으신 분들께 필독을 권하는 바입니다.
아무쪼록 책을 통하여 고급 영문법의 모든 것을 완벽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드시고, 중간고사, 학기말 고사, 학년말 고사, 모의고사 등 교내 시험이나, 대학수학능력 시험, 토플이나 토익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둠은 물론, 공무원시험 등 모든 시험에 합격하는 영광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중요한 내용을 발췌하여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 Should
should는 의무, 추측, 놀람, 공손한 표현 등을 나타낼 때 쓰인다.
(2) 이성적ㆍ감정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It is + 형용사 + that + 주어....
위와 같은 문형으로 쓰일 때, 형용사가 이성적ㆍ감정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일 경우에는 주어 다음에 should + 동사가 온다.
It is ( ) that S + should + 동사원형
☞ 종속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와 같다.
It is ( ) that S + should have + P.P
☞ 종속절의 시제가 주절의 시제보다 앞선다.
1) 이성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necessary, important, natural, rational, proper, right, good, wrong, well, essential, required, advisable, imperative, insistent, keen
2) 감정적 판단을 나타내는 형용사
strange, surprising, curious, wonderful. a pity, odd, regrettable
It is natural that he should think so.
(그가 그렇게 생각하는 것도 당연하다.)
It is strange that he should have thought so.
(그가 그렇게 생각했던 것도 당연하다.)
It is strange that he should think so.
(그가 그렇게 생각하다니 이상하다.)
It is natural that he should have thought so.
(그가 그렇게 생각했다니 이상하다.)
(3) 주장, 제안, 명령, 소망, 요구, 결정, 허락ㆍ동의를 나타내는 동사
‘S + V + that + (should) + 동사원형’
위와 같은 문형으로 쓰일 때 주절의 동사가 주장, 제안, 명령, 소망, 요구, 결정, 허락ㆍ동의를 나타내는 동사일 경우에는 should를 생략할 수 있다.
S + V + that + (should) + 동사원형
☞ should를 생략할 수 있다.
1) 주장 : insist, urge
2) 제안 : suggest, propose, advise, recommend
3) 명령 : order, command, direct, dictate
4) 소망 : wish, desire
5) 요구 : demand, request, require
6) 결정 : decide, decree
7) 허락, 동의 : grant, permit, consent
I insist that he should go now.
= I insist that he go now.
(나는 그가 지금 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 goes가 아니고 동사원형(go)이 와야 한다.
I insist that he go now. (○)
I insist that he goes now. (×)
I suggest that he should do that.
= I suggest that he do that.
(나는 그가 그걸 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 does가 아니고 동사원형(do)이 와야 한다.
I suggest that he do that. (○)
I suggest that he does that. (×)
제3절 소유격(所有格)
1. 시간, 거리, 가격, 무게
소유격은 ’s를 치며, 단수 취급한다.
1) Today’s newspaper says that∼
2) 1 mile’s distance is∼
3) 10 dollars’ worth of bread is∼
4) 100 pounds’ weight is∼
2. 이중소유격
a, an, the, this, that, some, any, no, another 다음에 <명사 + of + ( )’s>가 온다.
a friend of my mother’s (○)
a my mother’s friend (×)
an old friend of mine (○)
a my old friend (×)
a book of mine (○)
a my book (×)
another book of my friend’s (○)
another my friend’s book (×)
제5절 want, need, require, bear
want, need, require, bear 다음에 to∼가 오면 주어가 능동으로 해석되고, ∼ing가 오면 주어가 수동으로 해석된다.
1) want, need, require, bear + to∼
☞ 주어가 능동으로 해석된다.
2) want, need, require, bear + ∼ing
☞ 주어가 수동으로 해석된다.
3) want, need, require, bear + to be + PP
☞ 주어가 수동으로 해석된다.
I need to repair this watch.
(나는 이 시계를 수리해야 한다.)
This watch needs repairing.
(이 시계는 수리를 요한다.)
This watch needs to be repaired.
(이 시계는 수리를 요한다.)